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격방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격 방해는 야구 경기에서 타자가 타격 시 포수 또는 야수가 타자나 배트에 닿아 타격을 방해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포수가 타자나 배트에 닿거나, 공을 잡기 전에 홈 플레이트 위 또는 앞으로 나오는 경우, 또는 야수가 번트를 막으려다 타격을 방해하는 경우 등이 타격 방해로 선언될 수 있다. 타격 방해가 발생하면 타자는 1루를 얻고, 주자는 안전 진루권을 부여받으며, 플레이가 지속된 경우 감독의 선택에 따라 플레이 결과를 활용하거나 타격 방해로 인한 안전 진루권을 선택할 수 있다.

2. 타격 방해의 정의 및 발생 상황

야구 규칙에서는 타석에 들어선 타자의 타격을 고의로 방해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를 어길 경우 타자에게는 볼넷이나 몸에 맞는 공처럼 자동으로 1루에 진출할 기회가 주어진다. 만약 1루에 주자가 있다면 해당 주자에게는 안전진루권이 주어지며, 만루 상황에서는 3루 주자가 안전진루권을 통해 자동으로 홈플레이트에 들어와 득점으로 인정된다.

타격 방해로 인해 타자가 1루를 얻었을 경우, 타자는 타석을 완료한 것으로 간주되지만 타수는 계산되지 않는다. 타격 방해를 한 야수에게는 실책이 기록된다. 영어권에서는 수비 방해와 마찬가지로 인터피어런스(interference)의 일종으로 간주된다.

2. 1. 타격 방해가 선언되는 경우

타격 방해는 대부분 포수가 타자 또는 타자의 배트에 닿으면서 발생하지만, 내야수가 타격 방해를 하는 경우에도 타격 방해가 될 수 있다(예: 번트를 막으려던 1루수가 지나치게 앞으로 나와 수비를 한 경우 등).[1] 타격 방해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선언된다.[1]

  • 포수가 타자 또는 타자의 배트에 닿았을 경우. 미트를 비롯하여, 포수가 착용하고 있는 야구 장비에 닿았을 경우도 마찬가지이다.[1]
  • 포수가 공을 잡지 않은 상태에서 홈 위 또는 홈보다 앞으로 나왔을 경우.[1]
  • 타자가 치기 전에, 포수 또는 야수가 투구를 홈 위 또는 홈보다 앞에서 잡았을 경우.[1]

2. 2. 예외

로진백을 가루가 흩날릴 정도로 손에 묻혀 투구하는 등 투수 측이 행하는 타자에 대한 방해 행위는 타격 방해가 아닌 반칙 투구에 해당한다.

3. 타격 방해 발생 시 처리

야구 규칙에 따르면 타석에 들어선 타자의 타격을 고의로 방해하면 안 된다. 이를 어기면 타자는 볼넷이나 몸에 맞는 공처럼 자동으로 1루에 진출하며, 1루에 주자가 있다면 해당 주자에게는 안전진루권이 주어진다. 만루 상황에서는 3루 주자가 안전진루권으로 홈에 들어와 득점하게 된다.

타격 방해는 주로 포수가 타자나 타자의 배트에 닿아 발생하지만, 내야수가 타격 방해를 할 수도 있다. (예: 번트를 막으려던 1루수가 지나치게 앞으로 나와 수비) 타격 방해로 타자가 1루에 나가면 타석은 완료되지만 타수는 계산되지 않는다. 타격 방해를 한 야수에게는 실책이 기록된다. 타격에 대한 방해 행위는 수비 방해와 마찬가지로 영어권에서는 인터피어런스(interference)의 일종으로 간주된다.

투수가 로진백을 가루가 흩날릴 정도로 손에 묻혀 투구하는 행위는 타격 방해가 아닌 반칙 투구에 해당한다.

타격 방해가 발생했을 때, 발생 후에도 플레이가 계속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처리가 달라진다.

