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진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탈진실은 객관적 사실보다 감정이나 개인적 믿음에 호소하는 정보가 널리 퍼지는 현상을 의미하며, 이는 철학적,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프리드리히 니체는 진실이 인간의 해석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다고 주장하며 탈진실 이론의 선구자로 간주되고, 막스 베버는 사회과학 연구에서 가치 중립성을 강조하며 객관적인 사실을 기반으로 분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탈진실은 고대 철학자들의 진리 개념과 연결되며,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브렉시트, 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 점거 사건 등 정치 영역에서 파괴적인 영향력을 보여주는 사례가 있다. 한국 사회에서는 가짜 뉴스의 확산, 정치적 양극화 심화, 역사 왜곡 등의 문제로 나타나며, 비판적 사고 능력,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강화, 투명하고 공정한 정보 환경 조성을 통해 대응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치철학 개념 - 생태주의
생태주의는 환경 문제를 사회, 경제, 정치적 문제와 연관지어 사회 전반의 변화를 통해 해결하려는 사상으로, 생태 낭만주의와 생태 합리주의를 포함한 다양한 분파를 가지며 자본주의, 기술, 성장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제시하고 인간과 자연의 관계 재정립을 추구한다. - 정치철학 개념 - 불의
불의는 공정함이나 도덕적 올바름이 결여된 상태를 의미하며, 정의의 반대 개념으로 여겨지지만, 정의와 독립적인 속성을 지닌다는 견해도 있고, 인간의 이기심, 결함 있는 의사 결정, 사회 구조적 문제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대중문화 작품에서도 중요한 주제로 다뤄진다. - 사회 영향 - 필터 버블
필터 버블은 인터넷 정보제공자가 사용자 맞춤형으로 정보를 필터링하여 사용자가 기존 관점에 맞는 정보만 접하게 되는 현상으로, 개인을 특정 정보에 가두고 사회적으로 시민 담론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 사회 영향 - 카리스마
카리스마는 특정 개인의 비범한 능력이나 그에 대한 숭배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막스 베버는 이를 사회학적 개념으로 정립하여 지배의 한 유형으로 제시했으며, 종교적, 정신의학적 용어로도 사용된다. - 사회학 용어 - 근대화
근대화는 18세기 후반 영국의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시작되어, 과학기술 발전에 기반한 생산력 향상과 환경 통제 능력 증대를 특징으로 하며, 네덜란드의 독립과 번영, 영국 의회 정치와 산업혁명, 미국 독립 혁명과 프랑스 혁명 등 다양한 사건들을 통해 나타났다. - 사회학 용어 - 책임
책임은 법률 위반 행위에 대한 법적 제재를 포괄하며, 고의, 과실 등을 고려하여 형사 책임, 민사 책임, 행정 책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자기 책임론은 사회적 약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탈진실 | |
---|---|
개요 | |
용어 | 탈진실 |
정의 | 객관적인 사실보다 감정이나 개인적인 신념이 공론 형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현상 |
관련 개념 | 허위 정보 가짜 뉴스 선전 포퓰리즘 |
특징 | |
중요성 감소 | 사실적 정확성보다 감정적 호소나 개인적 신념이 더 중요하게 여겨짐. |
정치적 이용 | 정치적 수단으로 활용되어 여론을 조작하고 특정 목적을 달성하는 데 사용됨. |
소셜 미디어 영향 | 소셜 미디어를 통해 빠르게 확산되고 증폭되는 경향이 있음. |
배경 | |
원인 | 정보 과잉 미디어 환경 변화 정치적 양극화 대중의 불신 심화 |
영향 | |
사회적 영향 | 합리적 의사 결정 저해 사회적 갈등 심화 민주주의 가치 훼손 |
정치적 영향 | 정치적 선동 용이 정책 결정 왜곡 정치 불신 심화 |
대응 방안 | |
개인적 노력 | 비판적 사고 능력 함양 정보의 진위 여부 확인 다양한 관점 수용 노력 |
