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테클라 (성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클라는 2세기경의 문서인 《사도 바울과 테클라의 행적》에 등장하는 인물로, 기독교로 개종하여 사도 바울을 따르기 위해 약혼자를 버린 젊은 귀족 처녀로 묘사된다. 이 문서는 테클라가 화형, 맹수, 폭행 등 여러 위협 속에서도 기적적으로 구원받고, 바울과 함께 여행하며 복음을 전파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테클라는 동방 정교회에서 "여성들 가운데 사도"로 숭배받았으며, 여성 권익 신장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많은 여성 성인들의 모범이 되었다. 그녀를 기리는 여러 유적과 축일이 존재하며, 서방 교회에서는 1969년 역사적 증거 부족으로 축일이 삭제되었으나, 동방 정교회에서는 기념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콘야 출신 - 알레이나 틸키
    알레이나 틸키는 2000년 튀르키예 출생 가수로, 튀르키예판 갓 탤런트 준결승 진출을 시작으로 터키 차트 1위를 기록하며, 미국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콘야 출신 - 하잘 카야
    1990년생 튀르키예 배우 하잘 카야는 2006년 데뷔 후 여러 드라마에서 주연을 맡아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며 높은 출연료를 받는 배우로 활동하고 있다.
  • 1세기 기독교 순교자 - 필립보
    필립보는 갈릴래아 베싸이다 출신으로 예수의 열두 사도 중 한 명이며, 본래 세례자 요한의 제자였으나 예수를 만나 그의 제자가 되었고, 나타나엘을 예수에게 인도하였으며, 오병이어 기적, 헬라인들과의 만남 주선, 아버지에 대한 질문 등으로 복음서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외경과 유물, 그리고 여러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1세기 기독교 순교자 - 마티아
    마티아는 신약성경 사도행전에 나오는 인물로, 가룟 유다를 대신하여 열두 사도 중 한 명으로 선택되었으며, 세례자 요한이 예수에게 세례를 베푼 순간부터 예수의 승천까지 함께 한 제자로서 제비뽑기를 통해 선출되었고, 여러 기독교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 1세기 출생 - 기루왕
    기루왕은 백제의 제5대 국왕으로, 다루왕 사후 즉위하여 신라를 공격했으나 패배하고 신라와 평화 조약을 맺었으며 말갈의 침입 시 신라의 지원을 받았고 자연재해가 빈번했다.
  • 1세기 출생 - 마티아
    마티아는 신약성경 사도행전에 나오는 인물로, 가룟 유다를 대신하여 열두 사도 중 한 명으로 선택되었으며, 세례자 요한이 예수에게 세례를 베푼 순간부터 예수의 승천까지 함께 한 제자로서 제비뽑기를 통해 선출되었고, 여러 기독교 교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는다.
테클라 (성인)
기본 정보
11세기 메놀로기온에 있는 성녀 테클라의 이콘.
존경 대상동방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성공회
칭호동정녀 순교자
사도와 동등한 성인
축일9월 23일 (로마 가톨릭, 성공회)
9월 24일 (동방 정교회)
투트 23일 (콥트 교회)
십자가 현양 후 네 번째 일요일 다음 화요일 (아르메니아)
인물 정보
로마자 표기Thékla 테클라
출생AD 30년
출생지이코니움 (현재의 콘야, 터키)
사망AD 1세기

2. 교회 전통

『사도 바울과 데클라의 행적』(Acts of Paul and Thecla)은 2세기경(서기 180년경)의 문서로, 『사도 바울의 행적』(Acts of Paul)의 일부를 이루지만, 별도로 유포되기도 했다. 이 문서에 따르면, 데클라(Thecla)는 이고니온(Iconium, 현 코냐(Konya)) 출신의 젊은 귀족 처녀였는데, 기독교로 개종하고 바울을 따르기 위해 약혼자를 버렸다.[3]

이 문서에는 데클라가 창가에 앉아 사흘 동안 바울이 기독교의 하나님과 순결한 삶의 중요성에 대해 말하는 것을 들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데클라의 어머니 테오클리아(Theoclia)와 약혼자 타미리스(Thamyris)는 데클라가 바울의 가르침을 따를까 봐 걱정하여, 바울이 기독교인이라는 이유와 "처녀들을 결혼에 반하게 한다"는 이유로 지역 당국에 고발했다. 바울은 투옥되었고, 데클라가 그를 방문하여 그의 쇠사슬에 입을 맞추고 어머니와 약혼자에게 돌아가기를 거부했다. 바울은 도시를 떠나야 했고, 데클라도 화형 선고를 받았다.[4]

