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키니코스 학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키니코스 학파는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된 철학 학파로, '개'를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 이들은 자연에 따르는 삶을 통해 행복을 추구하며, 사회적 관습과 인위적인 가치를 거부하고 금욕적인 삶을 살았다. 키니코스 학파는 금욕주의와 무소유를 실천하고 사회를 비판하는 특징을 보였으며,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제국 시대에 걸쳐 영향을 미쳤다. 초기 기독교와도 연관성을 가지며, 현대적 시니시즘에도 영향을 주었다.

2. 명칭의 유래

'견유(犬儒)'라는 명칭은 '개'를 뜻하는 고대 그리스어 '퀴온(κύων)'에서 유래했다.[4] 이는 견유학파 철학자들이 개처럼 관습에 얽매이지 않고, 자연스러운 본능에 따라 살아가는 모습을 비유한 것이다.

안티스테네스가 아테네의 퀴노사르게스(흰 개의 장소)라는 체육관에서 가르쳤기 때문에 이 명칭이 붙었다는 설도 있다.[5]

후대 견유학파 철학자들은 '개'라는 명칭을 긍정적으로 해석하기도 했다. 그들은 개가 친구와 적을 구별할 줄 아는 것처럼, 자신들도 철학에 적합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구별한다고 주장했다.[8]

3. 철학

키니코스 학파는 헬레니즘 철학 중 가장 눈에 띄는 철학 중 하나였다.[9] 이들은 불확실성의 시대에 사람들에게 행복과 고통으로부터의 자유를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공식적인 키니코스 교리는 없었지만, 키니코스 학파의 근본 원리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10][11][12]


  • 삶의 목표는 ''에우다이모니아''와 정신적 명확성 또는 투명성(ἁτυφια, ''atuphia'')이다. 문자 그대로 "연기(τύφος, ''tuphos'')로부터의 자유"인데, 이는 그릇된 믿음, 무분별함, 어리석음, 자만을 의미했다.
  • ''에우다이모니아'', 즉 인간의 번영은 자족(αὐτάρκεια, ''autarkeia''), 평정심, ''아레테 (도덕적 덕)'', 인류애, ''파르헤시아'', 그리고 삶의 변화에 대한 무관심(''아디아포라'' ἁδιαφορία)에 달려 있다.[12]
  • ''에우다이모니아''는 인간의 이성으로 이해된 자연에 따라 삶으로써 달성된다.
  • 오만(τύφος)은 가치에 대한 그릇된 판단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부정적인 감정, 부자연스러운 욕망, 그리고 사악한 성격을 야기한다.
  • 키니코스 학파는 뻔뻔함이나 무례함(Αναιδεια, ''Anaideia'')을 실천하고 사회의 ''노모스'', 즉 사람들이 당연하게 여기는 법, 관습, 사회적 관례를 훼손했다.


upright


키니코스 학파는 이상적인 키니코스를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헤라클레스를 그들의 영웅으로 채택했다.[15] 헤라클레스는 "하데스의 개, 케르베로스를 저승에서 데려온 자였는데, 이는 개와 같은 인간인 시노페의 디오게네스에게 특별히 매력적인 점이었다."[16] 루키아노스에 따르면, "케르베로스와 키니코스는 개를 통해 분명히 관련이 있다."[17]

키니코스 학파의 삶의 방식은 판단과 정신적 인상을 연습하는 것뿐만 아니라 신체 훈련도 필요로 했다. 디오게네스는 두 종류의 운동, 즉 마음의 운동과 몸의 운동이 있는데, 후자는 마음의 빠르고 민첩한 인상을 만들어 미덕 실천에 도움이 되지만, 전자가 없이는 불완전하며, 건강과 활력은 마음과 몸 모두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18]

키니코스 학파는 사회에서 물러나지 않고 대중의 시선 속에서 살았으며, 관습에 얽매이지 않는 행동으로 인한 모욕에 무관심했다.[10] 이들은 코스모폴리탄주의를 발전시켰는데, 디오게네스는 자신이 어디 출신이냐는 질문에 "세계의 시민(''kosmopolitês'')"이라고 답했다.[19]

이상적인 키니코스 학파는 전도를 했다. 인류의 경비견으로서, 그들은 사람들의 잘못된 방식에 대해 끊임없이 쫓아다니는 것이 의무라고 생각했다.[10] 키니코스 학파는 주로 윤리학에 집중했지만, 모니무스와 같은 일부는 ''tuphos''(τῦφος)와 관련하여 인식론을 다루면서 회의주의적 견해를 표명했다.

