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이언트 (컴퓨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라이언트는 일반적으로 팻 클라이언트, 씬 클라이언트, 하이브리드 클라이언트로 분류되며, 각 유형은 데이터 처리 방식과 서버 의존도에 차이를 보인다. 팻 클라이언트는 자체적으로 대부분의 데이터를 처리하며 서버 의존도가 낮고, 씬 클라이언트는 최소한의 기능만 갖추고 서버의 자원을 사용하며, 하이브리드 클라이언트는 팻 클라이언트와 씬 클라이언트의 특징을 결합하여 로컬 데이터 처리와 서버 기반 데이터 저장을 모두 지원한다. 클라이언트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서버에 자원 이용을 의뢰하는 역할을 하며, 단말과는 달리 특정 물체를 지칭하는 것이 아닌 역할상의 명칭으로, 상황에 따라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역할이 바뀔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클라이언트 -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은 서비스를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와 제공하는 서버로 구성되어 요청-응답 메시지 패턴을 통해 통신하는 분산 컴퓨팅 아키텍처이다. - 클라이언트 -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에이전트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에서 소프트웨어 에이전트가 자신을 식별하기 위해 제출하는 문자열로, HTTP, SIP, NNTP 프로토콜의 User-Agent 헤더 필드를 통해 전달되며, 서버는 이를 통해 사용자 환경을 파악하고 웹 콘텐츠를 조정할 수 있다. - P2P 컴퓨팅 - 탈중앙화된 자율조직
탈중앙화된 자율조직(DAO)은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계약으로 운영되는 자율적인 조직으로, 중앙 권력 없이 코드에 의해 규정된 규칙에 따라 운영되며, 토큰을 통해 의사 결정에 참여하지만 법적 지위, 보안, 거버넌스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P2P 컴퓨팅 - 스트리밍
스트리밍은 데이터를 연속적인 흐름으로 전송하여 다운로드 없이 즉시 이용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 미디어 콘텐츠를 IP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데 널리 활용되며, 넷플릭스나 유튜브 같은 플랫폼을 통해 대중적인 미디어 소비 방식으로 자리 잡았다.
클라이언트 (컴퓨팅) |
---|
2. 종류
클라이언트는 일반적으로 팻 클라이언트, 씬 클라이언트, 하이브리드 클라이언트로 나뉜다.
- '''팻 클라이언트'''(Fat client): '''리치 클라이언트'''(rich client) 또는 '''씩 클라이언트'''(thick client), '''두꺼운 클라이언트'''라고도 불린다. 데이터 처리 작업의 대부분을 자체적으로 수행하며, 반드시 서버에 의존하지 않는 클라이언트이다. 개인용 컴퓨터가 대표적인 예시다.
- '''씬 클라이언트'''(Thin client): 호스트 컴퓨터의 리소스를 사용하며, 애플리케이션 서버 등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받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최소한의 기능을 갖춘 클라이언트이다.[4] 웹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단말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 '''하이브리드 클라이언트'''(Hybrid client) / '''디스크리스 노드'''(Diskless node): 팻 클라이언트처럼 로컬에서 처리 능력을 갖추고 있지만, 영구적인 데이터 저장은 서버에 의존하는 혼합 형태의 클라이언트이다.
2. 1. 팻 클라이언트 (Fat Client)
팻 클라이언트(fat client)는 '''리치 클라이언트'''(rich client), '''씩 클라이언트'''(thick client), 또는 '''두꺼운 클라이언트'''라고도 불린다. 이는 스스로 많은 양의 데이터 처리 작업을 수행하며, 반드시 서버에 의존하지 않는 클라이언트를 의미한다.팻 클라이언트는 개인용 컴퓨터(PC)의 한 형태로 가장 흔하게 사용되며, 개인용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는 독립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상에서 작업 결과만 공유하는 아트 소프트웨어(예: Krita 또는 Sketchup)를 실행하는 컴퓨터는 팻 클라이언트에 해당한다.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주고받는 경우를 제외하고 거의 완전히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컴퓨터는 워크스테이션이라고도 불린다.
팻 클라이언트의 프로그래밍 언어 및 개발 도구로는 일반적으로 델파이, 닷넷 프레임워크, 자바, 비주얼 스튜디오 등이 사용된다.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장치는 기능에 따라 팻 클라이언트, 씬 클라이언트, 디스크리스 노드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각 클라이언트 유형의 주요 특징은 아래 표와 같다.