그러나 데클라가 화형당하려는 순간 폭풍이 몰아쳐 기적적으로 구조되었다. 그 후 이고니온(Iconium, 현 코냐(Konya)) 밖에서 바울을 만나 "머리를 자르고 당신이 가는 곳 어디든 따라가겠습니다"라고 말했다.[5] 그 후 바울과 함께 피시디아 안티오크(Antioch of Pisidia)로 여행했다. 거기서 알렉산더(Alexander)라는 귀족이 데클라를 탐내 강간하려 했지만, 데클라가 저항하여 그의 망토를 찢고 관을 떨어뜨렸고, 폭행 혐의로 재판에 회부되었다. 그녀는 야수에게 던져질(damnatio ad bestias) 형을 선고받았지만, 다시 한 번 기적적으로 구조되었다. 한 장면에서는 특히 암사자와 같은 암컷 짐승들이 수컷 짐승들의 공격으로부터 그녀를 보호했다. 경기장에 있는 동안 그녀는 주변에 있는 공격적인 바다표범이 가득한 호수에 뛰어들어 자기 자신을 세례 받았고, 바다표범들은 모두 그녀를 해치기 전에 번개에 맞아 죽었다.[6][7]

데클라가 "남자의 옷으로 개조한 망토"를 입고 미라(Myra)에서 바울과 다시 합류했다.[4] 여행 중에 그녀는 하나님의 말씀을 전파하고 여성들에게 순결한 삶을 살도록 격려했다.[8] 『행적』의 일부 버전에 따르면, 데클라(Thecla)는 실리프케(Seleucia Cilicia, 현 실리프케(Silifke))의 동굴에서 72년 동안 살면서 기독교를 계속 전파했다.

데클라는 시리아의 마을인 마을룰라(Maaloula)에서 여생을 보냈다고도 한다. 거기서 그녀는 치유자가 되어 많은 기적을 행했지만, 끊임없이 박해를 받았다. 한 번은 박해자들이 그녀를 잡으려 할 때, 그녀가 하나님께 부르짖자, 그녀가 있던 동굴에 새로운 통로가 열리고 돌이 그녀 뒤로 닫혔다. 죽기 전에 로마에 가서 바울의 무덤 옆에 누울 수 있었다.[9]

테르툴리아누스(Tertullian)는 그의 저서 「세례에 관하여」(On Baptism) 17장에서 다음과 같이 기록한다.

{{인용

|text=그러나 바울의 이름으로 잘못 알려진 글들이 테클라의 예를 들어 여성의 가르침과 세례를 허용한다고 주장한다면, 아시아에서 그 글을 지은 장로가 자신의 재능으로 바울의 명성을 높이려고 하다가 유죄 판결을 받고 바울에 대한 사랑 때문에 그렇게 했다고 자백한 후 직책에서 해임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10]}}

요한 페터 키르히(Johann Peter Kirsch)는 "전체 이야기의 순전히 전설적인 성격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역사적 인물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고 말한다.[11]

교부들은 테클라에 대한 여러 전승을 전한다. 4세기 니사의 그레고리우스(Gregory of Nyssa)는 (시편 강해 14, Homily 14 ''in Cant'')에서 그녀가 육체에 죽음을 가져다줌으로써 자신을 희생했으며,[12] 극심한 고행을 실천하여 세상의 모든 정을 끊어, 이성과 영혼 외에는 살아있는 것이 아무것도 남지 않은 것처럼 보였다고 기록한다. 세상은 그녀에게 죽은 것처럼 보였고, 그녀는 세상에 죽은 것과 같았다.[13] 서기 300년경 조금 후 마카리우스 마그네스(Macarius Magnes)는 기독교의 메시지가 "칼[마태복음 10:34]과 같아서 서로 관계를 끊었고[마태복음 10:35], 테클라와 테오클레이아(Theocleia)를 갈라놓았다"고 썼다.[14] 서기 280년경, 테클라는 올림푸스의 메토디우스(Methodius of Olympus)의 「연회」(Symposium)에 등장하는 인물 중 한 명으로, 세속 철학, 다양한 문학 분야에 대한 상당한 지식과 유창하면서도 겸손한 담론을 보여준다. 메토디우스는 그녀가 바울로부터 신성하고 복음적인 지식을 받았으며, 신성한 과학("Logos 8")에 능숙했다고 말한다.

