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우포 화산지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우포 화산 지대는 뉴질랜드 북섬에 위치하며, 길이 약 350km, 폭 50km에 달하는 활화산 지대이다. 이 지대는 오스트레일리아 판과 태평양 판의 섭입으로 인한 열곡대로, 루아페후 산, 와카아리 / 화이트 섬 등을 포함한다. 타우포 화산 지대는 활발한 화산 활동을 보이며, 지진, 화산 분화 등의 위험이 존재한다. 뉴질랜드 정부는 GeoNet 프로젝트를 통해 화산 활동과 지진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질랜드의 화산 작용 - 커르머덱 제도
커르머덱 제도는 뉴질랜드 북동쪽의 화산군도로, 프랑스 탐험대 선장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폴리네시아인 기착지 및 포경 기지 역사를 지니고 있고 현재는 기상 관측소와 자연보존부 기지가 운영되며 아열대 기후와 해양 생태계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베이오브플렌티 지방의 지리 - 마웅가누이산
마웅가누이산은 뉴질랜드 타우랑가 항구 입구에 있는 휴화산으로, 마오리어 이름인 마웅가누이와 마우아오로 불리며, 마오리족 전설과 관련된 신성한 장소이자 지역 명소이다. - 베이오브플렌티 지방의 지리 - 플렌티만
플렌티만은 뉴질랜드 북섬에 있는 다양한 지리적 특징과 여러 강, 활화산인 화이트 섬을 가진 만으로, 온대 기후를 띠며 역사적으로 마오리족과 유럽인의 갈등과 변화, 최근 해양 환경 및 안전 문제를 겪었다. - 와이카토 지방의 지리 - 와이토모 동굴
뉴질랜드 북섬에 있는 와이토모 동굴은 종유석, 석순, 푸른빛을 내는 반딧불이 유충 글로웜 서식지로 유명한 관광 명소이며, 마오리족에게 중요한 역사적 장소로서 1900년대 초부터 상업적인 관광이 시작되어 뉴질랜드 대표 관광지로 자리매김하였다. - 와이카토 지방의 지리 - 와이카토강
와이카토 강은 뉴질랜드 북섬의 주요 강으로, 루아페후산에서 발원하여 타우포 호수를 거쳐 와이카토 항구로 흘러들어가며, 수력 발전, 레크리에이션, 교통로로 활용되지만 환경 오염 문제에 직면해 있다.
타우포 화산지대 | |
---|---|
개요 | |
![]() | |
위치 | 북섬 |
좌표 | 38° 40′ 00″ 남위 176° 01′ 00″ 동경 |
최고점 | 루아페후 산 |
최고점 해발고도 | 2797m |
형성 원인 | 화산 활동 |
지질 | 타우포 지구대 참고 |
시대 | 마이오세 - 홀로세 |
지리 | |
주요 위치 | 화이트 섬 로토루아 호 타우포 호 통가리로 산 |
지질학적 특징 | |
관련 지질 구조 | 타우포 지구대 |
추가 정보 | |
관련 링크 | Mount Tarawera |
2. 역사
초기 마오리족은 기원전 1300년경 카하로아 분출과 같은 거대한 화산 분출에 큰 영향을 받았다.[57] 유럽인 정착 이후 타우포 화산지대의 루아페후산, 나우루호에산, 화이트섬 등지에서는 잦은 화산 분출이 있었으며, 이 지역 최대의 분출은 1886년 타라웨라산 분출로 100명 이상이 사망했다.[57]
2. 1. 초기 역사
초기 마오리족은 기원전 1300년경 카하로아 분출(Kaharoa eruption)과 같은 거대한 화산 분출에 큰 영향을 받았다.[57]2. 2. 유럽인 정착 이후
루아페후산, 나우루호에산, 화이트섬 등 타우포의 지열 지대에는 자주 분출하는 수많은 화산 구멍이 있다. 유럽 이주민들이 도착한 이후 이 지역 최대의 분출은 1886년 타라웨라산의 분출로, 100명 이상이 사망했다.[57]3. 지질학적 특징
