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뎃 콜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로뎃 콜빈은 1939년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에서 태어난 미국의 시민 운동가이다. 1955년 몽고메리에서 백인에게 자리를 양보하라는 버스 운전사의 명령을 거부하여 체포되었고, 이는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운동의 시발점이 되었다. 콜빈은 브라우더 대 게일 소송의 원고 중 한 명으로, 버스 차별을 종식시키는 데 기여했다. 이후 뉴욕으로 이주하여 간호 보조원으로 일했으며,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운동의 선구자로서 잊혀졌다가, 시민권 운동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면서 뒤늦게 재조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마틴 루터 킹 주니어는 비폭력 저항으로 미국 시민권 운동을 이끈 미국의 목사이자 사회 운동가, 인권 운동가로,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워싱턴 대행진 등을 주도하며 인종차별 철폐를 위해 투쟁했고, 그의 업적과 비폭력 저항 사상은 미국 사회와 전 세계 인권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 로자 파크스
로자 파크스는 1955년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을 촉발시킨 버스에서의 용기 있는 저항으로 미국 시민권 운동의 핵심 인물이 된 미국의 인권 운동가이다. - 어린이 활동가 - 말랄라 유사프자이
말랄라 유사프자이는 파키스탄 출신의 여성 인권 운동가로, 여성 교육의 권리를 옹호하며 탈레반의 탄압에 맞서 저항하다 2014년 최연소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 어린이 활동가 - 그레타 툰베리
2003년 스웨덴에서 태어난 환경 운동가 그레타 툰베리는, "미래를 위한 금요일" 운동을 주도하며 기후변화 대응을 촉구하는 국제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그녀의 활동은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하는 동시에 방법론과 행동에 대한 논란도 있다. - 앨라배마주 출신 - 찰스 바클리
찰스 바클리는 NBA 선수로 활동하며 NBA MVP, 올림픽 금메달 등을 수상했으며, 은퇴 후에는 스포츠 해설가로 활동하는 미국의 전직 프로 농구 선수이다. - 앨라배마주 출신 - 캘빈 데이비스
캘빈 데이비스는 미국의 400m 허들 선수로, 《트랙 앤드 필드 뉴스》에서 수년간 미국 내 상위권 선수로 평가받으며 1996년에는 세계 4위, 미국 3위를 기록했다.
클로뎃 콜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Claudette Austin |
출생일 | 1939년 9월 5일 |
출생지 | 몽고메리, 앨라배마주, 미국 |
직업 | 시민권 운동가 간호조무사 |
활동 기간 (간호조무사) | 1969년–2004년 |
시대 | 시민권 운동 (1954년–1968년) |
자녀 | 2명 |
업적 | |
주요 업적 | 1955년 몽고메리에서 15세의 나이로 백인 여성에게 자리를 양보하라는 요구를 거부하여 체포됨. 이는 로자 파크스 사건보다 9개월 앞선 사건임. |
2. 초기 생애
클로뎃 콜빈은 1939년 9월 5일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클로뎃 오스틴이었으나, 아버지 C. P. 오스틴이 가족을 떠난 후 어머니 메리 제인 개드슨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면서 콜빈과 여동생 델핀은 증조부모인 메리 앤과 Q. P. 콜빈에게 맡겨졌다.[2] 콜빈 남매는 증조부모를 부모님으로 여기며 그들의 성을 따랐다.[7] 콜빈 가족은 몽고메리 카운티의 작은 시골 마을 파인 레벨에 살았는데, 이곳은 로자 파크스가 자란 곳이기도 하다.[2][8] 콜빈이 8살 때 가족은 몽고메리의 킹 힐로 이사했다.[9][10]
13살 생일 직전 여동생 델핀을 소아마비로 잃었다.[2][11] 이후 부커 T. 워싱턴 고등학교에 진학하여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으나, 슬픔으로 인해 친구들과 어울리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2] 전미 유색 인종 발전 협회 청년 위원회(NAACP Youth Council)에서 활동하며 로자 파크스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13]
2. 1. 출생과 가족
클로뎃 콜빈은 1939년 9월 5일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에서 메리 제인 개드슨과 C. P. 오스틴 사이에서 클로뎃 오스틴으로 태어났다. 오스틴이 가족을 버리자 개드슨은 자녀들을 경제적으로 지원할 수 없었다. 콜빈과 그녀의 여동생 델핀은 증조부모인 메리 앤과 Q. P. 콜빈에게 맡겨졌는데, 그들의 딸 벨마는 이미 독립한 상태였다.[2] 콜빈과 그녀의 여동생은 콜빈 부부를 부모님이라 불렀고, 그들의 성을 따랐다.[7] 클로뎃을 맡았을 때, 콜빈 부부는 몽고메리 카운티의 작은 시골 마을인 파인 레벨에 살았는데, 그곳은 로자 파크스가 성장한 곳이기도 하다.[2][8] 콜빈이 8살이 되던 해, 콜빈 부부는 몽고메리의 킹 힐로 이사했고, 그곳에서 그녀는 어린 시절을 보냈다.[9][10]2. 2. 성장 환경