테클라의 순교는 초기 「순교록」(Acts of the Martyrs)에서 자주 언급된다. 디오클레티아누스(Diocletian) (284-305) 치하 트레비존드의 순교자 유게니우스(Eugenius)는 기도에서 테클라를 다윗다니엘과 함께 언급한다. 「폴리욱테스 순교록」(Acts of Polyeuctes) (259년 사망)의 서두는 테클라와 페르페투아를 언급하며, 같은 근원에서 영감을 받은 많은 처녀 순교자들이 분명히 있었다. 콤모두스(Commodus) (180-192) 치세의 로마의 유게니아(Eugenia of Rome)는 순교록에 테클라를 자신의 모범으로 삼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일부 학자들에 따르면, 테클라의 이야기는 남자로 변장한 여성 성인들에 대한 후대의 많은 이야기들, 예를 들어 성 아나스타시아(Anastasia the Patrician), 성 페르게의 마트로나(Matrona of Perge), 성 알렉산드리아의 유프로시네(Euphrosyne of Alexandria), 성 아폴리나리아(Apolinaria), 성 로마의 유게니아(Eugenia of Rome), 성 마리나(Marina the Monk), 성 알렉산드리아의 테오도라(Theodora of Alexandria) 등의 이야기에 영감을 주었다.[15] 「바울과 테클라 행전」(Acts of Paul and Thecla) 이후 3세기 또는 4세기에 쓰여진 이러한 이야기들은 주제적 연관성을 통해 테클라의 이야기를 언급하고, 《유게니아의 생애》의 경우에는 명시적으로 언급한다.[16]

2. 1. 사도 바울과 테클라 행전

바울과 테클라 행전은 바울 행전의 일부를 구성하는 2세기 문헌(AD 180경)이지만 별도로 유포되기도 했다. 본문에 따르면 테클라는 이고니온 출신의 젊은 고귀한 처녀로, 기독교로 개종하고 바울을 따르기 위해 약혼자를 떠나기로 선택했다.

테클라는 창가에 앉아 바울이 기독교의 신과 순결한 삶의 중요성에 대해 말하는 것을 3일 동안 들었다. 테클라의 어머니 테오클리아(Theoclia)와 약혼자 타미리스(Thamyris)는 테클라가 바울의 가르침을 따를 것을 걱정하여, 바울이 그리스도인이고 “처녀들이 결혼하기를 싫어하게 만들었다”는 이유로 지방 당국에 도움을 요청했다. 바울은 감옥에 보내졌고, 테클라는 그를 방문하여 그의 결박에 입을 맞추고 그를 떠나 어머니와 약혼자에게 돌아가기를 거부했다. 바울은 도시를 떠나야 했고, 테클라는 화형을 당했다.

그러나 테클라는 폭풍이 닥쳐 화형에 처해졌을 때 기적적으로 구출되었다. 이고니온 밖에서 바울을 만난 테클라는 “나는 내 머리를 자르고 선생님께서 어디로 가시든지 따라가겠나이다”라고 말했다. 테클라는 바울과 함께 비시디아 안디옥으로 여행했다. 그곳에서 알렉산더라는 귀족이 테클라를 탐하고 그녀를 강간하려 했다. 테클라는 그와 싸워 망토를 찢고 머리에서 관을 떨어뜨려 폭행죄로 재판을 받게 되었다. 그녀는 들짐승에게 잡아먹히는 선고를 받았지만, 일련의 기적에 의해 다시 구원을 받았다. 암사자가 그녀를 공격하는 남성으로부터 그녀를 보호했고, 경기장에 있는 동안 그녀는 공격적인 물개들이 가득한 인근 호수에 몸을 던져 자신에게 세례를 주었는데, 물개들은 그녀를 잡아먹기 전에 모두 번개에 맞아 죽었다.