타우포 화산 지대에는 뉴질랜드에서 가장 활발한 단층들이 일부 존재하며, 규모 7 이상의 지진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단층 구조는 루아페후 및 통가리로 그라벤과 관련하여 가장 잘 나타난다. 1987년 에지컴 지진으로 에지컴 단층이 처음으로 지도화된 것처럼, 최근의 대규모 분화 및 호수 지형의 퇴적물로 인해 잠재적으로 중요한 많은 단층들이 특징적으로 나타나지 않거나, 지진 발생 빈도와 예상 규모가 파악되지 않고 있다. 와이히 단층대는 타우포 호 남쪽에 위치하며 통가리로 그라벤과 관련되어 있으며, 대규모 산사태를 유발하여 상당한 인명 피해를 일으킬 위험이 있다.[26][27]
타우포 화산지대의 북쪽 부분(와카타네 지구대 – 베이오브플렌티)은 주로 안산암 마그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지속적으로 활동하는 와카아리 / 화이트 섬 안산암–데이사이트 성층 화산으로 대표된다. 스트롬볼리식 분화 활동이 발생했지만 폭발성 분화는 일반적으로 프레아토마그마 분화이다. 활발한 분화구 정상은 16km × 18km의 더 큰 잠수 화산 위에 있으며 총 부피는 78km3이다.[28][29][30][31][32]
타우포 화산지대의 중앙 부분은 8개의 칼데라 중심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오래된 것은 100만 년 이상(162만~91만 년 전) 활동했던 망가키노 칼데라이다. 이 칼데라는 오클랜드에서 170km 떨어진 곳에서 최대 9m 두께에 달하는 이그님브라이트를 생성했다. 현재 매몰된 카펭가 칼데라 외에 로토루아, 오하쿠리, 레포로아, 오카타이나, 타우포 등 5개의 칼데라 중심부가 있다. 이들은 실리콘, 칼륨, 나트륨이 풍부한 매우 점성이 높은 가스성 유문암 마그마의 대규모 비정기적 분화로 인해 발생했으며, 북섬 화산 고원의 이그님브라이트 시트를 생성했다. 섭입 침식이 이 유문암을 생성하는 데 지배적인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후 일차 현무암 마그마의 동화 및 부분 결정화는 분출된 조성과 부피를 설명하기 어렵다.[34][35]
약 33만 5천 년 전 현재 타우포 호 북쪽에서 발생한 2000km3 이상의 밀도암 상당량 물질의 대규모 와카마루 칼데라 분화를 시작으로 10만 년도 안 되는 기간 동안 총 4000km3 이상이 분출되었다. 다른 화산 고원 정의 분화는 서쪽에서 약 28만 년 전의 150km3 마타히나 분화, 약 32만 년에서 27만 5천 년 사이에 발생한 주로 테프라인 50km3 침프 분화, 약 27만 5천 년 전의 중앙 50km3 포카이 분화, 약 24만 년 전의 북쪽의 마마쿠와 동쪽 중앙의 오하쿠리 분화로, 이 두 분화가 합쳐져 245km3 이상의 밀도암 상당량의 물질을 생산했다.[36] 남부 타우포 화산 오루아누이 분화는 약 25,600년 전에 530km3 밀도암 상당량의 물질을 생성했으며, 최근의 하테페 분화는 서기 232년 ± 10년에 120km3 밀도암 상당량을 기록했다.[6] 와카마루 분화 이후 타우포 화산지대의 중앙부가 지배적이어서 전체 지대를 고려하면 약 3000km3의 유문암, 300km3의 안산암, 20km3의 데이사이트, 5km3의 현무암이 분출되었다.[3]
가스가 적은 유문암 마그마 돔 형성 분출은 타우포 호의 호로마탕기 리프 또는 모투타이코 섬 또는 타라웨라 산의 용암 돔과 같은 지형을 만들었다. 타우하라 산은 타우포 호 옆에 있으며 실제로는 데이사이트 돔이며 안산암과 유문암 사이의 중간 조성이지만, 이 지대에서 드물게 발견되는 현무암보다 더 점성이 높다.[37][38][39]