사회적 노력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강화 팩트체크 시스템 활성화 언론의 책임성 강화 |
2. 철학적, 역사적 배경
프리드리히 니체는 탈진실 이론의 선구자로 간주되며, 진실은 인간의 해석과 관점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다고 주장했다. 그의 철학은 객관적인 진실의 부정을 기반으로 하며, 모든 것은 상대적이고 인간의 주관적인 인식에 의해 결정된다는 관점주의로 요약된다. 니체는 "도덕적 의미에서의 진실과 거짓"에서 "진리"는 인간이 만들어낸 허구라고 주장했다. 언어와 개념을 통해 현실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인간은 자신의 관점을 투사하고, 이를 통해 진실이라는 환상을 만들어낸다고 보았다. 이러한 니체의 주장은 탈진실 개념의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그는 기존의 서양 철학, 특히 형이상학적 진리에 대한 믿음에 도전하며, 진실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막스 베버는 사회과학 연구에서 사실과 가치를 엄격하게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회과학자는 자신의 가치관을 연구에 투입해서는 안 되며, 객관적인 사실을 기반으로 분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회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가치 중립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는 연구자가 자신의 주관적인 신념이나 편견에 따라 자료를 해석하는 것을 경계하고, 가치 판단을 배제한 채 사실만을 제시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베버의 주장은 탈진실 시대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객관적인 사실에 기반한 연구는 가짜 뉴스나 허위 정보에 대한 효과적인 방어 수단이 될 수 있으며, 사회적 합의를 이루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가치 중립성을 지나치게 강조할 경우, 사회과학은 현실의 복잡한 문제를 제대로 다루지 못할 수 있다. 사회 현상은 가치관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치를 완전히 배제한 채 분석하는 것은 현실을 지나치게 단순화할 위험이 있다. 또한, 베버의 방법론은 사회과학자의 역할에 대한 제한을 가하며, 사회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2. 1. 철학적 선례
탈진실은 단순히 새로운 현상이 아니라, 진실과 관련된 오래된 문제의 연장선상에 있다.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은 진실을 탐구하는 데 깊이 몰두했으며, 이는 탈진실 시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한다.플라톤은 진실을 변하지 않는 '이데아'의 세계에서 찾았다. 그는 감각적인 경험을 통해 얻는 지식은 불완전하고 오류가 있을 수 있다고 보았다. 진정한 지식은 이성이 닿는 이데아의 세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얻어진다고 주장했다. 반면 아리스토텔레스는 경험적 세계를 중시하며, 진실은 현실 세계의 사물과 그 속성에 대한 정확한 인식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 그는 '대응 이론'을 제시하여, 진실은 우리의 생각과 현실 사이의 일치에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고대 철학자들의 진리 개념은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중세 시대에는 진실이 신의 계시와 연결되었고, 근대에 들어서는 이성과 과학적 방법이 진실 탐구의 주요 수단으로 부상했다. 현대 철학에서는 진실의 개념이 더욱 복잡해졌다. 언어, 문화, 권력 등 다양한 요인들이 진실 구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진실에 대한 주요 이론으로는 '대응 이론'과 '일관성 이론'이 있다. 대응 이론은 앞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한 것으로, 명제가 현실 세계의 사실과 일치할 때 진실이라고 본다. 반면 일관성 이론은 어떤 명제가 다른 명제들과 모순 없이 일관성을 유지할 때 진실이라고 본다.