3. 1. 플레이가 지속되지 않은 경우

심판은 타격 방해를 선언하고 볼 데드를 선언한다. 타자에게는 1루가 주어지고, 1루 주자와 같이 원래 루를 양보해야 하는 주자(1루에 주자가 있을 때의 2루 주자와, 만루시의 3루 주자)에게도 다음 루가 주어진다. 타격 방해로 3루 주자가 홈으로 들어와 득점하더라도, 투수의 자책점에는 포함되지 않는다.[5] 주자가 도루를 시도하고 있었을 경우에는 도루에 의한 진루가 인정된다. 단, 도루할 루를 점유하고 있는 주자(예를 들어 2루 주자가 3루 도루를 하려고 했을 때의 3루 주자)가 도루를 시도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앞선 주자에게 진루가 인정되지 않아 결과적으로 도루에 의한 진루가 인정되지 않게 된다.

3루 주자가 스크(squeeze play) 또는 도루를 시도했을 때, 포수나 다른 야수가 공을 가지고 있지 않은 채로 홈 플레이트 위 또는 앞으로 나왔을 경우에는 투수에게 보크를 선언하고, 3루 주자를 포함한 모든 주자에게 1개의 안전 진루권을 부여한다. 또한 타격 방해를 선언하여 타자에게도 1루를 부여한다. 이때는 볼 데드가 된다.[5] 단, 투수가 투수판(플레이트)을 벗어나 포수에게 '''송구'''[6]한 경우에는 포수가 홈 플레이트 위로 나와 공을 잡는 것은 정당한 수비 행위이며, 이것을 타자가 치는 것은 오히려 수비 방해에 해당한다.[7]

3. 2. 플레이가 지속된 경우

타자가 안타, 야수의 실책, 야수 선택, 사사구, 포일 등으로 1루에 도달하고, 모든 주자가 1개 이상 진루한 경우에는 방해와 관계없이 플레이가 계속된다.[12] 타자와 모든 주자가 1개 이상 진루하고, 더 나아가 진루하려다 아웃된 타자나 주자가 있었다고 해도 마찬가지다. 타격 방해로 인한 실책도 기록되지 않는다.

그 외의 경우(1개도 진루하지 못한 타자 또는 주자가 있을 때)에는 "플레이가 계속되지 않은 경우"와 동일하게 처리한다. 단, 공격 측 팀 감독은 타격 방해로 인한 안전 진루권을 얻는 대신 플레이 결과를 활용할 것을 구심에게 통고할 수 있는데, 이를 '''감독의 선택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감독이 플레이 결과를 선택하면 취소할 수 없다. 예를 들어 3루 주자의 태그업에 의한 베이스 이탈이 빨라 수비 측이 어필하여 3루 주자가 아웃되어도, 통고를 취소하고 타격 방해로 되돌릴 수 없다.

다음은 플레이가 지속된 경우의 예시이다.

  • '''예 1''': 무사 2루에서 타자가 타격 방해에도 불구하고 희생 번트를 성공시켜 타자 주자는 1루에서 아웃, 2루 주자가 3루로 진루했다.
  • 공격 측 팀 감독이 플레이를 활용하기로 선택한 경우: 타자 주자가 아웃되고 2루 주자가 3루로 진루하여 1사 3루에서 경기가 재개된다.
  • 투구와 동시에 2루 주자가 스타트를 끊어 도루를 시도하고 있었던 경우: 이 도루에 의한 진루가 인정되므로 2루 주자에게 3루를 주어 무사 1·3루에서 경기를 재개한다.
  • '''예 2''': 1사 3루에서 타자가 타격 방해에도 불구하고 외야로 플라이볼을 쳐서 잡히고, 타자는 아웃, 3루 주자는 태그업하여 홈에 도달했다.
  • 공격 측 팀 감독이 플레이를 활용하기로 선택한 경우: 타자 주자가 아웃되고 3루 주자의 득점이 인정된다. 1점을 얻어 2사 주자 없는 상태에서 경기가 재개된다.


실제 경기 사례는 다음과 같다.