타우포 화산지대의 남부에는 가스가 적으면 어두운 회색 용암을 형성하고, 가스가 풍부하면 스코리아를 형성하는 분출성 분화에서 안산암 마그마로 형성된 전형적인 화산 원뿔 구조가 포함되어 있다. 북섬에서 가장 높은 산인 루아페후 산은 150km3 안산암 원뿔이며 150km3의 링 평원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 링 평원은 사면 붕괴, 분화 또는 라하르에 의해 생성된 수많은 화산 퇴적물로 형성된다. 루아페후 북서쪽에는 하우훙가타히 산이 있는데, 이곳은 고원에서 기록된 가장 오래된 화산이며 북쪽에는 통가리로와 나우루호에가 단일 복합 성층 화산의 일부이다.[40]
3. 1. 판 구조론적 배경
타우포 화산 지대는 히쿠랑이 섭입대에서 오스트레일리아 판과 태평양 판이 만나는 작용과 관련된 대륙 내 열곡대이다. 이곳은 라우 분지의 남쪽, 즉 케르마데크-통가 섭입대 뒤에 위치한 Lau-Havre-Taupō 후방 열개 분지를 형성한다.[19] 타우포 화산 지대와 관련된 호내 확장 작용은 타우포 열곡대 내에서 정단층 작용으로 나타난다. 타우포 화산 지대 아래의 지각은 16km 두께에 불과하며, 마그마 층은 표면 아래 10km에 위치한다.[20][21]타우포에서 열곡 화산대는 동서 방향으로 연간 약 8mm 속도로 확장되는 반면, 루아페후 산에서는 연간 2mm에서 4mm에 불과하며, 베이오브플렌티 해안의 북동쪽 끝에서는 연간 10mm에서 15mm로 증가한다.[22]
3. 2. 화산 활동
루아페후 산, 나우루호에 산, 와카아리 / 화이트 섬 등 타우포의 지열 지대에는 자주 분출하는 수많은 화산 분출구가 있다.[1] 유럽 이주민들이 도착한 이후 이 지역 최대의 분출은 1886년 타라웨라산 분화였으며, 100명 이상이 사망했다.[4][5] 초기 마오리족들은 더 거대한 화산 분출이었던 기원전 1300년의 카하로아 분출로 많은 영향을 받았다.[57]타우포 호의 마지막 주요 분화는 하테페 분화로, 서기 232년 ± 10년에 발생했다.[6] 이 분화는 처음에 호수를 비웠고, 이후 20000km2의 땅을 화산재로 덮는 화산쇄설류가 뒤따랐다. 총 120km3의 밀도 암석 상당량 (DRE) 물질이 분출되었으며, 이 중 30km3 이상의 물질이 불과 몇 분 만에 분출되었다. 이 분화는 로마와 중국의 하늘을 붉게 물들일 정도로 강력했다.
타우포 화산은 25,580년 전 오루아누이 분화에서 약 1170km3의 DRE 물질을 분출했다.[8] 이는 화산 폭발 지수에서 가장 높은 VEI-8에 도달한 지구상 가장 최근의 분화였다.
로토루아 칼데라는 더 오래 휴면 상태였으며, 주요 분화는 약 225,000년 전에 발생했지만, 용암 돔 분출은 지난 25,000년 이내에 발생했다.[9][10]


이 지역에는 수많은 화산 분출구와 지열 지대가 있으며, 루아페후 산, 응아우루호에 산, 와카아리 / 화이트 섬이 가장 자주 분화한다. 와카아리 / 화이트 섬은 1826년부터 지속적으로 활동해 왔으며, 이는 오카타이나 화산 센터도 마찬가지다.[1]
타우포 화산 지대는 지난 35만 년 동안 지구상 다른 어느 곳보다 많은 3900km3 이상의 물질을 300회 이상의 규장질 분화로 배출했으며, 이 중 12회는 칼데라를 형성했다.[2] 지난 160만 년 동안 타우포 화산 지대의 대규모 사건은 연간 3.8km3로, 옐로스톤 칼데라의 210만 년 생산량인 연간 3km3와 비교하면 타우포가 더 많다.[3]
와카아리 / 화이트 섬은 기원전 946년 ± 52년에 대규모 화산 구조물 붕괴가 있었다. 이 사건이 이 시기에 베이 오브 플렌티에서 수십 미터 높이로 내륙 7km까지 올라간 쓰나미의 원인이라고 제안되었다. 쓰나미는 화산 폭발과 관련될 수 있지만, 그 원인이 와카아리의 비교적 작은 분화인지, 아니면 대규모 국지적 지진과 같은 다른 원인인지 알 수 없다.[7]
4. 주요 화산 및 지열 지대