줄리안 바기니는 그의 저서 《진실에 관하여》에서, 진실에 대한 의견 불일치와 불확실성이 발생하는 이유를 분석했다. 그는 우리가 서로 다른 경험, 가치관,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진실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우리의 인지적 편향과 불완전한 정보 또한 진실을 왜곡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2. 2. 프리드리히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는 탈진실 이론의 선구자로 간주되기도 한다. 니체는 진실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인간의 해석과 관점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다고 주장했다. 그의 철학은 객관적인 진실의 존재를 부정하고, 모든 것은 상대적이며 인간의 주관적인 인식에 의해 결정된다는 관점주의로 요약된다.니체는 저서 "도덕적 의미에서의 진실과 거짓"에서 "진리"는 인간이 만들어낸 허구라고 주장했다. 그는 언어와 개념을 통해 현실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인간은 자신의 관점을 투사하고, 이를 통해 진실이라는 환상을 만들어낸다고 보았다. 이러한 니체의 주장은 탈진실 개념의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니체는 기존의 서양 철학, 특히 형이상학적 진리에 대한 믿음에 도전하며, 진실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그의 사상은 탈진실 시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2. 3. 막스 베버
막스 베버는 사회과학 연구에서 사실과 가치를 엄격하게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사회과학자가 자신의 가치관을 연구에 투입해서는 안 되며, 객관적인 사실을 기반으로 분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베버는 사회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가치 중립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는 연구자가 자신의 주관적인 신념이나 편견에 따라 자료를 해석하는 것을 경계하고, 가치 판단을 배제한 채 사실만을 제시해야 함을 의미한다.베버의 이러한 주장은 탈진실 시대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탈진실은 객관적인 사실보다 감정이나 개인적인 믿음에 호소하는 정보가 널리 퍼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베버의 가치 중립적인 연구 방법론은 사회과학자들이 탈진실에 맞서 싸울 수 있는 강력한 도구를 제공한다. 즉, 베버의 방법론은 감정적인 호소나 왜곡된 정보에 휩쓸리지 않고, 엄격한 사실 검증을 통해 진실을 밝히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베버의 방법론은 한계점도 지닌다. 가치 중립성을 지나치게 강조할 경우, 사회과학은 현실의 복잡한 문제를 제대로 다루지 못할 수 있다. 사회 현상은 가치관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치를 완전히 배제한 채 분석하는 것은 현실을 지나치게 단순화할 위험이 있다. 또한, 베버의 방법론은 사회과학자의 역할에 대한 제한을 가하며, 사회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버의 사실-가치 구분은 탈진실 시대에 더욱 중요해진다. 객관적인 사실에 기반한 연구는 가짜 뉴스나 허위 정보에 대한 효과적인 방어 수단이 될 수 있으며, 사회적 합의를 이루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베버의 방법론은 사회과학자들이 진실을 추구하고, 탈진실 현상에 대응하는 데 필요한 원칙과 지침을 제공한다.
3. 비판 이론과 유럽 철학
한나 아렌트는 정치철학자로서, 공적 영역에서의 진실과 거짓의 문제에 깊이 천착했다. 그녀는 에세이 "정치에서의 거짓말"에서 고의적인 허위와 거짓말을 구분하며, 탈사실화(defactualization) 개념을 제시했다. 아렌트에 따르면, 탈사실화는 진실과 거짓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고, 정치적 판단의 근거를 훼손하는 과정이다. 이는 사실 자체를 부정하거나 왜곡하는 것을 넘어, 사실의 중요성을 약화시키고 감정에 호소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아렌트는 광고와 홍보 문화를 탈진실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다. 광고는 현실을 미화하고, 허황된 이미지를 만들어내며, 대중의 욕망을 자극함으로써 진실을 가린다. 홍보는 특정 목적을 위해 사실을 선택적으로 제시하고, 여론을 조작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광고와 홍보의 만연은 탈진실 현상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3. 1. 브뤼노 라투르
브뤼노 라투르는 현대 사회의 탈진실 현상과 관련하여 비판을 받기도 한다. 일부에서는 그의 사상이 탈진실의 지적 기반에 기여했다고 주장한다. 라투르는 과학기술학 분야의 대표적인 학자로서, 특히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으로 유명하다. 이 이론은 사회 현상을 인간과 비인간 행위자들의 상호 연결망으로 설명하며, 과학적 지식의 생산 과정을 사회적 맥락 속에서 분석한다.라투르는 과학적 사실이 객관적인 진실이 아니라, 사회적 협상과 네트워크를 통해 구성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그는 논문 "람세스 2세는 어떻게 결핵으로 죽을 수 있었나?"에서 람세스 2세의 죽음을 둘러싼 과학적 지식의 형성과정을 분석한다. 이 논문은 고대 이집트 파라오 람세스 2세의 죽음에 대한 과학적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다양한 행위자들(연구자, 박물관, 기술 등)이 어떻게 연결되어 지식을 생산하는지를 보여준다. 라투르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과학적 지식이 절대적인 진리가 아니라, 우연적인 요소와 사회적 맥락에 의해 구성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그러나 라투르는 현실 부정이나 진실의 상대성을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그는 과학적 지식의 사회적 구성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오히려 과학적 지식의 복잡성과 취약성을 드러내고, 비판적 성찰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그는 과학적 지식의 권위에 의문을 제기하면서도, 동시에 과학적 지식의 중요성을 간과하지 않는다.
