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이니 코어 리눅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이니 코어 리눅스는 최소한의 기능을 갖춘 소형 리눅스 배포판으로, 다양한 버전으로 제공된다. Core, Tiny Core, Core Plus, dCore, CorePure64, Core64, piCore 등의 종류가 있으며, 각 버전은 사용 목적과 환경에 따라 다른 기능을 제공한다. 타이니 코어 리눅스는 CD-ROM, USB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부팅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최소 46MB의 RAM과 i486DX CPU를 요구한다. 펜티엄 2 CPU와 128MB의 RAM을 권장하며, Frugal 방식을 통해 시스템을 메모리에 읽어 들여 속도를 향상시킨다. 초기 상태에는 최소한의 기능만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Apps 브라우저를 통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2024년 2월 22일에 15.0 버전이 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량 리눅스 배포판 - 퍼피 리눅스
    퍼피 리눅스는 배리 카울러가 개발한 가볍고 빠른 리눅스 배포판으로, 작은 크기와 빠른 속도를 특징으로 하며 오래된 컴퓨터에서도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설계되었다.
  • 경량 리눅스 배포판 - 알파인 리눅스
    알파인 리눅스는 보안, 단순성, 작은 크기를 특징으로 하는 리눅스 배포판으로, musl C 표준 라이브러리, APK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며, 도커 이미지 및 WSL2와 PowerShell을 지원하여 임베디드 장치뿐 아니라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된다.
  • 경량 유닉스 계열 시스템 - NetBSD
    NetBSD는 높은 이식성을 가진 BSD 계열 오픈 소스 운영 체제로, 다양한 아키텍처를 지원하며 pkgsrc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통해 응용 프로그램 설치가 용이하고 안정성과 보안을 중시하여 여러 환경에서 사용된다.
  • 경량 유닉스 계열 시스템 - FreeBSD
    FreeBSD는 1993년 386BSD 사용자들에 의해 시작된 오픈 소스 운영 체제로, BSD 계열 중 가장 대표적이며 x86-64, ARM64 등 다양한 아키텍처를 지원하고, 포트 및 패키지 시스템을 통해 응용 프로그램 설치 및 관리를 자동화한다.
  • 읽기 전용 매체로 부팅 가능한 운영체제 - 모르프OS
    모르프OS는 1999년 Quark 마이크로커널 기반으로 개발되어 AmigaOS의 대안을 목표로 PowerPC 기반 컴퓨터를 위해 만들어진 운영체제로, 빠른 속도와 세련된 인터페이스를 지향하며 AmigaOne, Macintosh, Efika, Pegasos 등의 특정 하드웨어에서 실행되도록 설계되었다.
  • 읽기 전용 매체로 부팅 가능한 운영체제 - 라이브 CD
    라이브 CD는 광학 디스크에서 직접 부팅하여 운영 체제 및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매체로, 하드 디스크 설치 없이 컴퓨터를 사용하거나 시스템 및 데이터 복구, 리눅스 배포판 시험 사용 등에 활용되며, 기술 발전과 사용자 정의 시스템 구축 도구 등장으로 활용도가 높아졌다.
타이니 코어 리눅스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TCL 로고
Tiny Core Linux 로고
종류리눅스(유닉스 계열)
출시일2009년 1월 5일
최신 버전 출시일}}
언어영어
사용자 랜드비지박스
사용자 인터페이스FLWM
라이선스GNU GPLv2
웹사이트tinycorelinux.net
소스 모델오픈 소스
커널 종류모놀리딕
현재 상태지원 중
지원 플랫폼x86
x86-64
armv7
라즈베리 파이
패키지 관리자앱브라우저 (GUI) / tce (CLI)

2. 종류

타이니 코어 리눅스는 사용 목적과 환경에 따라 다양한 버전으로 제공된다. Version 4부터 다음 종류로 배포되며, 용량은 Version 12.0의 오리지널 ISO 파일 크기 기준이다.

종류설명
코어16MB. CUI 환경을 제공하며, 숙련된 사용자에게 적합하다.
타이니 코어23MB. GUI로 동작하는 최소한의 패키지를 갖추고 있다. 유선 LAN을 통한 인터넷 연결을 지원한다.
코어 플러스163MB. 타이니 코어에 무선 LAN을 통한 인터넷 연결, 다수의 윈도우 매니저를 갖추고 있다.
dCore12MB. 데비안 또는 우분투 호환 파일을 가져와서 사용하고 SCE 패키지 형식을 사용하는 코어이다.
CorePure64x86_64 아키텍처로 포팅된 코어이다. 64비트 커널과 64비트 확장 기능을 갖추고 있다.
Core64x86_64 아키텍처로 포팅되었으며, 32비트 사용자 공간을 가지고 있다. 64비트 커널과 64비트 로드 가능한 커널 모듈을 사용한다.
piCore라즈베리 파이에 포팅된 코어 버전이다.

