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7군단 (미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7군단 (미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직후인 1918년 프랑스에서 창설되어 1919년 해체되었으며, 이후 1921년 예비군으로 재창설되었다가 현역으로 전환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노르망디 상륙 작전과 벌지 전투 등에 참전했으며, 냉전 시기에는 서독에 주둔하며 바르샤바 조약 기구에 대비했다. 1990년 걸프 전쟁에 참전하여 사막의 검 작전을 수행했으며, 1992년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걸프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군단 - 제18공수군단
    제18공수군단은 미국 육군의 군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걸프 전쟁 등 다양한 작전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리버티에 본부를 두고 여러 사단을 예하 부대로 둔다.
  • 걸프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군단 - 제2해병원정군
    제2해병원정군은 노스캐롤라이나주 캠프 르쥔에 본부를 둔 미국 해병대의 해병 원정군으로, 필요에 따라 다양한 규모의 해병 항공-지상 합동 부대를 구성하여 운용되며, 여러 작전에 참여하여 다양한 훈장을 수여받았다.
  •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군단 - 제1군단 (미국)
    제1군단은 미국 육군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군단 중 하나로, 남북 전쟁부터 한국 전쟁까지 주요 전쟁에 참전했으며, 현재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안보를 위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군단 - 제5군단 (미국)
    제5군단은 미국 독립 전쟁 때 창설되어 2차 세계 대전 노르망디 상륙 작전 등 여러 전쟁에 참전, 냉전 시대 유럽 전구에서 활약하다 2013년 해산 후 2020년 재활성화되어 유럽 안보 강화에 기여하는 미국 육군 군단이다.
  • 1992년 해체된 단체 - 제1군단 (대한민국-미국)
    한미 제1군단은 1971년 창설되어 대한민국 육군과 미국 육군의 연합 지휘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운영되었으나, 1992년 서부전선 방위 임무를 이양하고 해체되었다.
  • 1992년 해체된 단체 - 제199보병여단
    제199보병여단은 제2차 세계 대전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 육군의 보병 여단으로, 기병 부대로도 활동했으며, 현재는 조지아주 포트 무어에서 훈련 부대로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미래의 군 지휘관과 전투원을 양성하고 있다.
제7군단 (미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제7군단 어깨 소매 휘장
제7군단 어깨 소매 휘장
별칭제이호크 군단 (The Jayhawk Corps)
표어제이호크 (Jayhawk)
제7군단 고유 부대 휘장
제7군단 고유 부대 휘장
1944년 4월 28일 이전의 미국 육군 제7군단 어깨 소매 휘장
1944년 4월 28일 이전의 어깨 소매 휘장
역사
활동 기간1918년–1919년
1921년-1927년
1941년–1946년
1950년–1992년
국가미국
소속미국 육군
참전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노르망디
북부 프랑스
라인란트
아르덴-알자스
중부 유럽
걸프 전쟁
73 이스팅 전투
노퍽 전투
메디나 리지 전투
지휘관
주요 지휘관로버트 C. 리처드슨 주니어
조지프 로턴 콜린스
줄리어스 W. 벡턴 주니어
존 갤빈

제임스 M. 개빈

2. 역사

제7군단은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8년 프랑스에서 창설되어 미국 원정군의 일원으로 활동했으며, 종전 후 1919년에 해체되었다. 이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시기인 1921년 미국 육군 예비군으로 재창설되었고, 1927년 현역으로 편입되어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전까지 훈련 및 동원 계획을 담당했다.

1940년 제2차 세계 대전에 대비하여 다시 소집된 제7군단은 유럽 전선에 투입되어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는 유타 해변 상륙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이후 코브라 작전의 선봉에 서서 프랑스 해방에 기여했다. 벌지 전투 등 서부 전선의 주요 전투에도 참전하여 연합군의 승리에 기여한 뒤, 1946년에 다시 해산되었다.

냉전이 시작되면서 NATO의 방어력 강화 필요성이 대두되자, 제7군단은 1950년에 재편성되어 서독에 주둔하게 되었다. 슈투트가르트에 사령부를 두고 제5군단과 함께 미국 유럽 육군의 핵심 전력으로서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위협에 맞서 NATO의 중부 전선을 방어하는 임무를 수십 년간 수행했다.

1990년 이라크쿠웨이트 침공으로 발발한 걸프 전쟁에서 제7군단은 다시 한번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사우디 아라비아에 증파된 후, 1991년 '사막의 폭풍 작전'에서 다국적군의 주공(主攻) 부대로 참전하여 프레드릭 M. 프랭크 Jr. 중장의 지휘 아래 이라크 깊숙이 진격하는 '좌익 포위 기동'을 성공시켰다. 이 과정에서 73 이스팅 전투와 노포크 전투 등 주요 전투를 치르며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를 격파하고 쿠웨이트 해방에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냉전 종식 후 미국의 군비 감축 계획에 따라, 제7군단은 1992년 4월 15일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2. 1. 제1차 세계 대전 (1918년 ~ 1919년)

제7군단은 제1차 세계 대전 말기인 1918년 8월 19일 프랑스 레미르몽Remiremont|레미르몽fra에서 미국 원정군의 일원으로 창설되었다.[1] 군단은 제6보병사단, 제81보병사단, 제88보병사단으로 구성되었으며, 보주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했다.[2] 창설 초기 지휘관으로는 윌리엄 M. 라이트, 오마 번디, 윌리엄 G. 한, 헨리 터먼 앨런 소장 등이 있었다.[2]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군단은 1919년 7월 11일에 해체되었다.[1]

2. 2.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21년 ~ 1940년)

조직 예비군 소속으로 1921년 7월 29일 창설되었으며, 제7군단 구역에 배정되어 제3군 예하 부대가 되었다. 1922년 1월 9일,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의 올드 커스텀하우스에서 현역 육군 및 조직 예비군 인원으로 군단 사령부가 공식적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초기 임무는 제7군단 구역 내 육군, 군단 및 기타 비사단 예비군 부대(야전 및 해안 포병 제외)에 대한 행정, 조직, 보급, 훈련 지원 및 계획 수립이었다.