클로뎃 콜빈은 1939년 9월 5일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에서 메리 제인 개드슨과 C. P. 오스틴 사이에서 '''클로뎃 오스틴'''으로 태어났다. 오스틴이 가족을 버리자 개드슨은 자녀들을 경제적으로 지원할 수 없었다. 콜빈과 그녀의 여동생 델핀은 증조부모인 메리 앤과 Q. P. 콜빈에게 맡겨졌는데, 그들의 딸 벨마는 이미 독립한 상태였다.[2] 콜빈과 그녀의 여동생은 콜빈 부부를 부모님이라 불렀고, 그들의 성을 따랐다.[7] 클로뎃을 맡았을 때, 콜빈 부부는 몽고메리 카운티의 작은 시골 마을인 파인 레벨에 살았는데, 그곳은 로자 파크스가 성장한 곳이기도 했다.[2][8] 콜빈이 8살이 되던 해, 콜빈 부부는 몽고메리의 가난한 흑인 거주 지역인 킹 힐로 이사했고, 그곳에서 그녀는 어린 시절을 보냈다.[9][10]콜빈의 13번째 생일 이틀 전, 델핀은 소아마비로 사망했다.[2][11] 얼마 지나지 않아, 1952년 9월, 콜빈은 부커 T. 워싱턴 고등학교에 입학했다.[2][12] 콜빈은 우수한 학생이었지만, 슬픔 때문에 학교 친구들과 어울리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2] 그녀는 또한 전미 유색 인종 발전 협회 청년 위원회(NAACP Youth Council)의 회원이기도 했으며, 그곳에서 멘토인 로자 파크스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13]
2. 3. 교육 및 NAACP 청소년 위원회 활동
클로뎃 콜빈은 1952년 9월 부커 T. 워싱턴 고등학교에 입학했다.[2] 콜빈은 우수한 학생이었지만, 여동생 델핀이 소아마비로 사망한 슬픔 때문에 학교 친구들과 어울리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2] 그녀는 전미 유색 인종 발전 협회 청년 위원회(NAACP Youth Council)의 회원이기도 했으며, 그곳에서 멘토인 로자 파크스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13]3. 버스 사건
1955년 3월 2일, 클로뎃 콜빈은 몽고메리에서 버스를 타고 가던 중 백인 승객에게 자리를 양보하라는 요구에 불응하여 체포되었다. 이 사건은 로자 파크스 체포 사건보다 9개월 먼저 일어난 일이다. 콜빈은 전미 유색인 지위 향상 협회(NAACP) 청소년 위원회에서 활동하며, 헌법적 권리를 주장하며 저항했다.[30] 체포 과정에서 콜빈은 경찰관들로부터 성적인 발언을 듣는 등 부당한 대우를 받았다.[15] 이후 콜빈은 평화 침해, 차별 법 위반, 경찰관 폭행 및 공격 혐의로 기소되었으나,[15] 항소심에서 경찰관 폭행 혐의만 유죄 판결을 받았다.[23]
3. 1. 사건의 발단
1955년, 클로뎃 콜빈은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의 부커 T. 워싱턴 고등학교에 다니고 있었다. 가족에게 차가 없어 시내 버스를 이용해 통학했는데, 당시 버스 승객 대다수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이었지만 분리된 좌석 관습 때문에 차별을 받고 있었다. 콜빈은 전미 유색인 지위 향상 협회(NAACP) 청소년 위원회 회원이기도 했으며, 학교에서 시민권 운동에 대해 배우고 있었다.[30]1955년 3월 2일, 콜빈은 학교에서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캐피톨 하이츠 버스의 유색인 구역 중 비상구에서 두 좌석 떨어진 곳에 앉았다. 버스가 만원이 되어 앞쪽의 "백인 좌석"이 모두 차고 백인 승객이 서 있게 되자, 버스 운전사 로버트 W. 클리어는 콜빈과 같은 줄에 앉아 있던 세 명의 흑인 여성에게 뒤로 가라고 명령했다. 다른 세 명은 자리를 옮겼지만, 임신한 흑인 여성 루스 해밀턴이 콜빈 옆에 앉았다.
운전사는 거울로 두 사람을 쳐다보았다. 콜빈은 당시 상황을 이렇게 회상했다. "그는 우리 둘 다 일어나라고 했어요. 해밀턴 부인은 '일어날 생각이 없고 요금을 냈으니 서고 싶지 않다'고 말했죠. 그래서 저도 일어나지 않겠다고 했어요. 그랬더니 운전사가 '일어나지 않으면 경찰을 부르겠다'고 하더군요." 경찰이 도착했고, 두 여성 뒤에 앉아 있던 흑인 남성을 설득해 해밀턴 부인이 뒤로 가게 했지만, 콜빈은 계속 자리를 옮기지 않았다. 결국 그녀는 두 명의 경찰관 토마스 J. 워드와 폴 헤들리에 의해 강제로 버스에서 끌려 내려와 체포되었다.[14][15][16] 이 사건은 로자 파크스가 같은 혐의로 체포되기 9개월 전에 일어난 일이었다.[17]
콜빈은 나중에 "어머니는 제가 한 일에 대해 조용히 하라고 하셨어요. 로자에게 맡기라고 하셨죠. 백인들은 로자를 귀찮게 하지 않을 것이고, 좋아할 거라고요."라고 말했다.[4] 콜빈이 파크스와 같은 주목을 받지 못한 이유는, 그녀가 "좋은 머리"를 가지고 있지 않았고, 피부가 하얗지 않았으며, 10대였고, 임신했기 때문이었다. 시민권 운동 지도자들은 겉모습을 유지하려 했고, "가장 매력적인" 시위자들을 전면에 내세웠다.[30][18]
콜빈은 자리를 양보하지 않았을 때, 학교 과제를 떠올렸다고 한다. 그 과제는 흑인이 백화점에서 옷을 입어보기 위해 탈의실을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지역 관습에 관한 것이었다.[19] 그녀는 인터뷰에서 "우리는 옷을 입어볼 수 없었어요. 갈색 종이 봉투를 가져다가 발 그림을 그려서... 가게에 가져가야 했죠."라고 말했다.[30] 그녀는 버스에서의 차별과 백인 여성에 대해 "그녀는 우리와 같은 줄에 앉을 수 없었어요. 왜냐하면 그건 우리가 그녀만큼 좋다는 것을 의미할 테니까요."라고 덧붙였다.[15]
콜빈의 급우 애니 라킨스 프라이스는 "버스가 붐볐고, 버스 운전기사가 백인 여성을 위해 그녀[콜빈]에게 일어나라고 부탁하는 것을 거울을 통해 본 기억이 난다. 그녀는 '내 헌법적 권리다!'라고 외치고 있었다. 그녀는 그날 움직이지 않겠다고 결심했다."라고 회상했다.[20] 콜빈은 "역사가 나를 자리에 묶어두었다. 나는 해리엇 터브먼의 손이 한쪽 어깨를 누르고 소저너 트루스의 손이 다른 쪽 어깨를 누르는 것을 느꼈다."라고 말했다.[21] 그녀는 체포되어 버스에서 강제로 끌려 내려오면서 자신의 헌법적 권리가 침해당하고 있다고 외쳤다.[15] 콜빈은 "나는 개인적인 성명도 발표했는데, [파크스]는 하지 않았고 아마 할 수도 없었을 것이다. 내것은 정의를 위한 첫 번째 외침이었고, 큰 소리였다."라고 말했다.