키니코스 철학은 헬레니즘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고, 궁극적으로 스토아 철학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기원전 2세기에 글을 쓴 스토아 학파 셀레우키아의 아폴로도로스는 "키니코스 학파는 미덕으로 가는 지름길이다"라고 말했다.[20]

3. 1. 금욕주의와 무소유

키니코스 학파는 철저한 금욕주의와 무소유를 실천했다. 이들은 옷 한 벌, 지팡이, 빵 한 조각 등 최소한의 소유물만으로 생활하며, 자연스러운 욕구를 충족하는 데 만족했다.[10][14] 시노페의 디오게네스는 통 속에서 살고, 날고기를 먹는 등 극단적인 금욕 생활을 한 것으로 유명하다.[13] 이들은 부, 명성, 권력과 같은, 자연에서 가치가 없는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위해 금욕적인 수행을 했다.[13]

키니코스 학파는 재산이 없고 돈, 명성, 권력 및 평판과 같은 모든 관습적인 가치를 거부했다.[10] 자연에 따라 사는 삶은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의 필수품만을 요구하며, 관습의 결과인 모든 필요로부터 자신을 해방함으로써 자유로워질 수 있다고 보았다.[14]

3. 2. 사회 비판과 풍자

키니코스 학파는 기존 사회의 가치와 관습에 대해 비판적이고 풍자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들은 부, 명예, 권력에 대한 욕망을 어리석은 것으로 간주하고, 사회적 지위나 관습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삶을 추구했다.[10] 자연에 따라 사는 삶은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의 필수품만을 요구하며, 관습의 결과인 모든 필요로부터 자신을 해방함으로써 자유로워질 수 있다고 보았다.[14]

키니코스 학파의 대표적인 인물인 시노페의 디오게네스는 '개'(그리스어: κύων, 키온)라고도 불렸는데, '견유'라는 말은 여기서 유래했다. 그는 아테네에서 자족(아우타르케이아), 절약(아스키시스), 부끄럼 없음(아나이데이아)을 실천하며, 관습적인 가치를 거부하는 삶을 살았다. 예를 들어, 얇은 망토만 입고 겨울에 맨발로 다니거나, 길에서 자거나 날고기를 먹는 등의 기행을 일삼았다.[13]

디오게네스는 대낮에 등불을 켜고 "정직한 사람을 찾는다"라고 외치고 다녔다는 일화가 있는데, 이는 당시 사회의 부패와 위선을 풍자한 것으로 해석된다. 키니코스 학파는 인류의 감시견(watchdog)으로서, 사람들의 잘못된 방식에 대해 끊임없이 쫓아다니는 것이 그들의 의무라고 생각했다.[10] 키니코스 학파의 삶의 예와 통렬한 풍자는 일상적인 관례의 근본에 놓여 있는 허식을 파헤치고 폭로하는 역할을 했다.[10]

4. 역사

안티스테네스 흉상


고대 그리스고대 로마의 키니코스 학파는 을 행복의 유일한 필요 조건으로 여겼으며, 덕만으로도 행복을 얻기에 충분하다고 보았다. 이들은 덕을 완성하고 행복을 얻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 모든 것을 무시할 정도로 이 철학을 따랐다. '키니코스'라는 명칭은 그리스어 단어 ''κύων''(개라는 뜻)에서 유래했는데, 그들이 사회, 위생, 가족, 돈 등을 개와 흡사하게 무시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관습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자급자족하며, 자연에 따라 살아가고자 했다. 돈, 권력, 명성과 관련된 행복에 대한 모든 관습적인 개념을 거부하고, 완전히 덕 있는 삶, 즉 행복한 을 살고자 했다.[21]

고대 키니코스 학파는 관습적인 사회적 가치를 거부했으며, 탐욕과 같이 고통을 야기한다고 여겼던 행동들을 비판했다. 이러한 가르침은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22]에 현대적인 시니시즘에 대한 이해로 이어졌으며, "경멸적이거나 냉소적인 부정적인 태도, 특히 타인의 진실성이나 공언된 동기에 대한 일반적인 불신"으로 정의되었다.[23] 이는 "욕망으로부터의 해방을 통한 덕과 도덕적 자유"를 강조했던 고대 철학과 현저한 대조를 이룬다.[24]

피타고라스 학파 등 다양한 철학자들이 키니코스 학파보다 수 세기 전에 간소한 생활을 주창했다. 기원전 6세기 초에 스키타이인의 현자 아나카르시스는 그리스 관습 비판과 검소한 생활을 결합했다.[115] 기원전 5세기까지 소피스트가 종교, 법률, 윤리와 같은 그리스 사회의 많은 측면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러나 키니코스 학파에게 가장 직접적인 영향은 소크라테스였다. 그는 금욕적이지는 않았지만, 미덕에 대한 사랑과 부에 대한 무관심을 공언했고,[116] 여론에는 가치가 없다고 생각했다.[117] 플라톤 철학의 극히 일부를 형성한 소크라테스 사상의 이러한 측면이 소크라테스의 제자 안티스테네스에게는 핵심적인 착상이 되었다.

