큰민도로숲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큰민도로숲쥐(Apomys gracilirostris)는 필리핀 민도로 섬의 할콘 산에서 발견된 쥐아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1992년에 발견되어 1995년에 학계에 보고되었으며, 얇고 짧은 위 앞니, 긴 아래 앞니, 긴 주둥이 등의 특징을 갖는다. 큰민도로숲쥐는 쥐아과 내 Chrotomys 분열에 속하며, 루손 산악 숲쥐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이들은 해발 1,255m에서 1,900m 사이의 구름 숲에 서식하며, 나무를 타는 습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큰민도로숲쥐의 보존 상태와 위협 요인에 대한 정보는 아직 부족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도로섬의 동물상 - 민도로줄무늬얼굴과일박쥐
민도로줄무늬얼굴과일박쥐는 필리핀 민도로 섬에서 발견된 과일박쥐의 일종으로, 주황색 털과 흰 줄무늬, 반점을 특징으로 하며,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된다. - 민도로섬의 동물상 - 루손땃쥐
- 1995년 기재된 포유류 - 시베루트마카크
- 1995년 기재된 포유류 - 후탄땃쥐
- 물쥐족 - 아포산숲쥐
필리핀 루손 섬 아포 산에서 발견되는 아포산숲쥐는 몸길이 12~15cm, 꼬리 길이 13~16cm의 쥐로, 등 쪽은 짙은 갈색, 배 쪽은 회색빛을 띠며 육상 생활을 하는 잡식성 동물이고, 필리핀 민다나오섬의 산지림과 이끼숲 해발 1,700~2,700m 사이 고도에 서식하며 서식지 보전이 필요한 종이다. - 물쥐족 - 검은발나무쥐
검은발나무쥐는 털이 회갈색이고 배는 크림색 흰색이며, 긴 꼬리와 검은 뒷발을 가진 야행성 설치류로,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지역에 분포하며 잎과 열매를 먹고 서식지 감소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큰민도로숲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포 | |
분포 지역 | 필리핀 민도로섬 |
![]() | |
![]() | |
분류 | |
학계 | 생물 분류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쥐목 |
과 | 쥐과 |
아과 | 쥐아과 |
족 | 물쥐족 |
속 | 필리핀집쥐속 |
종 | 큰민도로숲쥐 (Apomys gracilirostris) |
학명 | Apomys gracilirostris |
명명자 | L.A. Ruedas, 1995 |
보전 상태 | |
IUCN 적색 목록 | 낮은 위험 (LC) |
2. 발견 및 분류
1992년 5월과 6월, 필리핀의 생물 다양성에 대한 지식을 넓히기 위한 탐험대가 조직되었다.[2] 이 탐험 기간 동안, 당시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쥐의 새로운 종 16마리가 민도로 섬의 할콘 산에서 포획되었다.[2] 1992년 5월 28일부터 6월 12일 사이에 포획된 이 동물들은 현재까지 이 종의 유일한 표본으로 남아있다.[2]
1995년, 생물학자 루이스 A. 루에다스는 과학 저널 ''워싱턴 생물학회 회보''에 이 동물을 ''Apomys gracilirostris''로 기술했다.[2] 당시 이 종은 고유종인 필리핀 속 ''Apomys''의 아홉 번째로 알려진 종이었으며, 최소 숲쥐(''Apomys musculus'')에 이어 민도로에서 발견된 두 번째 종이었다.[2] 필리핀 토착 포유류에 대한 편집 작업의 편집자들은 1998년에 이 동물을 새로운 종으로 인정했다.