그녀를 경찰서로 데려간 경찰관들은 그녀의 신체에 대해 성적인 발언을 하고, 차를 타고 가는 동안 그녀의 브래지어 사이즈를 번갈아 가며 추측했다.[15] 프라이스는 콜빈을 위해 증언했고, 콜빈은 청소년 법원에서 재판을 받았다. 콜빈은 처음에는 평화 침해 혐의, 차별 법 위반, 경찰관 폭행 및 공격 혐의로 기소되었다. 프라이스는 "폭행은 없었다"고 말했다.[15]
필립 후스의 2009년 저서 ''Claudette Colvin: Twice Towards Justice''에 따르면, 경찰관 중 한 명이 그녀와 함께 뒷자리에 앉았다고 한다. 이런 일은 자주 일어났기 때문에 그들이 그녀를 성폭행할까 봐 매우 두려웠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를 포함한 흑인 시민권 지도자 그룹은 콜빈의 체포에 대해 경찰 청장과 논의하기 위해 조직되었다.[22] 그녀는 목사에 의해 보석으로 풀려났고, 목사는 그녀에게 몽고메리에 혁명을 가져왔다고 말했다.[30]
재판에서 콜빈은 시민권 활동을 조직하고 있던 몽고메리 개선 협회(MIA)의 변호사 프레드 그레이의 변호를 받았다.[23] 그녀는 청소년 법원에서 세 가지 혐의 모두 유죄 판결을 받았다. 1955년 5월 6일 콜빈의 사건이 몽고메리 순회 법원에 항소되었을 때, 평화 침해와 차별 법 위반 혐의는 기각되었지만, 경찰관 폭행 혐의에 대한 유죄 판결은 유지되었다.[23]
콜빈의 활동은 고립적이거나 무작위적인 것이 아니었다. 고등학교 시절 그녀는 정치 활동에 대한 큰 야망을 가지고 있었다. 그녀는 미국 대통령이 되는 것을 꿈꿨다. 그녀의 정치적 성향은 그녀가 NAACP의 활동을 처음 목격했던 제레미아 리브스와의 사건에 의해 부분적으로 자극받았다.[24] 리브스는 자신이 강간당했다고 주장하는 백인 여성과 성관계를 갖는 것이 발견되었지만, 리브스는 그들의 관계가 합의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자신이 저지른 혐의로 처형되었다.[25]
3. 2. 저항과 체포
1955년 3월 2일, 클로뎃 콜빈은 학교에서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캐피톨 하이츠 버스의 유색인 구역에 앉아 있었다. 버스 안의 백인 좌석이 모두 차서 백인 승객이 서 있게 되자, 버스 운전사 로버트 W. 클리어는 콜빈과 같은 줄에 앉아 있던 다른 세 명의 흑인 여성에게 뒤로 물러나 자리를 양보하라고 명령했다.[14][15][16] 다른 세 명은 자리를 옮겼지만, 콜빈은 거부했다. 그녀는 전미 유색인 지위 향상 협회(NAACP) 청소년 위원회 회원이었다.[30]콜빈은 당시 상황을 회상하며 "그는 우리 둘 다 일어나라고 요청했다. [해밀턴 부인]은 일어날 생각이 없고 요금을 지불했고 서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그래서 나는 그에게 나도 일어나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래서 그는 '일어나지 않겠다면, 경찰을 부르겠다'고 말했다."라고 설명했다.[14][15][16]
경찰이 도착하여 콜빈을 체포했고, 버스에서 강제로 끌어내렸다. 이 과정에서 콜빈은 자신의 헌법적 권리가 침해되고 있다고 외쳤다.[15][20] 콜빈은 "역사가 나를 자리에 묶어두었다. 나는 해리엇 터브먼의 손이 한쪽 어깨를 누르고 소저너 트루스의 손이 다른 쪽 어깨를 누르는 것을 느꼈다."라고 말했다.[21]
콜빈은 경찰서로 연행되는 동안 경찰관들로부터 성적인 발언을 듣는 등 부당한 대우를 받았다.[15] 그녀는 청소년 법원에서 평화 침해 혐의, 차별 법 위반, 경찰관 폭행 및 공격 혐의로 기소되었으나,[15] 항소심에서 경찰관 폭행 혐의만 유죄 판결을 받았다.[23]
3. 3. 체포 과정에서의 인권 침해