테클라는 "남자의 망토를 만들기 위해 그녀가 변경한 맨틀을 입고" 뮈라에서 바울과 다시 합류했다. 여행하면서 그녀는 하느님의 말씀을 전했고 여성들에게 순결한 삶을 살아 자신을 본받을 것을 권했다. 사도행전의 일부 버전에 따르면 테클라는 셀레우키아 킬리키아(Seleucia Cilicia)의 한 동굴에서 72년 동안 살았으며 그곳에서 계속해서 기독교를 전파했다.

테클라는 여생을 시리아의 마루라(Maaloula) 마을에서 보냈다고도 전해진다. 그곳에서 그녀는 치료사가 되어 많은 기적을 행했지만 끊임없이 박해를 받았다. 한번은 그녀를 박해하는 사람들이 그녀에게 다가오려고 할 때 그녀가 하나님께 부르짖자 그녀가 있던 동굴에 새로운 통로가 열렸고 그녀 뒤에 있던 돌들이 닫혔다. 그녀는 죽기 전에 로마로 가서 바울의 무덤 옆에 누울 수 있었다.

2. 2. 초기 교부들의 증언

테르툴리아누스[10]는 그의 저서 《세례에 관하여》(On Baptism) 17장에서 "바울의 이름으로 잘못 알려진 글들이 테클라의 예를 들어 여성의 가르침과 세례를 허용한다고 주장한다면, 아시아에서 그 글을 지은 장로가 자신의 재능으로 바울의 명성을 높이려고 하다가 유죄 판결을 받고 바울에 대한 사랑 때문에 그렇게 했다고 자백한 후 직책에서 해임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라고 말한다. 요한 페터 키르히는 "전체 이야기의 순전히 전설적인 성격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역사적 인물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고 말한다.[11]

4세기 니사의 그레고리우스는 (시편 강해 14, Homily 14 ''in Cant'')에서 테클라가 육체에 죽음을 가져다줌으로써 자신을 희생했으며,[12] 극심한 고행을 실천하여 세상의 모든 정을 끊어, 이성과 영혼 외에는 살아있는 것이 아무것도 남지 않은 것처럼 보였다고 기록한다. 세상은 그녀에게 죽은 것처럼 보였고, 그녀는 세상에 죽은 것과 같았다.[13] 300년경 조금 후 마카리우스 마그네스는 기독교의 메시지가 "칼[마태복음 10:34]과 같아서 서로 관계를 끊었고[마태복음 10:35], 테클라와 테오클레이아(Theocleia)를 갈라놓았다"고 썼다.[14] 280년경, 테클라는 올림푸스의 메토디우스의 《연회》(Symposium)에 등장하는 인물 중 한 명으로, 세속 철학, 다양한 문학 분야에 대한 상당한 지식과 유창하면서도 겸손한 담론을 보여준다. 메토디우스는 그녀가 바울로부터 신성하고 복음적인 지식을 받았으며, 신성한 과학("Logos 8")에 능숙했다고 말한다.

테클라의 순교는 초기 《순교록》(Acts of the Martyrs)에서 자주 언급된다. 디오클레티아누스(284-305) 치하 트레비존드의 순교자 유게니우스는 기도에서 테클라를 다윗다니엘과 함께 언급한다. 《폴리욱테스 순교록》(Acts of Polyeuctes) (259년 사망)의 서두는 테클라와 페르페투아를 언급하며, 같은 근원에서 영감을 받은 많은 처녀 순교자들이 분명히 있었다. 콤모두스(180-192) 치세의 로마의 유게니아는 순교록에 테클라를 자신의 모범으로 삼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일부 학자들에 따르면, 테클라의 이야기는 남자로 변장한 여성 성인들에 대한 후대의 많은 이야기들, 예를 들어 성 아나스타시아(Anastasia the Patrician), 성 페르게의 마트로나(Matrona of Perge), 성 알렉산드리아의 유프로시네(Euphrosyne of Alexandria), 성 아폴리나리아(Apolinaria), 성 로마의 유게니아, 성 마리나(Marina the Monk), 성 알렉산드리아의 테오도라(Theodora of Alexandria) 등의 이야기에 영감을 주었다.[15] 《바울과 테클라 행전》(Acts of Paul and Thecla) 이후 3세기 또는 4세기에 쓰여진 이러한 이야기들은 주제적 연관성을 통해 테클라의 이야기를 언급하고, 《유게니아의 생애》의 경우에는 명시적으로 언급한다.[16]

