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티야나 톨스타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티야나 톨스타야는 러시아의 소설가, 수필가, 언론인, 방송인이다. 1951년 레닌그라드에서 태어났으며, 작가 집안에서 성장하여 문학적 재능을 키웠다. 1983년 단편 소설 "황금빛 현관 계단에 앉아서…"로 데뷔하여 페레스트로이카 시대와 탈 소비에트 시대의 대표 작가로 자리 잡았다. 소설 《키시》로 트리움프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저널리스트, TV 프로그램 진행자 등으로도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작가 - 이오시프 스탈린
    이오시프 스탈린은 소비에트 연방의 독재자이자 소련 공산당 지도자로서, 소련의 산업화와 2차 세계 대전 승리를 이끌었지만 대숙청과 공포 정치로 수백만 명의 희생을 초래했으며, 그의 통치와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 러시아의 작가 - 예카테리나 2세
    예카테리나 2세는 1762년부터 1796년까지 러시아 제국을 통치한 여제로, 계몽주의 정책 추진, 영토 확장, 문화 예술 장려를 통해 러시아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동문 - 박노자
    박노자는 러시아 태생으로 대한민국에 귀화한 한국학 연구자이자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며, 오슬로 대학교 한국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사회와 역사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는 진보적 지식인이다.
  •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 동문 - 그리고리 페렐만
    러시아 수학자 그리고리 페렐만은 푸앵카레 추측과 기하화 추측을 증명했음에도 불구하고 필즈상과 밀레니엄 문제 상금을 거부하며 은둔 생활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 - 그리고리 페렐만
    러시아 수학자 그리고리 페렐만은 푸앵카레 추측과 기하화 추측을 증명했음에도 불구하고 필즈상과 밀레니엄 문제 상금을 거부하며 은둔 생활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 - 블라디미르 푸틴
    블라디미르 푸틴은 1952년 출생하여 KGB에서 근무하고 정치 경력을 시작, 1999년 러시아 총리, 대통령 권한대행을 거쳐 2000년 러시아 대통령에 당선된 후 장기 집권하며 경제 개혁과 강한 러시아 건설을 목표로 했지만, 우크라이나 관련 국제적 비판을 받았다.
타티야나 톨스타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17년의 타티야나 톨스타야
2017년
출생명타티야나 니키티치나 톨스타야
출생일1951년 5월 3일
출생지소련 레닌그라드 (현재의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직업작가, TV 진행자, 평론가, 소설가, 에세이스트
모교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교

2. 가족

톨스타야는 작가 집안에서 태어났다. 부계 조부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는 과학 소설 작가였고, 그의 아버지는 백작 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톨스토이, 어머니는 알렉산드라 레온티예브나 투르게네바였다. 알렉산드라 레온티예브나는 데카브리스트 니콜라이 투르게네프와 작가 이반 투르게네프의 친척이었다. 톨스타야의 부계 조모는 시인 나탈리아 크란디예프스카야였다. 외조부 미하일 로진스키는 단테의 ''신곡'' 번역으로 유명한 문학 번역가였다.[25] 여동생 나탈리아 톨스타야 또한 작가였으며, 아들 아르테미 레베데프는 러시아 웹 디자인 회사 Art. Lebedev Studio의 창립자이자 소유주이다.[26]

2. 1. 가계

톨스타야는 레닌그라드의 작가 집안에서 태어났다.[25] 그녀의 부계 조부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SF 작가의 선구자였으며, 니콜라이 알렉산드로비치 톨스토이 백작과 알렉산드라 레오니예브나 투르게네바의 아들이자, 데카브리스트 니콜라이 투르게네프|니콜라이 투르게네프영어와 문호 이반 투르게네프의 친척이었다. 톨스타야의 부계 조모는 시인 나탈리아 크란디예프스카야|나탈리아 크란디예프스카야영어였다. 톨스타야의 모계 조부 미하일 로진스키|미하일 로진스키영어단테의 『신곡』 번역가로 알려져 있다. 톨스타야의 언니 나탈리아 톨스타야|나탈리아 톨스타야영어 역시 작가였다. 톨스타야의 아들 아르테미 레베데프|아르테미 레베데프영어는 러시아 웹 디자인 회사 아르테미 레베데프 스튜디오|Art. Lebedev Studio영어의 창립자이자 소유주이다.[26]

3. 생애

타티야나 톨스타야는 1951년 레닌그라드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할머니는 시인 크란디옙스카야, 외할아버지는 번역가 미하일 로진스키로, 문학적 배경에서 성장했다.

