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스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텔레스냅은 1940년대 후반 존 큐라가 개발한, 텔레비전 화면을 사진으로 촬영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초기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녹화 기술 부족으로 인한 자료 손실을 보완하는 데 기여했으며, 특히 영국의 장수 SF 드라마 《닥터 후》의 소실된 에피소드를 복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텔레스냅은 현재까지도 텔레비전 역사 연구와 문화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존 큐라는 어린 시절부터 전자제품과 사진에 관심을 보였으며, 이는 훗날 텔레스냅 개발의 밑거름이 되었다.[19]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6년 BBC가 텔레비전 방송을 재개하자, 영국 공군에서 제대한 큐라는 텔레비전 화면을 사진으로 촬영하는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19] 그는 35mm 필름을 이용한 촬영 방식을 고안해냈고, 1947년 BBC에 상업적 활용 허가를 요청하였다.[20]
초창기 텔레비전 방송은 프로그램 녹화 기술이 미비하여 생방송 위주로 진행되었고, 이후 녹화 기술(텔레레코딩, 비디오테이프)이 도입된 뒤에도 여러 이유로 방송사들이 녹화 자료를 파기하는 경우가 많았다.[24][6][25][7] 이러한 배경 속에서 존 큐라가 촬영한 텔레스냅은 사라진 수많은 초기 텔레비전 프로그램들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시각 자료로 남아 중요한 문화적, 역사적 가치를 지니게 되었다.[25][7] 텔레스냅은 남아있는 오디오 자료와 결합하여 소실된 프로그램을 복원하는 데 귀중하게 활용되고 있다.[26][27][8][9]
2. 역사
초기 BBC 법무팀은 저작권 문제를 우려했으나, 결국 텔레비전 화면 자체는 저작권법 적용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조건부로 허가했다.[20] 큐라는 종종 BBC의 조건을 넘어서는 활동을 했지만, 그의 텔레스냅은 방송 기록으로서 가치를 인정받아 BBC 제작진을 포함한 여러 고객을 확보하게 되었다.[20] 1951년에는 BBC 방송 전체 촬영 허가를 요청하며 다시 한번 BBC와 논의를 벌였고, 같은 해 옥스퍼드-케임브리지 보트 경기 중계에서 큐라의 텔레스냅이 유일한 기록 사진이 되면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기도 했다.[21][3] 이는 BBC가 영국 의회에 저작권법 개정을 청원하는 계기가 되었으나, 1956년 개정된 법안은 큐라의 사업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3]
큐라의 사업은 1950년대 중반, 특히 1955년 민영방송사 ITV 출범 이후 급성장하며 전성기를 맞았다.[4] 그는 사업을 확장하고 관련 서적을 출판하여 성공을 거두었으며, 유명세를 얻기도 했다.[4] 1959년까지 25만 장 이상의 텔레스냅을 촬영했고, 베니 힐 등 유명인들이 그의 고객이 되었다.[4]
그러나 1960년대 들어 필름이나 비디오 녹화 기술이 보편화되고, 1964년 큐라가 서비스 가격(연간 1300GBP)을 인상하자[4] 텔레스냅의 필요성이 줄어들며 사업은 쇠퇴하기 시작했다.[4] 존 큐라는 1969년 대장암으로 사망하기 직전까지 텔레스냅 촬영을 계속했다.[5] 그의 사후 방대한 컬렉션은 BBC의 인수 거절 후 소실된 것으로 추정되지만,[5] 일부 사본은 방송사 자료나 개인 소장품 형태로 남아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5]
2. 1. 어린 시절과 텔레비전 방송 재개
어린 시절부터 전자제품과 사진에 관심이 많았던 존 큐라는 가족들 사이에서 "히스 로빈슨 만화에 나오는 발명가" (Heath Robinson inventor)라는 칭찬을 듣곤 했다.[19] 1946년 6월, 영국 BBC는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중단된 텔레비전 방송을 재개하였다. 당시 영국 공군에서 제대한 존 큐라는 사진과 전자 분야에 대한 본인의 열정을 하나로 모아, 텔레비전 화면을 사진으로 찍을 수 있는 카메라의 개발을 위한 실험에 들어갔다. 마침내 존 큐라는 35mm 필름에 하프프레임 18×24mm를 1/25초의 속도로 촬영하는 방식을 생각해냈다.