그러나 1923년 1월 27일, 사령부는 현역 임무에서 해제되었고, 기존 현역 인원은 제7군단 구역 비사단 그룹 사령부로 재배치되어 이전 임무를 이어받았다. 군단 사령부와 사령부 중대는 조직 예비군 소속으로 활동을 계속했다.

1927년 8월 15일, VII 군단 사령부는 조직 예비군에서 분리되어 현역 육군에 정식으로 배속되었다. 1933년 10월 1일에는 4개 육군 계획의 일환으로 제3군에서 제4군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동시에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서 사령부가 부분적으로 활성화되었는데, 현역 인원은 제7군단 구역 사령부에 배속되고 예비군 인원은 해당 군단 구역 전역에서 차출되었다. 같은 날 사령부 중대 역시 조직 예비군에서 현역 육군으로 편입되었다.

"현역 육군 비활성" 부대로 분류된 군단 사령부는 배정된 예비 장교와 제7군단 구역 사령부의 참모 장교들을 활용하여 필요한 경우 단기간 임시로 조직되었다. 이러한 임시 조직은 1930년대에 여러 차례 있었던 제2군의 지휘소 연습(CPX)과 1937년 8월 미국 미네소타주 캠프 리플리에서 열린 제4군 기동 훈련 참여 등이 포함된다.

동원 계획에 따라, 1927년부터 1939년까지 군단 사령부의 지정 동원 기지는 미국 아칸소주 캠프 파이크였다. 이곳에서 군단은 예하 부대(주로 제7군단 구역에서 동원)의 지휘 및 통제를 담당할 예정이었다. 1939년 방어 동원 계획이 수립되면서 군단 사령부의 동원 기지는 미국 미네소타주 포트 스넬링으로 변경되었다.

2. 3. 제2차 세계 대전 (1940년 ~ 1946년)

1940년 11월 25일 앨라배마주 포트 맥클레란에서 다시 소집되어 제2차 세계 대전에 대비하기 위한 훈련에 돌입했다. 루이지애나 기동과 같은 FTX에 참가하였으며, 1941년 12월에는 캘리포니아주 산호세로 이동하여 서부 방위 사령부에 배속되어 훈련을 이어갔다.

유럽 전선에 투입된 제7군단은 절대군주 작전의 일부인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 참전하였다. 당시 코트니 호지스 소장이 지휘하는 제1군에 배속되었으며, 군단 지휘관은 조셉 로턴 콜린스 소장이었다. 제7군단은 제82공수사단과 제101공수사단을 이끌고 유타 해변에 상륙하는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이후 제1군이 주도한 코브라 작전에서 선봉 역할을 맡아 셰르부르옥트빌, 생로 지역을 점령하는 데 기여했으며, 이 작전의 성공은 프랑스에서의 전황을 기동전으로 전환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또한 휘르트겐 숲 전투벌지 전투 등 서부 전선의 주요 전투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며 연합군의 승리에 기여했다.

유럽에서의 전쟁이 종결된 후, 제7군단은 1946년에 해산되었다.

2. 3. 1. 노르망디 상륙 작전

절대군주 작전의 일환인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 참가한 제7군단은 버나드 몽고메리 원수가 이끄는 제21집단군 예하, 코트니 호지스 소장이 지휘하는 제1군에 배속되었다. 군단은 조셉 로턴 콜린스 소장이 지휘했다.

1944년 6월, 제7군단은 카랑탕 정면의 코드명 "유타 해변"에 상륙하는 임무를 맡았다. 상륙 초기에는 강하 부대로 제82공수사단과 제101공수사단이 배속되어 함께 작전을 수행했다. 이 두 공수사단은 노르망디 전투 이후 제18공수군단으로 편입되었다. 노르망디 상륙 당시 제7군단의 편성은 다음과 같다.

부대지휘관
-- 제7군단조셉 로턴 콜린스 소장
제4보병사단레이먼드 O. 바턴 소장
제90보병사단제이 W. 맥켈비 준장
제4기병연대조셉 탈리 대령
제82공수사단매슈 벙커 리지웨이 소장
제101공수사단맥스웰 데이븐포트 테일러 소장



소장 조셉 로턴 콜린스, 제7군단,이 대장 오마 브래들리, 제1군에게 셰르부르 점령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상륙 이후, 제7군단은 7월부터 시작된 제1군의 공세 작전인 코브라 작전에서 선봉 역할을 담당했다. 이 작전은 노르망디 지역 돌파를 목표로 했으며, 제7군단은 셰르부르옥트빌, 생로 지역을 차례대로 점령하는 데 기여했다. 코브라 작전의 성공은 프랑스에서의 전황을 고착화된 보병 전투에서 기동전 양상으로 전환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받는다.

2. 3. 2. 코브라 작전

노르망디 상륙 이후, 제7군단은 코트니 호지스 소장이 지휘하는 제1군에 배속되었고, 조셉 로턴 콜린스 소장이 지휘하였다.

1944년 7월부터 시작된 제1군의 공세인 코브라 작전에서 제7군단은 공격의 선봉을 담당했다. 이 작전은 노르망디 지역 돌파를 목표로 하였으며, 제7군단은 초기 공격을 이끌며 셰르부르옥트빌, 생로 지역을 차례대로 점령하는 데 기여했다. 코브라 작전의 성공은 프랑스에서의 전쟁 양상을 고착화된 보병 전투에서 기동전으로 전환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연합군이 프랑스 내륙으로 깊숙이 진격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2. 3. 3. 벌지 전투

1944년 7월 미 제1군 주도의 공세인 코브라 작전에서 공격 선봉을 담당한 이후, 제7군단은 벌지 전투를 비롯하여 프랑스독일 영토 내에서 벌어진 전투에 지속적으로 참여하였다.