''A. gracilirostris''는 1962년 긴코 루손 숲쥐(''Apomys sacobianus'')가 기술된 이후 처음으로 새롭게 기술된 ''Apomys''였다.[2] 그러나 필리핀에서 발견된 새로운 종은 이것뿐만이 아니었다. 1980년대에 여러 새로운 설치류가 이미 발견되었으며, 그 중 하나는 실제로 민도로에서 발견되었다 (''Anonymomys mindorensis'' 또는 민도로 나무쥐).[2] ''A. gracilirostris''의 기술 이후에도 새로운 종의 발견은 계속되었다. 10년 동안 8개의 새로운 포유류 종이 목록에 추가되었다.[2] 2006년에는 또 다른 새로운 ''Apomys''인 ''Apomys camiguinensis(카미긴 숲쥐)가 기술되었다.[3] ''Apomys''는 아직 기술되지 않은 여러 종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 두 종은 민도로에서 발견되었다.[3] 민도로에서 발견된 또 다른 종은 주로 인도네시아에 서식하는 속 ''Maxomys''에 속하며, 아직 학명을 받지 못했다.[3]
동물 명명법 국제 규약에 따라, ''Apomys gracilirostris''라는 이름은 이명법이다.[2] 속명인 ''Apomys''는 1905년 미국 생물학자 에드가 미언스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아포 산에서 온 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mys'', μῦς는 고대 그리스어로 "쥐"를 의미한다).[2] 이는 이 속의 모식 종이 처음 아포 산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이다.[2] 종명인 ''gracilirostris''는 라틴어 단어 ''gracilis'' "가늘다"와 ''rostrum'' "주둥이"의 조합으로, 동물의 길고 가느다란 주둥이를 나타낸다.[2]
2. 1. 발견
1992년 5월과 6월, 필리핀의 생물 다양성에 대한 지식을 넓히기 위한 탐험대가 조직되었다.[2] 이 탐험 기간 동안, 당시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쥐의 새로운 종 16마리가 민도로 섬의 할콘 산에서 포획되었다.[2] 1992년 5월 28일부터 6월 12일 사이에 포획된 이 동물들은 현재까지 이 종의 유일한 표본으로 남아있다.[2]1995년, 생물학자 루이스 A. 루에다스는 과학 저널 ''워싱턴 생물학회 회보''에 이 동물을 ''Apomys gracilirostris''로 기술했다.[2] 당시 이 종은 고유종인 필리핀 속 ''Apomys''의 아홉 번째로 알려진 종이었으며, 최소 숲쥐(''Apomys musculus'')에 이어 민도로에서 발견된 두 번째 종이었다.[2] 필리핀 토착 포유류에 대한 편집 작업의 편집자들은 1998년에 이 동물을 새로운 종으로 인정했다.
''A. gracilirostris''는 1962년 긴코 루손 숲쥐(''Apomys sacobianus'')가 기술된 이후 처음으로 새롭게 기술된 ''Apomys''였다.[2] 그러나 필리핀에서 발견된 새로운 종은 이것뿐만이 아니었다. 1980년대에 여러 새로운 설치류가 이미 발견되었으며, 그 중 하나는 실제로 민도로에서 발견되었다 (''Anonymomys mindorensis'' 또는 민도로 나무쥐).[2] ''A. gracilirostris''의 기술 이후에도 새로운 종의 발견은 계속되었다. 10년 동안 8개의 새로운 포유류 종이 목록에 추가되었다.[2] 2006년에는 또 다른 새로운 ''Apomys''인 ''Apomys camiguinensis(카미긴 숲쥐)가 기술되었다.[3] ''Apomys''는 아직 기술되지 않은 여러 종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 두 종은 민도로에서 발견되었다.[3] 민도로에서 발견된 또 다른 종은 주로 인도네시아에 서식하는 속 ''Maxomys''에 속하며, 아직 학명을 받지 못했다.[3]
동물 명명법 국제 규약에 따라, ''Apomys gracilirostris''라는 이름은 이명법이다.[2] 속명인 ''Apomys''는 1905년 미국 생물학자 에드가 미언스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아포 산에서 온 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mys'', μῦς는 고대 그리스어로 "쥐"를 의미한다).[2] 이는 이 속의 모식 종이 처음 아포 산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이다.[2] 종명인 ''gracilirostris''는 라틴어 단어 ''gracilis'' "가늘다"와 ''rostrum'' "주둥이"의 조합으로, 동물의 길고 가느다란 주둥이를 나타낸다.[2]
2. 2. 학명