  • 2008년 5월 31일,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대 주니치 드래곤스 1차전 (세이부 돔): 2회 말 세이부 공격, 1사 1, 3루에서 타자 호소카와 토루의 배트가 주니치 포수 오다 코헤이의 미트에 닿았다. 타구는 2루수 앞으로 굴러가 2루수가 잡아 1루로 송구, 호소카와는 아웃되었지만 1, 3루 주자는 모두 진루했다. 세이부 와타나베 히사노부 감독은 타격 방해 대신 플레이를 선택, 1점을 얻고 2사 2루가 되었다.
  • 2014년 4월 16일, 뉴욕 양키스시카고 컵스 (양키 스타디움): 5회 말 양키스 공격, 1사 3루에서 타자 자코비 엘스버리가 투수 땅볼을 쳐 3루 주자가 홈으로 들어오고 타자는 아웃되었다. 타격 시 엘스버리의 배트가 컵스 포수 존 베이커의 미트에 닿았다. 양키스 조 지라디 감독은 타격 방해 대신 플레이를 선택, 1점을 얻고 2사 주자 없음이 되었다.[12]

4. 타격 방해 관련 기록 및 사례

일본 프로 야구주니치 드래건스에서 활약한 나카 토시오는 통산 21회로 NPB 사상 최다 타격 방해를 기록했다.[8][9] MLB 최다 안타 기록자인 피트 로즈(통산 29회, MLB 2위), NPB 최다 안타 기록자인 장훈(통산 10회, NPB 7위)과 같이, 미국과 일본 모두 통산 타수보다 안타나 출루가 많은 타자일수록 타격 방해가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8][9]

NPB 통산 2000안타 이상 타자 중 통산 타석 1위인 노무라 가쓰야(11970타석)와 2위인 오 사다하루(11866타석)는 타격 방해를 한 번도 기록하지 않았지만, 3위인 장훈(11122타석)과 10위권 밖인 야마우치 가즈히로(8898타석)는 각각 통산 10회를 기록했다.[9]

히로오 아키라는 NPB에서 타격 방해 상위 10걸은 모두 삼진이 적고 배트 컨트롤이 뛰어난 교타자 경향이 있다고 언급하며, 마쓰이 히데키의 발언을 인용해 타격 방해는 "야구를 잘 아는 타자의 비장의 카드"라는 설을 제시한다.[9] 히로오는 또한, 타격 방해가 시즌 기록에서 특정 선수의 특정 시즌에 갑자기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고 덧붙였다.[10]

조 지라디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자코비 엘스버리(통산 31회, 2018년 시점 MLB 최다), 칼 크로포드(통산 17회, 동 5위), 조쉬 레딕(통산 15회, 동 9위) 등 "타격 방해로 악명이 높다"고 인식되는 타자들이 있다고 한다.[8]

4. 1. 타격 방해 다발 타자

타격 방해는 타자의 배트와 포수의 미트가 접촉하여 기록되는 특성상, 미국과 일본 모두 특정 타자에게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8][9] 일본 프로 야구주니치 드래건스에서 활약한 나카 토시오는 통산 21회로 NPB 사상 최다 타격 방해를 기록했다.

MLB 사상 최다 안타를 기록한 피트 로즈(통산 29회, MLB 사상 2위), NPB 사상 최다 안타를 기록한 장훈(통산 10회, NPB 사상 7위)과 같이, 미국과 일본 모두 통산 타수보다 안타나 출루가 많은 타자일수록 타격 방해가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8][9]

NPB에서는 통산 2000안타 이상 타자 중 통산 타석 사상 최다인 노무라 가쓰야(11970타석), 2위인 오 사다하루(11866타석)는 생애 한 번도 타격 방해를 기록하지 않았지만, 3위인 장훈(11122타석), 10위권 밖인 야마우치 가즈히로(8898타석)는 각각 통산 10회를 기록했다.[9]

히로오 아키라에 따르면, NPB에서 타격 방해 상위 10걸은 모두 삼진이 적고 배트 컨트롤이 뛰어나다고 여겨지는 교타자 경향이 있다고 언급하며, 마쓰이 히데키의 담화를 근거로, 타격 방해는 "야구를 잘 아는 타자의 비장의 카드"라는 설을 제시하고 있다.[9] 히로오는 또한, 타격 방해는 시즌 기록에서 특정 선수의 특정 시즌에 갑자기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10]

조 지라디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자코비 엘스버리(통산 31회, 2018년 시점 MLB 사상 최다), 칼 크로포드(통산 17회, 동 5위), 조쉬 레딕(통산 15회, 동 9위) 등 "타격 방해로 악명이 높다"고 명확하게 인식되는 타자들이 존재한다고 한다.[8]

4. 2. 끝내기 타격 방해 (KBO)

KBO 리그에서는 끝내기 타격방해가 3번 발생했다.