2. 4. 냉전 (1950년 ~ 1991년)

공산주의 진영인 바르샤바 조약 기구 창설로 냉전이 본격화되자,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제7군단은 1950년에 다시 편성되었다. 같은 해 10월 서독에 도착하여 미국 유럽 육군/제7군(USAREUR/7th US Army) 예하 부대로서 주둔을 시작했다.

제7군단은 제5군단과 함께 서독에 주둔한 미군의 두 주요 전투 부대 중 하나였으며, NATO 방어 계획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7] 군단 사령부는 슈투트가르트의 켈리 병영(Kelley Barracks)에 위치했다. 냉전 기간 동안 제7군단의 주된 임무는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군사적 위협에 맞서 NATO의 중부 전선을 방어하는 것이었다.

2. 4. 1. 서독 주둔

공산주의 국가의 연합인 바르샤바 조약 기구가 설립되고 냉전이 시작되면서, 제7군단은 미국 유럽 육군/제7군(USAREUR/7th US Army) 예하의 두 개 군단 중 하나(다른 하나는 제5군단)로서 1950년에 다시 편성되었다. 같은 해 10월, 군단은 서독에 도착하여 주둔을 시작했다.[7]

냉전 시대 제7군단의 NATO 담당 구역


1989년 제7군단 조직도


1980년대 제5군단 및 제7군단 주둔지


1950년 재소집 이후 냉전 기간 동안, 제7군단은 바르샤바 조약 기구와의 대치 상황에서 NATO 전선의 일부를 방어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군단 사령부는 슈투트가르트의 켈리 병영(Kelley Barracks영어)에 위치했으며,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의 아브람스 빌딩에 사령부를 둔 제5군단과 함께 서독에 주둔한 미군의 두 주요 전투 부대 중 하나였다. 제7군단은 서독 제2군단, 미국 제5군단과 함께 중앙군 집단(CENTAG, Allied Force Command Heidelberg영어)의 지휘 아래 남부 서독 지역의 방어를 책임졌다.

1989년 당시 제7군단의 편성은 다음과 같다.

부대주둔지
-- 제7군단슈투트가르트
제1기갑사단
안스바흐
제1보병사단(기계화)
캔자스주 포트 라일리(Fort Riley영어) (리포저 부대)
제1캐나다보병사단(기계화)(1st Canadian Division영어)
킹스턴 (전시 중앙군 집단 예비대로 배속 예정)[7]
제3보병사단(기계화)
뷔르츠부르크
제2기갑기병연대(2nd Cavalry Regiment (United States)영어)
뉘른베르크
군단 포병슈투트가르트
제17야전포병여단
아우크스부르크
제72야전포병여단(72nd Field Artillery Brigade (United States)영어)
베르트하임
제210야전포병여단(210th Field Artillery Brigade영어)
헤르초게나우라흐
제11전투항공여단(11th Theater Aviation Command영어)
일리샤임(Illesheim영어)
제7공병여단콘베스트하임
제14헌병여단(14th Military Police Brigade영어)
루트비히스부르크
제2지원사령부넬링겐(Nellingen영어)
제207전투정보여단루트비히스부르크
제38보병사단(주 방위군)(38th Infantry Division (United States)영어)
인디애나폴리스
미국 공군 제602항공지원단[26]슈투트가르트


2. 4. 2. 주요 부대



냉전 기간 동안 제7군단은 NATO의 일원으로서 바르샤바 조약 기구에 맞서 서독 지역 방어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군단 사령부는 슈투트가르트의 켈리 병영에 위치했으며, V 군단과 함께 서독 주둔 미군의 주요 전투 부대 중 하나였다.

1989년 냉전 종식 시점의 제7군단 편성은 다음과 같다.[26]

부대주둔지비고
-- 제7군단슈투트가르트, 서독군단 사령부
제1기갑사단안스바흐
제1기계화보병사단포트 라일리, 캔자스주REFORGER 부대
-- 제1보병사단 (전진)괴핑겐, 서독제1보병사단 예하
제3기계화보병사단뷔르츠부르크
제7군단 포병대아우크스부르크
제17야전포병여단아우크스부르크군단 포병대 예하
제72야전포병여단베르트하임군단 포병대 예하
제210야전포병여단헤르초게나우라흐군단 포병대 예하
제2기갑기병연대뉘른베르크
제11항공여단 SSI
제11항공여단
일리샤임
제7공병여단콘베스트하임
제14헌병여단콘베스트하임
제93통신여단 SSI
제93통신여단 (군단)
루트비히스부르크
제207군사정보여단 SSI
제207군사정보여단
루트비히스부르크
제2군단 지원사령부넬링겐 아우프 데르 필데른
제602공중지원작전단 (미국 공군)슈투트가르트



또한, 유사시 제1 캐나다 사단이 중앙군집단의 예비대로서 제7군단과 함께 작전을 수행할 계획이었다.[7]

2. 5. 걸프 전쟁 (1990년 ~ 1991년)

캘리 막사 입구 앞에 전시되었던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의 T-72 전차 (2010년 1월 21일 촬영). 제7군단의 걸프 전쟁 승리를 상징한다.


1990년 이라크쿠웨이트 침공 이후, 제7군단은 미국의 두 번째 주요 지상군 파병 부대로 사우디 아라비아에 배치되었다. 이는 사우디아라비아 방어를 넘어 쿠웨이트를 해방하기 위한 공세 능력 확보 차원이었다.

걸프 전쟁이 발발하자 제7군단은 미국 중부 육군(ARCENT) 소속으로 프레드릭 M. 프랭크 Jr. 중장의 지휘 아래 다국적군의 주력 공세 부대로 참전했다. 당시 군단은 냉전기 표준 편제를 초과하는 강력한 전력을 갖추고 있었다. 총 병력 약 146,321명과 전차 1,487대, 보병전투차 1,384대, 야포 568문, MLRS 132문, 공격헬기 242대 등을 보유했다.[10][11] 예하에는 미국 제1기갑사단, 제3기갑사단, 제1보병사단(기계화), 제1기병사단, 영국 제1기갑사단 등 핵심 기갑/기계화 부대와 정찰 임무를 맡은 제2기병연대 등이 포함되었다.