와카아리 / 화이트 섬은 스트롬볼리식 분화 활동을 보이며, 폭발성 분화는 일반적으로 프레아토마그마 분화이다.[28] 활발한 분화구 정상은 16km × 18km의 더 큰 잠수 화산 위에 있으며 총 부피는 78km3이다.[29][30][31][32]
타우포 화산지대의 중앙 부분은 8개의 칼데라 중심부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오래된 것은 100만 년 이상 활동했던 망가키노 칼데라이다.[26] 이 칼데라는 오클랜드에서 170km 떨어진 곳에서 최대 9m 두께에 달하는 이그님브라이트를 생성했다.[33] 로토루아, 오하쿠리, 레포로아, 오카타이나, 타우포 등 5개의 칼데라 중심부가 실리콘, 칼륨, 나트륨이 풍부한 매우 점성이 높은 가스성 유문암 마그마의 대규모 비정기적 분화로 인해 발생했다.[34]
약 33만 5천 년 전 현재 타우포 호 북쪽에서 발생한 2000km3 이상의 밀도암 상당량 물질의 대규모 와카마루 칼데라 분화를 시작으로 10만 년도 안 되는 기간 동안 총 4000km3 이상이 분출되었다. 이 분화는 북섬 화산 고원의 한계를 정의했지만, 현재 중앙 지형은 와카마루 분화보다 지난 20만 년 동안 일어난 이후의 작은 사건의 산물이다.[36]
가스가 적은 유문암 마그마 돔 형성 분출은 타우포 호의 호로마탕기 리프 또는 모투타이코 섬과 같은 지형을 만들었다.
타우포 화산지대의 남부에는 분출성 분화에서 안산암 마그마로 형성된 전형적인 화산 원뿔 구조가 있다.
화산 중심지 | 위치 | 좌표 | 설명 |
---|---|---|---|
토랑가 화산 중심지 | 베이 오브 플렌티 | 2백만 년 이상 전에 활동 시작, 현재는 소멸. | |
베이 오브 플렌티 | 수중 와카타네 해산 | ||
메이어 섬/투후아 | |||
무토호라 섬 | |||
와카아리/화이트 섬 | |||
푸타우아키 | |||
카와라우 발전소 (지열 지대) | |||
로토루아 칼데라 | |||
응고토하하 산 | |||
화카레와레와 (지열 지대) | |||
포후투 간헐천 | |||
티키테레/헬스 게이트 (지열 지대) | |||
마로아 화산 중심지 | 오하쿠리 칼데라 | ||
마로아 칼데라 | |||
푸케타라타 화산 복합체 | |||
레포로아 칼데라 | |||
와카마루 칼데라 | |||
와이오타푸 (지열 지대) | |||
와이라케이 (지열 지대) | |||
달의 분화구 (카라피티, 지열 지대) | |||
오라케이 코라코, 응가타마리키, 로토카우아, 오하키 발전소 (지열 지대) | |||
타우포 화산 중심지 | 타우포 칼데라 | ||
타우하라 산 | |||
벤 로몬드 유문암 돔(흑요석 포함) | |||
타우하라-타우포 (지열 지대) |
4. 1. 통가리로 국립공원
통가리로 산과 루아페후 산, 응아우루호에 산은 타우포 화산지대 남부에 위치하며, 전형적인 화산 원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안산암 마그마로 형성되었으며, 가스 함량에 따라 어두운 회색 용암이나 스코리아를 형성하는 분출성 분화를 일으킨다.[40]- 통가리로 산 및 통가리로 화산 복합체
- ** 응아우루호에 산 - 통가리로의 주요 분화구
- ** 타마 호수 - 통가리로의 분화구 호수
상부 타마
하부 타마
- 루아페후 산
- ** 하우훙가타히
- * 호수
- ** 로토아이라이 호
- ** 로토포우나무 호
- * 지열 지대
- ** 케테타히 온천
루아페후 산은 150km3의 안산암 원뿔과 150km3의 링 평원으로 이루어져 있다.[40] 이 링 평원은 사면 붕괴, 분화, 라하르 등으로 생성된 화산 퇴적물로 구성된다. 루아페후 산 북서쪽에는 하우훙가타히 산이 있는데, 이는 고원에서 가장 오래된 화산이다.[40]
북쪽에는 통가리로 화산 중심부에 통가리로 산과 응아우루호에 산이 있으며, 이들은 하나의 복합 성층 화산을 이룬다.