키니코스 학파는 고대 세계에서 낡은 클로크와 지팡이 장식품으로 인지되었다. 클로크는 소크라테스와 그의 의복에 대한 은유였으며, 지팡이는 헤라클레스의 곤봉에서 유래했다. 이들 품목은 키니코스 학파의 상징이 되었고, 고대 저술가들은 키니코스 학파의 장식을 착용하는 것이 철학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비난했다.[118]

아르카익 시대부터 고전기로 사회가 진화하면서 시민들은 도시 국가에 무기 반입을 금지했다. 처음에는 거리에 있는 동안 칼을 소지하는 것이 상정되었지만, 그것이 창으로 바뀌고, 그 후에는 지팡이가 되었으며, 거리에서 어떤 무기도 착용하는 것은 어리석은 낡은 습관이 되었다.[119] 따라서 지팡이를 소지하는 행위 자체가 약간 금기시되었다. 현대 이론가에 따르면, 지팡이의 상징은 육체 노동으로부터의 분리, 즉 명백한 여가를 나타내는 도구이며, 동시에 스포츠와의 관련성도 있어, 전형적으로 사냥이나 스포츠 의상의 일부로서의 역할도 한다. 따라서 그것은 약자가 자신을 지탱할 필요성의 상징이 아니라, 활동적이고 전쟁적인 자질을 나타낸다고 여겨진다.[120][121] 지팡이 자체가 여가의 품목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을 통해, 키니코스 학파가 얼마나 자유로운가라는 메시지가 되었고, 동시에 키니코스 학파 철학자들이 풍부하게 가지고 있던 미덕이라는 강함의 메시지였다고 한다.

기원전 4세기부터 기원전 3세기에는 오네시크리토스, 모니모스, 보뤼스테네스의 비온, 메니포스 등 다수의 키니코스 학파가 있었다. 그러나 기원전 3세기에 들어서 스토아 학파의 부상과 함께 진지한 철학 활동으로서의 키니코스 학파는 쇠퇴했고,[92][146] 로마 시대까지 부흥을 이루지 못했다.

장레옹 제롬의 그림, 『자신의 항아리에 앉아 있는 디오게네스』(1860)


기원전 2세기나 기원전 1세기에는 키니코스 학파에 대한 기록이 거의 없다. 로마 철학자 키케로는 키니코스 학파에 대해 "그것은 혐오해야 한다. 왜냐하면 (키니코스 학파는) 겸손함과는 반대이며, 그것 없이는 권리도 명예도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147]라고 말했다. 그러나 서기 1세기까지 키니코스 학파는 다시 등장했다. 로마 제국의 등장은 많은 사람들에게 무력감과 불만을 가져왔고, 그 때문에 자급자족과 내면의 행복을 중시하는 철학이 다시 성행했다.[148] 동 제국의 곳곳에서 키니코스 학파가 길거리에 서서 미덕에 대해 설교하는 모습이 보였다.[149] 루키아노스는 "모든 도시가, 특히 디오게네스, 안티스테네스, 크라테스의 이름을 적어 후원자가 되거나, 개 철학자 군단(Army of the Dog)에 입대하는 신참들로 넘쳐난다."라고 호소했고,[150] 아리스티데스는 "그들이 빈번하게 문을 찾아, 주인보다 문지기와 이야기하고, 뻔뻔함을 활용함으로써 자신들의 낮은 신분을 보충하고 있다."는 것을 목격했다고 한다.[151] 1세기의 키니코스 학파의 가장 두드러진 대표자는 데메트리우스였으며, 세네카는 그를 칭찬했다.[152] 로마 시대의 키니코스 학파는 풍자가의 표적이자 사상가의 이상이었다. 서기 2세기에 루키아노스는 키니코스 학파 철학자 페레그리누스 프로테우스를 경멸하는 한편,[153] 자신의 키니코스 학파 스승인 데모낙스를 칭찬했다.[154]

키니코스 학파는 스토아 학파의 이상적인 형태로 여겨졌고, 에픽테토스는 이상적인 키니코스 학파를 칭찬했다.[155] 에픽테토스에 따르면, 이상적인 키니코스 학파는 "선과 악에 관한 전도자로서 자신이 제우스로부터 사람들에게 보내졌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사람들이 빗나가고 있다는 것을 당사자들에게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했다.[156] 그러나 에픽테토스는 그 시대의 키니코스 학파의 많은 사람들이 그 이상을 따르지 않았다고 평했다.[157]

스토아 학파와는 달리, 키니코스 학파는 4세기에 번영한 것으로 보인다.[158] 황제 율리아누스 (재위 361-363년)는 에픽테토스처럼 이상적인 키니코스 학파를 칭찬하고 실제 키니코스 학파 실천자에 관해서는 쓴 소리를 했다.[159] 고전 시대사의 마지막에 기록된 키니코스 학파는 5세기 후반의 에메사의 살루스티우스이다.[160] 신플라톤주의 철학자의 제자인 알렉산드리아의 이시도루스는 금욕적인 키니코스 학파의 삶에 자신을 바쳤다.