1991년 2월 24일 시작된 지상전 '사막의 검 작전'(Operation Desert Sabre)에서 제7군단은 다국적군의 주공(主攻)으로서 이라크 영토 깊숙이 진격 후 동쪽으로 선회하여 쿠웨이트 내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를 포위 섬멸하는 '좌익 포위'(Left Hook) 기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73 이스팅 전투와 노포크 전투 등 주요 전투를 치르며 이라크군 주력 부대를 격파했다.[12]

약 100시간의 지상전 동안 제7군단은 이라크군 전차 약 1,350대, 장갑차 1,224대 등을 파괴하는 압도적인 전과를 올렸고, 이는 다국적군의 승리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반면 제7군단의 손실은 전사 47명, 부상 192명으로 상대적으로 매우 적었다.[14] 전쟁 중 노획한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의 T-72 전차 한 대는 전후 독일 슈투트가르트의 캘리 막사 입구에 전시되어 군단의 승리를 기념했다.

2. 5. 1. 사막의 폭풍 작전

걸프 전쟁 당시 제7군단의 진격로를 보여주는 지도. 제7군단은 다국적군의 주공을 맡아 이라크 남부를 깊숙이 파고든 후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쿠웨이트 내 이라크군을 포위하는 '좌익 포위 기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1990년 사담 후세인이 이끄는 이라크군이 쿠웨이트를 침공하자, 미국은 이에 대응하여 대규모 군사력을 파견했다. 제7군단은 제18공수군단에 이어 두 번째 주요 지상 전투부대로 사우디 아라비아에 배치되었다. 이러한 증파는 사우디아라비아 방어를 넘어 쿠웨이트에서 이라크군을 몰아낼 수 있는 공세 능력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였다.[10][11]

1991년 2월 걸프 전쟁의 지상전이 시작되자, 제7군단은 미국 중부 육군(ARCENT)의 지휘 아래 남부 전선을 담당했으며, 프레드릭 M. 프랭크 Jr. 중장이 군단을 이끌었다. 당시 제7군단은 냉전기 표준 편제를 훨씬 능가하는 강력한 전력을 갖추고 있었다. 예하에는 미국 제1기갑사단, 제3기갑사단, 제1보병사단(기계화), 제1기병사단 등 미군 핵심 기갑/기계화 부대와 영국 제1기갑사단이 배속되었다. 또한 정찰 및 선도 부대로 제2기병연대와 제11항공여단 등이 군단의 작전을 지원했다. 제7군단은 총 146,321명의 병력과 함께 전차 1,487대, 보병전투차 1,384대, 야포 568문, 다연장로켓(MLRS) 132문, 랜스 전술 미사일 발사기 8기, 공격헬기 242대 등 압도적인 화력을 보유했다.[10][11]

사막을 가로질러 진격하는 제3기갑사단 제1여단 소속 M1A1 전차와 지원 차량들. 제7군단의 압도적인 기갑 전력은 이라크군 격파의 핵심이었다.


2월 24일 개시된 지상전 '사막의 검 작전'(Operation Desert Sabre)에서 제7군단은 다국적군의 주공(主攻) 역할을 수행했다. 군단의 핵심 임무는 이라크 영토 깊숙이 서쪽으로 진격한 후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쿠웨이트 내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의 정예 기갑 부대들을 포위 섬멸하는, 이른바 '좌익 포위 기동'(Left Hook)이었다. 작전 초기, 제1보병사단이 이라크 방어선을 돌파하며 진격로를 확보했고, 제2기병연대가 선두에서 정찰 및 엄호 임무를 수행했다. 제1기갑사단은 북쪽으로 기동하여 메디나 능선 전투 등에서 공화국 수비대와 교전했으며, 제3기갑사단은 제1보병사단의 측면을 방호하며 군단의 주력 공격을 뒷받침했다.

1991년 2월, 제1-41보병 타스크 포스에 의해 파괴된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의 T-72 전차. 제7군단과의 교전에서 이라크군은 막대한 장비 손실을 입었다.


제7군단은 진격 과정에서 73 이스팅 전투와 노포크 전투를 포함한 여러 결정적인 전투를 치렀다.[12] 특히 73 이스팅 전투는 제2기병연대가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 '타와칼나' 기계화사단을 상대로 거둔 압도적인 승리로, 이후 미군 기갑전술 연구의 중요한 사례가 되었다. 제7군단은 좌측의 제18공수군단 및 우측의 아랍 연합군과 긴밀히 협조하며 이라크군의 저항을 효과적으로 제압하고 공화국 수비대 예하 사단들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약 100시간 동안 이어진 지상전에서 제7군단은 이라크군 전차 약 1,350대, 장갑차 1,224대, 야포 285문, 방공 시스템 105기, 트럭 1,229대를 파괴하는 혁혁한 전과를 세웠다. 반면, 제7군단의 인명 피해는 전사 47명, 부상 192명으로 상대적으로 매우 적었다.[14] 이러한 제7군단의 성공적인 작전 수행은 쿠웨이트 해방과 걸프 전쟁의 전반적인 승리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걸프 전쟁에서의 뛰어난 활약을 인정받아 제1, 3기갑사단, 제1보병사단, 제2기병연대 등 제7군단 예하의 다수 부대가 용맹 부대 표창(Valorous Unit Award)을 수상했다.[13] 전쟁 중 노획한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의 T-72 전차 한 대는 전후 독일 슈투트가르트에 위치했던 제7군단 사령부 캘리 막사 입구에 승리의 상징으로 전시되기도 했다.

