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크 L. 러프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라크 L. 러프너는 미국의 군인으로, 1924년 버지니아 군사학교를 졸업하고 기갑연대에서 경력을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제7군단과 하와이 방위사령부에서 근무했으며, 한국 전쟁에서는 제2보병사단 사령관으로 용문산 전투에서 활약했다. 이후 미국 태평양 육군 부사령관 및 사령관, 제2기갑사단 사령관, 제3미국 육군 사령관을 역임했으며, NATO의 미국 대표를 끝으로 1962년에 은퇴했다. 그는 수훈 십자 훈장, 육군 공로 훈장 등 다수의 훈장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 육군 대장 - 가이 S. 멜로이 주니어
가이 S. 멜로이 주니어는 미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수훈십자장을 받았으며, 주한미군 사령관, 유엔군 사령관, 제8군 사령관을 역임하고 육군 대장으로 은퇴 후 테렐 힐스 시장을 지낸 미국의 군인이다. - 미국 육군 대장 - 콜린 파월
콜린 파월은 미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육군 대장까지 진급하여 국가안보보좌관, 합참의장, 국무장관을 역임했으며, 특히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합참의장 및 국무장관으로 알려져 있다. - 뉴욕주의 정치인 - 앤드루 쿠오모
앤드루 쿠오모는 뉴욕 주지사를 역임한 미국 민주당 정치인으로, 코로나19 팬데믹 대응과 요양원 사망자 은폐 의혹 및 성추행 혐의로 논란이 되었다. - 뉴욕주의 정치인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프랭클린 D. 루스벨트는 20세기 중반 대공황과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 미국의 32대 대통령을 4번 연임하며 뉴딜 정책으로 경제 회복과 사회 안정을 추구하고, 연합국을 이끌어 추축국에 맞서 승리하며 전후 국제 질서 형성에 기여했다. - 미국 버지니아 종합군사학원 동문 - 시아오시 투포우 5세
시아오시 투포우 5세는 통가의 제23대 국왕으로, 외무장관을 역임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다 2006년 즉위 후 민주주의 개혁을 추진하고 권력을 이양하는 등 통가의 정치 개혁에 힘썼으나 결혼하지 않아 왕위 계승권이 있는 자녀는 없었다. - 미국 버지니아 종합군사학원 동문 - 지미 카터
지미 카터는 해군 장교와 땅콩 농장 운영을 거쳐 조지아 주지사를 역임하고 도덕적, 진보적 이미지로 미국의 제39대 대통령을 지냈으며, 퇴임 후 카터 센터 설립과 인도주의 활동으로 2002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미국 역대 대통령 중 최장수 기록을 세웠다.
클라크 L. 러프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클라크 루이스 러프너 |
출생일 | 1903년 1월 12일 |
출생지 | 뉴욕주 버펄로 |
사망일 | 1982년 7월 26일 |
사망지 | 워싱턴 D.C. |
소속 | 미국 육군 |
복무 기간 | 1924년–1962년 |
최종 계급 | 대장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
지휘 | |
지휘 경력 | 제3군 제2기갑사단 미국 태평양 육군 제2보병사단 |
주요 훈장 | |
훈장 | 수훈십자장 육군 공로 훈장 (3회) 은성훈장 (2회) 공로훈장 (2회) 청동성훈장 |
2. 군 경력
러프너는 1924년 버지니아 군사학교를 졸업하고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서 주요 지휘관으로 활약했다.[1] 한국 전쟁 당시 용문산 전투에서 유엔군 중심 지역을 점령하기도 했다.[1] 종전 후에는 미국 태평양 육군 사령관, 제2기갑사단 사령관, 제3미국 육군 사령관을 역임하고 NATO 미국 대표를 끝으로 1962년 은퇴했다.[1]
2. 1. 초기 경력
러프너는 1903년 1월 12일 뉴욕주 버펄로에서 태어나 1924년 버지니아 군사학교를 졸업했다. 1937년부터 1940년까지 노리치 대학교에서 군사학 및 전술 부교수를 지냈다.[1]2. 2.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러프너는 1942년부터 1943년까지 제7군단에서 참모 부장과 부참모장을 역임했다.[1] 그 후 1943년 하와이 방위사령부의 부참모장이 되었다.[1] 1943년부터 1944년까지 중앙 태평양 지역 부참모장을 지냈고, 1944년부터 전쟁이 끝날 때까지 미국 태평양 육군 참모장을 지냈다.[1]2. 3. 한국 전쟁
한국 전쟁 발발 당시 러프너는 제10군단 참모장이었으나, 1951년 제2보병사단 지휘관을 맡아 이 분쟁에서 핵심 지휘관으로 활약했다. 러프너 부대는 중국의 춘계 공세 당시 소양강 전투에서 유엔 방어선의 중앙을 점령했다. 그의 지휘 이후 러프너는 전쟁의 나머지 기간 동안 워싱턴에서 국방부 장관실의 국제 안보 업무를 담당했다.[1]2. 4. 한국 전쟁 이후
한국 전쟁 발발 당시 러프너는 제10군단 참모장이었으나, 1951년 제2보병사단 지휘관을 맡아 이 분쟁에서 핵심 지휘관으로 활약했다. 러프너 부대는 중국의 춘계 공세 당시 소양강 전투에서 유엔 방어선의 중앙을 점령했다.[1] 그의 지휘 이후 러프너는 전쟁의 나머지 기간 동안 워싱턴에서 국방부 장관실의 국제 안보 업무를 담당했다.[1]1954년, 러프너는 태평양 전선으로 돌아가 미국 태평양 육군의 부사령관과 사령관을 역임했다.[1] 그 후 1954년부터 1956년까지 제2기갑사단 사령관을 지냈으며, 독일 근무 후 1958년부터 1960년까지 제3미국 육군 사령관을 지냈다.[1] 이 기간 동안 그는 중장과 대장으로 진급했다.[1] 러프너는 NATO의 미국 대표로 경력을 마쳤고, 1962년에 은퇴했다.[1] 그는 1982년 7월 26일에 사망했다.[1]
3. 상훈
러프너는 수훈 십자 훈장, 육군 공로 훈장 (떡갈나무 잎 2개), 은성 훈장 (떡갈나무 잎 훈장), 공로 훈장 (떡갈나무 잎 훈장), 동성 훈장, 항공 훈장 (떡갈나무 잎 2개), 육군 표창장, 제2차 세계 대전 승리 훈장, 한국 봉사 메달 (청동 봉사 별 4개), 유엔 봉사 메달 등 다양한 군사 훈장 및 공로 메달을 받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