3. 테클라 숭배와 관련된 유적

3. 1. 실리프케의 성 테클라 무덤

실리프케의 아야 테클라


실리프케(Seleucia)의 동굴 무덤은 기독교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곳 중 하나였다. 나지안조스의 그레고리우스는 3년 동안 "매우 칭찬받는 젊은 처녀 테클라"의 사당으로 은퇴했다.[22] 이곳은 380년대 중반 에게리아에 의해 묘사되었다. 이곳은 여러 차례 복원되었는데, 그중에는 5세기에 제노 황제에 의한 복원도 있었다. 오늘날 무덤과 성소의 유적은 아야 테클라 교회(Aya Tekla Church) 또는 메리암리크(Meriamlik)라고 불린다.[23] 5세기 익명의 저작인 「테클라의 삶과 기적(The Life and Miracles of Thecla)」은 이 마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24]

3. 2. 마알룰라의 성 테클라 수도원

마룰라의 성 테클라 수녀원(마룰라)


시리아 마알룰라에는 성녀 테클라의 동굴 무덤 근처에 그리스 정교회 수녀원인 성 테클라 수녀원이 세워졌다.[27] 산허리에 있는 계단을 통해 갈 수 있으며, 성수가 있는 순례지이다. 교회 전통에 따르면, 산이 기적으로 열려 테클라를 박해자들로부터 보호했다고 한다.

시리아 내전 중이던 2013년 12월 2일 월요일, 성지가 폭격을 받는 동안 알누스라 전선의 알카에다 급진 세력이 그곳에 있던 12명의 수녀들을 납치했다.[25] 3개월 후, 수녀들은 테러리스트들의 친척들과 교환되었고, 2014년 4월에는 시리아 정부군이 마을을 해방시켰다. 2018년 5월 30일, 교회의 책임자인 일리아스 아데스는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와 러시아 정교회의 도움으로 수녀원이 한 달 안에 완전히 복원될 것이라고 발표했다.[26] 이 수녀원은 러시아를 포함한 전 세계 동방 정교회 신자들에게 인기 있는 순례지이다.[27]

3. 3. 라르나카의 성 테클라 수도원

전설에 따르면, 로마 제국 황후 헬레나가 라르나카 근처 모스필로티에 위치한 성 테클라 수도원을 세웠다고 한다.[28] 맘루크들이 키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을 점령한 후, 성 테클라의 성물 일부가 기독교인들에 의해 키프로스로 옮겨졌으며, 현재 이 수도원에 보관되어 있다.[28]

3. 4. 키프로스 성 메나스 교회

키프로스에 있는 성 메나스 교회에 있는 "순교자 테클라(Thecla)"를 기리는 비문은 1세기 후반부에 새겨진 것으로, 20세기 초에 그녀의 실존을 증명하는 증거로 해석되었다.[29] 키프로스에 있는 성 메나스 교회 근처 순례지에서는 여성들이 성수, 기름 또는 심지어 그곳의 흙을 채울 수 있는 병을 구입할 수 있었는데, 많은 여성들이 순례 여정 중에 이곳을 방문했다. 이 병에는 한쪽 면에는 메나스의 이미지가, 다른 쪽 면에는 테클라의 이미지가 그려져 있었다.[30]

3. 5. 로마의 성 테클라 카타콤

로마의 ''산타 테클라 카타콤베(Catacomba di Santa Tecla)'' 벽에서 2010년 6월, 교황청 고고학 위원회(Pontifical Commission for Sacred Archaeology)의 바티칸 고고학자들이 레이저 기술을 사용하여 사도 바오로의 프레스코화 초상화를 발견했다.[31] 이 초상화는 "가느다란 얼굴과 어두운 뾰족한 수염, 작은 눈과 깊게 패인 눈썹으로 알아볼 수 있다."[31] 고고학자들은 이것이 4세기 후반에 제작된 바오로의 가장 오래된 이미지라고 믿고 있다.[32]

4. 테클라의 영향과 유산

동방 정교회에서는 『바울과 테클라의 행적』이 널리 퍼져 있던 사실이 그녀에 대한 존경심을 보여준다. 그녀는 "여성들 가운데 사도이자 첫 순교자"[11]이자 "사도와 동등한 성인"으로 불렸다. 그녀는 여성들에게 금욕적인 모범으로 널리 인용되었다. 4세기와 5세기 동안 테클라는 올림푸스의 메토디오스, 니사의 그레고리, 나지안조의 그레고리와 같은 금욕주의 작가와 신학자들에 의해 모범적인 처녀이자 순교자로 칭송받았다. 동방 정교회의 동방 전례에서는 새 달력을 따르는 교회에서는 9월 24일, 옛 달력을 사용하는 교회에서는 10월 7일에 그녀를 기념한다.

