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클로드앙리 드 루브루아 드 생시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로드앙리 드 루브루아 드 생시몽은 프랑스의 귀족이자 사상가로, 산업 사회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회주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그는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하고 프랑스 혁명 시기를 겪었으며, 말년에는 자살을 시도하기도 했다. 생시몽은 과학과 산업을 사회 발전의 핵심으로 보고, 산업 계급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테크노크라시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그의 사상은 제자들에 의해 생시몽주의로 발전하여 유럽의 산업 및 금융 프로젝트에 영향을 미쳤으며, 오귀스트 콩트, 칼 마르크스 등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시몽주의자 - 오귀스트 콩트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사회학자인 오귀스트 콩트는 사회학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사회 현상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실증주의 철학을 주창하며 사회 발전의 3단계 법칙을 제시했고, 만년에는 인류교라는 새로운 종교를 창시하여 사회학과 철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공상적 사회주의자 - 샤를 푸리에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초기 사회주의 사상가인 샤를 푸리에는 상업의 폐해와 사회 모순을 비판하며 정념 인력 개념을 제시하고 팔랑주라는 공동체 사회를 구상했으며, 그의 사상은 공상적 사회주의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쳐 현대 사회 사상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 공상적 사회주의자 - 빌헬름 바이틀링
    빌헬름 바이트링은 19세기 독일의 사회주의 사상가이자 혁명가로서, 정의자 동맹에서 활동하며 초기 공산주의 사상에 영향을 미쳤고, 기독교적 메시아니즘과 공산주의를 결합한 사상으로 노동자 운동을 전개했으나 후기에는 정치 활동에서 은퇴하여 논쟁적인 인물로 평가받는다.
클로드앙리 드 루브루아 드 생시몽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클로드 앙리 드 루브루아 드 생시몽
원어 이름Claude-Henri de Rouvroy de Saint-Simon
생시몽 백작
출생명루이 드 루브루아
출생일1760년 10월 17일
출생지파리, 프랑스 왕국
사망일1825년 5월 19일
사망지파리, 프랑스 부르봉 왕정
묘지페르 라셰즈 묘지
철학적 배경
시대19세기 철학
지역서양 철학
학파생시몽주의
사회주의
공상적 사회주의
관심 분야
주요 관심사정치 철학
영향
영향을 준 인물프랜시스 베이컨
르네 데카르트
존 로크
아이작 뉴턴
데이비드 흄
에드워드 기번
볼테르
장자크 루소
애덤 스미스
오귀스탱 티에리
안 로베르 자크 튀르고
에마뉘엘 시에예스
조제프 드 메스트르
샤를 뒤누아예
장 르 롱 달랑베르
콩도르세 후작
장바티스트 세이
니콜라에드메 레티프
영향을 받은 인물오귀스트 콩트
프로스페르 앙팡탱
존 스튜어트 밀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카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토머스 칼라일
블라디미르 레닌
이오시프 스탈린
마오쩌둥
피에르 르루
미셸 슈발리에
페레르 형제
조르주 소렐
로버트 오언
라이샌더 스푸너
로렌츠 폰 슈타인
소스타인 베블런
주요 사상
주목할 만한 사상산업 계급/유휴 계급 구분
주요 저서
주요 작품산업론
산업 제도론
신 크리스트교

2. 생애

카를 대제의 혈통을 잇는 프랑스 고위 귀족의 후손으로 파리에서 태어났다. 먼 친척으로는 회고록을 저술한 생시몽 공작 루이 드 루브루아가 있다.

16세에 라파예트의 의용군 장교로 미국 독립 전쟁에 참가하여 미국의 산업 계급의 흥기에 감명을 받았다. 파나마 운하 건설 계획을 고안할 정도로 산업과 상업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귀국 후 제대했으며, 프랑스 혁명의 테러 시대에는 룩셈부르크 궁전에 투옥되었으나 1794년에 석방되었다.