일부 역사가들은 예수의 가르침과 키니코스 학파의 가르침 사이에 유사점이 있다고 지적한다. 일부 학자들은 마태오와 루카 복음서에 공통된 원자료로 여겨지는 가설상의 Q자료가 키니코스 학파의 가르침과 강한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161][162] 역사적 예수 탐구를 하는 학자들은 서기 1세기의 갈릴래아헬레니즘 사상이 유대교 사상 및 전통과 충돌하는 세계였다고 논한다. 나자렛에서 도보로 단 하루 거리인 가다라시는 특히 키니코스 학파 철학의 중심지로 주목받았으며,[163] 예수를 "오히려 일반적인 키니코스 학파 유형의 인물"로 평했다.[164] 존 도미닉 크로산에 따르면, 예수는 헬레니즘 유대교의 전통에서 생겨난 키니코스 학파 성인과 같은 인물이었다.[165] 다른 학자들은 예수가 키니코스 학파의 영향을 깊이 받았다는 것에 의문을 제기하며, 유대교 예언의 전통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166]

초기 기독교에서 키니코스 학파의 금욕주의적 습관은 기독교인들에게 채택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들은 종종 키니코스 학파와 동일한 수사학을 사용했다.[167] 일부 키니코스 학파는 권력자에게 반항적인 발언을 하여 순교했다.[168] 페레그리누스 프로테우스는 키니코스 학파로 개종하기 전에 한때 기독교인으로 생활했으며,[169] 4세기에는 알렉산드리아의 막시무스도 기독교인이면서 그의 금욕적인 생활양식 때문에 키니코스 학파라고 불렸다. 기독교 작가들은 종종 키니코스 학파의 청빈을 칭찬했지만,[170] 그들은 키니코스 학파의 뻔뻔함을 멸시했으며, 아우구스티누스는 키니코스 학파가 "남성의 겸손한 본능에 거스르며, 개에게나 어울리는 더럽고 부끄러운 의견을 높이 선언했다"고 말했다.[171] 기독교의 금욕적인 수도회는 초기 교회의 방랑하는 탁발 수도승에게서 볼 수 있듯이, 키니코스 학파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었다.[172] 에마뉘엘 대학교의 학자 레이프 E. 바쥬는 Q자료와 키니코스 서한과 같은 키니코스 학파 문서의 공통점을 비교했다.[161] 그 서한에는 키니코스 학파에 의해 설파된 지혜와 (종종 논쟁적인) 윤리가 순수함과 미적 실천의 감성과 함께 담겨 있다.[173]

2세기에 키니코스 학파의 크레스켄스는 유스티누스와 충돌하여, 그리스도 외의 신들의 거부와 자신들의 사원, 조각상, 희생의 결여를 언급하며 기독교인이 가장 큰 무신론자(atheotatous)라고 주장한 것이 기록되어 있다. 이는 잘 알려진 기독교에 대한 비판이며, 4세기까지 이어졌다.[174]

4. 1. 고대 그리스

안티스테네스소크라테스의 제자였다. 그는 "나는 배고프지 않을 만큼, 목마르지 않을 만큼 가졌다. 춥지 않을 만큼 입었다. 밖에 있을 때는 부자 칼리아스보다도 더 안락하다. 안에 있을 때는 따듯한데 왜 옷이 필요한가?"라고 말했다.[39]

시노페의 디오게네스는 견유 운동의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고향에서 위조 동전을 가려내 폭로하여 곤란을 겪게 된 아버지와 같이 아테네로 도망왔다. 그는 안티스테네스의 가르침을 받아들여 자족(아우타케이아), 절약(아스키시스), 부끄럼없음(아나이데이아)을 수행했다.[46] 그는 길에서 자거나 날고기를 먹는 등 기행을 일삼았으며, "개"라고 불렸다.[6]

"키니코스"라는 용어는 κυνικός|키니코스|개와 같은grc에서 유래되었으며, κύων|키온|개grc (소유격: kynos)에서 파생되었다.[4] 이는 안티스테네스가 아테네의 퀴노사르게스 체육관에서 가르쳤기 때문이라는 설과,[5] 초기 키니코스들이 관습을 부끄럼 없이 거부하고 거리에서 생활했기 때문에 붙여진 모욕적인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6] 디오게네스는 "다른 개들은 적을 물지만, 나는 친구를 구하기 위해 문다"라고 말하며 "개"라는 칭호를 즐겼다.[7]

키니코스 학파는 헬레니즘 철학 중 가장 눈에 띄는 철학 중 하나였다.[9] 공식적인 교리는 없었지만, 그 근본 원리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10][11][12]

  • 삶의 목표는 에우다이모니아와 정신적 명확성이다.
  • ''에우다이모니아''는 자족, 평정심, 아레테, 인류애, 파르헤시아, 그리고 삶의 변화에 대한 무관심에 달려 있다.
  • ''에우다이모니아''는 자연에 따라 삶으로써 달성된다.
  • 오만은 가치에 대한 그릇된 판단으로 인해 발생하며, 부정적인 감정과 사악한 성격을 야기한다.
  • 사람은 금욕적인 수행을 통해 부, 명성, 권력과 같은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워져야 한다.
  • 키니코스 학파는 뻔뻔함이나 무례함을 실천하고 사회의 노모스를 훼손했다.