3. 2. 한나 아렌트
한나 아렌트는 탈진실 이론의 중요한 개념적 자원으로 인용된다. 아렌트는 정치철학자로서, 공적 영역에서의 진실과 거짓의 문제에 깊이 천착했다. 그녀는 에세이 "정치에서의 거짓말"에서 고의적인 허위와 거짓말을 구분하며, 탈사실화(defactualization) 개념을 제시했다. 아렌트에 따르면, 탈사실화는 진실과 거짓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고, 정치적 판단의 근거를 훼손하는 과정이다. 이는 사실 자체를 부정하거나 왜곡하는 것을 넘어, 사실의 중요성을 약화시키고 감정에 호소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아렌트는 광고와 홍보 문화를 탈진실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다. 광고는 현실을 미화하고, 허황된 이미지를 만들어내며, 대중의 욕망을 자극함으로써 진실을 가린다. 홍보는 특정 목적을 위해 사실을 선택적으로 제시하고, 여론을 조작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광고와 홍보의 만연은 탈진실 현상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비슷한 맥락에서, 한병철은 그의 저서 "새로운 허무주의"에서 현대 정보사회에서 진실과 거짓의 구분이 훼손되는 현상을 분석했다. 그는 정보 과잉과 소셜 미디어의 확산이 진실의 권위를 약화시키고, 주관적인 의견과 감정이 사실을 대체하는 결과를 낳는다고 지적한다. 이러한 현상은 아렌트가 우려했던 탈진실의 또 다른 양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
4. 현대적 평가 및 사례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영국의 유럽 연합 탈퇴(브렉시트) 투표, 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 점거 사건은 탈진실 현상이 정치 영역에 미친 파괴적인 영향력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러한 사건들은 객관적 사실보다 감정적 호소나 허위 정보가 유권자들의 선택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쏟아진 정보 과부하는 탈진실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역사가 티모시 스나이더는 탈진실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법의 지배"가 약화되고 "신화의 정권"이 들어설 수 있다고 주장했다. 스나이더는 사실을 무시하고 특정 신념이나 이념을 맹목적으로 따르는 경향이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경제학자 조지 질렛은 "탈진실" 현상을 전문가들의 경제적 의견에 대한 대중의 반발로 해석했다. 질렛은 전문가 집단에 대한 불신이 심화되면서, 개인의 경험이나 감정에 기반한 정보가 더 큰 설득력을 얻게 되었다고 분석했다. 이는 합리적인 판단을 저해하고, 사회적 갈등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4. 1. 칼 세이건의 경고
칼 세이건은 저서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에서 과학적 회의주의와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탈진실 시대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그는 "우리가 과학적 회의주의를 가르치는 법을 배우지 못한다면, 누구나 쉽게 속아 넘어갈 수 있는 세상에 살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세이건은 대중에게 과학적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근거 없는 주장이나 미신에 휩쓸리지 않도록 경고했다. 그는 과학적 사고가 허위 정보, 즉 탈진실에 대한 강력한 방어막이 될 수 있다고 믿었다. 세이건의 경고는 탈진실 시대에 더욱 중요하게 다가오며, 비판적 사고 능력의 함양과 정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4. 2. 정치적 맥락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영국의 유럽 연합 탈퇴(브렉시트) 투표, 그리고 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 점거 사건은 모두 탈진실 현상이 정치 영역에 미친 파괴적인 영향력을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이러한 사건들은 객관적 사실보다 감정적 호소나 허위 정보가 유권자들의 선택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쏟아진 정보 과부하는 탈진실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역사가 티모시 스나이더는 탈진실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법의 지배"가 약화되고 "신화의 정권"이 들어설 수 있다고 주장했다. 