생시몽의 여러 주장은 후대의 사회주의 학설의 발상을 거의 포함하고 있으며, 생전에는 인정받지 못했지만, 제자인 바르텔미-프로스페르 앙팡탕과 생-아망 바자르 등에 의해 생시몽주의라고 불리는 반(半)종교적인 교설로서 세계의 사회 사상에 영향을 주었다. 그의 사회 연구 태도는 제자 콩트에게 계승되어 실증주의 사회학으로 결실을 맺었다. 나폴레옹 3세는 생시몽주의의 신봉자였으며, 프랑스 제2제정 시대에는 산업 중시 정책이 채택되었다.

말년에는 빈곤에 시달렸고, 1823년에는 자살을 기도하기도 했다.

2. 1. 초기 생애

앙리 드 생시몽은 1760년 프랑스 파리에서 귀족 가문의 후손으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샤를마뉴 대제의 혈통을 잇는 명문가였다.[14] 아버지는 랑드리쿠르 백작 발타자르 앙리 드 루브루아 드 생시몽(1721-1783)이었고, 어머니는 블랑슈 이자벨 드 루브루아 드 생시몽(1737년생)이었다. 할아버지의 사촌은 유명한 회고록 작가인 생시몽 공작 루이 드 루브루아였다.[14]

어린 시절부터 야망이 컸던 생시몽은 하인에게 매일 아침 "생각하십시오, 몽시외 르 콩트, 당신은 위대한 일을 해야 합니다."라고 말하며 자신을 깨우도록 했다.[15] 그는 대서양과 태평양을 잇는 운하, 마드리드에서 바다로 이어지는 운하 건설 등을 구상하기도 했다.[16]

1779년, 생시몽은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하여 라파예트 후작 휘하에서 복무하며 자유, 평등, 박애의 정신을 경험했다.[18] 요크타운 전투에서는 조지 워싱턴의 지휘 아래 참전했다가 영국군에 포로로 잡히기도 했다.[19] 석방 후 프랑스로 돌아온 그는 메지에르 왕립 공병학교에서 공학과 수리학을 공부했다.[18]

1789년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자, 생시몽은 혁명의 이상을 지지하며 귀족 작위를 포기했다. 혁명 초기, 그는 과학적인 개선 학교를 설립하기 위한 자금을 마련하고자 토지 투기로 재산을 모으기도 했다. 테러 시대에는 튈르리 궁전을 사들여 지붕의 금속을 팔아 이익을 얻으려다 반혁명 혐의로 투옥되었으나, 1794년에 석방되었다.[17] 이후 그는 에콜 폴리테크니크에 참여하기도 했다.[20]

2. 2. 성년기

40세가 되기 직전, 생시몽은 자신의 견해를 넓히고 명확히 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와 실험을 했다. 1801년 문학 살롱 운영을 위해 알렉산드린-소피 구리 드 샹프그랑과 결혼했으나, 1년 후 합의하에 이혼했다. 이 실험으로 그는 경제적으로 어려워졌고, 남은 생애 동안 빈곤 속에서 살았다. 1802년, 아이작 뉴턴을 성인으로 삼은 과학 종교의 창설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은 첫 저서 《제네바 주민의 편지》를 출판했다.[20]

생시몽은 《19세기 과학 연구 서론》(1803)과 《인간 연구에 관한 논고》(1813) 등 초기 저술을 통해 사회 개선 수단으로서 과학에 대한 믿음을 보여주었다. 그는 몇 년간 저술 활동을 한 후 파산하여 생계를 위해 일해야 했다. 이전 파트너로부터 돈을 회수하려 노력한 후, 전 직원인 디아르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1807년 《19세기 과학 연구 서론》을 출판할 수 있었다. 1810년 디아르가 사망하면서 생시몽은 다시 가난해졌고, 건강도 악화되었다. 1813년 요양원에 보내졌지만 친척들의 재정적 도움으로 건강을 회복하고 유럽에서 어느 정도 지적 인정을 받았다. 1821년 2월에는 《산업 시스템》이 출판되었고, 1823~1824년에는 《산업인을 위한 교리문답》이 출판되었다.[21]

1814년경 그는 "유럽 공동체 재건에 관하여"라는 논문을 쓰고 빈 체제 회의에 보냈다. 이 논문에서 그는 프랑스와 영국을 기반으로 유럽 왕국을 제안했다.[22]