4. 3. 감독의 선택권 관련 사례


  • 2008년 5월 31일,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대 주니치 드래곤스 1차전 (세이부 돔): 2회 말 세이부의 공격 시, 1사 1, 3루에서 타자 호소카와 토루의 배트가 주니치 오다 코헤이 포수의 미트에 닿았다. 타구는 2루수 앞에 굴러갔고, 2루수가 1루로 송구해 호소카와는 아웃되었지만 1, 3루 주자는 모두 진루했다. 와타나베 히사노부 세이부 감독은 타격 방해로 1사 만루가 되는 대신, 플레이 결과대로 1점을 얻고 2사 2루가 되는 것을 선택했다.
  • 2014년 4월 16일, 뉴욕 양키스시카고 컵스 (양키 스타디움): 5회 말 양키스 공격 시, 1사 3루에서 타자 자코비 엘스버리가 투수에게 땅볼을 쳤고, 그 사이 3루 주자가 홈으로 들어와 1점을 얻었으며 타자는 아웃되었다. 타격 시 엘스버리의 배트가 존 베이커 컵스 포수의 미트에 닿았다. 조 지라디 양키스 감독은 타격 방해로 1사 1, 3루가 되는 대신, 플레이 결과대로 1점을 얻고 2사 주자 없는 상황을 선택했다.[12]

5. 기타

포수가 타자 또는 타자의 배트에 닿아 타격 방해가 발생하지만, 내야수가 타격 방해를 한 경우에도 타격 방해가 될 수 있다. (예: 번트를 막으려던 1루수가 지나치게 앞으로 나와 수비를 한 경우 등) 타격 방해로 인해 타자가 1루를 얻었을 경우, 타자는 타석을 완료한 것으로 간주되지만 타수는 계산되지 않는다. 타격 방해 행위를 한 야수에게는 실책이 기록된다. 영어권에서는 수비 방해와 마찬가지로 interference(인터피어런스)의 일종으로 간주된다.

한편, 로진백을 가루가 흩날릴 정도로 손에 묻혀 투구하는 등 투수 측이 행하는 타자에 대한 방해 행위는 타격 방해가 아닌 반칙 투구에 해당한다.

참조

[1] 규칙 公認野球規則6.01(c)
[2] 규칙 公認野球規則9.12(c)
[3] 뉴스 【侍ジャパン】韓国メディアが伊藤の〝ロジン問題〟を猛批判「打者が混乱を引き起こす」 https://www.tokyo-sp[...] 東京スポーツ 2021-08-05
[4] 뉴스 「指に異物つけ投球」取り締まり強化にダルビッシュが激怒する理由 https://www.excite.c[...] エキサイトニュース 2021-06-08
[5] 규칙 公認野球規則6.01(g)
[6] 문서
[7] 규칙 公認野球規則6.01【注4】
[8] 뉴스 ポストシーズンで「打撃妨害」が激増しているワケ【後編】 https://www.sporting[...] スポーティングニュース・ジャパン 2018-10-27
[9] 뉴스 野球を知り尽くした打者の“裏技?”「打撃妨害」の奥深い世界 https://friday.kodan[...] FRIDAYデジタル 2021-04-20
[10] 뉴스 シーズン打撃妨害ランキング http://baseballstats[...] 野球の記録で話したい 2021-04-23
[11] 웹사이트 【9月7日】2006年(平18)こんなことって…佐伯貴弘“初体験”のサヨナラ勝ち http://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5-08-04
[12] 웹사이트 ヤ軍 珍プレーで3点目 打撃妨害で“得点選択” https://www.sponichi[...] 스포ニチア넥스 2014-04-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