1974년 레닌그라드 국립대학 고전어문학부를 졸업하고 1983년 단편소설 〈황금빛 현관 계단에 앉아서…〉로 데뷔했다. 이후 작가, 저널리스트, 문학상 심사위원, TV 프로그램 〈스캔들 학교〉 공동 진행자로 활동했다.

첫 장편소설 《키시》로 모스크바 국제서적박람회 소설 부문 올해의 작품상, 트리움프 문학상을 받았다. 작품은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웨덴어 등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1998년 신문 칼럼을 모아 《자매들》을 출판했고, 러시아 TV 토크쇼 진행자로도 활동했다. 미국 대학에서 러시아 문학을 강의하기도 했으며, 현재 모스크바에 거주한다.

대표작은 데뷔작 외에 단편집 《사랑한다, 사랑하지 않는다》(1997), 《자매들》(1998), 《오케르빌 강》(1999), 《밤》(2001), 《키시》, 나탈리야 톨스타야와 공저 《두 사람》(2001), 《낮》(2001), 《건포도》(2002), 《하얀 벽》(2004) 등이 있다.

3. 1. 초기 (1951-1983)

1951년 3월 레닌그라드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유명한 러시아 작가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이며 할머니는 시인 크란디옙스카야이고, 외할아버지는 번역가 미하일 로진스키이다. 아버지 니키타 A. 톨스토이는 물리학 교수였고, 어머니는 나탈리아 미하일로브나 로진스카야이다.[2] 톨스타야는 여섯 형제와 함께 렌소베트 제1 집합 주택에서 자랐다.[3]

1974년 레닌그라드 대학교 고전 문헌학부를 졸업하고, 같은 해 문헌학자 안드레이 레베데프와 결혼했다. 1980년대 초 침체 시대에 부부는 모스크바로 이주했고, 톨스타야는 나우카 출판사에서 일하기 시작했다.[4][10]

톨스타야의 회고에 따르면, 1982년 11월 눈 수술을 받고 3개월 동안 재활하면서 밝은 빛을 볼 수 없었다. 그녀는 이 기간이 글쓰기로 이끌었다고 믿는다. 세상으로부터의 끊임없는 정보 흐름 없이, 마음이 맑아졌고 플롯과 이야기를 적고 싶은 욕망을 발견했다.[5][6][7] 1983년 단편소설 <황금빛 현관 계단에 앉아서…>로 문단에 정식 데뷔한다.

3. 2. 문학 활동 시작 (1983-1989)

1974년 레닌그라드 국립대학 고전어문학부를 졸업하고 단편소설 〈황금빛 현관 계단에 앉아서…〉(1983)로 문단에 정식 데뷔했다.[31] 이 소설집은 톨스타야를 페레스트로이카 시대와 탈 소비에트 시대의 가장 뛰어난 작가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하게 했다. 미치코 카쿠타니는 "그녀의 증조부인 레프 톨스토이의 작품 - 자연에 대한 사랑, 심리적 통찰력, 일상 생활의 세부 사항에 대한 관심 - 을 엿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35] 또한 "그녀의 빛나고 잊혀지지 않는 이야기는 등장인물의 내면 생활과 이루지 못한 꿈을 유례없는 공감과 통찰력으로 묘사하며, 안톤 체호프의 작품을 가장 뚜렷하게 연상시킨다."라고 썼으며, "저자의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적인 언어 사랑과 미하일 불가코프니콜라이 고골을 연상시키는 초현실적인 기행에 대한 친밀감"도 보여준다고 언급했다.[36] 1987년 같은 제목의 단편 소설집 "황금 현관에"가 영어로 번역되어 호평을 받았고,[30] 1988년 러시아에서 출간되었을 때는 몇 시간 만에 5만 부 이상이 매진되었다.[37] 1989년에는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에서 러시아 문학을 가르치는 객원 교수로 재직했다.

3. 3. 미국 생활과 저널리즘 (1990-1999)

1990년 톨스타야는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주했다.[15][7] 프린스턴 대학교와 스키드모어 칼리지에서 러시아 문학과 창작 글쓰기를 가르쳤고, 여러 대학교에서 강의했다.[15][7] 뉴욕 서평(New York Review of Books), 뉴요커(The New Yorker), 타임스 문학 부록(TLS) (The Times Literary Supplement), 윌슨 분기별 간행물(Wilson Quarterly) 등 여러 매체에 기고했다.[10][11] 모스크바 뉴스, 캐피탈, 러시아 텔레그래프와 같은 러시아 간행물에도 글을 썼으며,[10][11] 그녀의 기사들은 신랄한 평론으로 유명했다.[31]

3. 4. 《키시》, 《스캔들 학교》, 스피치라이터 (2000-2012)