[4][16]

2. 1. 코어 (Core)

'''코어'''(Core)는 16MB 크기로, 타이니 코어 리눅스 배포판 중 가장 기본적인 버전이다.[16] CUI 환경을 제공하며, 숙련된 사용자에게 적합하다.

2. 2. 타이니 코어 (Tiny Core)

타이니 코어(23MB)는 유선 네트워크 연결을 가진 새로운 사용자에게 권장되는 옵션이다. 기본 코어 시스템과 동적 FLTK/FLWM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포함한다.[4]

2. 3. Core Plus

타이니 코어 리눅스의 설치 이미지의 한 종류이다. 타이니 코어에 무선 LAN 지원, 다양한 윈도우 매니저 등의 기능이 추가되었으며, 163MB의 용량을 가진다.[16]

2. 4. dCore

dCore영어는 타이니 코어 리눅스 배포판의 자체 포함 패키지 형식인 SCE 패키지 형식을 사용하며, 데비안 또는 우분투 호환 파일을 가져와서 사용하는 코어이다.[6] 5.x 버전 이후부터 지원하며, 크기는 12MB이다.

2. 5. CorePure64

CorePure64는 x86_64 아키텍처로 포팅된 코어이다. 64비트 커널과 64비트 확장 기능을 갖추고 있다.[5]

2. 6. Core64

Core64는 x86_64 아키텍처로 포팅되었으며, 32비트 사용자 공간을 가지고 있다. 즉, 64비트 커널과 64비트 로드 가능한 커널 모듈을 사용하지만, 코어와 동일한 확장을 사용할 수 있다.[5]

2. 7. piCore

piCore는 라즈베리 파이에 포팅된 "코어" 버전이다.[4]

3. 시스템 요구 사항

타이니 코어 리눅스는 매우 낮은 시스템 요구 사양을 가지고 있어 구형 컴퓨터에서도 원활하게 작동한다. 최소 CPU는 i486DX이며, RAM은 최소 28MB가 필요하다. 권장 사양은 펜티엄 2 CPU와 128MB의 RAM이다.[19]

3. 1. 최소 요구 사항

타이니 코어는 실행을 위해 최소 46MB의 RAM이 필요하며, (마이크로) 코어는 최소 28MB의 RAM이 필요하다.[19][7] 최소 CPU는 i486DX이다.[19][7]

3. 2. 권장 사양

타이니 코어의 권장 사양은 펜티엄 2 CPU 및 128MB의 램이다.[19]

4. 디자인 철학

TCL 개발자들은 TCL을 "CD-ROM, USB 메모리,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서 부팅할 수 있는 유목민적이고 초소형 그래픽 데스크톱 운영 체제"라고 묘사한다.[8] Damn Small Linux의 개발자 중 한 명인 Robert Shingledecker가 중심이 되어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Tiny Core Linux 프로젝트는 "더 작은 Linux"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며, Tiny Core Linux 자체(Core)는 16MB밖에 되지 않아 데스크톱용 Linux로서는 가장 작은 부류에 속한다. 가장 큰 패키지인 CorePlus도 163MB이다.

4. 1. 동작 모드

타이니 코어 리눅스는 주로 RAM(Random-access memory)에서 실행되도록 설계되었지만, 세 가지 뚜렷한 작동 모드를 가지고 있다.[8]

  • 클라우드(인터넷) 모드: 내장된 앱브라우저 GUI를 사용하여 현재 세션 동안에만 RAM에 로드된 온라인 애플리케이션 확장 저장소에서 확장을 탐색하는 "testdrive" 모드이다.
  • TCE/설치 모드: 스토리지 디스크 파티션에서 다운로드하여 실행되지만 RAM에 심볼릭 링크로 유지되는 Tiny Core Extensions 모드이다.
  • TCE/CopyFS 모드: 더 일반적인 리눅스 설치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리눅스 파티션에 설치하는 모드이다.[9]

5. 시스템

타이니 코어 리눅스는 HDD에 설치하지 않고도 CD나 USB 메모리에서 부팅할 수 있는 라이브 배포판이다. 부팅 시 시스템을 메모리로 읽어 들이고 종료 시 파일로 저장하는 Frugal 방식을 채택하여 디스크 접근을 최소화함으로써 속도 향상에 기여한다. 메모리가 적은 시스템에서는 스왑 영역이나 스왑 파일을 사용하여 메모리를 보충할 수 있다.