키니코스 학파는 헤라클레스를 수호 영웅으로 채택했다.[15][16] 이들은 재산, 돈, 명성, 권력 등 모든 관습적인 가치를 거부했다.[10] 자연에 따라 사는 삶은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의 필수품만을 요구하며, 관습의 결과인 모든 필요로부터 자신을 해방함으로써 자유로워질 수 있다고 보았다.[14]

키니코스 학파의 삶은 판단과 정신적 인상을 연습하는 것뿐만 아니라 신체 훈련도 필요했다. 디오게네스는 마음과 몸의 운동 두 종류가 있으며, 몸의 운동은 마음의 인상을 민첩하게 만들어 미덕을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18]

키니코스 학파는 코스모폴리탄주의를 발명했다고 한다. 디오게네스는 어디 출신이냐는 질문에 "세계의 시민(''kosmopolitês'')"이라고 대답했다.[19] 이들은 전도하며 사람들의 잘못된 방식에 대해 끊임없이 쫓아다니는 것이 의무라고 생각했다.[10]

테베의 크라테스는 부유한 귀족 출신이었으나, 모든 재산을 포기하고 견유학파에 귀의했다. 그는 마로네이아의 히파르키아와 결혼하여 함께 거지 생활을 하며 견유학파의 가르침을 실천했다.[54]

키니코스 철학은 헬레니즘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고, 스토아 철학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스토아 학파 셀레우키아의 아폴로도로스는 "키니코스 학파는 미덕으로 가는 지름길이다"라고 말했다.[20]

4. 2.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제국

헬레니즘 시대에 키니코스 학파는 스토아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스토아 철학의 창시자인 키티온의 제논크라테스의 제자였으며,[3] 키니코스 학파의 금욕주의와 자연에 따르는 삶의 방식을 스토아 철학에 통합했다. 기원전 2세기에 스토아 학파 셀레우키아의 아폴로도로스는 "키니코스 학파는 미덕으로 가는 지름길이다"라고 말했다.[20]

로마 제국 시대에 키니코스 학파는 다시 부흥했다.[59] 로마의 키니코스 학파 철학자들은 거리에서 대중에게 덕을 설교하고, 황제와 귀족들의 사치와 부패를 비판했다. 루키아노스는 "모든 도시가 그런 벼락부자들로 가득 차 있는데, 특히 디오게네스, 안티스테네스, 크라테스를 후원자로 삼고 개의 군대에 입대한 자들이 그렇다."[63]라고 불평했다. 데메트리우스(Demetrius the Cynic)는 세네카(Seneca the Younger)로부터 "완벽한 지혜의 사람"[65]이라고 칭찬받은 대표적인 로마 시대 키니코스 학파 철학자이다. 2세기 루키아노스는 견유학자 페레그리누스 프로테우스를 비웃었지만,[66] 자신의 견유학 스승인 데모낙스를 칭찬했다.[67]

키니코스 학파는 스토아주의의 이상적인 형태로 여겨졌으며, 에픽테토스는 이상적인 키니코스 학파를 칭송했다.[68] 에픽테토스에 따르면, 이상적인 키니코스 학자는 "선과 악에 관해 사람들에게 제우스로부터 보낸 사자라는 것을 알아야 하며, 그들이 길을 잃었다는 것을 보여주어야 한다."[69]

스토아주의와 달리, 키니코스 학파는 4세기까지 번성한 것으로 보인다.[71] 율리아누스 황제는 에픽테토스처럼 이상적인 키니코스 학파를 칭찬하고 실제 키니코스 학파들을 비판했다.[72]

4. 3. 기독교와의 관계



일부 역사가들은 예수의 가르침과 키니코스 학파의 가르침 사이에 유사점이 있다고 지적한다. 일부 학자들은 마태오와 루카 복음서에 공통된 원자료로 여겨지는 가설상의 Q자료가 키니코스 학파의 가르침과 강한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161][162] 버튼 L. 맥이나 존 도미닉 크로산과 같은 역사적 예수 탐구를 하는 학자들은 서기 1세기의 갈릴래아헬레니즘 사상이 유대교 사상 및 전통과 충돌하는 세계였다고 논한다. 나자렛에서 도보로 단 하루 거리인 가다라시는 특히 키니코스 학파 철학의 중심지로 주목받았으며,[163] 맥은 예수를 "오히려 일반적인 키니코스 학파 유형의 인물"로 평했다.[164] 크로산에 따르면, 예수는 죄인의 대속물이 되어 죽는 그리스도나 독립적인 유대인 국가 이스라엘을 창설한 메시아라기보다는, 헬레니즘 유대교의 전통에서 생겨난 키니코스 학파 성인과 같은 인물이었다.[165] 다른 학자들은 예수가 키니코스 학파의 영향을 깊이 받았다는 것에 의문을 제기하며, 유대교 예언의 전통을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166]