1999년 톨스타야는 러시아로 돌아갔다. 이듬해 핵폭발 이후의 러시아 삶을 디스토피아적으로 그린 소설 《키시》를 출간했는데, 이 소설은 한때 모스크바였지만 지금은 잊혀진 곳을 배경으로 하며, 부분적으로 "탈소비에트 러시아의 정치적, 사회적 삶의 실망"에 맞서는 부정적인 교양 소설을 제시했다.[13] 이 소설은 "숭고한 러시아 문학의 과거의 메아리로 가득 찬 타락한 세계의 이야기; 인간의 비인간성에 대한 험악한 초상; 주권과 무력함 모두에서 예술에 대한 찬사; 미래가 현재인 과거를 보는 비전"으로 묘사되었다.[14] 작가의 고백에 따르면, 이 소설을 완성하는 데 14년 이상이 걸렸다.[15] 2003년까지 《키시》는 20만 부 이상 판매되었다.[15]

《키시》 출간 직후, 톨스타야의 책 세 권이 더 출판되었다. 단편 소설 모음집 "낮"과 "밤", 그리고 그녀의 여동생 나탈리아와 공동 집필한 《두 사람》이 출간되었다.[16]

2002년부터 2014년까지 12년 동안, 톨스타야는 친구 Смирнова, Авдотья Андреевна|아브도치아 스미르노바ru와 함께 러시아 문화 TV 프로그램인 《스캔들 학교》(Школа злословия, 리처드 셰리던의 희곡에서 이름을 따옴)를 공동 진행하며, 현대 러시아 문화와 러시아 정치의 다양한 대표자들과 인터뷰를 진행했다.[17] 2003년 《스캔들 학교》는 러시아 국립 텔레비전에서 최우수 토크쇼 상을 수상했다.[10]

2010년 톨스타야는 조카 올가 프로호로바 톨스타야와 함께 부라티노가 팔아버린 책 속에 들어 있었어야 할 시 모음집인 《부라티노의 똑같은 ABC》를 출간했다. 러시아 잡지와의 인터뷰에서 톨스타야는 이 책에 대한 아이디어를 어릴 때부터 키워왔지만, 아이들이 다 자랐을 때 조카가 이 프로젝트를 "골라내" 책을 쓰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고백했다.[10]

1990년대 초반, 톨스타야는 시나리오 작가이자 언론인인 Dunya Smirnova|둔야 스미르노바영어와 문학 평론가 Тимофеевский, Александр Александрович|알렉산드르 티모페예프스키ru와 함께 러시아 우익 연합 정당에서 연설문 작성 작업을 했다.[40]

3. 5. 2013년 이후

2015년 6월 12일, ''뉴요커''는 카지미르 말레비치1915년 그림 검은 사각형의 무(無)에 대한 어두운 오마주인 "The Square"[18]를 게재했는데, 이 작품은 자기 지시적인 문단으로 마무리된다.

2018년에는 단편 소설 모음집 ''에테르 세계''가 러시아에서 출간되었다.[10] 장난스럽고 시적인 언어로 쓰여진 이 이야기들은 그녀의 어린 시절, 여행, 가족에 대한 실제 기억과 허구의 기억이 혼합되어 있다.[19][20] 이 책은 Премия Ивана Петровича Белкина|이반 벨킨 문학상ru을 수상했다.[21]영어로 번역되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22]

2020년, 그녀는 올해의 작가상을 수상했다. 이 상은 러시아 문학에 오랫동안 기여한 다작 작가에게 수여된다.[23]

4. 작품 목록

타티야나 톨스타야는 소설과 단편집, 칼럼, TV 프로그램 진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주요 작품과 활동은 다음과 같다.


  • 소설:
  • 『금빛 현관에서』 (1989)
  • 『황금 현관과 다른 이야기들』 (1990)
  • ''안개 속의 몽유병자'' (1991)
  • 키시』 (2003)
  • 『에테르 세계: 이야기』 (2018)
  • 단편집:
  • ≪사랑한다, 사랑하지 않는다≫ (1997)
  • ≪자매들≫ (1998)
  • ≪오케르빌 강≫ (1999)
  • ≪밤≫ (2001)
  • ≪낮≫ (2001)
  • ≪두 사람≫ (2001) (나탈리야 톨스타야와 공저)
  • ≪건포도≫ (2002)
  • ≪하얀 벽≫ (2004)

  • 기타:
  • 《푸시킨의 아이들: 러시아와 러시아인에 대한 글》 (2003)