1955년 3월 2일, 몽고메리 캐피톨 하이츠 버스에서 클로뎃 콜빈은 백인 승객에게 자리를 양보하라는 버스 운전사 로버트 W. 클리어의 명령을 거부했다. 그녀는 이미 요금을 지불했고, 헌법적 권리를 주장하며 일어서지 않았다.[14][15][16] 이 사건은 로자 파크스 체포 사건 9개월 전에 일어났다.[17]콜빈은 해리엇 터브먼과 소저너 트루스가 자신을 붙잡고 있는 것 같았다고 회상하며, 자신의 헌법적 권리가 침해당하고 있다고 외쳤다.[21][15] 그녀는 강제로 버스에서 끌려 내려와 수갑이 채워진 채 경찰에 체포되었다.[15] 경찰서로 가는 동안 경찰관들은 콜빈의 신체에 대해 성적인 발언을 하고 브래지어 사이즈를 추측하는 등 인권 침해 행위를 했다.[15]
콜빈은 청소년 법원에서 평화 침해, 차별 법 위반, 경찰관 폭행 혐의로 기소되었다.[15] 증인으로 나선 콜빈의 친구 애니 라킨스 프라이스는 폭행은 없었다고 증언했다.[15] 콜빈은 필립 후스의 2009년 저서 ''Claudette Colvin: Twice Towards Justice''에서 경찰관 중 한 명이 자신과 함께 뒷자리에 앉아 성폭행에 대한 두려움을 느꼈다고 밝혔다.[22] 마틴 루터 킹 주니어를 포함한 흑인 시민권 지도자들이 콜빈의 체포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조직되었다.[22]
콜빈은 세 가지 혐의 모두 유죄 판결을 받았지만, 항소심에서 평화 침해와 차별 법 위반 혐의는 기각되고 경찰관 폭행 혐의만 유죄로 인정되었다.[23]
3. 4. 재판과 유죄 판결
1955년 3월 2일, 학교에서 집으로 돌아오던 콜빈은 캐피톨 하이츠 버스의 유색인 구역에 앉아 있었다. 버스가 만석이 되어 백인 승객이 서 있게 되자, 버스 운전사 로버트 W. 클리어는 콜빈에게 자리를 양보하라고 명령했다.[14][15][16] 콜빈은 이를 거부했고, 결국 경찰관 토마스 J. 워드와 폴 헤들리에 의해 체포되어 버스에서 강제로 끌려 내려왔다.[14][15][16]콜빈은 평화 침해, 차별 법 위반, 경찰관 폭행 및 공격 혐의로 기소되었다.[15] 그녀는 청소년 법원에서 세 가지 혐의 모두 유죄 판결을 받았다.[23] 1955년 5월 6일, 콜빈의 사건이 몽고메리 순회 법원에 항소되면서 평화 침해와 차별 법 위반 혐의는 기각되었지만, 경찰관 폭행 혐의에 대한 유죄 판결은 유지되었다.[23]
4. 브라우더 대 게일 (Browder v. Gayle) 소송
클로뎃 콜빈은 오렐리아 S. 브라우더, 수지 맥도날드, 메리 루이스 스미스, 제네타 리스와 함께 ''브라우더 대 게일'' 소송의 원고였다. 이 사건은 앨라배마주 몽고메리 시의 버스 차별이 위헌인지를 다투는 소송이었다.[26]
''브라우더 대 게일'' 소송은 1956년 6월 5일 앨라배마주 중부 지방 법원에서 앨라배마주와 몽고메리의 버스 차별 법률이 위헌이라는 판결을 받았다. 주 정부와 지방 정부는 이 판결에 불복하여 미국 연방 대법원에 항소했지만, 대법원은 1956년 11월 13일 원심 판결을 확정했다. 1956년 12월 20일, 대법원은 몽고메리와 앨라배마주에 버스 차별을 영구적으로 중단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4. 1. 원고 참여
콜빈은 오렐리아 S. 브라우더, 수지 맥도날드, 메리 루이스 스미스, 제네타 리스와 함께 ''브라우더 대 게일'' 소송의 원고 5명 중 한 명이었다. 제네타 리스는 나중에 이 소송에서 사임했다. 이 사건은 시민 운동 변호사 프레드 그레이가 연방 법원에 제기하여 몽고메리 시의 버스 차별을 위헌이라고 주장했다.[26] 법정 소송 중 콜빈은 자신의 체포 과정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저는 '그는 아무런 시민권도 없어... 이것은 나의 헌법적 권리야... 당신은 이럴 권리가 없어.'라고 계속 말했어요. 그리고 계속 말했고 멈추지 않았어요. 그건 절도보다 더 심했죠, 백인에게 대드는 거였으니까요."[19]''브라우더 대 게일'' 소송은 법원을 거쳐 진행되었다. 1956년 6월 5일, 앨라배마주 중부 지방 법원은 앨라배마주와 몽고메리의 대중 버스 차별을 강제하는 법률이 위헌이라고 판결했다. 주 및 지방 관리들은 이 사건을 미국 연방 대법원에 항소했다. 미국 연방 대법원은 1956년 11월 13일 지방 법원의 결정을 즉시 확정했다. 한 달 후 대법원은 재고를 거부했고, 1956년 12월 20일 법원은 몽고메리와 앨라배마주에 버스 차별을 영구적으로 중단하라고 명령했다.