초기 기독교에서 키니코스 학파의 금욕주의적 습관은 기독교인들에게 채택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들은 종종 키니코스 학파와 동일한 수사학을 사용했다.[167] 일부 키니코스 학파는 권력자에게 반항적인 발언을 하여 순교했다.[168] 키니코스 학파의 일원인 페레그리누스 프로테우스는 키니코스 학파로 개종하기 전에 한때 기독교인으로 생활했으며,[169] 4세기에는 알렉산드리아의 막시무스도 기독교인이면서 그의 금욕적인 생활양식 때문에 키니코스 학파라고 불렸다. 기독교 작가들은 종종 키니코스 학파의 청빈을 칭찬했지만,[170] 그들은 키니코스 학파의 뻔뻔함을 멸시했으며, 아우구스티누스는 키니코스 학파가 "남성의 겸손한 본능에 거스르며, 개에게나 어울리는 더럽고 부끄러운 의견을 높이 선언했다"고 말했다.[171] 기독교의 금욕적인 수도회는 초기 교회의 방랑하는 탁발 수도승에게서 볼 수 있듯이, 키니코스 학파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었다.[172] 에마뉘엘 대학교의 학자 레이프 E. 바쥬는 Q자료와 키니코스 서한과 같은 키니코스 학파 문서의 공통점을 비교했다.[161] 그 서한에는 키니코스 학파에 의해 설파된 지혜와 (종종 논쟁적인) 윤리가 순수함과 미적 실천의 감성과 함께 담겨 있다.[173]

2세기에 키니코스 학파의 크레스켄스는 유스티누스와 충돌하여, 그리스도 외의 신들의 거부와 자신들의 사원, 조각상, 희생의 결여를 언급하며 기독교인이 가장 큰 무신론자(atheotatous)라고 주장한 것이 기록되어 있다. 이는 잘 알려진 기독교에 대한 비판이며, 4세기까지 이어졌다.[174]

5. 한국 사회에의 시사점

견유학파의 철학은 과도한 물질주의와 소비주의가 만연한 현대 한국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들은 부와 명예, 권력에 대한 욕망을 버리고, 자연에 따르는 소박한 삶을 통해 진정한 행복을 찾을 수 있다고 가르친다.[10] 자연에 따라 사는 삶은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의 필수품만을 요구하며, 관습의 결과인 모든 필요로부터 자신을 해방함으로써 자유로워질 수 있다.[14]

견유학파의 사회 비판 정신은 권력에 대한 감시와 비판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일깨워준다. 특히 언론과 시민단체의 역할이 중요한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 견유학파의 비판 정신은 건강한 사회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키니코스 학파는 뻔뻔함이나 무례함(grc)을 실천하고 사회의 노모스, 즉 사람들이 당연하게 여기는 법, 관습, 사회적 관례를 훼손했다. 이상적인 키니코스 학파는 전도할 것이다. 인류의 경비견으로서, 그들은 사람들의 잘못된 방식에 대해 끊임없이 쫓아다니는 것이 그들의 의무라고 생각했다.[10]

다만, 견유학파의 극단적인 금욕주의와 사회적 관습에 대한 무조건적인 거부는 현대 사회에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견유학파의 철학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현대 사회에 맞게 재해석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참조