1992년 5월과 6월, 필리핀의 생물 다양성 탐험대가 민도로 섬의 할콘 산에서 당시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쥐의 새로운 종 16마리를 포획했다.[2] 1995년, 생물학자 루이스 A. 루에다스는 ''워싱턴 생물학회 회보''에 이 동물을 ''Apomys gracilirostris''로 기술했다.[2] 긴코 루손 숲쥐(''Apomys sacobianus'')가 1962년에 기술된 이후 처음으로 새롭게 기술된 ''Apomys''였다.[2]동물 명명법 국제 규약에 따라, ''Apomys gracilirostris''라는 이름은 이명법이다.[2] 속명인 ''Apomys''는 1905년 미국 생물학자 에드가 미언스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아포 산에서 온 쥐"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mys'', μῦς는 고대 그리스어로 "쥐"를 의미한다).[2] 종명인 ''gracilirostris''는 라틴어 단어 ''gracilis'' "가늘다"와 ''rostrum'' "주둥이"의 조합으로, 동물의 길고 가느다란 주둥이를 나타낸다.[2]
2. 3. 분류
큰민도로숲쥐는 쥐아과 내 ''Chrotomys'' 분열에 속하며, 이 분열은 필리핀에서만 발견된다. 이 분열에는 ''Apomys'' 외에도 ''Rhynchomys'', ''Chrotomys'', ''Archboldomys''가 포함된다. ''Apomys''는 필리핀 전역에 흔한 작고 눈에 잘 띄지 않는 나무쥐를 포함하는 가장 크고 광범위한 속이다.''Apomys'' 속은 1982년 가이 머서에 의해 ''datae'' 그룹과 ''abrae-hylocetes'' 그룹으로 나뉘었다. 큰민도로숲쥐는 루손 산악 숲쥐(''A. datae'')와 함께 ''datae'' 그룹에 속한다. 두 종은 머리의 혈관에 동맥을 통해 혈액이 공급되는 방식이 다르고, 주둥이가 비교적 길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2003년 발표된 계통발생학적 연구는 큰민도로숲쥐(''A. gracilirostris'')와 루손 산악 숲쥐(''A. datae'') 사이의 관계를 확인했다. 이 연구에서 ''Chrotomys'' 분열은 약 1000만 년 전에 기원했으며, 큰민도로숲쥐와 루손 산악 숲쥐의 분리는 약 300만 년 전 플라이오세에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큰민도로숲쥐는 종 내에서 약 4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깊은 분기를 보이는 유일한 ''Apomys'' 종이다.
큰민도로숲쥐는 민도로 검은쥐, 민도로 등반쥐에 이어 민도로에 고유한 세 번째 설치류이다.[5] 민도로에는 아직 기술되지 않은 ''Apomys'' sp. E라는 종이 존재하며, 시부얀섬 및 대 네그로스-파나이에서 발견된 다른 미기재 종들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민도로는 대 팔라완과 나머지 필리핀 사이의 전이 지역으로서, 올리버 혹멧돼지, 타마라우와 같은 대 팔라완 및 동남아시아 관련 종과 ''Apomys'', ''Chrotomys''와 같은 필리핀 고유 속 동물이 모두 서식한다.[6] 큰민도로숲쥐는 루손 산악 숲쥐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루손에서 섬에 도달한 것으로 추정된다.[6]
3. 형태
큰민도로숲쥐가 속한 ''Apomys'' 속은 작은 크기, 긴 꼬리, 길고 좁은 뒷발, 4개의 복부 젖샘의 존재, 그리고 많은 수의 두개골 특징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 속에서 큰민도로숲쥐는 몇 가지 특정 식별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매우 얇고 짧은 위쪽 앞니, 긴 아래쪽 앞니, 그리고 긴 주둥이이다. 꼬리와 발 또한 ''Apomys'' 속 내에서도 비교적 길다. 앞니의 특징은 매우 특이하여 Ruedas가 이 종을 발견했을 때 처음에는 새로운 속을 발견했다고 생각했다.
큰민도로숲쥐의 털은 부드럽고 매끄럽다. 등쪽 털의 털은 뿌리 근처에서는 옅은 회색이고 끝 부분에서는 짙은 갈색이다. 일반적인 털 사이에는 많은 검은색 촉모가 있다. 이것은 등쪽 털을 짙은 갈색으로 보이게 하지만, 최근에 포획된 동물들은 짙은 청록색을 띤다. 어떤 동물은 등의 중앙선 주변이 더 어둡고, 모든 동물은 측면에서 더 밝은 색을 띤다. 배쪽 털의 색깔은 동물에 따라 다르며, 어떤 동물은 황갈색이고, 다른 동물은 등쪽 털보다 약간 더 밝은 색을 띠며, 또 다른 동물은 배쪽 털에 갈색 또는 은색 팁이 있는 회색 털을 가지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어떤 동물은 등쪽과 배쪽 털 사이에 전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꼬리는 일반적으로 균일한 어두운 색이지만, 어떤 동물에서는 배쪽 면이 약간 더 어둡다. 어떤 동물에서는 꼬리가 2~10mm 길이의 흰색 팁으로 끝난다. 꼬리는 센티미터당 14개의 비늘을 가지고 있다. 길고 어두운 뒷발은 긴 발톱(약 4mm)으로 끝난다. 앞발의 발톱은 약 3mm 길이이다. 이 동물은 7개의 경추, 13개의 흉추, 6개의 요추, 3개의 천골, 그리고 32~35개의 미추를 가지고 있다.