  • 뉴요커 기고:
  • 「시인과 뮤즈」 (1990년 1월 8일)
  • 「천상의 불꽃」 (1990년 10월 8일, 제이미 갬브렐 번역)
  • 「가장 사랑하는 사람」 (1991년 3월 4일, 제이미 갬브렐 번역)
  • 「하얀 벽」 (2000년 1월 17일, 제이미 갬브렐 번역)
  • 「반대편을 봐」 (2007년 3월 12일, 제이미 갬브렐 번역)
  • 「아스픽」 (2016년 1월 18일, 아냐 미그달 번역)
  • 「눈 수집가」 (1998년 12월 28일, 제이미 갬브렐 번역)
  • 「버스 정류장」 (2014년 12월 22–29일, 제이미 갬브렐 번역)
  • 「광장」 (2015년 6월 12일, 아냐 미그달 번역)
  • 「아버지」 (2015년 6월 21일, 아냐 미그달 번역)

  • 파리 리뷰 기고:
  • 「밤」 (1991년 봄)

  • 윌슨 쿼털리 기고:
  • 「푸시킨의 아이들에게 희망이 있는가?」 (1992)

  • 뉴욕 서평 기고:
  • 「요제프 브로드스키에 관하여」 (1996년 2월 29일)
  • 「푸틴 씨의 제작」 (2000년 5월 25일, 제이미 갬브렐 번역)

  • 뉴요커 기고 (개인사):
  • 「요릭: 할머니의 과거의 뼈를 드러내다」 (2005년 12월 26일)

  • BBC 매거진 기고:
  • 「미녀, 저널리스트, 그리고 타이타닉」 (2014년 12월 28일)

  • 한국어 번역:


출판 연도제목번역자출판사비고
1995년『금빛 현관에』누마노 미츠요시, 누마노 쿄코하쿠스이샤단편집
1998년「밤」누마노 쿄코신초샤『마녀들의 향연: 현대 러시아 여성 작가 선』 수록
2012년-2015년「퀴시」(1-4)카이자와 사야, 타카야나기 사토코와세다 문학
2021년「안개 속에서 달이 떴다」누마노 쿄코카와데 쇼보 신샤『누마누마: 빠지면 헤어날 수 없는 현대 러시아 소설 걸작선』 수록



톨스타야의 작품은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웨덴어 등 다양한 언어로 번역·출간되고 있다.

4. 1. 소설

타티야나 톨스타야는 소설 분야에서 다양한 작품을 발표하며 독특한 문학 세계를 구축했다. 1983년 소련 문단에 등장한 톨스타야의 초기 단편들은 신선한 감각과 세련된 문학적 기법으로 주목받았다. 누마노 미츠요시는 1987년에 톨스타야의 단편 7편을 소개하며 "일독하고 일단 그 신선한 감각과 세련된 문학적 기법에 경탄했다"고 평했다.[51]

1989년 누마노는 단편 「귀여운 슈라」를 번역하며 톨스타야가 그리는 "작은 인간"이 소련 문학의 "긍정적 주인공"이라는 이상에 대한 도전이라고 평가했다.[53] 1995년에는 13편의 단편집 『금빛 현관에』가 출간되었는데, 번역자들은 톨스타야 문체의 특징으로 직유와 은유, "다성적" 말투, 문학적 텍스트 인용을 꼽았다.[54]

1996년 누마노 쿄코는 톨스타야의 「밤」(1987년)을 번역하며 여성 작가들이 러시아 문학에서 참신하고 개성적인 작품을 창출하고 있음을 지적했다.[56] 1998년에는 「밤」이 『마녀들의 향연: 현대 러시아 여성 작가 선집』에 수록되었고, 해설에서는 톨스타야가 현실과 몽상 세계의 대립을 선호하며, 상상력에 정교한 의장을 더한다고 평가했다.[58]

1999년 출간된 장편 소설 『퀴시』는 언어 실험을 하는 작가의 도전 정신을 보여준다.[59] 2001년 누마노 쿄코는 『퀴시』 제1장 서두를 번역했고, 이후 카이자와 사야와 타카야나기 사토코가 전반부를 번역했다.[60][61][62][63] 카이자와 사야는 이 소설을 환상적이면서도 황당무계하고, 리얼리즘 소설이라고 평했다.[64]

2013년 누마노 쿄코는 「안개 속에서 달이 떴다」(1987년)를 번역하며 톨스타야의 에센스가 응축된 단편이라고 평가했다.[65] 이 작품은 2021년 『누마누마』에 수록되었다.[66]

톨스타야의 주요 소설 작품은 다음과 같다:

  • 『금빛 현관에서』 (1989년, On the Golden Porch영어)
  • 『황금 현관과 다른 이야기들』 (1990년)
  • ''안개 속의 몽유병자'' (1991년)
  • 『슬링크스』 (2003년, The Slynx영어)
  • 『에테르 세계: 이야기』 (2018년, Aetherial Worlds: Stories영어)


톨스타야는 또한 뉴요커 등 여러 매체에 단편 소설을 발표했다.

