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흐신 야즈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흐신 야즈즈는 오스만 제국과 터키의 군인, 정치인, 외교관이다. 그는 1892년 오스만 제국에서 태어나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제1차 세계 대전, 터키 독립 전쟁에 참전했다. 한국 전쟁 당시에는 준장 계급으로 터키 여단을 이끌고 참전하여 군우리 전투 등에서 활약했다. 1952년 퇴역 후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나, 쿠데타로 투옥되기도 했다. 이후 이스라엘 대사를 지냈으며, 1971년 사망하여 제베지 아스리 묘지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주당 (튀르키예)의 정치인 - 젤랄 바야르
튀르키예의 정치인 젤랄 바야르는 민주당을 창당하여 튀르키예의 제3대 대통령을 역임하며 서방과의 관계 강화와 경제 발전을 추진했으나 1960년 쿠데타로 축출되었다. - 비톨라 출신 - 카롤리나 고체바
카롤리나 고체바는 9세에 데뷔하여 여러 음악 축제에서 수상한 북마케도니아의 팝 가수로, 2000년 데뷔 앨범 발매 후 북마케도니아를 대표하는 가수로 자리매김했으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두 차례 참가, 마케도니아 민족 음악 요소를 결합한 실험적인 앨범을 발매하는 등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통해 폭넓은 음악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비톨라 출신 - 니콜체 노베스키
니콜체 노베스키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출신의 축구 선수로, 분데스리가에서 6골의 자책골을 기록하며 만프레트 칼츠와 함께 최다 자책골 기록을 보유했으며, 마케도니아 국가대표팀으로 64경기에 출전했다.
타흐신 야즈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사진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타흐신 야즈즈 |
출생 | 1892년 |
출생지 | 오스만 제국 비톨라(현재의 북마케도니아 비톨라) |
사망 | 1971년 2월 11일 |
사망 장소 | 튀르키예 앙카라 |
별칭 | (없음) |
병역 정보 | |
소속 국가 | 오스만 제국 튀르키예 |
군 종류 | (정보 없음) |
복무 기간 | 1912년–1952년 |
최종 계급 | 소장 |
소속 부대 | (정보 없음) |
지휘 | 터키 여단(한국) |
주요 참전 전투 | 제1차 세계 대전 튀르키예 독립 전쟁 한국 전쟁 |
서훈 | 은성 훈장 |
기타 정보 | |
관련 인물 | (정보 없음) |
기타 이력 | GNAT (이스탄불) 국회의원 |
2. 생애
타흐신 야즈즈는 오스만 제국과 터키의 군인이자 정치가, 외교관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갈리폴리 전투, 터키 독립 전쟁 등에 참전하였으며, 한국 전쟁에는 터키 여단을 이끌고 UN군 소속으로 참전하였다. 1952년 퇴역 후에는 민주당 소속 국회의원과 이스라엘 주재 터키 대사로 활동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타흐신 야즈즈는 1892년 오스만 제국의 마나스트르(현재의 북마케도니아 비톨라)에서 아버지 알리 베이와 어머니 가니메트 하늠 사이에서 태어났다.[1] 1909년 육군사관학교에 입교하여 1912년 3월 1일 졸업과 동시에 소위로 임관하였다.제1차 세계 대전 당시 갈리폴리 전투에서 활약하였고, 1916년 3월 1일 중위로 진급하였다.[1] 터키 독립 전쟁이 한창이던 1920년 10월 10일 대위로 진급하였다.[1] 1927년에는 기병 학교의 교관으로 임명되었고, 1931년 8월 31일 소령으로 진급하였다.[1] 1935년에는 터키의 첫 탱크 부대 대대장으로 임명되었으나, 1937년에 다시 기병 학교로 돌아갔다.[1] 1938년 8월 30일 중령으로 진급했으며, 1943년 8월 30일 대령으로 진급했다.[1]
1925년에는 셰이크 사이드 반란 진압에 참여했다. 1929년에는 네자하트 하님(1904–1996)과 결혼하여 슬하에 아들 아흐메트 발리(1931–)를 두었다.[1]
2. 2. 한국 전쟁 참전
타흐신 야즈즈는 한국 전쟁 당시 준장 계급으로 5,000명의 터키 여단을 이끌었다.[2] 터키 여단은 UN군 소속으로 참전하였으며, 1950년 10월 17일 대한민국 부산항에 도착했다. 이후 수원, 금화 등지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승리했으며, 1950년 12월 군우리 전투에서는 미군을 엄호하고 중공군을 상대로 지연 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청천강 전투에서 미군을 구출하기도 했다. 터키 여단은 처음에는 미국 제8군의 예비대로 배치되었으나, 1950년 11월 26일 중공군의 대규모 공격으로 전선이 무너지면서 곧바로 전투에 투입되었다.2. 3. 퇴역 이후
1951년 11월 터키로 귀국한 후 1952년에 퇴역했다.[1] 1954년부터 1960년 사이에 민주당 소속 이스탄불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1956년에는 1959년까지 터키의 이스라엘 대사로 임명되었다.[2] 5월 27일 쿠데타 이후 야스아다 교도소에서 재판을 받고 5년형을 선고받았으나, 특사법으로 풀려났다. 1971년 노환으로 사망하여 제베지 아스리 묘지에 안장되었다.
3. 가족 관계
참조
[1]
서적
Türk Parlamento Tarihi T.B.M.B. X. Dönem 1954–1957 – X. Dönem Milletvekillerin Özgeçmişleri
https://books.google[...]
Türkiye Büyük Millet Meclisi Vakfı Yayınları, Ankara
1995
[2]
간행물
The Korean War: An Encyclopedia
Taylor & Francis
1995
[3]
뉴스
할아버지는 6·25 참전… 손자는 육군대학 유학
http://news.naver.co[...]
동아일보
2009-1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