3. 1. 특징
큰민도로숲쥐가 속한 ''Apomys'' 속은 작은 크기, 긴 꼬리, 길고 좁은 뒷발, 4개의 복부 젖샘을 가진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많은 수의 두개골 특징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 속에서 큰민도로숲쥐는 몇 가지 뚜렷한 특징을 보이는데, 가장 두드러진 것은 매우 얇고 짧은 위쪽 앞니, 긴 아래쪽 앞니, 그리고 긴 주둥이이다. 꼬리와 발 또한 ''Apomys'' 속 내에서도 비교적 긴 편이다. 앞니의 특징은 매우 특이하여, Ruedas가 이 종을 발견했을 때 처음에는 새로운 속을 발견했다고 생각할 정도였다.큰민도로숲쥐의 털은 부드럽고 매끄럽다. 등쪽 털은 뿌리 근처에서는 옅은 회색이고 끝 부분에서는 짙은 갈색인데, 일반적인 털 사이에 많은 검은색 촉모가 섞여 있어 짙은 갈색으로 보인다. 최근에 포획된 동물들은 짙은 청록색을 띠기도 한다. 어떤 동물은 등의 중앙선 주변이 더 어둡고, 모든 동물은 측면에서 더 밝은 색을 띤다. 배쪽 털의 색깔은 개체마다 다른데, 황갈색을 띠거나 등쪽 털보다 약간 더 밝은 색을 띠기도 하며, 갈색 또는 은색 팁이 있는 회색 털을 가진 경우도 있다. 어떤 동물은 등쪽과 배쪽 털 사이에 전혀 차이가 없기도 하다.
꼬리는 일반적으로 균일한 어두운 색이지만, 어떤 동물에서는 배쪽 면이 약간 더 어둡다. 꼬리 끝이 2~10mm 길이의 흰색 팁으로 끝나는 경우도 있다. 꼬리에는 센티미터당 14개의 비늘이 있다. 길고 어두운 뒷발은 긴 발톱(약 4mm)으로 끝나며, 앞발의 발톱은 약 3mm 길이이다. 이 동물은 7개의 경추, 13개의 흉추, 6개의 요추, 3개의 천골, 그리고 32~35개의 미추를 가지고 있다.
측정값 | 모식표본 | 암컷 (표본 4개) | 수컷 (표본 13개) |
---|---|---|---|
전체 길이 (mm) | 294 | 306 ± 23 (283–330) | 314 ± 31 (288–398) |
꼬리 길이 (mm) | 157 | 161 ± 13 (147–175) | 159 ± 15 (135–185) |
뒷발 길이 (mm) | 39 | 37 ± 4 (33–41) | 39 ± 3 (34–45) |
귀 길이 (mm) | 21 | 19.2 ± 1.3 (18–21) | 19 ± 3 (14–22) |
무게 (g) | 80 | 89 ± 18 (75–115) | 87 ± 18 (71–140) |
3. 2. 측정값
큰민도로숲쥐(''Apomys'' 속)는 작은 크기, 긴 꼬리, 길고 좁은 뒷발, 4개의 복부 젖샘을 가진다는 특징이 있다.[4] 이 속에서 큰민도로숲쥐는 매우 얇고 짧은 위쪽 앞니, 긴 아래쪽 앞니, 긴 주둥이를 가지며, 꼬리와 발 또한 비교적 길다.
큰민도로숲쥐의 털은 부드럽고 매끄러우며, 등쪽 털은 뿌리 근처는 옅은 회색, 끝 부분은 짙은 갈색이다. 검은색 촉모가 많아 등쪽 털은 짙은 갈색이나 짙은 청록색을 띤다. 배쪽 털 색깔은 개체마다 다르다. 꼬리는 보통 균일한 어두운 색이나, 일부는 배쪽이 더 어둡거나 꼬리 끝이 흰색이다. 꼬리에는 센티미터당 14개의 비늘이 있다. 길고 어두운 뒷발은 긴 발톱(약 4mm)으로 끝나며, 앞발 발톱은 약 3mm이다. 7개의 경추, 13개의 흉추, 6개의 요추, 3개의 천골, 32~35개의 미추를 가지고 있다.