출판 연도제목번역게재지
1990년 1월 8일「시인과 뮤즈」뉴요커
1990년 10월 8일「천상의 불꽃」제이미 갬브렐뉴요커
1991년 3월 4일「가장 사랑하는 사람」제이미 갬브렐뉴요커
1991년 봄「밤」파리 리뷰
2000년 1월 17일「하얀 벽」제이미 갬브렐뉴요커
2007년 3월 12일「반대편을 봐」제이미 갬브렐뉴요커
2016년 1월 18일「아스픽」아냐 미그달뉴요커
1998년 12월 28일「눈 수집가.」제이미 갬브렐뉴요커
1995년 5월『금빛 현관에』누마노 미츠요시, 누마노 쿄코 역하쿠스이샤
1998년「밤」누마노 쿄코 역『마녀들의 향연: 현대 러시아 여성 작가 선』(신초샤)
2012년 9월 - 2015년 겨울「퀴시」(1-4)카이자와 사야, 타카야나기 사토코 역『와세다 문학』[제10차]
2021년「안개 속에서 달이 떴다」누마노 쿄코 역『누마누마: 빠지면 헤어날 수 없는 현대 러시아 소설 걸작선』(카와데 쇼보 신샤)


4. 2. 단편집

타티야나 톨스타야는 단편집으로 ≪사랑한다, 사랑하지 않는다≫(1997), ≪자매들≫(1998), ≪오케르빌 강≫(1999), ≪밤≫(2001)을 출간했다. 그 외에도 ≪낮≫(2001), 나탈리야 톨스타야와 공저한 ≪두 사람≫(2001), ≪건포도≫(2002), ≪하얀 벽≫(2004)이 있다.

그녀의 첫 단편 소설인 《황금 현관에》(러시아어: ''На золотом крыльце сидели'')는 1983년 잡지 《아브로라(Avrora)》에 게재되었으며, 같은 제목의 소설집은 톨스타야를 페레스트로이카 시대와 탈 소비에트 시대의 가장 뛰어난 작가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하게 했다.[10] 1987년, 같은 제목의 단편 소설집 "황금 현관에"가 영어로 번역되어 호평을 받았다.[10] 1988년 러시아에서 이 책이 출간되었을 때, 5만 부 이상이 몇 시간 만에 매진되었다.[11]

제목연도초판재판/선집비고
시인과 뮤즈1990
천상의 불꽃1990
가장 사랑하는1991
1991
하얀 벽2000
저쪽을 보라2007
아스픽2016


4. 3. 기타


  • 1992년, 톨스타야는 《윌슨 쿼털리》에 〈푸시킨의 아이들에게 희망이 있는가?〉를 기고했다.[24]
  • 1996년 2월 29일, 《뉴욕 서평》에 〈요세프 브로드스키에 대하여〉를 기고했다.[24]
  • 1998년 12월 28일, 《뉴요커》에 제이미 갬브렐의 번역으로 〈눈 수집가〉를 기고했다.[24]
  • 2000년 5월 25일, 《뉴욕 서평》에 제이미 갬브렐의 번역으로 〈푸틴 씨의 제작〉을 기고했다.[24]
  • 2000년 9월 20일, 《프로젝트 신디케이트》에 아냐 미그달의 번역으로 〈성자와 종의 이야기〉를 기고했다.[24]
  • 2003년, 《푸시킨의 아이들: 러시아와 러시아인에 대한 글》을 보스턴과 뉴욕의 호튼 미플린에서 출간했다.[24]
  • 2005년 12월 26일, 《뉴요커》 81권 41호에 〈요릭: 할머니의 과거 뼈를 파헤치다〉를 기고했다.[24]
  • 2014년 12월 22–29일, 《뉴요커》 90권 41호에 제이미 갬브렐의 번역으로 〈버스 정류장〉을 기고했다. (123쪽)[24]
  • 2014년 12월 28일, 《BBC 매거진》에 〈미녀, 저널리스트, 그리고 타이타닉〉을 기고했다.[24]
  • 2015년 6월 12일, 《뉴요커》에 아냐 미그달의 번역으로 〈광장〉을 기고했다.[24]
  • 2015년 6월 21일, 《뉴요커》에 아냐 미그달의 번역으로 〈아버지〉를 기고했다.[24]