4. 2. 소송 과정과 승리
오렐리아 S. 브라우더, 수지 맥도날드, 메리 루이스 스미스, 제네타 리스와 함께 콜빈은 ''브라우더 대 게일'' 소송의 원고 5명 중 한 명이었다. 제네타 리스는 나중에 이 소송에서 사임했다. 이 사건은 시민 운동 변호사 프레드 그레이가 연방 법원에 제기하여 몽고메리 시의 버스 차별을 위헌이라고 주장했다.[26] 법정 소송 중 콜빈은 자신의 체포 과정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저는 '그는 아무런 시민권도 없어... 이것은 나의 헌법적 권리야... 당신은 이럴 권리가 없어.'라고 계속 말했어요. 그리고 계속 말했고 멈추지 않았어요. 그건 절도보다 더 심했죠, 백인에게 대드는 거였으니까요."[19]''브라우더 대 게일'' 소송은 법원을 거쳐 진행되었다. 1956년 6월 5일, 앨라배마주 중부 지방 법원은 앨라배마주와 몽고메리의 대중 버스 차별을 강제하는 법률이 위헌이라고 판결했다. 주 및 지방 관리들은 이 사건을 미국 연방 대법원에 항소했다. 대법원은 1956년 11월 13일 지방 법원의 결정을 즉시 확정했다. 한 달 후 대법원은 재고를 거부했고, 1956년 12월 20일 법원은 몽고메리와 앨라배마주에 버스 차별을 영구적으로 중단하라고 명령했다.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은 교육 배경이나 계급에 관계없이 몽고메리 시민들을 단결시킬 수 있었다.[27]
5. 시민권 운동 이후의 삶
콜빈은 1956년에 아들 레이먼드를 낳았으나, 버스 차별 철폐 소송 참여로 인해 몽고메리에서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워 1958년에 뉴욕으로 이주했다. 로자 파크스 역시 비슷한 어려움으로 1957년에 디트로이트로 이주했다. 콜빈은 지역 사회에서 문제아로 낙인찍혀 대학을 중퇴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26]
뉴욕에서 콜빈은 1969년부터 2004년까지 35년간 요양원에서 간호 보조원으로 일했다. 1960년에는 둘째 아들 랜디를 낳았다.[28] 아들 레이먼드는 1993년에 심장 마비로 사망했고,[28][29] 다른 아들 랜디는 애틀랜타에서 회계사로 일하며 콜빈의 네 손주를 두고 있다.[28]
5. 1. 뉴욕 이주와 어려움
콜빈은 1956년 3월 아들 레이먼드를 낳았다. 연방 법원 소송에 참여하여 버스 차별이 뒤집힌 후 일자리를 구하고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에 1958년 몽고메리를 떠나 뉴욕으로 이사했다.[26] 로자 파크스도 1957년 몽고메리를 떠나 디트로이트로 이사했다. 콜빈은 지역 사회의 많은 사람들로부터 문제아로 낙인 찍혔다고 말했다. 그녀는 대학을 중퇴했고, 지역 환경에서 어려움을 겪었다.[26]뉴욕에서 콜빈과 그녀의 아들 레이먼드는 처음에는 언니 벨마 콜빈과 함께 살았다. 1960년, 그녀는 둘째 아들 랜디를 낳았다.[28] 1969년 맨해튼의 한 요양원에서 간호 보조원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그곳에서 35년 동안 일했고 2004년에 은퇴했다. 레이먼드 콜빈은 1993년 뉴욕에서 심장 마비로 3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8][29] 그녀의 아들 랜디는 애틀랜타에서 회계사로 일하고 있으며 콜빈의 네 손주의 아버지이다.[28]
5. 2. 간호 보조원 생활과 은퇴
콜빈은 1956년 3월 아들 레이먼드를 낳았다. 연방 법원 소송에 참여하여 버스 차별이 뒤집힌 후 일자리를 구하고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에 1958년 몽고메리를 떠나 뉴욕으로 이사했다. 로자 파크스도 1957년 몽고메리를 떠나 디트로이트로 이사했다. 콜빈은 지역 사회의 많은 사람들로부터 문제아로 낙인 찍혔다고 말했다. 그녀는 대학을 중퇴했고, 지역 환경에서 어려움을 겪었다.[26]뉴욕에서 콜빈과 그녀의 아들 레이먼드는 처음에는 언니 벨마 콜빈과 함께 살았다. 1960년, 그녀는 둘째 아들 랜디를 낳았다.[28] 1969년 맨해튼의 한 요양원에서 간호 보조원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그곳에서 35년 동안 일했고 2004년에 은퇴했다. 레이먼드 콜빈은 1993년 뉴욕에서 심장 마비로 3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8][29] 그녀의 아들 랜디는 애틀랜타에서 회계사로 일하고 있으며 콜빈의 네 손주의 아버지이다.[28]
5. 3. 가족
콜빈은 1956년 3월 아들 레이먼드를 낳았다. 연방 법원 소송에 참여하여 버스 차별이 뒤집힌 후 일자리를 구하고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에 1958년 몽고메리를 떠나 뉴욕으로 이사했다.[26] 1960년에는 둘째 아들 랜디를 낳았다.[28]레이먼드 콜빈은 1993년 뉴욕에서 심장 마비로 3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8][29] 랜디는 애틀랜타에서 회계사로 일하고 있으며 콜빈의 네 손주들의 아버지이다.[28]
6. 유산과 재평가
클로뎃 콜빈은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운동의 선구자였지만, 오랫동안 잊혀졌다. 하지만 그녀의 용기 있는 행동은 재평가되어 오늘날에는 인종차별에 맞선 중요한 인물로 인정받고 있다.