4. 2. 화카아리/화이트 섬 (Whakaari / White Island)
와카아리 / 화이트 섬은 기원전 946 BCE ± 52년에 대규모 화산 구조물 붕괴가 있었다. 이 사건은 이 시기에 베이 오브 플렌티에서 수십 미터 높이로 내륙 7km까지 올라간 쓰나미의 원인으로 추정된다. 쓰나미는 화산 폭발과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그 원인이 와카아리의 비교적 작은 분화인지, 아니면 대규모 국지적 지진과 같은 다른 원인인지는 확실하지 않다.[7] 화이트 아일랜드(Whakaari / White Island)는 활화산이다.[1]
4. 3. 로토루아 호수
로토루아 칼데라는 로토루아 호수를 형성하고 있으며, 칼데라 내에는 모코이아 섬이 있다. 타라웨라 산은 로토루아 화산 중심지에 속한다. 로토루아 칼데라의 주요 분화는 약 225,000년 전에 발생했지만, 용암 돔 분출은 지난 25,000년 이내에 발생했다.[9][10]4. 4. 타우포 호수
타우하라 산은 타우포 호 옆에 있는 데이사이트 돔으로,[38] 안산암과 유문암 사이의 중간 조성이지만, 이 지대에서 드물게 발견되는 현무암보다 더 점성이 높다.[39]5. 위험성 및 관리
타우포 화산지대에서 가장 큰 위험은 타우포 단층대와 같이 활발한 단층과 관련된 지진이다.[41] 많은 단층이 1987년 에지컴 지진의 경우처럼 특징이 제대로 파악되지 않았다.[42] 지진은 산사태 및 내륙 또는 해안 쓰나미와 관련될 수 있으며, 이는 막대한 인명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와이히 단층대에서 산사태와 쓰나미가 모두 발생했다.[43]
이 지역 양쪽 끝에 있는 안산암 화산의 상대적으로 낮은 등급의 화산 활동은 기록된 역사에서 직접적인 인명 피해와 운송 및 관광의 혼란을 초래했다. 기록된 역사상 유일한 고등급 분화는 타라웨라 산에서 발생한 비정형적인 현무암성 분화였으며, 매우 파괴적이었다.[44] 오카타이나 칼데라 복합체는 뉴질랜드에서 인간에게 가장 큰 화산 위험 지역이며,[37] 최근의 유문암 화산 현상의 빈도는 그러한 현상에 대한 가능한 경고의 시간 척도와 함께 안심할 수 없다.[44]
이러한 분화는 넓은 지역에 깊은 화산재 낙하를 초래하는 테프라 생산과 관련이 있다. (예: 약 5,500년 전의 와카타네 분화는 채텀 제도에서 5mm의 화산재 낙하가 발생했다)[45] 화산쇄설류 및 서지(surge)는 노스아일랜드의 광대한 지역을 이그님브라이트 시트로 덮었으며, 지진, 호수 쓰나미, 장기간의 용암 돔 성장 및 관련 블록 및 화산재 흐름, 분화 후의 라하르 및 홍수와 관련이 있다.[44]
6. 한국과의 연관성
한국과 뉴질랜드는 모두 환태평양 조산대에 속해 있어 지진 및 화산 활동이 활발하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두 나라 모두 화산 지형과 온천 등 지열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관광 산업에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뉴질랜드는 한국보다 화산 활동이 훨씬 활발하며, 초대형 화산 분화의 위험성도 더 크다.[19][20][21][22][23][24][25]
참조
[1]
논문
Hf isotope evidence for variable slab input and crustal addition in basalts and andesites of the Taupo Volcanic Zone, New Zealand
http://www.sciencedi[...]