스나이더는 사실을 무시하고 특정 신념이나 이념을 맹목적으로 따르는 경향이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경제학자 조지 질렛은 "탈진실" 현상을 전문가들의 경제적 의견에 대한 대중의 반발로 해석했다. 질렛은 전문가 집단에 대한 불신이 심화되면서, 개인의 경험이나 감정에 기반한 정보가 더 큰 설득력을 얻게 되었다고 분석했다. 이는 합리적인 판단을 저해하고, 사회적 갈등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5. 한국 사회에 미치는 영향
한국 사회에서 탈진실 현상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사회 전반에 걸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짜 뉴스의 확산은 가장 두드러진 문제 중 하나이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유포되는 가짜 뉴스는 정확한 정보 전달을 방해하고, 시민들의 판단력을 흐리게 한다. 특히, 정치적 갈등이 첨예한 시기에는 특정 정당이나 인물을 비방하는 가짜 뉴스가 쏟아져 나오면서 사회적 혼란을 가중시킨다. 예를 들어, 과거 선거 과정에서 특정 후보에 대한 허위 사실이 유포되어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치려는 시도가 있었고, 이는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행위로 비판받았다. 이러한 가짜 뉴스는 단순한 정보 오류를 넘어, 사회적 불신을 조장하고, 혐오와 갈등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정치적 양극화 심화 또한 탈진실 현상의 심각한 결과 중 하나이다. 가짜 뉴스와 왜곡된 정보는 특정 정치 세력에 대한 지지 기반을 강화하고, 상대 진영에 대한 적대감을 높인다. 이는 사회 전반의 소통을 단절시키고, 합의점을 찾기 어렵게 만든다. 특히, 한국 사회는 이념적 갈등이 깊어 정치적 양극화가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 보수와 진보 진영 간의 대립은 과거 역사 인식 문제에서 더욱 첨예하게 나타나며, 이는 사회 통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역사 왜곡 문제 역시 탈진실 현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특정 세력은 자신들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역사를 왜곡하고, 자의적으로 해석하여 사회적 갈등을 유발한다. 일제강점기, 5.18 민주화 운동 등 민감한 역사적 사건에 대한 왜곡은 사회 구성원 간의 정체성 혼란을 야기하고, 과거의 상처를 치유하는 것을 어렵게 만든다. 이는 올바른 역사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역사적 진실을 밝히려는 노력을 더욱 중요하게 만든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언론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언론은 팩트 체크를 통해 가짜 뉴스를 걸러내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시각을 제시하여 시민들이 균형 잡힌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교육 역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판적 사고 능력을 키우고, 정보의 진위를 판단하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시민 사회의 역할도 중요하다. 시민들은 적극적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가짜 뉴스를 비판하며, 사회적 합의를 이루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6. 결론
탈진실 시대에 우리가 진실을 옹호하고 사회의 건강성을 지키기 위해 기울여야 할 노력은 다음과 같다. 우선, 비판적 사고 능력을 길러야 한다. 쏟아지는 정보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기보다, 출처의 신뢰성을 의심하고, 다양한 관점을 비교 분석하며, 논리적 오류를 찾아내는 훈련이 필요하다. 이러한 비판적 사고는 개인의 판단력을 강화하고, 탈진실의 유혹에 빠지지 않도록 돕는다.