2005년, 콜빈은 ''몽고메리 애드버타이저''와의 인터뷰에서 "제가 한 일에 대해 매우,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제가 한 일이 불꽃이 되었고 그것이 번졌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했다.[32] 그녀는 로자 파크스가 보이콧에 더 적합한 인물이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변호사들이 차별 철폐를 위해 다른 네 명의 여성과 함께 대법원에 갔다는 사실도 알려져야 한다고 강조했다.[33]
2018년 5월 20일, 조 크롤리 하원의원은 콜빈의 평생 공공 봉사에 대한 헌신을 기리기 위해 의회 증명서와 성조기를 수여했다.[34]
6. 1. 잊혀진 선구자
클로뎃 콜빈은 1955년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운동의 선구자로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뉴욕으로 이사한 후에는 자신의 이야기를 거의 하지 않았다. 흑인 사회에서는 1964년과 1965년까지 전국적인 시민권 법안이 통과되지 않았지만, 통합보다는 흑인 기업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NPR의 마고 애들러는 흑인 단체들이 로자 파크스가 성인이고, 직업이 있으며, 중산층 외모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통합을 위한 시험 사례에 더 적합한 인물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들은 그녀가 잠재적인 논란의 중심에 있는 것을 처리할 수 있는 성숙함을 갖추고 있다고 느꼈다.[30]콜빈은 역사책에서 제외된 시민권 운동의 유일한 여성이 아니었다. 남부에서는 남성 목사들이 지도자의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했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NAACP가 외부에 알리려고 했던 모습의 결과였고, 부분적으로는 공립 학교 시스템에서 자주 일자리를 잃을 것을 두려워하는 여성들의 결과였다.[31]
2005년, 콜빈은 ''몽고메리 애드버타이저''에 버스에 앉아있기로 한 자신의 결정을 바꾸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녀는 "저는 제가 한 일에 대해 매우,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라고 말하며, "저는 제가 한 일이 불꽃이 되었고 그것이 번졌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덧붙였다.[32] 또한 "저는 실망하지 않았습니다. 사람들에게 로자 파크스가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에 적합한 인물이었다는 것을 알게 하십시오. 그러나 변호사들이 차별 종식을 이끈 법에 이의를 제기하기 위해 다른 네 명의 여성을 대법원에 데려갔다는 것도 알게 하십시오."라고 말했다.[33]
2018년 5월 20일, 조 크롤리 하원의원은 콜빈의 평생 공공 봉사에 대한 헌신을 기리기 위해 의회 증명서와 성조기를 수여했다.[34]
6. 2. 뒤늦은 인정
클로뎃 콜빈은 1955년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 운동의 선구자로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뉴욕으로 이사한 후에는 자신의 이야기를 거의 하지 않았다. 1964년과 1965년에 전국적인 시민권 법안이 통과되었지만, 흑인 사회에서는 통합보다는 흑인 기업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NPR의 마고 애들러는 흑인 단체들이 로자 파크스가 성인이고, 직업이 있으며, 중산층 외모를 갖추고 있어 통합을 위한 시험 사례에 더 적합한 인물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들은 파크스가 잠재적인 논란의 중심에 서는 것을 처리할 수 있는 성숙함을 갖추고 있다고 느꼈다.[30]콜빈은 역사책에서 제외된 시민권 운동의 유일한 여성이 아니었다. 남부에서는 남성 목사들이 지도자의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했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NAACP가 외부에 알리려고 했던 모습의 결과였고, 부분적으로는 공립 학교 시스템에서 일자리를 잃을 것을 두려워하는 여성들의 결과였다.[31]
2005년, 콜빈은 ''몽고메리 애드버타이저''와의 인터뷰에서 버스에 계속 앉아 있기로 한 자신의 결정을 바꾸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녀는 "제가 한 일에 대해 매우,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라고 말하며, "제가 한 일이 불꽃이 되었고 그것이 번졌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덧붙였다.[32] 또한 "저는 실망하지 않았습니다. 사람들에게 로자 파크스가 몽고메리 버스 보이콧에 적합한 인물이었다는 것을 알게 하십시오. 그러나 변호사들이 차별 종식을 이끈 법에 이의를 제기하기 위해 다른 네 명의 여성을 대법원에 데려갔다는 것도 알게 하십시오."라고 말했다.[33]
2018년 5월 20일, 조 크롤리 하원의원은 콜빈의 평생 공공 봉사에 대한 헌신을 기리기 위해 의회 증명서와 성조기를 수여했다.[34]
7. 기념과 문화적 묘사
클로뎃 콜빈은 흑인 민권 운동의 선구자였지만, 오랫동안 그 공로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다. 콜빈과 그녀의 가족, 그리고 여러 시민 단체의 노력으로 콜빈의 업적은 점차 재조명되고 있다.
7. 1. 기념 사업
콜빈은 자신이 더 많은 인정을 받지 못한 것에 대해 실망했다고 자주 말했다. 그녀는 역사가 특정 인물만 기억하는 경향이 있다고 비판했다.[35][36] 콜빈과 그녀의 가족은 그녀의 행동에 대한 인정을 위해 노력해왔다. 스미소니언 협회와 국립 아프리카계 미국 역사 문화 박물관(NMAAHC)은 콜빈이 시민권 운동 역사에서 더 중요하게 언급되도록 요청받았지만, 박물관 공식 개관식에 초청받지 못했다.[37]콜빈의 여동생은 역사가 진실을 제대로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7] 2000년, 몽고메리의 트로이 대학교에 로자 파크스 박물관이 개관되었지만, 콜빈은 영상 출연 제의를 거절했다.[38]
2010년, 콜빈이 어린 시절 살았던 거리는 그녀를 기리기 위해 '콜레트 콜빈 드라이브'로 이름이 바뀌었다.[39] 2017년, 몽고메리 시의회는 콜빈을 기리는 결의안을 통과시키고 3월 2일을 '콜레트 콜빈의 날'로 지정했다.[40]