로컬 스토리지 사용 | 로컬 CPU 사용 | |
---|---|---|
팻 클라이언트 | 예 | 예 |
디스크리스 노드 | 아니요 | 예 |
씬 클라이언트 | 아니요 | 아니요 |
2. 2. 씬 클라이언트 (Thin Client)
씬 클라이언트(thin client)는 최소한의 기능만을 갖춘 클라이언트로, 대부분의 연산 처리를 중앙 서버나 호스트 컴퓨터에 의존한다.[4] 씬 클라이언트는 주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처리된 결과를 받아 사용자에게 그래픽 인터페이스로 보여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웹 애플리케이션(오피스 웹 앱 등)을 사용하는 단말기는 씬 클라이언트로 볼 수 있다.[4]
클라이언트 컴퓨터는 기능에 따라 크게 팻 클라이언트, 씬 클라이언트, 디스크리스 노드로 분류할 수 있다. 각 유형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로컬 스토리지 사용 | 로컬 CPU 사용 | |
---|---|---|
팻 클라이언트 | 예 | 예 |
디스크리스 노드 | 아니요 | 예 |
씬 클라이언트 | 아니요 | 아니요 |
씬 클라이언트 환경을 위한 프로그래밍 기술로는 클라이언트 측 자동화를 위한 자바스크립트/AJAX를 비롯하여 서버 측 기술인 ASP, JSP, 루비 온 레일스, 파이썬의 Django, PHP 등이 사용된다.
2. 3. 하이브리드 클라이언트 (Hybrid Client)
하이브리드 클라이언트는 팻 클라이언트와 씬 클라이언트의 특징을 결합한 클라이언트 모델이다. 팻 클라이언트처럼 로컬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지만, 영구적인 데이터 저장은 서버에 의존한다.이 방식은 팻 클라이언트의 장점인 멀티미디어 지원과 고성능, 그리고 씬 클라이언트의 장점인 높은 관리 용이성과 유연성을 모두 제공한다. 온라인 버전의 비디오 게임인 디아블로 III를 실행하는 장치가 하이브리드 클라이언트의 한 예시이다.
3. 클라이언트와 단말의 차이
'단말'(terminal)과 '클라이언트'(client)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할 때 사용되는 용어지만, 서로 다른 개념에서 출발했다.
"단말"은 원래 중앙의 메인프레임 컴퓨터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입력하고 결과를 표시하는 단순 입출력 장치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주로 물리적인 장치, 즉 하드웨어 자체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이라는 네트워크 구조에서 서비스를 요청하는 쪽의 역할이나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서버에게 필요한 자원이나 처리를 의뢰하는 주체로서, 시스템 내에서의 역할에 초점을 맞춘 용어이다.
이처럼 단말은 하드웨어적 측면, 클라이언트는 역할 또는 소프트웨어적 측면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기술 발전과 시스템 구성의 다양화로 인해 두 용어의 구분이 모호해지거나 혼용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를 '클라이언트 단말'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3. 1. 컴퓨터 네트워크에서의 위치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나 프로그램의 역할을 설명할 때 "단말"과 "클라이언트"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이 두 용어는 서로 다른 관점에서 비롯되었으며, 때로는 혼동되어 사용되기도 한다."단말"은 본래 중앙의 대형 컴퓨터(호스트)에 연결되어 입출력 기능을 수행하던 장치를 가리키는 말에서 시작되었으며, 주로 물리적인 장치(terminal device / terminal equipment|단말 장치eng)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에서 서버에게 서비스를 요청하는 역할이나 프로그램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는 특정 물리적 장치보다는 네트워크 시스템 내에서의 역할에 따른 구분이다.
이처럼 각 단어는 서로 다른 개념을 나타내지만, 기술 발전과 시스템 구성의 변화에 따라 두 용어의 경계가 모호해지거나 혼용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특정 시스템 환경에서는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는 장치가 단말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실제로는 주로 클라이언트로서의 기능만 수행하는 컴퓨터를 지칭할 때 기술적으로 다른 두 개념을 포괄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종종 있다.
3. 1. 1. 단말
"단말"(terminal)은 말 그대로 끝부분, 즉 말단(末端)에 존재하는 장치를 가리키는 단어이다.과거 대형 컴퓨터 한 대를 여러 사람이 동시에 사용하던 시절, 중앙의 컴퓨터에 연결된 여러 입출력 장치들이 시분할 방식으로 컴퓨터 자원을 나누어 썼다. 이때 중심이 되는 컴퓨터를 "호스트 컴퓨터"(호스트)라고 불렀고,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입출력 장치를 "단말 장치" 또는 줄여서 "단말"이라고 불렀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단말은 기본적으로 데이터를 입력하고 결과를 화면에 보여주는 단순한 기능만 수행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할 때, 어떤 화면을 보여줄지, 어디에 몇 글자를 입력하게 할지 등은 모두 호스트 컴퓨터가 결정해서 단말에 지시했다. 단말은 호스트의 지시에 따라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호스트로 다시 보내는 역할만 했다. 즉, 단말은 이름 그대로 주인이 되는 호스트에 종속된 장치였다.