다음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정보의 생산, 유통, 소비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미디어의 영향력을 파악하며, 가짜 뉴스를 식별하는 능력을 키워준다. 학교 교육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확대하여, 시민들이 정보의 홍수 속에서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청소년과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투명하고 공정한 정보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정보의 투명성은 시민들이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공정성은 다양한 목소리가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정보 공개를 확대하고,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며, 가짜 뉴스 유포에 대한 엄격한 처벌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소셜 미디어 플랫폼은 가짜 뉴스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적, 제도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탈진실 시대는 우리 사회가 직면한 심각한 도전이다. 그러나 비판적 사고,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투명하고 공정한 정보 환경 조성을 통해 우리는 진실을 지키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어갈 수 있다. 끊임없이 진실을 추구하고, 잘못된 정보에 맞서 싸우는 노력이 미래 사회의 희망을 밝힐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Post-Truth and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https://oxfordre.com[...]
2021-10-07
[2]
서적
A political theory of post-truth
https://www.worldcat[...]
2018
[3]
서적
Social media and the post-truth world order : the global dynamics of disinformation
https://www.worldcat[...]
Palgrave Macmillan
2020
[4]
서적
Post truth : the new war on truth and how to fight back
https://www.worldcat[...]
2017
[5]
서적
Post-Truth Imaginations: New Starting Points for Critique of Politics and Technoscience
https://www.routledg[...]
Taylor & Francis
2022
[6]
웹사이트
Word of the Year 2016 is...
https://en.oxforddic[...]
2019-05-20
[7]
간행물
Metaliterate Learning for the Post-Truth World
Neal-Schuman Publishers
2019
[8]
학술지
Regimes of Posttruth, Postpolitics, and Attention Economies
https://doi.org/10.1[...]
2015-06-01
[9]
뉴스
Analysis: Donald Trump’s war on truth confronts another test with voters
https://apnews.com/a[...]
Associated Press
2023-06-24
[10]
웹사이트
Oxford Word of the Year 2016 {{!}} Oxford Languages
https://languages.ou[...]
2021-11-15
[11]
서적
Crises of the Republic; lying in politics, civil disobedience on violence, thoughts on politics, and revolution
https://archive.org/[...]
Harcourt Brace Jovanovich
1972
[12]
간행물
Truth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2-01-26
[13]
서적
Objectivity in journalism
https://www.worldcat[...]
Polity Press
2013
[14]
웹사이트
What can philosophy add to the post-truth crisis?
https://www.the-tls.[...]
2022-01-26
[15]
문서
Educational research: 'games of truth' and the ethics of subjectivity
https://ojs.unisa.ed[...]
[16]
웹사이트
Post-Truth and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https://oxfordre.com[...]
2022-01-26
[17]
웹사이트
The post-truth era of Trump is just what Nietzsche predicted
http://theconversati[...]
2019-04-22
[18]
웹사이트
Post-Truth or: Why Nietzsche is not Responsible for Donald Trump
http://thephilosophi[...]
2019-04-22
[19]
학술지
There Are No Facts ...' Nietzsche as Predecessor of Post-Truth?
https://www.academia[...]
2018
[20]
문서
Private notes, 1885-1887
[21]
뉴스
Bruno Latour, the Post-Truth Philosopher, Mounts a Defense of Science
https://www.nytimes.[...]
2019-04-22
[22]
서적
Fashionable Nonsense: Postmodern Intellectuals' Abuse of science
Picador USA
1999
[23]
서적
Power: Essential Works of Foucault
New Press
[24]
웹사이트
Post-Truth and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https://oxfordre.com[...]