1983년 소련 문단에 혜성처럼 등장한 톨스타야의 작품에 대해, 1987년 누마노 미츠요시는 첫 단편 〈금빛 현관에〉를 시작으로 7편을 "일독하고 일단 그 신선한 감각과 세련된 문학적 기법에 경탄했다"고 소개했다.[51] 1989년 누마노는 단편 〈귀여운 슈라〉를 번역하여 출간했으며,[52] 톨스타야가 그리는 "작은 인간"은 소련 문학이 오랫동안 내걸었던 "긍정적 주인공"이라는 이상에 대한 대담한 도전이라고 말했다.[53] 1995년에는 표제작을 포함한 13편의 단편집 『금빛 현관에』가 누마노 미츠요시・누마노 쿄코의 번역으로 출판되었으며, 번역자는 톨스타야의 문체의 특징을 직유와 은유의 사용, 독특한 "다성적"인 말투, 그리고 문학적 텍스트의 인용에 있다고 언급했다.[54]

1996년 누마노 쿄코는 톨스타야의 〈밤〉(1987년)을 번역 출간했으며,[55] 남성 작가가 많았던 러시아 문학의 세계에 여성 작가들이 참신하고 개성적인 작품을 창출하고 있음을 지적했다.[56] 1998년 누마노 쿄코 번역 『마녀들의 향연: 현대 러시아 여성 작가 선집』에 수록된 〈밤〉 해설에서 번역자는 톨스타야에 대해, 현실과 몽상 세계의 대립이라는 낭만주의적 이원론을 선호하며, 예상을 뒤엎는 메타포를 여러 겹으로 쌓아 올리는 상상력에 정교한 의장을 가한다고 말했다.[58]

1999년에 출간된 톨스타야의 『퀴시』는 33장으로 구성된 장편 소설이지만, 2001년 누마노 쿄코는 제1장의 서두를 번역하여, 미래 소설의 형식을 취하면서도 언어의 돌연변이와 같은 언어 실험을 하는 저자의 도전을 해설했다.[59] 『퀴시』는 카이자와 사야와 타카야나기 사토코에 의해 전반부가 번역되었다.[60][61][62][63] 카이자와는 이 소설에 대해, 가장 환상적이면서도 황당무계하며, 대단한 허풍쟁이이면서도 터무니없이 세상과 동떨어진 대단히 진지한 리얼리즘 소설이라고 말했다.[64]

2013년 누마노 쿄코는 〈안개 속에서 달이 떴다〉(1987년)를 번역 출간하며, 톨스타야의 에센스가 응축된 듯한 단편이라고 평했다.[65] 이 작품은 2021년 간행된 누마노 미츠요시・누마노 쿄코 편역 『누마누마』에 수록되었다.[66]

4. 4. 한국어 번역

타티야나 톨스타야의 작품은 한국어로도 번역되어 소개되었다. 1987년 누마노 미츠요시는 톨스타야의 첫 단편 「금빛 현관에」를 포함한 7편의 작품을 "일독하고 일단 그 신선한 감각과 세련된 문학적 기법에 경탄했다"고 소개했다[51]. 1989년에는 단편 「귀여운 슈라」를 번역하며, 톨스타야가 그리는 "작은 인간"은 소련 문학의 "긍정적 주인공"이라는 이상에 대한 도전이라고 평가했다[53].

1995년에는 13편의 단편집 『금빛 현관에』(하쿠스이샤)가 누마노 미츠요시와 누마노 쿄코의 번역으로 출판되었다. 번역자들은 톨스타야 문체의 특징으로 직유와 은유, 독특한 "다성적" 말투, 문학적 텍스트 인용을 꼽았다[54].

1996년 누마노 쿄코는 톨스타야의 「밤」(1987년)을 번역 출간하며[55], 러시아 문학계에 여성 작가들이 참신하고 개성적인 작품을 창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56]. 이 작품은 1998년 『마녀들의 향연: 현대 러시아 여성 작가 선집』(신초샤)에 수록되었으며[57], 톨스타야가 현실과 몽상 세계의 대립을 선호하고, 예상을 뒤엎는 메타포를 쌓아 올리는 상상력을 보여준다고 해설했다[58].

1999년 출간된 장편 소설 『퀴시』는 2001년 누마노 쿄코가 제1장 서두를 번역하여 소개했다[59]. 이후 카이자와 사야와 타카야나기 사토코가 전반부를 번역했다[60][61][62][63]. 카이자와 사야는 이 소설을 환상적이면서도 황당무계하고, 진지한 리얼리즘 소설이라고 평가했다[64].