2019년, 몽고메리에 로자 파크스 동상이 공개되었고, 콜빈을 포함한 ''브라우더 대 게일''의 원고 4명을 기리는 화강암 표지석도 함께 공개되었다.[41][42][43]
2021년, 콜빈은 자신의 청소년 기록 삭제를 신청했고, 법원은 이를 승인했다. 콜빈의 행동은 "용감한 행동으로 인정받았다"고 판결했다.[44][45] 같은 해, 콜빈을 기리는 벽화가 몽고메리에 공개되었다.[46]
7. 2. 문화적 묘사
콜빈은 자신이 더 많은 인정을 받지 못한 것에 대해 화가 나지 않고 실망했다고 자주 말해왔다. 그녀는 "1월에 크리스마스를 받은 것 같은 느낌이었다"고 말했다.[35]콜빈과 그녀의 가족은 그녀의 행동에 대한 인정을 위해 싸워왔다. 2016년, 스미소니언 협회와 그 산하의 국립 아프리카계 미국 역사 문화 박물관(NMAAHC)은 콜빈과 그녀의 가족에게 콜빈이 시민권 운동의 역사에서 더 두드러지게 언급되도록 요청받았다. NMAAHC는 로자 파크스에게 헌정된 섹션을 가지고 있는데, 콜빈은 그것을 없애기를 원하지 않지만, 그녀 가족의 목표는 역사를 바로 잡고, 관계자들이 콜빈의 역사를 포함시키는 것이다. 콜빈은 2016년 9월 대중에게 공개된 박물관의 공식 개관식에 공식적으로 초청받지 못했다.[37]
콜빈의 여동생 글로리아 라스터는 "우리가 원하는 것은 진실뿐인데, 왜 역사는 그것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가?"라고 말했다. "콜레트 콜빈, 오렐리아 브라우더, 수지 맥도날드, 메리 루이스 스미스가 없었다면 서굿 마셜, 마틴 루터 킹 또는 로자 파크스가 없었을 수도 있다."[37]
2000년, 몽고메리의 트로이 대학교는 시민권 역사의 도시 위치를 기리기 위해 몽고메리에 로자 파크스 박물관을 열었다. 이 프로젝트의 대부분을 담당했던 로이 화이트는 콜빈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담은 영상에 출연하고 싶냐고 물었지만, 콜빈은 거절했다. 그녀는 "그들은 이미 로자 파크스 박물관이라고 불렀으니, 그들은 이미 그 이야기가 무엇인지 결정했다."라고 말했다.[38]
2010년, 콜빈이 어린 시절 살았던 거리는 그녀를 기리기 위해 콜레트 콜빈 드라이브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 거리는 앨라배마 주 몽고메리의 어퍼 웨텀프카 로드에서 떨어져 있다.[39]
조셉 렘버트 목사는 "과거에 아무도 콜레트 콜빈을 위해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면, 지금 그녀를 위해 뭔가 하는 것이 어떻겠는가?"라고 말했다. 그는 몽고메리 시의원 트레이시 라킨(1955년 콜빈이 체포되었을 때 그의 여동생이 버스에 타고 있었음)과 찰스 진라이트를 접촉했고, 2017년 시의회는 콜빈을 기리는 선언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3월 2일은 몽고메리에서 콜레트 콜빈의 날로 지정되었다. 토드 스트레인지 시장은 선언문을 발표하며 콜빈에 대해 "그녀는 우리 시민권의 초기 병사였으며, 우리는 3월 2일을 콜레트 콜빈의 날로 선포하여 현대 시민권 운동에서 그녀의 리더십에 감사하는 이 기회를 놓치고 싶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렘버트는 "나는 사람들이 전에 그녀의 이름을 들어본 적이 있다는 것을 알지만, 나는 그녀를 기념하는 날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라고 말했다. 콜빈은 건강 문제로 인해 선언식에 참석할 수 없었다.[40]
2019년, 몽고메리 앨라배마에 로자 파크스 동상이 공개되었고, 콜빈을 포함한 ''브라우더 대 게일''의 4명의 원고인을 기리기 위해 동상 근처에 4개의 화강암 표지석도 같은 날 공개되었다.[41][42][43]
2021년, 콜빈은 앨라배마 주 몽고메리 카운티의 가정 법원에 자신의 청소년 기록 삭제를 신청했다. 카운티 지방 검사 대릴 베일리는 그녀의 신청을 지지하며 "1955년 3월 그녀의 행동은 양심적이었지, 범죄적이지 않았고, 영감을 받았지 불법이 아니었으며, 기소보다는 칭찬을 받았어야 했다"고 말했다.[44] 판사는 2021년 12월에 청소년 기록을 삭제하고 파기하라고 명령하면서, 콜빈의 거부가 "그녀와 영향을 받은 공동체를 위해 용감한 행동으로 인정받았다"고 밝혔다.[45]
또한 2021년에는 콜빈을 기리는 벽화가 앨라배마 주 몽고메리의 콜레트 콜빈 드라이브를 따라 공개되었다.[46]
참조
[1]
웹사이트
Claudette Colvin
https://www.biograph[...]
2018-01-29
[2]
학위논문
Power Dynamics of a Segregated City: Class, Gender, and Claudette Colvin's Struggle for Equality
http://digitalcommon[...]
Sarah Lawrence College
2015
[3]
웹사이트
Before Rosa Parks, Claudette Colvin Stayed in Her Bus Seat
https://www.aauw.org[...]
American Association of University Women
2012-03-21
[4]
서적
Claudette Colvin: Twice Towards Justice
https://books.google[...]
Melanie Kroupa Books
2009
[5]
웹사이트
Before Rosa Parks, A Teenager Defied Segregation On An Alabama Bus
https://www.npr.org/[...]
NPR
2015-03-02
[6]
웹사이트
Claudette Colvin
https://rosaparksbio[...]
2016-05-18
[7]
서적
Claudette Colvin: Twice Towards Justice
https://books.google[...]
Melanie Kroupa Books
2009
[8]
뉴스
Chapter 1 (excerpt): 'Up From Pine Level'
https://archive.org/[...]
Lipper/Viking; excerpt published in The New York Times
[9]
웹사이트
"#ThrowbackThursday: The girl who acted before Rosa Parks"
https://www.nwhm.org[...]
National Women's History Museum
[10]
서적
Claudette Colvin: Twice Towards Justice
https://books.google[...]
Melanie Kroupa Books
2009
[11]
서적
Claudette Colvin: Twice Towards Justice
https://books.google[...]
Melanie Kroupa Books
2009
[12]
뉴스
Claudette Colvin: an unsung hero in the Montgomery Bus Boycott
http://findarticles.[...]