실험 결과에 만족한 큐라는 1947년 9월 11일 BBC에 편지를 보내, 자신의 작업물 결과와 함께 해당 사진을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허가해 달라고 요청하였다. 존 큐라의 편지에 BBC 법무팀의 반응은 경악 그 자체였고 저작권 위반이라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그러나 결국 BBC는 텔레비전 화면 사진만으로는 기존 저작권법에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고, 존 큐라에게 계속해도 좋다는 허가를 내렸다. 다만 BBC는 "TV 출연 전에 자신을 촬영해도 좋다고 허락한 개별 아티스트의 텔레비전 화면만 촬영하고, 해당 아티스트 이외의 어느 누구에게도 사진을 제공하거나 판매하지 말라"는 조건을 내걸었다.[20] 존 큐라는 BBC의 조건을 무시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사정에 따라 해당 방송에 출연한 아티스트에게 텔레스냅을 보내는 경우도 잦았다. 특히 BBC 프로그램의 제작진들은 본인의 작업에 대한 유용한 기록으로 남길 수 있다는 생각이었기 때문에 이들은 존 큐라의 주고객으로 남게 되었다.
2. 2. 텔레스냅 개발과 BBC와의 초기 협상
어린 시절부터 전자제품과 사진에 관심이 많았던 존 큐라는 가족들 사이에서 "히스 로빈슨 만화에 나오는 발명가"라는 칭찬을 듣곤 했다.[19] 1946년 6월, BBC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중단되었던 텔레비전 방송을 재개하자, 당시 영국 공군에서 제대한 존 큐라는 사진과 전자 분야에 대한 자신의 열정을 결합하여 텔레비전 화면을 사진으로 찍을 수 있는 카메라 개발 실험에 들어갔다. 그는 마침내 35mm 필름에 하프프레임(18×24mm)으로 1/25초의 속도로 촬영하는 방식을 개발했다.
실험 결과에 만족한 큐라는 1947년 9월 11일 BBC에 편지를 보내, 자신의 작업 결과물 샘플과 함께 해당 사진을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허가해 달라고 요청하였다. 존 큐라의 요청은 저작권 침해를 우려한 BBC 법무팀에게 상당한 당혹감을 안겼다. 그러나 BBC는 결국 텔레비전 화면 사진 자체는 기존 저작권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고 결론 내리고, 존 큐라에게 촬영을 계속해도 좋다는 허가를 내렸다. 다만 BBC는 "TV 출연 전에 자신을 촬영해도 좋다고 허락한 개별 아티스트의 텔레비전 화면만 촬영하고, 해당 아티스트 이외의 어느 누구에게도 사진을 제공하거나 판매하지 말라"는 조건을 명시했다.[20] 존 큐라는 이러한 BBC의 조건을 종종 무시하기도 했지만, 해당 방송에 출연한 아티스트에게 텔레스냅을 보내며 사업 기회를 모색하는 경우도 잦았다. 특히 BBC 프로그램 제작진들은 그의 사진이 자신들의 작업에 대한 유용한 기록이 될 수 있다고 여겨 존 큐라의 주요 고객이 되었다.
2. 3. BBC와의 갈등과 사업 확장
1951년 존 큐라는 BBC 방송 전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허용해 달라고 요청하면서 다시 한번 BBC 법무팀과 대립하게 되었다. 그는 자신이 판매하는 텔레스냅을 통해 "한 시간 남짓의 짧은 수명을 갖고 그 후에는 영원히 사라지는, 여러 드라마들의 영구적인 사진 기록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앞으로 수년간 귀중한 참고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21][3] 이 시기 BBC는 여러 신문사로부터 큐라의 텔레스냅 자료를 보도에 사용할 수 있게 해 달라는 요청을 받고 있었다. 특히 그해 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 대학 간의 보트 경기가 TV로 중계되었을 때, 옥스퍼드 대학 쪽 보트가 가라앉는 순간을 포착한 유일한 자료가 큐라의 텔레스냅 사진이었던 점도 영향을 미쳤다. BBC는 이 문제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저작권법 개정을 영국 국회에 청원했다. 이에 따라 1956년 저작권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했지만, 이 법은 큐라의 사업 활동을 막는 데는 거의 영향을 주지 못했다.