2013년 누마노 쿄코는 「안개 속에서 달이 떴다」(1987년)를 번역하며 톨스타야의 에센스가 응축된 단편이라고 평가했다[65]. 이 작품은 2021년 『누마누마: 빠지면 헤어날 수 없는 현대 러시아 소설 걸작선』(카와데 쇼보 신샤)에 수록되었다[66].

출판 연도제목번역자출판사비고
1995년『금빛 현관에』누마노 미츠요시, 누마노 쿄코하쿠스이샤단편집
1998년「밤」누마노 쿄코신초샤『마녀들의 향연: 현대 러시아 여성 작가 선』 수록
2012년-2015년「퀴시」(1-4)카이자와 사야, 타카야나기 사토코와세다 문학
2021년「안개 속에서 달이 떴다」누마노 쿄코카와데 쇼보 신샤『누마누마: 빠지면 헤어날 수 없는 현대 러시아 소설 걸작선』 수록


참조

[1] 웹사이트 Ratings of top 100 leading Web design firms in Russia −2013 http://2013.tagline.[...]
[2] 웹사이트 Tatyana Tolstaya http://www.vashdosug[...] vashdosug.ru 2012-02-10
[3] 웹사이트 Татьяна Толстая: "Отец был необычайно ярким человеком, я его таким помню" https://www.sobaka.r[...] Sobaka 2017-03-01
[4] 웹사이트 Татьяна Никитична Толстая. Биографическая справка http://ria.ru/spravk[...] RIA Novosti 2011-05-03
[5] 웹사이트 Татьяна Толстая: «В 1960-е постоянно ощущались дефицит и унижения» https://www.sobaka.r[...] Sobaka 2022-11-20
[6] 웹사이트 Толстая, Татьяна Никитична https://tass.ru/ency[...] TASS 2022-11-20
[7] 웹사이트 Сколько не читай, книги не принесут пользы, если человек не развит духовно — Татьяна Толстая https://primamedia.r[...] Prima Media 2022-10-09
[8] 뉴스 https://www.nytimes.[...] nytimes.com 1989-04-25
[9] 뉴스 https://www.nytimes.[...] nytimes.com 2003-02-11
[10] 웹사이트 Tatyana Tolstaya: From Sightlessness to Imagination https://museumstudie[...] Museum Studies Abroad 2018-07-24
[11] 웹사이트 A Literary Heiress : Author: A distant relative of Leo Tolstoy, Russian short-story writer Tatyana Tolstaya says writing is in her blood. Critics say her work follows in the tradition of Gogol and praise it for its satire and surrealism https://www.latimes.[...] 1992-05-12
[12] 웹사이트 Татьяна Толстая: "Я боюсь говорить об Украине. Любое слово сейчас может кончиться пулей" https://tvrain.ru/te[...] TV Rain 2014-06-18
[13]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Russian History http://www.encyclope[...] encyclopedia.com 2017-03-24
[14] 웹사이트 The Slynx by Tatyana Tolstaya https://www.nyrb.com[...] nyrb.com
[15] 웹사이트 A Tolstoy Speaks, And Russia Listens https://www.nytimes.[...] 2003-01-11
[16] 웹사이트 Granddaughter of Russian classic author Alexei Tolstoy, writer Tatyana Tolstaya became TV show-woman https://english.prav[...] English Pravda 2004-01-28
[17] 웹사이트 Tatyana Tolstaya https://www.nyrb.com[...] NYRB
[18] 간행물 The Square The New Yorker 2015-06-12
[19] 웹사이트 Aetherial Worlds by Tatyana Tolstaya review – an elegiac Russian collection https://www.theguard[...] 2019-05-03
[20] 웹사이트 Fiction Chronicle: Life Will Deceive You Later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18-03-16
[21] 웹사이트 Премию Белкина получила Татьяна Толстая https://www.colta.ru[...] Colta 2014-02-28
[22] 웹사이트 "Aetherial Worlds" by Tatyana Tolstaya https://www.newyorke[...] The New Yorker Recommends 2018-04-24
[23] 웹사이트 Татьяна Толстая получила Гран-при премии "Писатель года" https://www.rbc.ru/r[...] RBC 2020-09-19
[24] 문서 Available on website only.
[25] 서적 金色の玄関に 白水社 1995-05
[26] 웹사이트 Ratings of top 100 leading Web design firms in Russia −2013 http://2013.tagline.[...]
[27] 웹사이트 Tatyana Tolstaya http://www.vashdosug[...] vashdosug.ru 2012-02-10