5. 1. 패키지 관리

타이니 코어 리눅스는 초기 상태에서 간단한 네트워크 기능, X Window System 등, 필요 최소한의 것만 포함하고 있으며, 웹 브라우저워드 프로세서 등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Apps라는 패키지 검색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패키지 파일(확장자는 .tcz 또는 .scm)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해야 한다.

설치는 부팅 단계에서 메모리에 읽혀지는 "OnBoot"과 처음에 패키지를 시작할 때 메모리로 읽혀지는 "OnDemand" 방식이 있으며, 이 두 가지를 활용하여 메모리 사용을 최적화할 수 있다.

5. 2. GUI 환경

타이니 코어 리눅스는 자체적인 Tiny X (X Window System)와 flwm (초기에는 JWM) 윈도우 매니저를 사용하여 가볍고 빠른 GUI 환경을 제공한다. CorePlus에서는 JWM, IceWM, Fluxbox, Hackedbox, Openbox도 선택할 수 있다.

6. 출시 역사

버전안정성출시일
1.0[10][1]안정 버전2009년 1월 5일
2.0[11]2009년 6월 7일
3.02010년 7월 19일
4.0[12]2011년 9월 25일
4.7.72013년 5월 10일
5.0[13]2013년 9월 14일
5.0.12013년 10월 1일
5.0.22013년 10월 18일
5.12013년 11월 28일
5.22014년 1월 14일
5.32014년 4월 19일
5.42014년 9월 10일
6.02015년 1월 5일
6.12015년 3월 7일
6.22015년 5월 3일
6.32015년 5월 30일
6.42015년 9월 8일
6.4.12015년 11월 4일
7.0[14]2016년 2월 23일
7.12016년 5월 22일
7.22016년 7월 4일
8.02017년 4월 10일
8.12017년 9월 3일
8.22017년 9월 22일
9.02018년 2월 26일
10.02019년 1월 20일
10.12019년 6월 11일
11.02020년 2월 9일
11.12020년 4월 1일
12.02021년 2월 17일
13.02022년 1월 31일
14.02023년 4월 12일
15.0최신 버전2024년 2월 22일


7. 파생

GUI를 제거하고 CUI로 동작하는 '''Micro Core Linux'''가 있다. Micro Core Linux의 용량은 타이니 코어 리눅스보다 더 작아 6MB 전후이다.

8. 한국어 지원

비공식적으로 일본어 프로젝트도 몇몇 존재한다. 하지만 일본어판은 CorePlus에서 모두 80MB 전후로 되어 있다. 일본어 지원 사이트도 존재한다. 그러나 일본어판은 4.5.2 버전에서 업데이트가 중단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Interview with Robert Shingledecker, creator of Tiny Core Linux https://distrowatch.[...] 2021-04-03
[2] 웹사이트 Prof. Dr. Christopher N. Shingledecker, Assistant Professor of Physics and Astronomy, Benedictine College http://www.shinglede[...] Benedictine College 2021-04-03
[3]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tinycorelinux[...] 2013-07-07
[4] 웹사이트 Downloads - Tiny Core Linux http://distro.ibibli[...] 2012-09-13
[5] 웹사이트 Forum Post - tinycore vs. tinycore64 https://forum.tinyco[...] 2024-03-27
[6] 웹사이트 dCore-5.0.alpha1 released http://forum.tinycor[...] 2013-05-30
[7]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What are the minimum requirements? http://distro.ibibli[...] 2012-09-13
[8] 웹사이트 Welcome to The Core Project - Tiny Core Linux http://distro.ibibli[...] 2008-12-01
[9] 웹사이트 Tiny Core: Core Concepts http://distro.ibibli[...] 2012-06-06
[10] Webarchive Final Releases http://forum.tinycor[...] 2015-05-08
[11] 웹사이트 Tiny Core: The Little Distro That Could {{!}} Linux Magazine http://www.linux-mag[...] 2020-09-11
[12] 웹사이트 DistroWatch Weekly, Issue 440, 23 January 2012 https://distrowatch.[...] 2018-06-26
[13] 웹사이트 DistroWatch Weekly, Issue 527, 30 September 2013 https://distrowatch.[...] 2018-06-26
[14] 웹사이트 Tiny Core Linux 7.0 [LWN.net] https://lwn.net/Arti[...] 2018-06-26
[15] 문서 http://tinycorelinux.net/faq.html#license http://tinycorelinux[...]
[16] 문서 http://tinycorelinux.net/downloads.html http://tinycorelinux[...]
[17] 문서 http://forum.tinycorelinux.net/index.php/topic,15889.0.html http://forum.tinycor[...]
[18] 웹인용 Frequently Asked Questions: License http://tinycorelinux[...] 2012-06-06
[19] 웹인용 Frequently Asked Questions: What are the minimum requirements? http://distro.ibibli[...] 2012-09-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