큐라의 텔레스냅 판매 사업은 1950년대 중반에 최고조에 달했다. 특히 1955년 민영방송사 ITV가 출범하면서 텔레스냅 사업 수요는 하룻밤 사이에 두 배로 늘어났다. 이에 존 큐라는 두 번째 텔레비전 세트와 카메라를 마련해 BBC와 ITV 방송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도록 사업을 확장했다. 이와 함께 텔레스냅 사진을 활용하여 TV 방송 수신 향상과 화질 오류 정정에 관한 책 두 권을 출판했는데, 이 책들이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또한 BBC TV 패널 게임 쇼인 What's My Line?eng에 출연하며 유명세를 이어갔다. 1959년까지 큐라는 25만 장이 넘는 텔레스냅 사진을 촬영하였다. 당시 텔레스냅의 유명 고객으로는 코미디언 베니 힐과 그룹 베벌리 시스터즈 등이 있었다. 큐라는 자신의 텔레스냅 세트 복제품이 "영국 왕실, 덴마크 국왕, 노르웨이 국왕, 네덜란드 줄리아나 여왕, 프랑스 오리올 전 대통령, 애틀리 공작, 윈스턴 처칠 경, 찰리 채플린 씨, 엘리너 루스벨트 영부인" 등에게 증정되었으며, 여러 신문사와 잡지사에도 제공되었다고 홍보했다.[22][4]
2. 4. 전성기와 쇠퇴
큐라의 텔레스냅 판매 사업은 1950년대 중반에 최고조에 이르렀다. 1955년 민영방송사 ITV가 출범하면서 텔레스냅 사업 수요는 하룻밤 사이에 두 배로 늘어났다.[4] 이에 존 큐라는 두 번째 텔레비전 세트와 카메라를 마련하여 BBC와 ITV 방송을 동시에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텔레스냅 사진을 활용하여 텔레비전 수신 향상과 화질 오류 정정에 관한 책을 출판했는데, 이 책들이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는 BBC의 텔레비전 패널 게임 쇼인 ''왓츠 마이 라인?''에 출연하며 유명세를 더했다.[4]
1959년까지 존 큐라는 25만 장이 넘는 텔레스냅 사진을 촬영했다.[4] 당시 베니 힐과 베버리 시스터즈 등이 그의 유명 고객이었다. 큐라는 자신의 텔레스냅 세트 복제품이 여러 유명 인사들에게 선물되었다고 홍보했는데, 여기에는 "영국 왕실, 덴마크 국왕, 노르웨이 국왕, 네덜란드 줄리아나 여왕, 프랑스 오리올 전 대통령, 애틀리 공작, 윈스턴 처칠 경, 찰리 채플린 씨, 엘리너 루스벨트 영부인" 등이 포함되었으며, 영국의 여러 신문사와 잡지사에도 제공되었다고 알려졌다.[4]
그러나 1964년, 큐라가 서비스 가격을 연간 1300GBP[4](당시 기준)으로 인상하자 BBC는 텔레스냅 서비스 허가에 대한 재검토에 들어갔다. 이 시기에는 이미 많은 프로그램이 필름이나 비디오테이프로 녹화되고 있었기 때문에, 방송 화면을 사진으로 남기는 텔레스냅의 필요성과 정당성이 점차 줄어들면서 사업은 쇠퇴하기 시작했다.[4]
그럼에도 존 큐라는 1969년 대장암으로 사망하기 불과 몇 달 전까지 텔레스냅 촬영을 계속했다.[5] 그의 사후, 부인이 고인의 방대한 텔레스냅 컬렉션을 BBC에 기증하려 했으나 거절당했고, 이 자료들은 이후 소실된 것으로 추정된다.[5] 하지만 텔레스냅 자료의 사본 중 일부는 당시 방송사의 제작 파일이나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출연진 및 제작진의 개인 소장품 형태로 남아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5]
2. 5. 존 큐라의 사망과 텔레스냅의 운명
1964년 존 큐라가 서비스 가격을 인상하자 BBC는 텔레스냅 서비스 허가에 대한 검토를 지시하였다. 이 시점에서 큐라의 서비스 가격은 연간 이용료가 1300GBP[4]에 달했으며, 당시 수많은 프로그램이 필름이나 비디오에 늘상 녹화되고 있었기에, 방송 사진 자료의 수요와 정당성이 축소되면서 사업이 쇠퇴하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존 큐라는 1969년 대장암으로 사망하기 불과 몇 달 앞두고서도 계속해서 텔레스냅 자료를 촬영하며 사업의 끈을 놓지 않았다. 사망 이후 존 큐라의 부인은 고인이 된 남편의 텔레스냅 컬렉션을 BBC에 전달하려 했으나 거절당했다. 이들 자료는 머지않아 소실된 것으로 보이지만[5] 텔레스냅 자료의 사본이 각 방송사의 제작 파일과 출연진, 제작진의 개인 소장품으로 남으면서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다.