2. 5. 2. 73 이스팅 전투



1991년 2월 24일 시작된 걸프 전쟁의 지상전 단계인 '사막의 검 작전'에서 제7군단은 다국적군의 주공(主攻)을 담당했다. 프레드릭 M. 프랭크 Jr. 중장의 지휘 아래, 제7군단은 제18공수군단에 의해 서쪽 측면을 보호받으며 이라크 영토 깊숙이 진격했다. 이후 동쪽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쿠웨이트이라크 공화국 수비대를 포위 섬멸하는 대규모 기동 작전, 이른바 '좌익 포위'(Left Hook) 작전을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군단의 선봉 부대인 제2기갑기병연대는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의 강력한 기갑 부대와 정면으로 마주쳤다. 특히 73 이스팅 전투는 제2기갑기병연대가 공화국 수비대의 '타와칼나' 기계화사단을 포함한 이라크 부대와 격돌한 대표적인 교전이다. 이 전투에서 제7군단 예하 부대들은 M1 에이브람스 전차와 M2 브래들리 장갑차 등을 앞세워 야간 전투 능력과 정밀 타격 능력 등 압도적인 기술적, 전술적 우위를 선보이며 이라크군을 효과적으로 제압했다.

제7군단은 73 이스팅 전투를 포함하여 약 100시간 동안 이어진 지상전에서 노포크 전투 등 여러 차례의 격전을 치르며 이라크 정규군 및 공화국 수비대의 핵심 기갑 전력을 격파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제7군단은 이 작전 기간 동안 약 1,350대의 이라크 전차와 1,224대의 장갑차를 파괴하는 큰 전과를 올렸으며[14], 다국적군의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 이러한 압도적인 전과에 비해 미군과 영국군을 합친 제7군단의 인명 피해는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수준이었다.

73 이스팅 전투는 현대 기갑전 역사상 가장 유명한 전투 중 하나로 기록되었으며, 이후 미국 육군 참모대학 등 여러 군사 교육 기관에서 성공적인 기동전 및 제병협동작전의 사례로 연구되고 있다.

2. 5. 3. 노포크 전투

걸프 전쟁에서 VII 군단이라크 공화국 수비대의 중장갑 사단을 파괴하는 임무를 받았다. 군단 사령관 프레드릭 M. 프랭크 Jr. 중장의 지휘 아래, 군단은 좌익의 제18(XVIII)공수군단과 우익의 아랍 연합군과 함께 진격했다.

VII 군단은 진격 과정에서 저항하는 모든 이라크군을 압도적으로 격파했고, 특히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 사단의 상당 부분을 파괴했다. 73 이스팅 전투 이후 벌어진 이 대규모 교전은 노포크 전투(Battle of Norfolk)로 알려지게 되었다.[12]

노포크 전투에서 VII 군단은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의 메디나 사단과 타와칼나 사단을 포함한 여러 핵심 부대와 지원 부대를 효과적으로 무력화시켰다. 또한 최전선을 방어하던 이라크 제7군단 등 다른 부대 대부분도 격파되었다. 이 전투는 미국 육군 역사상 가장 일방적인 전투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걸프 전쟁 기간 동안 VII 군단은 약 1,350대의 이라크 전차, 1,224대의 장갑 수송차, 285문의 포병, 105기의 방공 시스템, 1,229대의 트럭을 파괴하는 전과를 올렸다. 반면, 군단 자체의 손실은 장갑차 약 36대, 사망 47명, 부상 192명에 그쳤다.[14] 이는 냉전 시기 바르샤바 조약 기구와의 전면전을 상정한 훈련에서 예상했던 사상자에 비하면 매우 적은 숫자였다.

이 전투에서의 뛰어난 활약으로 제1기갑사단, 제3기갑사단, 제1보병사단(기계화), 제2기갑기병연대의 거의 모든 기동 대대가 용맹 부대 훈장(Valorous Unit Award)을 수여받았다. 또한 공화국 수비대와 격전을 벌인 VII 군단 예하 10개 기동 여단 본부 중 6곳도 이 훈장을 받았다.[13] 노포크 전투에서의 압도적인 승리는 걸프 전쟁에서 다국적군의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

2. 6. 해체 (1992년)

1992년 냉전이 끝나면서 미국의 국방 예산 감축의 일환으로 제7군단은 해체 수순을 밟았다. 군단 소속 부대 대부분은 미국 본토로 돌아가거나 해체되었지만, 일부 부대는 독일에 남아 제5군단 또는 미국 유럽 육군에 재배치되었다. 1992년 3월 18일, 독일 슈투트가르트의 슐로스플라츠에서 군단기 반환 기념식과 함께 고별식이 열렸고,[21] 군단 사령부는 이날 슈투트가르트를 떠났다. 이후 1992년 4월 15일, 미국 조지아주 포트 맥퍼슨에서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22]