그녀에 대한 존경심은 특히 (킬리키아의) 셀레우키아(그녀가 노년까지 살았고 매장된 곳으로 알려짐), 이코니움(현재 코냐), 그리고 니코메디아에서 번성했다. 프랑스의 샤말리에르에는 유물이 있다고 믿어졌다. 아퀼레이아트리에스테의 테클라와 같은 잘 알려지지 않은 성인들은 그녀를 본떠 만들어졌다.[17][18] 베다의 성인전에서 테클라는 9월 23일에 기념되는데, 이는 서방에서의 그녀의 축일이었다.[11] 그러나 1969년 로마 가톨릭 교회는 역사적 증거가 부족하여 성인력에서 테클라의 축일을 삭제했다.[19] 정교회의 서방 전례 교구에서는 9월 23일(새 달력 교구)과 10월 6일(옛 달력 교회)에 계속해서 그녀를 기념한다. 서방 전례 수도회인 첫 번째 은둔자 바울 성인회는 9월 24일에 그녀의 축일을 기념한다.[20]

테클라의 지역적인 순교자 전승이 사도 바울과 관련된 에피소드에 영감을 주었을 수 있다.[21] 이 ''행적''의 편집자인 M. R. 제임스는 "그렇지 않으면 동서양으로 퍼져 그녀를 가장 유명한 처녀 순교자로 만든 성 테클라의 숭배의 엄청난 인기는 설명하기 어렵다"고 썼다(James 1924).

성 테클라 성당. 시리아 라타키아


테클라(테클라/Θέκλαgrc) 성녀는 헌신적인 모습과 선택받은 성녀의 이미지로 소아시아와 이집트 전역의 많은 여성들의 추종을 얻었다. 테클라 성녀는 이들 여성들 사이에서 일종의 여성 권익 신장의 수호자로 칭송받았다. 『바울과 테클라 행전』(Acts of Paul and Thecla)에서 테클라 성녀는 남자들에게 설교하고 스스로 세례를 받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남자들만이 해야 할 일로 여겨졌던 것들이다.[33]

테클라 성녀는 이들 여성들에게 모방의 문화를 만들었다. 그들 중 여러 명은 가정집이나 무덤에서(소문에 의하면 그녀가 그랬던 것처럼), 그리고 때로는 수도원에서 처녀로 살았다. 이 여성들은 테클라와 그녀의 은총에 대한 이야기를 전하며 권능을 가진 처녀들의 무리로 함께 여행했다. 테클라 운동(The Movement of St. Thecla)에 참여한 다른 여성들은 자신의 딸들의 이름을 그녀의 이름을 따서 지었고, 그녀의 얼굴을 자신의 무덤과 기름등에 새겼다. 이 모든 여성들은 많은 여성들이 감히 할 수 없었던 일들을 한 여성인 테클라에게 힘을 얻었고, 서로에게 힘을 주는 강력한 공동체를 만들었다.[34]

4. 1. 여성 권익 신장의 상징

테클라(테클라/Θέκλαgrc) 성녀는 헌신적인 모습과 선택받은 성녀의 이미지로 소아시아와 이집트 전역의 많은 여성들의 추종을 얻었다. 테클라 성녀는 이들 여성들 사이에서 일종의 여성 권익 신장의 수호자로 칭송받았다. 『바울과 테클라 행전』(Acts of Paul and Thecla)에서 테클라 성녀는 남자들에게 설교하고 스스로 세례를 받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남자들만이 해야 할 일로 여겨졌던 것들이다.[33]