3. 3. 털과 색
큰민도로숲쥐의 털은 부드럽고 매끄럽다. 등쪽 털은 뿌리 근처에서는 옅은 회색이고 끝 부분에서는 짙은 갈색이다. 일반적인 털 사이에는 많은 검은색 촉모가 있어 짙은 갈색으로 보이며, 최근에 포획된 동물들은 짙은 청록색을 띠기도 한다. 어떤 동물은 등의 중앙선 주변이 더 어둡고, 모든 동물은 측면에서 더 밝은 색을 띤다. 배쪽 털의 색깔은 동물에 따라 다르며, 황갈색, 등쪽 털보다 약간 더 밝은 색, 갈색 또는 은색 팁이 있는 회색 털 등 다양하게 나타나고, 등쪽과 배쪽 털 사이에 전혀 차이가 없는 경우도 있다.꼬리는 일반적으로 균일한 어두운 색이지만, 어떤 동물에서는 배쪽 면이 약간 더 어둡거나 2~10mm 길이의 흰색 팁으로 끝나는 경우도 있다. 꼬리에는 센티미터당 14개의 비늘이 있다.
3. 4. 골격
큰민도로숲쥐가 속한 ''Apomys'' 속은 작은 크기, 긴 꼬리, 길고 좁은 뒷발, 4개의 복부 젖샘을 가진다는 특징이 있다. 이 속에서 큰민도로숲쥐는 매우 얇고 짧은 위쪽 앞니, 긴 아래쪽 앞니, 긴 주둥이 등의 특징으로 구별된다. 꼬리와 발 또한 ''Apomys'' 속 내에서 비교적 긴 편이다.큰민도로숲쥐는 7개의 경추, 13개의 흉추, 6개의 요추, 3개의 천골, 그리고 32~35개의 미추를 가지고 있다.
4. 진화 및 계통 발생
큰민도로숲쥐는 쥐아과 내 ''Chrotomys'' 분열에 속하며, 이 분열은 필리핀에서만 발견된다. 2003년 DNA 서열을 비교한 계통발생학적 연구에 따르면, 큰민도로숲쥐(''A. gracilirostris'')와 루손 산악 숲쥐(''A. datae'')는 약 300만 년 전 플라이오세에 분리되었다. ''Apomys'' 속 자체는 400만 년 이상, ''Chromotys'' 분열은 60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른 연구에서는 ''Chromotys'' 분열이 약 1000만 년 전에 기원했으며, 이 분열과 가까운 친척인 아프리카 그룹 사이의 분리는 약 1600만 년 전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다.
이러한 연대 추정은 분자 시계를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그러나 필리핀 쥐아과의 화석 기록이 없고, 다른 지역의 기록도 논란의 여지가 있어, 이 추정치는 직접적인 고생물학적 데이터에 의존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4. 1. ''Chrotomys'' 분열
큰민도로숲쥐는 쥐아과 내 ''Chrotomys'' 분열에 속하며, 이 분열은 필리핀에서만 발견된다. ''Chrotomys'' 분열에는 ''Rhynchomys'', ''Chrotomys'', ''Archboldomys''가 포함된다. 이 분열의 동물들은 여러 형태학적 및 유전적 특징을 공유한다. 이 그룹 내에서 ''Apomys''는 가장 크고 광범위한 속이다. ''Apomys''는 1982년 가이 머서에 의해 두 그룹, 즉 루손 산악 숲쥐 (''A. datae'')만을 포함하는 ''datae'' 그룹과 다른 모든 종을 포함하는 ''abrae-hylocetes'' 그룹으로 나뉘었다. 이 두 그룹의 동물들은 머리에 혈액이 공급되는 방식이 다르다.[6] 루에다스는 큰 민도로 숲쥐를 ''datae'' 그룹에 배치했다.2003년, 13종의 ''Apomys''의 DNA 서열을 비교한 계통발생학 연구가 발표되었다. 이 연구는 큰 민도로 숲쥐 (''A. gracilirostris'')와 루손 산악 숲쥐 (''A. datae'') 사이의 관계를 확인했다. 큰 민도로 숲쥐와 루손 산악 숲쥐의 분리는 약 300만 년 전으로 추정되며, ''Apomys'' 자체는 400만 년 이상, ''Chromotys'' 분열은 200만 년 더 전으로 추정되었다. 이 날짜는 분자 시계를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쥐아과의 필리핀 고유 속과 종 전체에 대한 계통발생학적 연구는 다른 결과를 낳았다. 이 연구에 따르면, ''Chromotys'' 분열은 약 1000만 년 전에 기원했으며, ''Chromotys'' 분열과 ''Mus'', ''Otomys'' 및 ''Mastomys''를 포함하는 아프리카 그룹 사이의 분리는 약 1600만 년 전에 발생한 것으로 계산되었다. 그러나 필리핀 쥐아과의 화석 기록이 없고, 다른 지역의 쥐아과 기록은 논란의 여지가 있어, 이러한 추정치는 분자 시계에만 의존한다.