[28] 웹사이트 Татьяна Толстая: "Отец был необычайно ярким человеком, я его таким помню" https://www.sobaka.r[...] Sobaka 2017-03-01
[29] 웹사이트 Татьяна Никитична Толстая. Биографическая справка http://ria.ru/spravk[...] RIA Novosti 2011-05-03
[30] 웹사이트 Tatyana Tolstaya: From Sightlessness to Imagination https://museumstudie[...] Museum Studies Abroad 2018-07-24
[31] 서적 金色の玄関に 白水社
[32] 웹사이트 Татьяна Толстая: «В 1960-е постоянно ощущались дефицит и унижения» https://www.sobaka.r[...] Sobaka 2022-11-20
[33] 웹사이트 Толстая, Татьяна Никитична https://tass.ru/ency[...] TASS 2022-11-20
[34] 웹사이트 Сколько не читай, книги не принесут пользы, если человек не развит духовно — Татьяна Толстая https://primamedia.r[...] Prima Media 2022-10-09
[35] 뉴스 https://www.nytimes.[...] nytimes.com 1989-04-25
[36] 뉴스 null https://www.nytimes.[...] nytimes.com 2003-02-11
[37] 웹사이트 A Literary Heiress : Author: A distant relative of Leo Tolstoy, Russian short-story writer Tatyana Tolstaya says writing is in her blood. Critics say her work follows in the tradition of Gogol and praise it for its satire and surrealism https://www.latimes.[...] 1992-05-12
[38] 문서 『金色の玄関に』p284には「リッチモンド大学に招聘されて」とある。
[39] 웹사이트 A Tolstoy Speaks, And Russia Listens https://www.nytimes.[...] 2003-01-11
[40] 웹사이트 Татьяна Толстая: "Я боюсь говорить об Украине. Любое слово сейчас может кончиться пулей" https://tvrain.ru/te[...] TV Rain 2014-06-18
[41] 웹사이트 null http://www.encyclope[...] 2017-03-24
[42] 웹사이트 null https://www.nyrb.com[...]
[43] 웹사이트 Granddaughter of Russian classic author Alexei Tolstoy, writer Tatyana Tolstaya became TV show-woman https://english.prav[...] English Pravda 2004-01-28
[44] 웹사이트 Tatyana Tolstaya https://www.nyrb.com[...] NYRB
[45] 웹사이트 The Square https://www.newyorke[...] 2015-06-12
[46] 웹사이트 Fiction Chronicle: Life Will Deceive You Later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2018-03-16
[47] 웹사이트 Aetherial Worlds by Tatyana Tolstaya review – an elegiac Russian collection https://www.theguard[...] 2019-05-03
[48] 웹사이트 Премию Белкина получила Татьяна Толстая https://www.colta.ru[...] Colta 2014-02-28
[49] 웹사이트 "Aetherial Worlds" by Tatyana Tolstaya https://www.newyorke[...] The New Yorker Recommends 2018-04-24
[50] 웹사이트 Татьяна Толстая получила Гран-при премии "Писатель года" https://www.rbc.ru/r[...] RBC 2020-09-19
[51] 간행물 普通の世界が不意に輝くとき:タチヤーナ・トルスタヤの短篇 https://dl.ndl.go.jp[...] 1987-12
[52] 간행물 可愛いシューラ https://dl.ndl.go.jp[...] 1989-11
[53] 간행물 特集・現代ロシア文学の新鋭:文学のペレストロイカに向けて https://dl.ndl.go.jp[...] 1989-11
[54] 서적 金色の玄関に 白水社
[55] 간행물 夜 https://dl.ndl.go.jp[...] 1996-08
[56] 간행물 魔女(バーバ・ヤガー)たちの饗宴 https://dl.ndl.go.jp[...] 1996-08
[57] 서적 魔女たちの饗宴:現代ロシア女性作家選 新潮社 1998-03
[58] 서적 魔女たちの饗宴 新潮社
[59] 간행물 ンニャー〔含 解説〕 (特集 北緯R度の文学) https://id.ndl.go.jp[...] 2001-09
[60] 간행물 クィシ ((×日本)"現代"文学の、標的=始まり(§2.5)翻訳という未来) https://id.ndl.go.jp[...] 2012-09
[61] 간행물 クィシ(第2回) https://id.ndl.go.jp[...] 2013-09
[62] 간행물 クィシ(第3回) https://id.ndl.go.jp[...] 2014-01
[63] 간행물 クィシ : 書物、そして死の章 https://id.ndl.go.jp[...] 2015
[64] 간행물 タチヤーナ・トルスタヤ『クィシ』解説 https://id.ndl.go.jp[...] 2012-09
[65] 간행물 霧の中から月が出た https://id.ndl.go.jp[...] 2013-04
[66] 서적 ヌマヌマ : はまったら抜けだせない現代ロシア小説傑作選 河出書房新社 202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