2. 3. 자살 시도와 죽음

1823년 3월 9일, 자신의 저술이 사회 개선으로 이어지지 못한 데 실망하여 절망 속에서 자살을 시도했다.[25] 머리에 여섯 발이나 총을 쏘았지만 성공하지 못했고, 한쪽 눈의 시력을 잃었다.[26]

파리 페르 라셰즈 묘지에 있는 생시몽의 묘

3. 사상

생시몽은 부의 생산을 촉진하는 것이 사회의 중요한 과제이며, 산업 계급이 귀족과 성직자보다 중요하다는 핵심 교리를 제시했다. 그는 국가 행정은 시민의 능력에 맡겨야 하며, 재산권이 헌법보다 사회 기반 형성에 더 중요하다고 보았다. “50명의 물리학자, 과학자, 기술자, 노동자, 선주, 상인, 기능공의 사망은 돌이킬 수 없지만, 50명의 왕자, 궁정 신하, 대신, 고위 성직자의 공석은 쉽게 채울 수 있다”는 발언으로 1819년 기소되기도 했다. 이러한 생산 활동 계급 중시 관점은 그를 테크노크라트의 예언자로 평가하게 한다.

생시몽은 자본가와 노동자를 모두 산업 계급으로 보았고, 그들 간의 대립은 문제 삼지 않았다. 러다이트 운동에 주목했지만, “자본 소유자는 그 정신적 우월성으로 무산자에 대해 권력을 획득했다”는 견해를 유지했다. 노동자는 스스로 자유를 획득하는 존재가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보호받아야 할 존재로 보았다. 레싱의 『인류의 교육』에 감화받은 그는 1819년 이후 기독교 도덕을 산업 사회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이는 새로운 기독교가 예배 형식을 벗어나, 인간은 서로 형제로서 행동하고 부유한 자는 가난한 자를 구제해야 한다는 인도주의로 이어졌다.[32]

3. 1. 산업주의

1817년 생시몽은 그의 저서 ''L'Industrie''(''산업'')에서 "원칙 선언"이라는 선언문을 발표했다.[10] 이 선언문은 산업 계급이 이끄는 산업 사회의 창설을 촉구하는 산업주의라는 이념의 원칙에 관한 것이었다.[10] 생시몽이 정의한 산업 계급(노동 계급)은 과학자, 산업가, 엔지니어, 사업가, 관리자, 은행가, 육체 노동자 등 사회에 기여하는 생산적인 일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을 포함했다.[11]

생시몽은 산업 계급의 필요에 대한 주요 위협으로, 일하기를 피하면서 다른 사람들의 노동으로부터 이익을 얻기를 선호하는 유능한 사람들을 포함하는 '게으른 계급'을 지적했다.[10] 그는 인간의 타고난 나태함에서 이러한 게으른 사람들의 기생 행위의 기원을 보았다.[10] 그는 정부의 주요 경제적 역할은 경제의 생산 활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하고 사회의 나태함을 줄이는 것이라고 믿었다.[10]

생시몽은 선언문에서 경제에 대한 정부 개입의 확대를 강력히 비판하며, 정부가 경제적 역할을 넘어설 때 "산업의 폭정적인 적"이 되고 과도한 정부 개입의 결과로 산업 경제가 쇠퇴할 것이라고 말했다.[10] 그는 개인의 능력을 인정하고 사회와 경제에서 능력에 따른 계층의 필요성을 강조했는데, 예를 들어 사회가 관리자와 과학자의 계층적인 능력 중심 조직을 가지고 정부의 의사 결정자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11] 그의 견해는 당시로서는 급진적인 것이었다. 그는 계몽 사상을 바탕으로 교회 교리와 구체제에 도전하며 산업과 과학으로부터의 진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20]

생시몽은 초기 미국에서 본 사회적 특권의 부재에 큰 영향을 받아 귀족 작위를 포기하고 능력주의를 지지하게 되었고, 과학이 진보의 열쇠이며 객관적인 과학 원리를 기반으로 한 사회를 발전시킬 수 있다고 확신하게 되었다.[27] 그는 프랑스를 비롯한 다른 곳의 봉건 사회가 해체되어 산업 사회로 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8]