일반적으로 "단말"이라고 하면 물리적인 장치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이는 "단말 장치"(terminal device / terminal equipmenteng)의 줄임말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단말의 기능을 흉내 내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가상 단말"이라고 하며, 이런 기능을 하는 소프트웨어를 "단말 에뮬레이터"라고 부른다.
"단말"과 "클라이언트"는 서로 다른 관점에서 나온 용어지만, 때때로 혼동되거나 명확히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UNIX의 윈도우 시스템인 X Window System은 클라이언트-서버 형태로 동작하는데, 화면 표시 기능을 제공하는 X 서버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입출력 전용 컴퓨터를 X 단말이라고 부른다. 또한, WWW 기능을 이용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환경에서 웹 브라우저와 같은 클라이언트는 기본적인 입출력 기능만 수행하고 복잡한 처리는 웹 서버나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이루어진다. 이런 웹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기능만 갖춘 클라이언트를 씬 클라이언트(thin client)라고 하며, 이는 기능적으로 과거의 단말과 매우 유사하다. 더 나아가 데이터 처리나 저장 능력 없이 통신과 입출력 기능만 가진 씬 클라이언트를 "제로 클라이언트"(zero client)라고 부르기도 한다.[6]
3. 1. 2.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은 유닉스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유래한 개념이다. client|클라이언트eng는 의뢰인 또는 고객을, server|서버eng는 급사 또는 봉사자를 의미한다.컴퓨터의 소형화 흐름에 따라 미니 컴퓨터가 등장했고, 초기 유닉스는 이러한 미니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운영 체제(OS)로 개발되었다. 대형 컴퓨터의 부속물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처리 능력을 갖춘 유닉스 컴퓨터들은 서로 연결되어 피어 투 피어(P2P) 형태의 네트워크를 형성했다.
그러나 P2P 네트워크는 노드 수가 증가하고 통신량이 늘어나면 전송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 간 역할 분담이 이루어졌는데, 컴퓨터 자원을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쪽을 "서버", 자원 이용을 요청하는 쪽을 "클라이언트"라고 부르게 되었다. P2P 네트워크 기반이므로, 상황에 따라 클라이언트가 서버 역할을 하거나 서버가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중앙 컴퓨터(호스트)에 주변 장치(단말)가 종속되는 기존 관계와 달리,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주종 관계가 역전되거나 대등한 관계를 형성함을 의미한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역할에 따른 명칭이며, 반드시 특정 물리적 장치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반면, "단말"은 일반적으로 물리적인 "단말 장치"(terminal device / terminal equipment|단말 장치eng)를 의미한다.
이처럼 서로 다른 관점에서 비롯된 용어이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와 "단말"은 혼동되기도 하며, 명확히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 예를 들어, 전자 메일 시스템에서 일반적인 메일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일 서버는 서버 역할을 하지만, 메일 서버 간 메일을 전송할 때는 SMTP(메일 전송 프로토콜)[5] 규약에 따라 메일을 보내는 쪽 서버가 SMTP 클라이언트, 받는 쪽 서버가 SMTP 서버가 된다.
- 유닉스의 윈도우 시스템인 X Window System에서는 화면 표시를 요청하는 프로그램이 X 클라이언트, 화면 표시라는 자원을 제공하는 쪽(주로 화면 표시 장치가 연결된 컴퓨터)이 X 서버이다. X 클라이언트와 X 서버는 다른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이 기능을 이용해 X 서버 기능만 가진 입출력 전용 컴퓨터를 X 단말이라고 부른다. 이 경우 '서버' 역할을 하는 장치를 '단말'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 WWW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클라이언트인 웹 브라우저가 주로 입출력 기능을 담당하고, 복잡한 처리는 웹 서버나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수행된다. 웹 브라우저처럼 최소한의 기능만 갖춘 클라이언트를 thin client|씬 클라이언트eng라고 하며, 이는 기능적으로 단말과 매우 유사하다. 특히 데이터 처리나 저장 능력 없이 통신과 입출력 기능만 가진 경우는 zero client|제로 클라이언트eng라고 부르기도 한다.[6]
이처럼 주로 클라이언트 기능만 수행하는 컴퓨터를 지칭할 때, 기술적으로 다른 두 개념을 포괄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많다.