테클라 성녀는 이들 여성들에게 모방의 문화를 만들었다. 그들 중 여러 명은 가정집이나 무덤에서(소문에 의하면 그녀가 그랬던 것처럼), 그리고 때로는 수도원에서 처녀로 살았다. 이 여성들은 테클라와 그녀의 은총에 대한 이야기를 전하며 권능을 가진 처녀들의 무리로 함께 여행했다. 테클라 운동(The Movement of St. Thecla)에 참여한 다른 여성들은 자신의 딸들의 이름을 그녀의 이름을 따서 지었고, 그녀의 얼굴을 자신의 무덤과 기름등에 새겼다. 이 모든 여성들은 많은 여성들이 감히 할 수 없었던 일들을 한 여성인 테클라에게 힘을 얻었고, 서로에게 힘을 주는 강력한 공동체를 만들었다.[34]

4. 2. 테클라를 본받은 여성 성인들

4. 3. 테클라를 기념하는 축일과 수호성인

동방 정교회에서는 《바울과 테클라의 행적》이 널리 퍼져 있었던 사실이 테클라에 대한 존경심을 보여준다.[11] 그녀는 "여성들 가운데 사도이자 첫 순교자"[11]이자 "사도와 동등한 성인"으로 불렸다. 테클라는 여성들에게 금욕적인 모범으로 널리 인용되었으며, 4세기와 5세기 동안 올림푸스의 메토디오스, 니사의 그레고리, 나지안조의 그레고리와 같은 금욕주의 작가와 신학자들에 의해 모범적인 처녀이자 순교자로 칭송받았다. 동방 정교회의 동방 전례에서는 새 달력을 따르는 교회에서는 9월 24일, 옛 달력을 사용하는 교회에서는 10월 7일에 그녀를 기념한다.

테클라에 대한 존경심은 특히 (킬리키아의) 셀레우키아(그녀가 노년까지 살았고 매장된 곳), 이코니움(현재 코냐), 니코메디아에서 번성했다. 프랑스 샤말리에르에는 유물이 있다고 믿어졌으며, 아퀼레이아트리에스테의 테클라와 같은 잘 알려지지 않은 성인들은 그녀를 본떠 만들어졌다.[17][18] 베다의 성인전에서 테클라는 9월 23일에 기념되는데, 이는 서방에서의 그녀의 축일이었다.[11] 그러나 1969년 로마 가톨릭 교회는 역사적 증거가 부족하여 성인력에서 테클라의 축일을 삭제했다.[19] 정교회의 서방 전례 교구에서는 9월 23일(새 달력 교구)과 10월 6일(옛 달력 교회)에 계속해서 그녀를 기념하며, 서방 전례 수도회인 첫 번째 은둔자 바울 성인회는 9월 24일에 그녀의 축일을 기념한다.[20]

테클라의 지역적인 순교자 전승이 사도 바울과 관련된 에피소드에 영감을 주었을 수 있다.[21] 이 ''행적''의 편집자인 M. R. 제임스는 "그렇지 않으면 동서양으로 퍼져 그녀를 가장 유명한 처녀 순교자로 만든 성 테클라의 숭배의 엄청난 인기는 설명하기 어렵다"고 썼다. 테클라는 에스파냐 카탈루냐 지방의 타라고나와 시체스의 수호성인으로, 타라고나 대성당에는 테클라 성녀 경당이 있다. 테클라 성녀 축제는 이 도시의 가장 중요한 지역 축제로 남아 있다.[35] 스페인어권 국가에서는 스페인어와 카탈루냐어에서 "키"(key)를 뜻하는 "tecla"와의 동음이의어 때문에, 우스갯소리로 컴퓨터와 인터넷의 수호성인으로도 여겨진다. 밀라노에 있는 가장 오래된 성당(St Thecla's Cathedral) 또한 테클라 성녀에게 봉헌되었으며, 세례당과 건물의 잔해는 현재의 밀라노 대성당 아래에서 여전히 볼 수 있다. 이탈리아 베네토주 에스테 마을의 두오모도 산타 테클라에게 봉헌되어 있다. 레바논에는 성 타클라에게 봉헌된 교회가 42개 있으며, 가장 오래된 교회 중 하나는 1695년에 지어진 마스카, 마튼 지구에 있는 성 타클라 교회로, 1870년 이탈리아 화가 빈첸토 람포디코가 그린 테클라의 그림을 소장하고 있다.