3. 주요 참전 전투

제1차 세계 대전비문포함

제2차 세계 대전 유럽 전구 스트리머

제2차 세계 대전
(유럽 전구)노르망디 (화살촉)북프랑스라인란트
아르덴-알자스 전역 스트리머

아르덴-알자스중앙유럽
서남아시아 스트리머

서남아시아사우디아라비아의 방어쿠웨이트 방어 및 해방정전


4. 역대 지휘관

사진계급성명취임이임
소장위처스 A. 브레스1951년 6월1952년 12월
제임스 M. 개빈
소장제임스 M. 개빈1952년 12월1954년 3월
헨리 I. 호데스
중장헨리 I. 호데스1954년 3월1955년 2월
조지 H. 데커
중장조지 H. 데커1955년 2월1956년 5월
(대리) 소장할리 G. 매독스1956년 6월1956년 7월
존 F. 언클스
중장존 F. 언클스1956년 8월1958년 8월
고든 B. 로저스
중장고든 B. 로저스1958년 9월1959년 10월
가이 S. 멜로이 주니어
중장가이 S. 멜로이 주니어1959년 10월1961년 1월
중장존 C. 오크스1961년 1월1962년 4월
C. H. 본스틸 3세
중장C. H. 본스틸 3세1962년 4월1963년 8월
루이스 W. 트루먼
중장루이스 W. 트루먼1963년 9월1965년 7월
프랭크 T. 밀드런
중장프랭크 T. 밀드런1965년 7월1968년 5월
도널드 V. 베넷
중장도널드 V. 베넷1968년 6월1969년 9월
중장조지 G. 오코너1969년 10월1971년 2월
중장필모어 K. 미언스1971년 2월1973년 3월
조지 S. 블랜차드
중장조지 S. 블랜차드1973년 3월1975년 6월
프레데릭 J. 크로이슨
중장프레데릭 J. 크로이슨1975년 7월1976년 10월
중장데이비드 E. 오트1976년 10월1978년 10월
줄리어스 W. 벡턴 주니어
중장줄리어스 W. 벡턴 주니어1978년 10월1981년 6월
윌리엄 J. 리브시
중장윌리엄 J. 리브시1981년 6월1983년 7월
존 R. 갤빈
중장존 R. 갤빈1983년 7월1985년 2월
중장앤드루 P. 챔버스1985년 2월1987년 7월
중장로널드 L. 와츠1987년 7월1989년 8월
프레데릭 M. 프랑크스 주니어
중장프레데릭 M. 프랑크스 주니어1989년 8월1991년 6월
중장마이클 스피글마이어1991년 8월1992년 (해체)[23]


5. 편제

제7군단은 다양한 예하 부대를 통합 지휘하며 작전을 수행했다. 군단의 주요 구성 요소로는 기동 부대인 제2기갑기병연대, 항공 작전을 담당하는 제11항공여단, 공병 지원을 위한 제7공병여단[17] 등이 있었다.

화력 지원을 위해 제7군단은 여러 야전 포병 여단을 예하에 두었다. 대표적으로 제42야전포병여단, 제75야전포병여단, 제142야전포병여단, 제210야전포병여단 등이 있었으며, 이들 여단은 예하 포병대대를 통해 군단 및 배속된 사단에 화력 지원을 제공했다.

군수 및 행정 지원은 제2군단지원사령부[18]가 총괄했으며, 예하에 다수의 군단 지원 그룹과 대대를 두어 보급, 정비, 수송 등 다양한 지원 임무를 수행했다. 의료 지원은 제332의료여단[19]이 담당했으며, 예하에 여러 의무단과 병원 부대를 포함했다.

이 외에도 군기 유지 및 법 집행을 위한 제14헌병여단[20], 통신 지원을 위한 제93통신여단, 정보 수집 및 분석을 담당하는 제207군사정보여단 등이 군단 직할 부대로 편성되었다. 또한, 작전 수행 능력 강화를 위해 주 방위군 및 예비군 부대들이 군단 편제에 포함되어 지원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

제7군단의 상세 편제는 창설 이후 시기별 임무와 전략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조정되었으며, 주요 참전 전쟁 및 시기별 편제는 하위 섹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5. 1. 제2차 세계 대전

1940년 11월 25일 앨라배마주 포트 맥클레란에서 다시 소집되어 제2차 세계 대전에 대비하기 위해 루이지애나 기동 FTX에 참가하였다. 이듬해 1941년 12월, 미국연합국 측으로 참전하게 되자 군단 사령부는 캘리포니아 주, 산호세로 옮겨가 서부 방위 사령부에 배속되었으며, 부대 편성 및 훈련을 계속하였다.

1944년 6월, 절대군주 작전의 일부인 노르망디 상륙에 참가하였다. 조지프 로턴 콜린스 소장의 지휘 아래 제1군에 배속된 제7군단은 카랑탕 정면의 코드명 유타 해변에 상륙하는 임무를 맡았으며, 초기 작전에는 제82공수사단과 제101공수사단이 배속되어 강하 작전을 수행했다. 이 두 공수사단은 노르망디 전투 이후 제18공수군단으로 편입되었다.

7월부터 제1군이 주도한 코브라 작전에서는 공격의 선봉을 담당하여 셰르부르옥트빌, 생로 지역을 차례대로 점령하였다. 이후에도 제7군단은 벌지 전투 등 프랑스와 독일 영토 내에서의 여러 전투에 참가하였다.

전투 사상자, 1944년 6월 6일 – 7월 1일
부대총계사망부상실종포로
모든 부대22,1192,81113,5645,66579
제4보병사단5,4528443,8147886
제9보병사단5,4383012,061760
제79보병사단2,4382401,8962400
제90보병사단2,3763861,979340
제82공수사단4,4804571,4402,57112
제101공수사단4,6705462,2171,9070
군단 부대304371574961



유럽 전역이 종결된 후, 제7군단은 1946년에 다시 활동을 중단하였다.

5. 1. 1. 노르망디 상륙 당시 편제

허비 트리볼렛 중령 (6월 11일부터)제22보병연대허비 A. 트리볼렛 대령 (6월 26일까지)
로버트 T. 포스터 대령 (6월 26일부터)
제9보병사단맨튼 S. 에디 소장제39보병연대해리 A. "패디" 플린트 대령제47보병연대조지 W. 스마이드 대령제60보병연대프레데릭 J. 드 로한 대령
제79보병사단이라 T. 와이치 소장제313보병연대스털링 A. 우드 대령제314보병연대워렌 A. 로빈슨 대령제315보병연대포터 P. 위긴스 대령 (6월 24일까지)
버나드 B. 맥마흔 대령 (6월 24일부터)
제82공수사단매슈 리지웨이 소장제505공수보병연대윌리엄 E. 에크먼 대령제507공수보병연대조지 V. 밀레트 주니어 대령 (6월 15일까지)
에드슨 래프 대령 (6월 15일부터)제508공수보병연대로이 E. 린드퀴스트 대령제325활강보병연대해리 L. 루이스 대령제90보병사단제이 W. 매켈비 준장제357보병연대필립 드 위트 긴더 대령 (6월 13일까지)
존 W. 시히 대령 (6월 13일~15일)
찰스 M. 슈와브 중령 (6월 15일~17일)
조지 B. 바스 대령 (6월 17일부터)제358보병연대제임스 V. 톰슨 대령 (6월 16일까지)
리처드 C. 파트리지 대령 (6월 16일부터)제359보병연대클라크 K. 페일스 대령제101공수사단맥스웰 D. 테일러 소장제501공수보병연대하워드 R. 존슨 대령제502공수보병연대조지 V. H. 모즐리 주니어 대령 (6월 6일 부상)
존 H. 미카엘리스 중령 (6월 6일부터)제506공수보병연대로버트 싱크 대령제327활강보병연대조지 S. 웨어 대령 (6월 10일까지)
조셉 H. 하퍼 대령 (6월 10일부터)제4기병단 (기계화)조셉 M. 털리 대령제4기병대대E. C. 던 중령제24기병대대F. H. 개스턴 주니어 중령
제6기갑단프랜시스 F. 페인터 대령제70전차대대존 C. 웰본 중령제746전차대대C. G. 허프퍼 중령제87화학박격포대대제1공병특별여단