2021-10-07
[25]
문서
Arendt 1972, p. 20.
[26]
문서
Arendt 1972, p. 9.
[27]
문서
Arendt 1972, p. 6.
[28]
문서
Arendt 1972, p. 7.
[29]
문서
Arendt 1972, p. 18.
[30]
문서
Arendt 1972, p. 11.
[31]
문서
Arendt 1972, p. 12.
[32]
문서
Arendt 1972, p. 36.
[33]
서적
Infocracy: Digitization and the Crisis of Democracy
Cambridge: Polity Press
2022
[34]
서적
The Demon-Haunted world: Science as a Candle in the Dark
https://archive.org/[...]
Ballantine
[35]
뉴스
Is This Carl Sagan's 'Foreboding of an America'?
https://www.snopes.c[...]
2021-06-26
[36]
논문
Emergence of the Post-truth Situation—Its Sources and Contexts
https://philarchive.[...]
2020
[37]
뉴스
The American Abyss
https://www.nytimes.[...]
2021-02-08
[38]
웹사이트
The myth of post-truth politics
https://georgegillet[...]
2023-03-12
[39]
서적
Crises of the Republic; lying in politics, civil disobedience on violence, thoughts on politics, and revolution
https://archive.org/[...]
Harcourt Brace Jovanovich
1972
[40]
웹인용
Post-Truth and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https://oxfordre.com[...]
2021-10-07
[41]
웹인용
Post-Truth and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https://oxfordre.com[...]
2021-10-07
[42]
서적
A political theory of post-truth
https://www.worldcat[...]
2018
[43]
서적
Social media and the post-truth world order : the global dynamics of disinformation
https://www.worldcat[...]
Palgrave Macmillan
2020
[44]
서적
Post truth : the new war on truth and how to fight back
https://www.worldcat[...]
2017
[45]
서적
Post-Truth Imaginations: New Starting Points for Critique of Politics and Technoscience
https://www.routledg[...]
Taylor & Francis
2022
[46]
저널
Regimes of Posttruth, Postpolitics, and Attention Economies
https://doi.org/10.1[...]
2015-06-01
[47]
웹인용
Word of the Year 2016 is...
https://en.oxforddic[...]
2019-05-20
[48]
문서
Metaliterate Learning for the Post-Truth World
Neal-Schuman Publishers
2019
[49]
웹인용
Post-Truth and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https://oxfordre.com[...]
2021-10-07
[50]
웹인용
Oxford Word of the Year 2016 {{!}} Oxford Languages
https://languages.ou[...]
2021-11-15
[51]
웹인용
Post-Truth and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https://oxfordre.com[...]
2021-10-07
[52]
인용
Truth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22-01-26
[53]
서적
Objectivity in journalism
https://www.worldcat[...]
Polity Press
2013
[54]
웹인용
What can philosophy add to the post-truth crisis?
https://www.the-tls.[...]
2022-01-26
[55]
웹인용
Post-Truth and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https://oxfordre.com[...]
2022-01-26
[56]
웹인용
The post-truth era of Trump is just what Nietzsche predicted
http://theconversati[...]
2019-04-22
[57]
웹인용
Post-Truth or: Why Nietzsche is not Responsible for Donald Trump
http://thephilosophi[...]
2019-04-22
[58]
저널
There Are No Facts ...' Nietzsche as Predecessor of Post-Truth?
https://www.academia[...]
2018
[59]
서적
Power: Essential Works of Foucault
New Press
[60]
웹인용
Post-Truth and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https://oxfordre.com[...]
2021-10-07
[61]
서적
Infocracy: Digitization and the Crisis of Democracy
Cambridge: Polity Press
2022
[62]
뉴스
Is This Carl Sagan's 'Foreboding of an America'?
https://www.snopes.c[...]
2021-06-26
[63]
웹인용
The myth of post-truth politics
https://georgegillet[...]
2023-0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