2017-07-01
[2]
논문
Shallow subaqueous to emergent intra-caldera silicic volcanism of the Motuoapa Peninsula, Taupo Volcanic Zone, New Zealand – New constraints from geologic mapping, sedimentology and zircon geochronology
https://www.research[...]
2021-01-19
[3]
서적
Studies in volcanology: the legacy of George Walker
IAVCEI Spec Pub 2
[4]
논문
Probabilistic modeling of tephra dispersal: Hazard assessment of a multiphase rhyolitic eruption at Tarawera, New Zealand
https://agupubs.onli[...]
2005-03-15
[5]
서적
Guidebook for 'Land and Lakes' field trip, New Zealand Society of Soil Science Biennial Conference, Rotorua, held in 27–30 November 2006
New Zealand Society of Soil Science
[6]
논문
Volcanic Unrest at Taupō Volcano in 2019: Causes, Mechanisms and Implications
2021-06-01
[7]
서적
Volcanic generation of tsunamis: Two New Zealand palaeo-events in Submarine Mass Movements and their Consequences
https://researchcomm[...]
[8]
논문
New Zealand supereruption provides time marker for the Last Glacial Maximum in Antarctica
2017-09-25
[9]
학위논문
The structure and eruptive history of Rotorua Caldera, Taupo Volcanic Zone, New Zealand
https://ir.canterbur[...]
[10]
GVP
Rotorua
2010-08-31
[11]
논문
Seafloor geology and petrology in the oceanic to continental transition zone of the Kermadec-Havre-Taupo Volcanic Zone arc system, New Zealand
http://www.rsnz.org/[...]
[12]
논문
Early evolution of a young back-arc basin in the Havre Trough
http://oceanrep.geom[...]
[13]
논문
The Lau-Havre-Taupo back-arc basin: A southward-propagating, multi-stage evolution from rifting to spreading
[14]
논문
Mayor Island Geology
https://www.gns.cri.[...]
[15]
논문
Evolution of a quaternary peralkaline volcano: Mayor Island, New Zealand.
https://www.scienced[...]
[16]
논문
Petrogenesis of High-K Arc Magmas: Evidence from Egmont Volcano, North Island, New Zealand
https://academic.oup[...]
[17]
논문
Contemporary ground deformation in the Taupo Rift and Okataina Volcanic Centre from 1998 to 2011, measured using GPS.
https://academic.oup[...]
2015-07-28
[18]
논문
Evolution of the southern termination of the Taupo Rift, New Zealand
[19]
서적
Backarc Basins: Tectonics and Magmatism
Plenum
[20]
웹사이트
Central North Island sitting on magma film
http://www.stuff.co.[...]
The Dominion Post
2007-09-15
[21]
논문
Imaging magmatic Processes in the Taupo Volcanic Zone (New Zealand) with Magnetotellurics
http://www.cosis.net[...]
[22]
논문
Rapid Evolution of Subduction-Related Continental Intraarc Rifts: The Taupo Rift, New Zealand
2017-10-04
[23]
논문
Advances in New Zealand's tephrochronostratigraphy using marine drill sites: The Neogene
[24]
논문
A two million-year history of rifting and caldera volcanism imprinted in new gravity anomaly compilation of the Taupō Volcanic Zone, New Zealand
https://www.tandfonl[...]
[25]
논문
Linking proximal ignimbrites and coeval distal tephra deposits to establish a record of voluminous Early Quaternary (2.4–1.9 Ma) volcanism of the Tauranga Volcanic Centre, New Zealand
https://www.scienced[...]
[26]
논문
Caldera volcanism and rift structure in the Taupo Volcanic Zone, New Zealand
http://sp.lyellcolle[...]
Geological Society
[27]
서적
High-Alumina Basalts of the Taupo Volcanic Zone, New Zealand: Influence of the Crust and Crustal Structure
http://ir.canterbury[...]
[28]
논문
The 1976–1982 Strombolian and phreatomagmatic eruptions of White Island, New Zealand: eruptive and depositional mechanisms at a 'wet' volcano
1991-12-01
[29]
문서
Magma origin and evolution of White Island (Whakaari) volcano, Bay of plenty, New Zealand
[30]
문서
Geomorphic development of White Island Volcano based on slope stability modelling.