3. 문화적 영향
3. 1. 초기 텔레비전과 녹화 기술의 한계
초창기 텔레비전 방송은 프로그램을 녹화할 수 있는 수단이 제한적이어서 대부분 생방송으로 진행되었다.[24][6] 이러한 상황은 1950년대에 프로그램을 필름으로 녹화하는 기술(텔레레코딩)과 이후 비디오테이프가 개발되면서 변화하기 시작했다.[24][6]
그러나 프로그램 녹화 기술이 업계 표준이 된 이후에도, 저장 비용이나 재방송의 제약 등 현실적인 여건으로 인해 영국의 각 방송사들이 첫 방송 이후 해당 프로그램의 녹화본을 삭제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으로 자리 잡았다.[25][7] 결과적으로 존 큐라의 텔레스냅 자료는 초창기 텔레비전 프로그램 중 유실된 많은 작품들을 조금이나마 엿볼 수 있게 해 주는 유일한 현존 자료로 남게 되었다.[25][7]
3. 2. 텔레스냅의 가치와 활용
초창기 텔레비전 방송은 프로그램을 녹화할 수단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대부분 생방송으로 진행되었다. 1950년대 들어 프로그램을 필름에 기록하는 기술(텔레레코딩)과 비디오테이프가 개발되면서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다.[24][6] 하지만 프로그램 녹화 기술이 업계 표준이 된 이후에도, 보관 비용 문제나 재방송 권리 제약 등 현실적인 이유로 영국의 방송사들은 첫 방송 이후 녹화 자료를 삭제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었다.[25][7] 결과적으로 존 큐라의 텔레스냅은 사라져버린 수많은 초기 텔레비전 프로그램들을 엿볼 수 있는 유일한 시각 자료로 남아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지니게 되었다.