[1] 서적 The Roman Nude: Heroic Portrait Statuary 200 BC–AD 300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 문서 Laërtius & Hicks 1925, VI:23; Jerome, Adversus Jovinianum, 2.14
[3] 논문 1937
[4] 웹사이트 "'Kynikos'", "A Greek-English Lexicon", Liddell and Scott, at Perseus https://www.perseus.[...]
[5] 문서 Diogenes Laërtius, vi. 13. Cf. 'The Oxford Companion to Classical Literature', 2nd edition, p. 165.
[6] 문서 An obscure reference to "the Dog" in Aristotle's 'Rhetoric' (3.10.1411a25) is generally agreed to be the first reference to Diogenes.
[7] 문서 Diogenes of Sinope, quoted by Stobaeus in 'Anthology', Book 3, Chapter 13, Paragraph 44. "Ὁ Διογένες ἔλεγεν, ὄτι οἱ μὲν ἄλλοι κύνες τοὺς ἐχθροὺς δάκνουσιν, ἐγὼ δὲ τοὺς φίλους, ἵνα σώσω." https://archive.org/[...]
[8] 논문 Christian August Brandis, Scholium on Aristotle's ''Rhetoric'' 1937
[9] 논문 1996
[10] 논문 2005
[11] 논문 1996
[12] 서적 Classical Cynicism: A Critical Study
[13] 웹사이트 Philosophy in the Hellenistic and Roman World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14] 논문 1996
[15] 문서 Diogenes Laërtius, vi. 2, 71; Dio Chrysostom, Orations, viii. 26–32; Pseudo-Lucian, Cynicus', 13; Lucian, De Morte Peregrini', 4, 33, 36. https://penelope.uch[...]
[16] 서적 Freedom https://books.google[...]
[17] 문서 Lucian, Dialogues of the Dead, 21 http://www.theoi.com[...]
[18] 문서 Diogenes Laërtius, vi. 70
[19] 문서 Diogenes Laërtius, vi. 63
[20] 문서 Diogenes Laërtius, vii. 121
[21] 웹사이트 Cynics http://www.iep.utm.e[...]
[22] 서적 The Making of Modern Cynicism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2007
[23] 웹사이트 Cynicism http://dictionary.re[...] Houghton Mifflin Company 2006
[24] 서적 A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Simon and Schuster
[25] 논문 The Scythian Accent: Anacharsis and the Cynics
[26] 문서 Plato, Apology, 41e https://www.gutenber[...]
[27] 문서 Xenophon, Apology, 1 https://www.gutenber[...]
[28] 문서 Epictetus, 3.22
[29] 문서 Aristotle, Politics (Aristotle): bk 2, 1268b
[30] 문서 Veblen, 1994 [1899]: 162
[31] 논문 The taming of the aristoi – an ancient Greek civilizing process? 2014-07
[32] 논문 1937
[33] 논문 2000
[34] 문서 Xenophon, Symposium, 4.57–64 https://www.gutenber[...]
[35] 문서 Diogenes Laërtius, vi. 2
[36] 인용 Diogenes Laërtius, vi. 15–18
[37] 서적 2005
[38] 서적 1996
[39] 서적 Symposium https://www.gutenber[...]
[40] 인용 Diogenes Laërtius, vi. 20–21
[41] 인용 Diogenes Laërtius, vi. 20, 71
[42] 인용 Diogenes Laërtius, vi. 6, 18, 21; Aelian, x. 16; Epictetus, ''Discourses'', iii. 22. 63
[43] 서적 1996
[44] 서적 1937
[45] 서적 2005
[46] 서적 Ancient Science Through the Golden Age of Greece Dover Publications 1980
[47] 인용 Diogenes Laërtius, vi. 23; Jerome, Adversus Jovinianum, 2.14
[48] 인용 Diogenes Laërtius, vi. 34
[49] 인용 Diogenes Laërtius, vi. 66
[50] 서적 1996
[51] 인용 Diogenes Laërtius, vi. 87–88
[52] 인용 Diogenes Laërtius, vi. 85, 87; Epictetus, ''Discourses'', iii. 22. 63
[53] 서적 1996
[54] 인용 Although there is no mention in ancient sources of them actually begging. Cf. Doyne Dawson, (1992), ''Cities of the gods: communist utopias in Greek thought'', p. 135. Oxford University Press
[55] 인용 Plutarch, ''Symposiacs'', 2.1; Apuleius, ''Florida'', 22; Julian, ''Orations'', 6.201b
[56] 인용 Diogenes Laërtius, i. 15, vi. 105, vii. 2, etc
[57] 서적 1991
[58] 서적 2000
[59] 서적 1986
[60] 서적 De Officiis
[61] 서적 1937
[62] 웹사이트 De Morte Peregrini http://www.sacred-te[...]
[63] 웹사이트 Fugitivi http://www.sacred-te[...]
[64] 인용 Aelius Aristides, iii. 654–694
[65] 웹사이트 De Beneficiis https://www.gutenber[...]
[66] 웹사이트 De Morte Peregrini http://www.sacred-te[...]
[67] 웹사이트 Demonax https://www.gutenber[...]
[68] 웹사이트 Discourses http://classics.mit.[...]
[69] 웹사이트 Discourses http://classics.mit.[...]
[70] 웹사이트 Discourses http://classics.mit.[...]
[71] 서적
[72] 문서 "Oration 6: To the Uneducated Cynics; Oration 7: To the Cynic Heracleios"
[73] 문서 "Life of Isidorus"
[74] 서적 "Galilean Upstarts: Jesus' First Followers According to Q" TPI
[75] 서적 "Cynics and Christian Origins" T. & T. Clark
[76] 문서 Menippus, Meleager of Gadara, and Oenomaus of Gadara
[77] 웹사이트 "Who was Jesus?" https://web.archive.[...] Time 1988-08-15
[78] 서적 "The Historical Jesus: The Life of a Mediterranean Jewish Peasant"