생시몽의 경제적 견해와 사상은 애덤 스미스의 영향을 받았으며, 생시몽은 그를 "불멸의 애덤 스미스"라고 칭찬했다.[2] 그는 스미스와 마찬가지로 더 공정한 산업 시스템을 갖추기 위해 세금을 줄여야 한다고 믿었다.[2] 생시몽은 생산적인 일의 방해를 막기 위해 경제에 대한 정부 개입을 최소화하기를 원했다.[2] 그는 스미스보다 더 강조해서 국가의 경제 관리가 일반적으로 기생적이며 생산의 필요에 적대적이라고 강조했다.[28] 스미스와 마찬가지로 생시몽의 사회 모델은 천문학의 과학적 방법을 모방했으며, "천문학자들은 관찰에 의해 검증된 사실만을 받아들였습니다. 그들은 그것들을 가장 잘 연결하는 시스템을 선택했고, 그 이후로 과학을 잘못 이끈 적이 없습니다."라고 말했다.[29]

생시몽은 프랑스 혁명을 경제적 변화와 계급 투쟁에 의해 주도된 격변으로 간주했다. 그는 프랑스 혁명으로 이어진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능력의 계층과 생산적인 노동에 대한 존중이 사회의 기반이 되는 산업 사회의 창설이 될 것이라고 믿었고, 세습적이고 군사적인 계층은 생산적인 사회를 이끌 능력이 없기 때문에 사회에서 중요성이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했다.[11]

생시몽의 교리 핵심은 부의 생산을 촉진하는 것이 사회의 중요한 과제이며, 따라서 산업 계급이 귀족과 성직자보다 중요하다는 것이다. 한 국가의 행정은 시민의 능력에 맡겨져야 하며, 재산권은 헌법보다 사회의 기반을 형성하는 데 더 중요하다. 그는 “50명의 물리학자, 과학자, 기술자, 노동자, 선주, 상인, 기능공의 사망은 돌이킬 수 없지만, 50명의 왕자, 궁정 신하, 대신, 고위 성직자의 공석은 쉽게 채울 수 있다”는 말을 공개적으로 언급하여 1819년에 기소되었다. 이 생산 활동을 하는 계급을 중시하는 점이 생시몽을 “테크노크라트의 예언자”로 평가하게 하는 부분이다.

생시몽의 경우, 자본가와 노동자는 모두 산업 계급이며, 그들의 대립은 문제시되지 않는다. 1810년대 영국의 노동자 반란인 러다이트 운동에 주목하고 있지만, “자본의 소유자는 그 정신적 우월성으로 무산자에 대해 권력을 획득했다”는 견해를 유지했다. 노동자는 스스로 자유를 획득해야 할 존재가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보호받아야 할 존재인 것이다. 생시몽은 레싱의 『인류의 교육』에 감화되어, 1819년 이후로는 기독교의 도덕을 산업 사회에 적용하는 방책을 꿈꾸었다. 즉, 새로운 기독교는 예배나 형식에서 벗어나, 인간은 서로 형제로서 행동해야 하며, 부유한 자는 가난한 자를 구제해야 한다는 인도주의로 기울었다.

3. 2. 인종관

생시몽은 유럽인이 우월하다고 믿었다. 오귀스탱 티에리와 함께 집필하고 1814년에 출판된 저서 《유럽 사회의 재편성(De la réorganisation de la société européenne)》에서 생시몽은 자신이 구상한 통합된 유럽이 세계의 나머지 지역을 식민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모든 다른 인종보다 우월한 유럽 인종으로 세계를 식민지화하고, 세계를 유럽처럼 접근 가능하고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드는 것, 이것이 바로 유럽 의회가 유럽을 끊임없이 활동적이고 행복하게 유지해야 하는 사업의 종류이다."[30] 《19세기 과학 작품 서론(Introduction aux œuvres scientifiques du XIXe siècle)》에서 생시몽은 생리학적 이유로 흑인이 유럽인과 동등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서한(Lettres)》에서 그는 "혁명가들은 평등의 원리를 흑인에게 적용했다. 만약 그들이 생리학자에게 물어봤다면, 흑인은 기본적인 신체 구조 때문에, 같은 교육을 받더라도 유럽인의 지적 수준에 도달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았을 것이다."라고 적었다.