[31]
문서
Magmatic-hydrothermal system at White Island volcano, North Island, New Zealand
James Cook University SEG Student Chapter, Society of Economic Geologists, Inc., Queensland, Australia
[32]
학위논문
The petrology and petrochemistry of andesite volcanoes in Eastern Bay of Plenty, New Zealand
https://openaccess.w[...]
Victoria University of Wellington, New Zealand
[33]
웹사이트
GUIDEBOOK FOR LAND AND LAKES FIELD TRIP
https://sciencedocbo[...]
New Zealand Society of Soil Science
2006-11-28
[34]
학위논문
Subduction cycling and its controls on hyperactive volcanism in the Taupo Volcanic Zone, New Zealand: a thesis presented in partial fulfi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in Earth Science
https://mro.massey.a[...]
Massey University, Palmerston North, New Zealand
[35]
논문
Transcrustal and source processes affecting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magmas in a hyperactive volcanic zone
2023-07-01
[36]
논문
Climbing the crustal ladder: Magma storage-depth evolution during a volcanic flare-up
[37]
웹사이트
Blue-sky eruptions, do they exist? Implications for monitoring New Zealand's volcanoes.
https://core.ac.uk/d[...]
University of Canterbury
2022-06-07
[38]
웹사이트
Volcanic Hazards Working Group of the Civil Defence Scientific Advisory Committee, which includes scientists from the Institute of Geological and Nuclear Sciences and the Universities, Number seven "Taupo Volcanic Centre"
http://www.gns.cri.n[...]
[39]
논문
Inferring the magmatic roots of volcano-geothermal systems in the Rotorua Caldera and Okataina Volcanic Centre from magnetotelluric models
https://www.scienced[...]
[40]
논문
Ruapehu and Tongariro stratovolcanoes: a review of current understanding
2021-05-02
[41]
웹사이트
Villamor, P.; Ries, W.; Zajac, A. Rotorua District Council Hazard Studies: Active fault hazards. GNS Science Consultancy Report
https://www.rotorual[...]
[42]
논문
Ground damage and seismic response resulting from the 1987 Edgecumbe earthquake, New Zealand
[43]
논문
Characterisation of faults as earthquake sources from geomorphic data in the Tongariro Volcanic Complex, New Zealand
https://www.research[...]
[44]
간행물
Eruption Processes of the Okareka and Rerewhakaaitu eruption episodes; Tarawera Volcano, New Zealand
https://ir.canterbur[...]
[45]
논문
Distal occurrence of mid-Holocene Whakatane Tephra on the Chatham Islands, New Zealand, and potential for cryptotephra studies
https://www.scienced[...]
[46]
논문
Structural control and origin of volcanism in the Taupo volcanic zone, New Zealand
[47]
웹사이트
New Zealand
http://volcano.orego[...]
[48]
논문
Inception of the modern North Island (New Zealand) volcanic setting: spatio-temporal patterns of volcanism between 3.0 and 0.9 Ma
https://fl-nzgs-medi[...]
[49]
웹사이트
Large Holocene Eruptions
https://volcano.si.e[...]
[50]
논문
Historical unrest at large calderas of the world
https://pubs.er.usgs[...]
[51]
웹사이트
Okataina Volcanic Center, New Zealand
http://volcano.orego[...]
[52]
서적
Geology of the Okatania Volcanic Centre
Institute of Geological and Nuclear Sciences
[53]
논문
The Sedimentation and Drainage History of Haroharo Caldera and The Tarawera River System, Taupo Volcanic Zone, New Zealand
http://www.envbop.go[...]
Environment Bay of Plenty
2004-08
[54]
논문
Understanding the evolution of a small-volume silicic fissure eruption: Puketerata Volcanic Complex, Taupo Volcanic Zone, New Zealand
https://www.scienced[...]
[55]
논문
Petrography and geochemistry of lithic fragments in ignimbrites from the Mangakino Volcanic Centre: implications for the composition of the subvolcanic crust in western Taupo Volcanic Zone, New Zealand
[56]
뉴스
火山の「超巨大噴火」、従来説より高い頻度で発生か 研究
https://www.afpbb.co[...]
AFP
2017-11-30
[57]
간행물
Polynesian settlement and impacts of volcanism on early Maori socie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