큰 민도로 숲쥐는 민도로 검은쥐, 민도로 등반쥐에 이어 민도로에 고유한 세 번째 설치류이다.[5] 민도로는 대 팔라완과 나머지 필리핀 사이의 전이 지역으로서, 올리버 혹멧돼지, 타마라우와 같은 종은 대 팔라완 및 동남아시아 동물들과 관련이 있고, ''Apomys'' 및 ''Chrotomys''와 같은 필리핀 고유종도 서식한다. 큰 민도로 숲쥐는 루손 산악 숲쥐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루손에서 섬에 도달한 동물 그룹에 속할 것이다.[6]
4. 2. ''Apomys'' 내 관계
큰민도로숲쥐는 쥐아과 내 ''Chrotomys'' 분열에 속하며, 이 분열은 필리핀에서만 발견된다. 이 분열에는 ''Apomys'' 외에도 ''Rhynchomys'', ''Chrotomys'', ''Archboldomys''가 포함된다. ''Apomys''는 필리핀 전역에 흔한 작고 눈에 잘 띄지 않는 나무쥐를 포함하는 가장 크고 광범위한 속이다.1982년 미국의 생물학자 가이 머서는 ''Apomys''를 두 그룹, 즉 루손 산악 숲쥐 (''A. datae'')만을 포함하는 ''datae'' 그룹과 다른 모든 종을 포함하는 ''abrae-hylocetes'' 그룹으로 나누었다. 두 그룹은 머리 혈관의 동맥을 통한 혈액 공급 방식이 다르다. 루에다스는 큰 민도로 숲쥐를 ''datae'' 그룹에 배치했으며, 두 종 모두 속에서 비교적 크고 주둥이가 비교적 길다는 유사점으로 뒷받침된다.
2003년, 13종의 ''Apomys'' DNA 서열을 비교한 계통발생학적 연구가 발표되었다. 이 연구는 큰 민도로 숲쥐 (''A. gracilirostris'')와 루손 산악 숲쥐 (''A. datae'') 사이의 관계를 확인했다. 큰 민도로 숲쥐는 종 내에서 깊은 분기를 보이는 유일한 ''Apomys'' 종이며, 이는 약 4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큰 민도로 숲쥐와 루손 산악 숲쥐의 분리는 약 300만 년 전으로 추정되며, ''Apomys'' 자체는 400만 년 이상, ''Chromotys'' 분열은 200만 년 더 전으로 추정되었다.
더 정교한 계통발생학적 연구에 따르면, ''Chromotys'' 분열은 약 1000만 년 전에 기원했으며, ''Chromotys'' 분열과 가장 가까운 친척들, 주로 ''Mus'', ''Otomys'' 및 ''Mastomys''를 포함하는 아프리카 그룹 사이의 분리는 약 1600만 년 전에 발생했다. 그러나 필리핀 ''쥐아과''의 화석 기록이 없고, 다른 지역 기록은 논란의 여지가 있어, 이러한 추정치는 분자 시계에만 의존한다.