5. 2. 냉전

냉전이 시작되고 소련 중심의 공산권 군사 동맹인 바르샤바 조약 기구가 창설되자,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제7군단은 1950년 미국 유럽 육군 예하 부대로 재창설되어 그해 10월 서독에 배치되었다. 제7군단은 V 군단과 함께 주독 미군의 핵심 전투 부대로서, NATO의 최전선 중 하나인 남부 서독 지역에서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군사적 위협에 대비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군단 사령부는 슈투트가르트의 Kelley Barracks|켈리 병영영어에 위치했으며, V 군단은 프랑크푸르트의 아브람스 빌딩에 사령부를 두었다. 제7군단은 서독 제2군단, 미 제5군단과 함께 중앙군집단(CENTAG)의 지휘 아래 있었다. 1989년 수립된 방어 계획에 따르면, 유사시 제1캐나다사단이 중앙군집단 예비대로서 제7군단이나 서독 제2군단을 지원할 예정이었다.[7] 냉전 기간 동안 제7군단의 편제는 지속적으로 변화했다.

5. 2. 1. 1989년 냉전 종식 당시 편제



1989년 냉전 종식 당시 제7군단의 편제는 다음과 같았다.[26]
제19공병대대 (군단 전투)
제54공병대대 (전투)(기계화)
제82공병대대 (전투)(기계화)
제92공병대대 (전투 중장비)
제565공병대대
제649공병대대 (지형)
제249공병대대 (전투 중장비)
제317공병대대 (전투)(기계화)
제588공병대대 (군단 전투)
제6수송대대
제71정비대대
제87정비대대
제213지원대대
제4수송대대
제101병기대대
제13지원대대
제300근무지원대대
제136병참대대
제690정비대대
제68수송대대
제169정비대대
제544정비대대
제553근무지원대대
제286보급근무대대 (메인 주 방위군)
제127의무단 (앨라배마 주 방위군)
* 제31전투지원병원
* 제128전투지원병원
* 제377전투지원병원 (미국 육군 예비군)
* 제403전투지원병원 (미국 육군 예비군)
제341의무단 (미국 육군 예비군)
* 제159이동외과병원 (루이지애나 주 방위군)
* 제475이동외과병원 (켄터키 주 방위군)
* 제807이동외과병원 (미국 육군 예비군)
* 제912이동외과병원 (미국 육군 예비군)
* 제345전투지원병원 (미국 육군 예비군) - 1월에 MASH로 전환
임시 파견 부대
* 제12후송병원
* 제13후송병원 (위스콘신 주 방위군)
* 제148후송병원 (아칸소 주 방위군)
* 제312후송병원 (미국 육군 예비군)
* 제410후송병원 (미국 육군 예비군)

또한, 제1캐나다사단 (기계화) (온타리오주 킹스턴 주둔)은 중앙군집단 사령관의 전술 예비대로 배속되어, 상황에 따라 제7군단과 함께 작전할 예정이었다.[7]

5. 3. 걸프 전쟁



1990년 이라크사담 후세인 정권이 쿠웨이트를 침공하자, 미국은 군대를 파병하기 시작했다. 제7군단은 제18(XVIII)공수군단에 이어 두 번째 주요 부대로 사우디 아라비아에 배치되었으며, 중부 육군(ARCENT)에 배속되었다.[29] 이는 초기 사우디아라비아 방어 목적을 넘어 쿠웨이트를 해방할 수 있는 수준으로 미군 전력을 강화하는 과정의 일환이었다. 당시 군단은 프레드릭 M. 프랭크 Jr. 중장이 지휘했으며, 제18공수군단이 북부, 제7군단은 남부 지역을 담당했다.

제7군단은 걸프 전쟁에서 다국적군의 지상전 주공을 맡아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군단의 주요 임무는 강력한 기갑 전력을 앞세워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의 정예 기갑사단들을 격파하는 것이었다. 1991년 2월 24일 시작된 지상전 '사막의 검 작전'에서 제7군단은 이라크 영토 깊숙이 진격한 후 동쪽으로 방향을 전환하여 쿠웨이트 국경으로 향하는 대규모 기동 작전, 이른바 '좌익 포위 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제7군단은 여러 차례의 격전을 치렀다. 특히 73 이스팅 전투와 노포크 전투 등에서 이라크 육군 및 공화국 수비대 부대와 교전하여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12] 약 100시간 동안 진행된 지상전에서 제7군단은 이라크군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며 다국적군의 승리에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전쟁 중 제7군단이 노획한 이라크 공화국 수비대의 T-72 전차 한 대는 이후 독일 슈투트가르트에 위치했던 제7군단 본부 켈리 막사 입구에 기념물로 전시되었다.