시리아에는 다라이야에 성 테클라 그리스 정교회(Greek Orthodox church of St. Thecla)가 있다. 1849년, 라타키아에서 동굴이 발견되어 나중에 성 타클라 성지(St. Taqla's Shrine)가 되었다.

미국에는 세 곳의 로마 가톨릭 교구가 성 테클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미시간주 클린턴 (클린턴 타운십, 매콤 카운티), 매사추세츠주 펨브로크, 일리노이주 시카고.

몇몇 도시와 마을은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엘살바도르 산타 테클라 (이전에는 누에보 산살바도르, 라 리베르타드)
  • 캐나다 퀘벡주 생테테클
  • 프랑스 알프마리팀주 페이용 코뮌의 생테테클 촌락
  • 이탈리아 아치레알레의 산타 테클라 구역
  • 포르투갈 셀로리쿠드바스투의 산타 테클라 드 바스투 구역
  • 독일 라이프치히의 라이프치히 테클라 지역
  • 레바논 남부 데이르 타클라 (테클라 수도원)

참조

[1] 웹사이트 Lives of Saints :: Tout 23 https://www.copticch[...]
[2] 서적 Domar: the calendrical and liturgical cycle of the Armenian Apostolic Orthodox Church Armenian Orthodox Theological Research Institute 2003
[3] 서적 The New Testament and Other Early Christian Writings: A Reader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4] 서적 2003
[5] 서적 2003
[6] 뉴스 Graphic Versions: Did non-biblical stories about Jesus and the saints originate more in art than text? Times Literary Supplement 2018-12-14
[7] 논문 Remembering the acts of Paul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Global 2010
[8] 간행물 The Cult Of Thecla: A Tradition Of Women's Piety In Late Antiquity (Review) 2003
[9] 서적 The Apocryphal New Testament: a collection of apocryphal Christian literature in an English translation Clarendon Press 1999
[10] 웹사이트 On Baptism https://www.newadven[...] 2024-11-22
[11] 웹사이트 Sts. Thecla http://www.newadvent[...] 1912
[12] 성경
[13] 성경
[14] 문서 Apocriticus
[15] 서적 Holy Women of Byzantium Dumbarton Oaks 1996
[16] 간행물 Crossed Texts, Crossed Sex: Intertextuality and Gender in Early Christian Legends of Holy Women Disguised as Men 2002
[17]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Christianity IVP 2014
[18] 웹사이트 Church of the Virgins of Aquileia - Church http://aquileia.arte[...] Arte.it 2015-08-24
[19] 웹사이트 ABC News, "Once a Saint, Always a Saint?" https://abcnews.go.c[...]
[20] 웹사이트 Saint Thecla https://paulinefathe[...] 2022-09-23
[21] 웹사이트 The Acts of Paul http://www.earlychri[...] 2022-09-23
[22] 문서 De vita sua
[23] 문서 Denkschriften der k. Akadem. der Wissenschaft. philos.-histor. Klasse
[24]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Byzantium Oxford University Press 1991
[25] 웹사이트 Long Read: The Story of Maaloula https://www.hart-uk.[...] 2020-08-14
[26] 웹사이트 Ancient Orthodox Monastery of St. Thecla to be Restored in Syrian Maaloula https://www.pravmir.[...]
[27] 웹사이트 Russian worshipers visit ancient Orthodox monastery in Maaloula, Syria, before Easter https://www.msn.com/[...]
[28] 웹사이트 Монастырь Святой Первомученицы Феклы близ Ларнаки, Святая Елена http://troodos.ru/26[...]
[29] 간행물 Αρχ. Εφ. 1915
[30] 서적 The Cult Of Saint Thecla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31] 뉴스 Found in Vatican: Paul's Portrait Biblical Archaeology Review 2010-01-02
[32] 뉴스 Pope: Scientific analysis done on St. Paul's bones https://www.theguard[...] guardian.co.uk 2009-06-29
[33] 간행물 I permit no woman to teach except for Thecla: The curious case of the Pastoral Epistles and the "Acts of Paul" reconsidered 2012
[34] 간행물 The Cult of St. Thecla: An Introduction into Women's Piety in Late Antiquit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Journals 2002
[35] 웹사이트 Santa Tecla https://www.tarrag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