[79] 서적 "Life of Jesus Research: An Annotated Bibliography" Brill
[80] 간행물 "Cristianos y cinicos. Una tificacion del fenomeno cristiano durante el siglo II" Memorias de Historia Antigua 7
[81] 웹사이트 "Epitome of book 65" https://penelope.uch[...]
[82] 웹사이트 "De Morte Peregrini" http://www.sacred-te[...]
[83] 문서 adv. Cels.
[84] 문서 De Civitate Dei
[85] 서적
[86] 서적 "Cynic Epistles (Selections)" Continuum International
[87]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atheis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04-09
[88] 웹사이트 "キュニコス派" https://kotobank.jp/[...]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89] 블로그 "教養は若者にとっては気品である" https://www.komazawa[...] 駒澤大学 2012-03-27
[90] 웹사이트 "キュニコス学派" https://kotobank.jp/[...]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91] 문서
[92] 서적
[93] 웹사이트 "Kynikos" https://www.perseus.[...] Liddell and Scott
[94] 서적
[95] 사전 広辞苑
[96] 문서 "the Dog"
[97] 문서 Florilegium Stobaeus
[98] 서적 Scholium on Aristotle's Rhetoric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Classical Cynicism: A Critical Study
[103] 서적 Philosophy in the Hellenistic and Roman World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104] 서적
[105] 웹사이트 https://penelope.uch[...]
[106] 서적 Freedom https://books.google[...]
[107] 웹사이트 Dialogues of the Dead, 21 http://www.theoi.com[...]
[108] 문서 vi. 70
[109] 문서 vi. 63
[110] 문서 vii. 121
[111] 웹사이트 Cynics http://www.iep.utm.e[...]
[112] 서적 The Making of Modern Cynicism University of Virginia Press 2007
[113] 웹사이트 Cynicism http://dictionary.re[...] Houghton Mifflin Company 2006
[114] 서적 A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Simon and Schuster
[115] 간행물 The Scythian Accent: Anacharsis and the Cynics 1996
[116] 서적 Apology https://www.gutenber[...]
[117] 서적 Apology https://www.gutenber[...]
[118] 문서 3.22
[119] 서적 Politics (Aristotle)
[120] 문서 1994[1899]: 162
[121] 간행물 The taming of the aristoi - an ancient Greek civilizing process? 2014-07
[122] 간행물 1937
[123] 간행물 1996
[124] 서적 Symposium https://www.gutenber[...]
[125] 문서 vi. 2
[126] 문서 vi. 15-18
[127] 간행물 2005
[128] 간행물 1996
[129] 서적 Symposium https://www.gutenber[...]
[130] 문서 vi. 20-21
[131] 문서 vi. 6, 18, 21; Aelian, x. 16; Epictetus, Discourses, iii. 22. 63
[132] 간행물 1996
[133] 간행물 1937
[134] 간행물 2005
[135] 서적 Ancient Science Through the Golden Age of Greece Dover Publications 1980
[136] 문서 vi. 23; Jerome, Adversus Jovinianum, 2.14
[137] 문서 vi. 34
[138] 문서 vi. 66
[139] 간행물 1996
[140] 문서 vi. 85, 87; Epictetus, Discourses, iii. 22. 63
[141] 인용
[142] 서적 Cities of the gods: communist utopias in Greek thought Oxford University Press
[143] 고전 Symposiacs, Florida, Orations
[144] 고전
[145] 인용
[146] 인용
[147] 고전 De Officiis
[148] 인용
[149] 웹사이트 De Morte Peregrini http://www.sacred-te[...]
[150] 웹사이트 Fugitivi http://www.sacred-te[...]
[151] 기타
[152] 웹사이트 De Beneficiis https://www.gutenber[...]
[153] 웹사이트 De Morte Peregrini http://www.sacred-te[...]
[154] 웹사이트 Demonax https://www.gutenber[...]
[155] 웹사이트 Discourses http://classics.mit.[...]
[156] 웹사이트 Discourses http://classics.mit.[...]
[157] 웹사이트 Discourses http://classics.mit.[...]
[158] 인용
[159] 기타 Oration 6: To the Uneducated Cynics, Oration 7: To the Cynic Heracleios
[160] 기타 Life of Isidorus
[161] 서적 Galilean Upstarts: Jesus' First Followers According to Q TPI
[162] 서적 Cynics and Christian Origins T. & T. Clark
[163] 기타
[164] 뉴스 Who was Jesus? http://www.time.com/[...] Time 1988-08-15
[165] 서적 The Historical Jesus: The Life of a Mediterranean Jewish Peasant
[166] 서적 Life of Jesus Research: An Annotated Bibliography BRILL
[167] 서적 Cristianos y cinicos. Una tificacion del fenomeno cristiano durante el siglo II Memorias de Historia Antigua 7
[168] 웹사이트 Epitome of book 65 https://penelope.uch[...]
[169] 웹사이트 De Morte Peregrini http://www.sacred-te[...]
[170] 기타
[171] 기타 De Civitate Dei
[172] 인용
[173] 서적 Cynic Epistles (Selections), Ascetic Behavior in Greco-Roman Antiquity: A Sourcebook Continuum International
[174]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atheis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04-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