5. 3. 1. 걸프 전쟁 당시 편제

320px


1990년 사담 후세인의 군대가 쿠웨이트를 침공한 후, 제7군단은 미군 파병의 두 번째 주요 부대로서 사우디 아라비아에 배치되었다. 이는 걸프 전쟁에서 미군이 사우디 아라비아 방어 수준을 넘어 이라크군을 쿠웨이트에서 몰아낼 수 있도록 전력을 강화하는 과정의 일환이었다. 당시 제7군단은 프레드릭 M. 프랭크 Jr. 중장이 지휘했다.

걸프 전쟁에서 제7군단은 역사상 가장 강력한 군단급 부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군단은 총 146,321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으며,[11] 1,487대의 전차, 1,384대의 보병 전투 차량, 568문의 포병, 132문의 다연장 로켓 시스템(MLRS), 8기의 미사일 발사기, 242대의 공격 헬리콥터를 운용했다.[10]

주요 전투 부대는 다음과 같다.

상세 편제는 다음과 같다.

'''제7군단 예하 부대 상세 편제'''
분류부대명비고
항공 제11항공여단
제2비행대대, 제6기병연대
제4대대, 제229항공연대 (공격헬기)
기병-- 제2기갑기병연대
공병제7공병여단[17]
제109공병단 (사우스다코타 주방위군)제7군단 지원
(제9공병대대, 제527공병대대 (루이지애나 주방위군))
제176공병단 (버지니아 주방위군)제1보병사단 지원
(제19공병대대, 제54공병대대, 제82공병대대, 제92공병대대, 제565공병대대, 제649공병대대)
제926공병단 (미 육군 예비군)제1기갑사단 지원
(제249공병대대, 제317공병대대, 제588공병대대)
포병
제42야전포병여단
제1보병사단, 제3기갑사단 지원
(제3대대/제20야전포병연대, 제1대대/제27야전포병연대 (MLRS), 제2대대/제29야전포병연대)
-- 제75야전포병여단제1보병사단, 제1기갑사단 지원
(제1대대/제17야전포병연대, 제5대대/제18야전포병연대, 제1대대/제158야전포병연대 (오클라호마 주방위군))
제142야전포병여단 (아칸소 주방위군)
제1보병사단, 영국 제1기갑사단 지원
(제1대대/제142야전포병연대, 제2대대/제142야전포병연대)
제210야전포병여단제2기갑기병연대, 제1보병사단 지원
(제3대대/제17야전포병연대, 제6대대/제41야전포병연대, C포대/제4대대/제27야전포병연대 (MLRS))
군수지원제2군단지원사령부[18]예하 제7, 제16, 제30(노스캐롤라이나 주방위군), 제43, 제159(미 육군 예비군) 군단지원단 및 다수 대대 포함
의무-- 제332의무여단 (미 육군 예비군)[19]예하 제127(앨라배마 주방위군), 제341(미 육군 예비군) 의무단 및 다수 병원 부대 포함
헌병 제14헌병여단[20]예하 제93, 제95, 제118(로드아일랜드 주방위군), 제372(컬럼비아 특별구 방위군), 제793헌병대대 헌병대대 포함
통신 제93통신여단
군사정보 제207군사정보여단예하 제2, 제307, 제511 군사정보대대 포함


참조

[1] 서적 Armies, Corps, Divisions, and Separate Brigades https://books.google[...]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1999
[2] 웹사이트 American Expeditionary Forces Commanders, 1917-1919 http://www.fleetorga[...] Stephen Svonavec 2020-11-08
[3] 웹사이트 Mission Accomplished Story of the VII Corps http://www.xixcorps.[...] Xixcorps.nl 2013-06-24
[4] 웹사이트 VII Corps in WWII https://archive.toda[...] Vii-corps.org 2013-06-24
[5] 웹사이트 The Mons Pocket, or the "Petit Stalingrad" of the Borinage https://europerememb[...] Liberation Route Europe Foundation 2021-03-21
[6] 문서 VII Corps, G-1 Reports, June 1944
[7] 서적 War Without Battles: Canada's NATO Brigade in Germany 1951–1993 McGraw-Hill Ryerson Ltd 1997
[8] 웹사이트 Command and Staff https://books.google[...] Association of the US Army 2020-06-26
[9] 웹사이트 602nd Air Support Operations Group http://airforce.toge[...] Air Force: We served Together 2017-01-15
[10] 문서 Bourque p.90
[11] 문서 Bourque p.473
[12] 문서 Bourque, p.144
[13] 문서 Thomas D. Dinackus, 2000, 14-4 and 14-5.
[14] 웹사이트 Victory Misunderstood: What the Gulf War Tells Us About the Future of Conflict - The RMA Debate https://www.comw.org[...]
[15] 웹사이트 Order of Battle for VII Corps http://www.tim-thomp[...]
[16] 웹사이트 British Ground Force in the Gulf War, 1990–91 http://orbat.com/sit[...]
[17] 웹사이트 7Th Engineer Brigade https://web.archive.[...] 2011-05-11
[18] 웹사이트 2Nd Corps Support Command https://web.archive.[...] 2011-05-14
[19] 웹사이트 14Th Military Police Brigade https://web.archive.[...] 2011-05-12
[20] 웹사이트 14Th Military Police Brigade https://web.archive.[...] 2011-05-11
[21] 웹사이트 USAREUR Docs - The Citizen http://www.usarmyger[...]
[22] 웹사이트 Stuttgart employee reflects on 46 years of service https://web.archive.[...] 2014-01-08
[23] 웹사이트 USAREUR Units & Kasernes, 1945 - 1989 http://www.usarmyger[...] Usarmygermany.com 2013-06-24
[24] 문서 河津「湾岸戦争大戦車戦(上)」P90。
[25] 웹사이트 Mission Accomplished Story of the VII Corps http://www.xixcorps.[...] Xixcorps.nl 2013-06-24
[26] URL http://airforce.toge[...]
[27] URL http://www.stuttgart[...]
[28] URL http://www.usarmyger[...]
[29] 웹인용 Order of Battle for VII Armored Corps http://www.tim-thomp[...] 2011-1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