FindArticles
2005-02-28
[13]
저널
The Origins of the Montgomery Bus Boycott
http://www.davidgarr[...]
1985-10
[14]
서적
Thunder of Angels: The Montgomery Bus Boycott and the People Who Broke the Back of Jim Crow
https://books.google[...]
Chicago Review Press
[15]
뉴스
A Forgotten Contribution: Before Rosa Parks, 15-year-old Claudette Colvin refused to give up her seat on the bus
http://www.newsweek.[...]
2009-03-02
[16]
뉴스
She would not be moved
https://www.theguard[...]
2000-12-16
[17]
뉴스
From Footnote to Fame in Civil Rights History
https://www.nytimes.[...]
2009-11-25
[18]
서적
Twenty-First-Century Feminisms in Children's and Adolescent Literature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19]
서적
Rosa Parks
https://archive.org/[...]
Viking
[20]
뉴스
'Unsung hero' of boycott paved way for Parks
2005-02-07
[21]
뉴스
Claudette Colvin: First to keep her seat
https://www.npr.org/[...]
[22]
웹사이트
Claudette Colvin {{!}} Americans Who Tell The Truth
https://www.american[...]
[23]
웹사이트
Colvin, Claudette
http://www.blackpast[...]
2014-03-14
[24]
웹사이트
Claudette Colvin: the woman who refused to give up her bus seat – nine months before Rosa Parks
https://www.theguard[...]
2021-02-25
[25]
저널
Claudette Colvin
2008-06-30
[26]
웹사이트
Claudette Colvin Biography
http://www.biography[...]
2016-02-08
[27]
저널
To Walk in Dignity: The Montgomery Bus Boycott
2005-01-01
[28]
뉴스
This once-forgotten civil rights hero deserves the Presidential Medal of Freedom
https://www.washingt[...]
2016-04-01
[29]
뉴스
From Footnote to Fame in Civil Rights History
https://www.nytimes.[...]
2009-11-26
[30]
뉴스
Before Rosa Parks, There Was Claudette
http://www.npr.org/2[...]
NPR
2009-03-15
[31]
저널
In Honor of Fred Gray: The Meaning of Montgomery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32]
뉴스
Colvin helped light flame of civil rights
2005-02-04
[33]
뉴스
2 other bus boycott heroes praise Parks' acclaim
https://www.chicagot[...]
2005-11-16
[34]
웹사이트
Chairman Crowley Honors Civil Rights Pioneer Claudette Colvin
https://www.qgazette[...]
2018-05-30
[35]
웹사이트
Claudette Colvin
http://www.montgomer[...]
[36]
뉴스
The Other Rosa Parks: Now 73, Claudette Colvin Was First to Refuse Giving Up Seat on Montgomery Bus
https://www.democrac[...]
2017-11-03
[37]
뉴스
Claudette Colvin Seeks Greater Recognition For Role In Making Civil Rights History
http://newyork.cbslo[...]
WINS (AM)
2017-11-03
[38]
뉴스
Weekend: Civil rights heroine Claudette Colvin
https://www.theguard[...]
2017-11-03
[39]
웹사이트
Who was Claudette Colvin? Honoring the Montgomery woman arrested for refusing to give up bus seat
https://www.montgome[...]
[40]
뉴스
Claudette Colvin honored by Montgomery council
http://www.montgomer[...]
2017-11-03
[41]
웹사이트
Browder v. Gayle, 352 U.S. 903
https://kinginstitut[...]
The Martin Luther King, Jr., Research and Education Institute
2019-12-09
[42]
웹사이트
Alabama unveils statue of civil rights icon Rosa Parks
http://richmondfreep[...]
2019-12-09
[43]
뉴스
Rosa Parks statue unveiled in Alabama on anniversary of her refusal to give up seat
https://wjla.com/new[...]
2019-12-09
[44]
뉴스
She refused to move bus seats months before Rosa Parks. At 82, her arrest is expunged
https://www.npr.org/[...]
2021-12-19
[45]
웹사이트
Claudette Colvin's juvenile record has been expunged, 66 years after she was arrested for refusing to give her bus seat to a White person
https://www.cnn.com/[...]
2021-12-16
[46]
웹사이트
'An element of hope': Claudette Colvin mural unveiled as major step in revitalizing King Hill
https://www.montgome[...]
[47]
웹사이트
Claudette Colvin Goes to Work
https://dissidentpoe[...]
2019-08-25
[48]
Youtube
John McCutcheon sings Rita Dove's 'Claudette Colvin'
https://www.youtube.[...]
2019-08-25
[49]
웹사이트
National Book Awards - 2009
https://www.national[...]
National Book Foundation
2014-11-21
[50]
Youtube
The Newsroom - Will McAvoy On Historical Hypotheticals
https://www.youtube.[...]
2017-10-27
[51]
웹사이트
Claudette Colvin (Hard Cover)
https://thelittlekno[...]
2021-02-26
[52]
뉴스
Report: Biopic about civil rights pioneer Claudette Colvin in the works
https://www.wsfa.com[...]
2022-01-21
[53]
웹인용
Claudette Colvin
https://www.biograph[...]
2018-01-29
[54]
MA thesis
Power Dynamics of a Segregated City: Class, Gender, and Claudette Colvin's Struggle for Equality
http://digitalcommon[...]
Sarah Lawrence College
2021-02-23
[55]
웹인용
Before Rosa Parks, Claudette Colvin Stayed in Her Bus Seat
https://www.aauw.org[...]
American Association of University Women
2019-05-26
[56]
웹인용
Before Rosa Parks, A Teenager Defied Segregation On An Alabama Bus
https://www.npr.org/[...]
NPR
2018-03-02
[57]
웹인용
Claudette Colvin
https://rosaparksbio[...]
2021-0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