큰 민도로 숲쥐는 민도로 검은쥐, 민도로 등반쥐에 이어 민도로에 고유한 세 번째 설치류이다. 민도로에는 "''Apomys'' sp. E"라는 미기재 종이 존재하며, 시부얀섬 및 대 네그로스-파나이에서 발견된 다른 미기재 종들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민도로의 다른 ''Apomys'' 종인 ''A. musculus''의 지역 개체군도 별도의 종을 나타낼 수 있다.[5] 민도로는 올리버 혹멧돼지, 타마라우 등 여러 고유종이 서식하며, 이는 민도로가 다른 육지와 연결된 적이 없어 격리되어 발달했기 때문이다.[6]
민도로는 대 팔라완과 나머지 필리핀 사이의 전이 지역이다.[6] 민도로는 필리핀 고유종인 ''Apomys'' 및 ''Chrotomys''와 같은 속의 동물이 서식하며, 이들은 루손이나 대 네그로스-파나이에서 도달했을 것이다.[6] 큰 민도로 숲쥐는 루손 산악 숲쥐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루손에서 섬에 도달한 동물 그룹에 속할 것이다.[6]
4. 3. 분자 시계
큰민도로숲쥐는 쥐아과 내 ''Chrotomys'' 분열에 속하며, 이 분열은 필리핀에서만 발견된다. 2003년 DNA 서열을 비교한 계통발생학적 연구에 따르면, 큰민도로숲쥐(''A. gracilirostris'')와 루손 산악 숲쥐(''A. datae'')는 약 300만 년 전 플라이오세에 분리되었다. ''Apomys'' 속 자체는 400만 년 이상, ''Chromotys'' 분열은 60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다른 연구에서는 ''Chromotys'' 분열이 약 1000만 년 전에 기원했으며, 이 분열과 가까운 친척인 아프리카 그룹 사이의 분리는 약 1600만 년 전에 발생한 것으로 추정했다.이러한 연대 추정은 분자 시계를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그러나 필리핀 쥐아과의 화석 기록이 없고, 다른 지역의 기록도 논란의 여지가 있어, 이 추정치는 직접적인 고생물학적 데이터에 의존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4. 4. 민도로 섬의 생물지리학
민도로섬은 필리핀에서 고유종이 비교적 많은 곳으로, 이는 민도로가 다른 육지와 연결된 적이 없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6] 이러한 지리적 격리는 섬에 서식하는 동물들이 그 친척들과 격리되어 독자적으로 진화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했다.민도로는 대 팔라완과 나머지 필리핀 사이의 전이 지역으로서 중요한 생물지리학적 위치를 차지한다.[6] 올리버 혹멧돼지와 타마라우와 같은 종은 대 팔라완 및 동남아시아의 동물들과 관련이 있는 반면, 민도로에는 필리핀 고유종인 ''Apomys'' 및 ''Chrotomys''와 같은 속의 동물들도 서식한다.[6]
큰민도로숲쥐는 루손섬에서 민도로로 유입된 동물군에 속할 가능성이 크다. 루손 산악 숲쥐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큰민도로숲쥐는 루손에서 기원했을 것으로 추정된다.[6] 민도로에는 큰민도로숲쥐 외에도 민도로 검은쥐, 민도로 등반쥐 등 고유한 설치류가 서식하며, 일리섬 구름뛰기쥐의 존재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5] 또한 ''Apomys'' sp. E"라는 미기재 종이 보고되었으며, 이는 시부얀섬 및 대 네그로스-파나이에서 발견된 다른 미기재 종들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올리버 혹멧돼지, 타마라우, 대형 박쥐 ''Styloctenium mindorensis''를 포함한 여러 다른 종도 민도로에서만 발견된다.[5]
5. 생태 및 행동
큰민도로숲쥐는 할콘 산 북쪽 기슭의 산테오도로 시정촌의 세 곳에서 발견되었다. 이 지역은 해발 1,255m에서 1,900m 사이의 고도에 위치해 있다. 하지만 큰민도로숲쥐는 민도로 섬의 다른 산, 특히 섬 북부 지역에서도 서식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 지역은 손상되지 않은 대규모 구름 숲의 고향이다.
큰민도로숲쥐가 발견된 가장 낮은 숲은 해발 약 1,250m이며, 높이는 대부분 14m에서 16m 사이이고 가장 높은 곳은 20m에 달한다. 지배적인 나무 종은 Myrtaceae과 Fagaceae 과의 ''Leptospermum flavescens'', ''Tristaniopsis'' 및 ''Lithocarpus'' 속에서 발견된다. 이 매우 습한 숲은 조밀한 하층 식생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식물들 중에서 이끼, 나무 고사리 및 ''Pandanus'' 종으로 구성된다. 고도가 높은 곳(1,600m에서 1,950m 사이)에서 숲은 대나무가 지배적이며, 유일하게 존재하는 나무 종은 ''Agathis philippinensis''이다. 여기서 식생은 높이 7m에서 10m 사이에 달한다. 고사리, 난초 및 ''Pandanus'' 종과 같은 많은 작은 식물들이 존재한다. 숲 바닥은 두께가 6cm에서 8cm 사이인 잎층으로 덮여 있다.