얀 아이킹은 "생시몽의 중립적이고 기술관료적인 국제적 영역에 대한 이해는 기존의 사회적, 경제적, 인종적 계층 질서를 당연하게 여겼다"고 적었다.[31]

3. 3. 종교관

생시몽은 만년에 기독교 신앙에 관심을 가졌다. 《그리스도교 신앙》(Nouveau Christianisme)에서 그는 신의 존재를 믿는다는 전제하에, 기독교 교리를 단순하고 필수적인 요소로 환원하고자 했다. 그는 로마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 형태의 기독교에 존재하는 교리 및 기타 결점들을 제거함으로써 이를 실현하려 했다. 생시몽은 "새로운 기독교"에 대한 포괄적인 공식을 제시했는데, "사회 전체는 가장 가난한 계층의 도덕적, 물리적 삶의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하며, 사회는 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스스로를 조직해야 한다"는 것이었다.[32]

그는 레싱의 『인류의 교육』에 감화를 받아, 1819년 이후로는 기독교의 도덕을 산업 사회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즉, 새로운 기독교는 예배나 형식에서 벗어나, 인간은 서로 형제로서 행동해야 하며, 부유한 자는 가난한 자를 구제해야 한다는 인도주의적 경향을 띠게 되었다.

4. 영향

생시몽의 사상은 프랑스와 유럽의 테크노크라시 사상, 테크노크라틱 국제주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수에즈 운하, 해저터널, 크레디 모빌리에, 파리-리옹-지중해 철도와 같은 주요 산업 및 금융 프로젝트에도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33] 그의 제자 중 가장 유명한 사람은 오귀스트 콩트였다.[34]

1831년, 바르텔레미 프로스페 앙팡탱과 아망 바자르는 혁명적 동지회인 "진리의 친구들"의 기관지 ''르 글로브''를 인수했다.[35] 그러나 바자르는 종교적 성향을 띠게 된 그룹을 떠났고, 앙팡탱은 메닐몽탕에 공동체를 설립하여 자유연애를 장려하고 자신을 "하느님이 선택한 자"라고 선언했다.[35] 앙팡탱은 제자들과 함께 콘스탄티노플과 이집트로 탐험대를 조직하여 수에즈 운하 건설에 영향을 미쳤다.[36]

귀스타브 드 아이히탈은 생시몽주의 운동에 동조하여 생시몽주의적 개념을 발전시키고 프랑스 경제 발전에 참여했다. 그는 페르디낭 드 레셉스가 설립한 수에즈 운하 회사와 페레르 형제가 설립한 은행 크레디 모빌리에 등 여러 주요 기업을 설립했다.[37] 생시몽주의 사상은 1850년대 이후 영매술과 오컬티즘 같은 새로운 종교 운동에도 영향을 미쳤다.[38] 칼 마르크스는 생시몽주의자들을 "사회주의의 원조"라고 불렀다.[39]

칼 마르크스는 생시몽을 공상적 사회주의자 중 한 명으로 지목했지만, 역사가 앨런 라이언은 생시몽 자신이 아니라 그의 추종자들이 공상적 사회주의를 발전시켰다고 본다.[11] 라이언은 생시몽이 자본주의 사회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노동 계급의 독립적인 조직과 지도를 옹호하지 않았고, 생산 수단에 대한 통제에서 근본적인 사유 재산법에 의해 배제된다는 마르크스주의적 노동 계급의 정의에도 동의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11] 마르크스와 달리 생시몽은 생산 수단에 대한 계급 관계를 사회경제적 역동성의 원동력이 아닌 관리의 형태로 간주했다.[11] 또한 생시몽은 자본가들을 "산업 계급"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 간주했다.[41] 라이언은 1950년대에 이르러 생시몽이 산업 사회에 대한 "현대적" 이해를 예견했음이 분명해졌다고 제안한다.[11]