3. 2. 용어의 대상
"단말"terminal|터미널eng은 말단 또는 말단에 존재하는 것을 가리키는 단어이다. 중앙의 대형 컴퓨터에 여러 입출력 장치를 연결하여 시분할 방식으로 공동 사용하던 시절, 중심 컴퓨터를 "호스트 컴퓨터"(호스트), 입출력 장치를 "단말 장치"(단말)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이때 단말은 기본적으로 단순 입출력 기능만 수행하고, 복잡한 기능은 모두 호스트 컴퓨터가 담당했다. 예를 들어, 단말에서 데이터를 입력할 때 화면 구성, 입력 영역 위치, 자릿수 등은 필요에 따라 호스트가 단말에 지시했다. 단말은 지시받은 대로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호스트로 전송하는 역할만 했다. 즉, 이 시기의 "단말"은 주가 되는 호스트에 종속된 존재였다.반면, "클라이언트"client|클라이언트eng는 의뢰인 또는 고객을 의미하며, "서버"server|서버eng는 봉사자를 의미한다.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은 유닉스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발전한 개념이다. 컴퓨터의 소형화 흐름에 따라 미니 컴퓨터가 등장했고, 유닉스는 주로 이 미니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운영 체제(OS)로 개발되었다. 대형 컴퓨터의 부속물이 아니라 자체적으로 처리 능력을 갖춘 유닉스 컴퓨터들은 각자가 호스트가 되어 서로 연결되는 피어 투 피어(P2P) 형태의 네트워크를 형성했다.
그러나 P2P 네트워크는 노드 수가 증가하고 통신량이 많아지면 전송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호스트 간 역할 분담이 이루어졌다. 이때 컴퓨터 자원을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호스트를 "서버", 자원 이용을 요청하는 호스트를 "클라이언트"라고 부르게 되었다. P2P 특성상 상황에 따라 클라이언트가 서버 역할을 하거나, 서버가 클라이언트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대한 의뢰인 위치이며, 호스트-단말 관계와는 달리 주종 관계가 역전되거나 대등한 관계로 변화했다.
"단말"은 "단말 장치"(terminal device / terminal equipmenteng)의 약칭이자 동의어이므로, 일반적으로 물리적인 장치를 가리킨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단말은 "가상 단말"이라고 하며, 이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를 "단말 에뮬레이터"라고 부른다.
한편,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역할에 따른 명칭이므로, 반드시 특정 물리적 장치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각 단어는 서로 다른 관점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와 "단말"은 때때로 혼동되며, 명확히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 메일 시스템 예시: 일반적으로 메일 서버는, 클라이언트 기능만 가진 전자 메일 클라이언트에 대한 서버를 의미한다. 하지만 메일 전송 프로토콜[5] 상에서는 메일 소프트웨어든 메일 서버든 관계없이, 메일을 보내는 쪽을 SMTP 클라이언트, 받는 쪽을 SMTP 서버라고 부른다. 즉, 메일 서버끼리 메일을 전송할 때도 보내는 메일 서버는 SMTP 클라이언트가 되고, 받는 메일 서버는 SMTP 서버가 된다.
- X Window System 예시: 유닉스의 윈도우 시스템인 X Window System은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따른다. 화면 표시를 요청하는 쪽을 X 클라이언트, 화면 표시 장치라는 자원을 제공하는 쪽을 X 서버라고 한다. X 클라이언트와 X 서버는 같은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경우가 많지만, 다른 컴퓨터에서 각각 실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PC)에 X 서버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면, 다른 유닉스 워크스테이션에서 실행되는 X 클라이언트의 처리 결과를 PC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기능을 응용한, X'''서버'''로서의 기능만을 가지는 입출력 전용 컴퓨터를, 일반적으로 X 단말이라고 부른다.
- 웹 애플리케이션 예시: WWW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클라이언트인 웹 브라우저가 주로 입출력 기능을 담당하고, 복잡한 처리는 웹 서버나 그 뒤의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수행된다. 웹 브라우저처럼 웹 애플리케이션 이용에 필요한 최소 기능만 갖춘 클라이언트를 씬 클라이언트(thin client)라고 부르는데, 이는 기능적으로 단말과 매우 유사하다. 더 나아가 데이터 처리나 저장 능력 없이 통신 및 입출력 기능만 가진 씬 클라이언트를 "제로 클라이언트"zero clienteng[6]라고 부르기도 한다.
주로 클라이언트 기능만 수행하는 컴퓨터의 경우, 기술적으로 다른 두 개념을 포괄하여 "클라이언트 단말"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많다.
참조
[1]
웹사이트
1.1.2.2 Clients and Servers
https://web.archive.[...]
2024-04-07
[2]
서적
Exam 70-643 Windows Server 2008 Applications Infrastructure Configura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8-07-08
[3]
웹사이트
client/server
https://www.pcmag.co[...]
2022-11-08
[4]
논문
THINC: A virtual display architecture for thin-client computing
https://dl.acm.org/d[...]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2005-10-20
[5]
RFC
IETF RFC 5321
[6]
웹사이트
クライアント(client)とは - IT用語辞典 e-Words
https://e-words.jp/w[...]
[7]
간행물
Client/Server Software Architectures--An Overview
Software Technology Roadmap
1997-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