큰민도로숲쥐의 먹이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알려진 것이 없다. 긴 주둥이, 작은 위 앞니 및 긴 아래 앞니는 이 동물이 부드러운 무척추동물을 먹는다는 것을 시사하지만, 이는 확실하지 않다.
큰민도로숲쥐는 긴 꼬리와 잘 발달된 발톱을 가진 길쭉한 뒷발을 가지고 있어, 나무를 타는 생활 방식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큰민도로숲쥐의 번식 습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암컷 표본에서 세 개의 배아가 발견되기도 하고, 다른 암컷은 부어오른 자궁을 가지고 있었으며, 수컷 표본 중 일부에서 고환이 보이기도 했다.
5. 1. 서식지
큰민도로숲쥐는 할콘 산 북쪽 기슭의 산테오도로 시정촌의 세 곳에서 발견되었다. 이 지역은 해발 1,255m에서 1,900m 사이의 고도에 위치해 있다. 하지만 큰민도로숲쥐는 민도로 섬의 다른 산, 특히 섬 북부 지역에서도 서식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 지역은 손상되지 않은 대규모 구름 숲의 고향이다.큰민도로숲쥐가 발견된 가장 낮은 숲은 해발 약 1,250m이며, 높이는 대부분 14m에서 16m 사이이고 가장 높은 곳은 20m에 달한다. 지배적인 나무 종은 Myrtaceae과 Fagaceae 과의 ''Leptospermum flavescens'', ''Tristaniopsis'' 및 ''Lithocarpus'' 속에서 발견된다. 이 매우 습한 숲은 조밀한 하층 식생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식물들 중에서 이끼, 나무 고사리 및 ''Pandanus'' 종으로 구성된다. 고도가 높은 곳(1,600m에서 1,950m 사이)에서 숲은 대나무가 지배적이며, 유일하게 존재하는 나무 종은 ''Agathis philippinensis''이다. 여기서 식생은 높이 7m에서 10m 사이에 달한다. 고사리, 난초 및 ''Pandanus'' 종과 같은 많은 작은 식물들이 존재한다. 숲 바닥은 두께가 6cm에서 8cm 사이인 잎층으로 덮여 있다.
5. 2. 먹이
큰민도로숲쥐의 먹이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알려진 것이 없다. 긴 주둥이, 작은 위 앞니 및 긴 아래 앞니는 이 동물이 부드러운 무척추동물을 먹는다는 것을 시사하지만, 이는 확실하지 않다.5. 3. 행동
큰민도로숲쥐는 긴 꼬리와 잘 발달된 발톱을 가진 길쭉한 뒷발을 가지고 있어, 나무를 타는 생활 방식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5. 4. 번식
큰민도로숲쥐의 번식 습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암컷 표본에서 세 개의 배아가 발견되기도 하고, 다른 암컷은 부어오른 자궁을 가지고 있었으며, 수컷 표본 중 일부에서 고환이 보이기도 했다.6. 보존 상태 및 위협
6. 1. 보존 상태
6. 2. 위협 요인
6. 3. 보존 노력
참조
[1]
간행물
Apomys gracilirostris
https://www.iucnredl[...]
2016-12-09
[2]
문서
Crateromys heaneyi, Sus oliveri, Archboldomys musseri, Batomys russatus, Crunomys suncoides, Bullimus gamay, Limnomys bryophilus and Chrotomys sibuyanensis
[3]
서적
[4]
문서
arithmetic mean ± standard deviation (minimum – maximum)
[5]
서적
[6]
서적
[7]
문서
The specimens were originally stored at the Cincinnati Museum of Natural History (CMNH) in Cincinnati, but most have since been transferred to the National Museum of the Philippines (NMP). The numbers are catalogue numbers of these two institutes.
[8]
문서
Site 1 is the North Ridge, known locally as "Hangló". Site 2 is the valley of the river Dulangan, Site 3 is known locally as "Patok-tok" and is located near site 1.
[9]
간행물
Apomys gracilirostris
2016-12-09
[10]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