5. 주요 저서


  • Lettres d'un habitant de Genève|제네바 주민의 편지프랑스어(1803)[1]
  • De la réorganisation de la société européenne|유럽 사회의 재편성프랑스어(1814)[1]
  • L'Industrie|산업프랑스어(1816–1817)[1]
  • Politique|정치프랑스어(1819)[1]
  • L'Organisateur|조직자프랑스어(1819–1820)[1]
  • Du système industriel|산업 시스템프랑스어(1822)[1]
  • Catéchisme des industriels|산업주의자를 위한 교리문답프랑스어(1823–1824)[1]
  • Nouveau christianisme|새로운 기독교프랑스어(1825)[1]
  • 생시몽과 앙팡탱의 저작들은 그들의 추종자들에 의해 47권으로 편찬되어 파리에서 1865년부터 1878년까지 출판되었다.[1]

참조

[1] 서적 Revolution and the Republic: A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in France Since the Eighteenth Century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Encyclopedia of Nineteenth-century Thought Routledge
[3]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Literary Influences: The Nineteenth Century, 1800–1914 Greenwood Publishing Group
[4] 서적 Saint-Simonians in Nineteenth-Century France: From Free Love to Algeria Springer
[5] 서적 Restif (de la Bretonne) Nicolas Edme PUF
[6] 서적 John Stuart Mill: A Biograp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Political Economy from Below: Economic Thought in Communitarian Anarchism 1840–1914 Routledge
[8] 학술지 Lorenz von Stein as a disciple of Saint-Simon and the French Utopians
[9] 서적 Veblen's Century: A Collective Portrait
[10] 서적 Henri de Saint Simon, 1760–1825: Selected writings on science, industry and social organization Holmes and Meier Publishers, Inc
[11] 서적 On Politics
[12] 서적 National Economic Planning: What Is Left? Cato Institute
[13]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unication SAGE
[14] 웹사이트 Britannica http://global.britan[...] 2023-05-15
[15] 서적 Communism in History and Theory: From Utopian Socialism to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16] 서적 The Prophets of Paris Harper & Row
[17] 서적 Parting the desert: the creation of the Suez Canal https://archive.org/[...] Alfred A. Knopf
[18] 백과사전 Saint-Simon, Claude-Henri de Rouvroy (Comte de) Springer US
[19] 서적 Freedom and Its Betrayal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 서적 Parting the desert: the creation of the Suez Canal https://archive.org/[...] Alfred A. Knopf
[21] 서적 Œuvres complètes de Saint-Simon: 4 volumes https://books.googl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22] 서적 Danske EUropavisioner Systime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Auguste Comte: Volume 1: An Intellectual Biograph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서적 Fifty Thinkers Who Shaped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Atlantic Books
[27] 서적 Social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8] 서적 Early Modern Social Theory: Selected Interpretive Readings Canadian Scholars Press, Inc
[29] 서적 Early Modern Social Theory: Selected Interpretive Readings Canadian Scholars Press, Inc
[30] 웹사이트 Saint-Simon's vision of a united Europe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웹사이트 Saint-Simon’s Technocratic Internationalism, 1802–1825 https://intellectual[...] Oxford Centre for Intellectual History
[32] 서적 Nouveau christianisme (New Christianity)
[33] 학술지 A 'priesthood of knowledge': The international thought of Henri de Saint-Simon https://doi.org/10.1[...] 2023-06-10
[34] 서적 Parting the desert: the creation of the Suez Canal https://archive.org/[...] Alfred A. Knopf
[35] 서적 Faust: My Soul be Damned for the World https://books.google[...] AuthorHouse
[36] 서적 Parting the desert: the creation of the Suez Canal https://archive.org/[...] Alfred A. Knopf 2003
[37] 기타 Leopold 1998
[38] 기타 Strube 2016
[39] 서적 Saint-Simonians in Nineteenth-Century France: From Free Love to Algeria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K 2014-01-02
[40] 서적 Promenades dans Londres La Découverte 2003
[41] 서적 An Economic History of Europe 1760–1930 Routledge 2010
[42] 웹사이트 The Life of Monsignor Robert Hugh Benson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 Co. 1916
[43] 웹사이트 생시몽 [Saint-Simon, Comte De Claude Henri De Rouvroy] https://terms.naver.[...] 철학사전 2009
[44] 서적 내 머리로 생각하는 역사이야기 푸른나무 2009
[45] 웹사이트 클로드 생시몽 [Comte de Saint-Simon]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