텔레스냅은 소실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복원하고 재구성하는 데 귀중하게 활용된다. 특히 프로그램의 오디오 녹음본이 남아있는 경우, 텔레스냅 사진들을 오디오 트랙에 맞춰 슬라이드쇼 형식으로 배열하여 원본 프로그램의 내용을 시청각적으로 재현할 수 있다. 영국의 장수 SF 드라마 닥터 후는 이러한 방식으로 복원된 대표적인 사례이다. 1963년부터 방영된 닥터 후는 100편에 가까운 초기 에피소드가 소실되었는데, 많은 팬들이 직접 텔레스냅을 활용하여 비공식적으로 에피소드를 재구성해왔다.[26][27][8][9]
공식적인 차원에서도 텔레스냅을 활용한 프로그램 재구성이 이루어졌으며,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 | 연도 | 내용 | 비고 |
---|---|---|---|
닥터 후 | 1998년 | 아이스 워리어 연작 에피소드 2, 3 축약 재구성 | VHS 출시[10] |
2000년 | 텐스 플래닛 연작 마지막 에피소드 전체 재구성 | VHS 출시[11] | |
2005년 | 달렉의 권력 연작 전체 재구성 | MP3 CD 출시[12] (2016년 애니메이션 버전 DVD에 포함[13]) | |
2006년 | 마르코 폴로 연작 축약 재구성 | DVD "The Beginning" 출시[16] | |
이후 | 마크라 테러, 얼굴 없는 자들, 깊은 곳의 분노, 공포의 거미줄, 달렉의 악마 등 다수 소실 에피소드 재구성 | 애니메이션 버전 DVD에 포함[14][15] | |
A for 안드로메다 (1961년 SF 연작) | 2006년 | 소실된 에피소드 축약 재구성 | DVD 출시 (오디오 부재로 배경 음악 및 자막 사용)[17] |
어벤저스 (TV 시리즈) | - | 시즌 1 에피소드 재구성 | Region 2 DVD 부록 (내레이션 포함)[18] |
3. 3. 《닥터 후》 복원
초창기 텔레비전 방송은 프로그램 녹화 수단이 제한적이었고, 대부분 생방송으로 진행되었다. 1950년대 들어 텔레레코딩(필름 녹화 기술)과 비디오테이프가 개발되었지만,[24][6] 보관 비용이나 재방송의 제약 등 현실적인 문제로 인해, BBC를 비롯한 영국의 방송사들은 첫 방송 이후 녹화본을 파기하는 경우가 많았다.[25][7] 그 결과, 존 큐라가 촬영한 텔레스냅은 사라진 초기 텔레비전 프로그램들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시각 자료로 남게 되었다.프로그램의 오디오 녹음본이 남아 있는 경우, 텔레스냅 자료와 결합하여 슬라이드쇼 형식으로 영상을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복원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특히 영국의 장수 SF 드라마 닥터 후는 1963년 방영 시작 이후 약 100편에 달하는 에피소드가 소실되었는데, 많은 팬들이 텔레스냅과 오디오 자료를 이용해 비영리적으로 에피소드를 복원하는 노력을 이어오고 있다.[26][27][8][9]
텔레스냅을 활용한 공식적인 복원 작업도 진행되었으며,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다.
- 1998년 VHS 비디오테이프 출시를 위해 ''아이스 워리어'' 연작의 에피소드 2와 3을 15분 분량으로 간략하게 재구성했다.[10]
- 2000년 VHS 비디오테이프 출시를 위해 ''텐스 플래닛'' 연작의 마지막 에피소드를 전체 재구성했다.[11]
- 2005년 해당 이야기의 MP3 CD 출시를 위해 ''달렉의 권력'' 연작을 전체 재구성했다.[12] 이 재구성은 2016년 해당 연작의 애니메이션 버전 DVD 출시에 포함되었다.[13]
- ''마크라 테러'' 전체 4편, ''얼굴 없는 자들''의 에피소드 2, 4, 5, 6, ''깊은 곳의 분노'' 전체 6편, ''공포의 거미줄'' 에피소드 3, ''달렉의 권력'' 전체 6편, 그리고 ''달렉의 악마''의 에피소드 1 & 3-7 (존재하는 부분은 원본 에피소드와 장면 사용) 등의 전체 재구성이 이후 애니메이션 버전의 DVD 출시에 포함되었다.[14][15]
- 2006년 DVD "The Beginning" 출시를 위해 7부작 ''마르코 폴로'' 연작을 30분 분량으로 축약 재구성했다.[16]
- 2006년 DVD 출시를 위해 1961년 SF 연작 ''A for 안드로메다''의 소실된 에피소드를 축약 재구성했다. 출시 당시 소실된 에피소드의 음성 자료가 없었기 때문에, 이 재구성은 연작에 사용된 음악을 배경으로 하고, 스토리를 설명하기 위해 화면 자막을 사용했다.[17]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에피소드 7의 전체 음성 자료는 이후 복구되었다).
- 옵티멈에서 출시한 이 시리즈의 영국 Region 2 DVD에 ''어벤저스'' 시즌 1의 에피소드를 내레이션으로 재구성한 내용이 부록으로 포함되었다.[18]
참조
[1]
서적
John Cura: Snapshots of History
[2]
서적
John Cura – Photographer of the Lost Archive
[3]
서적
John Cura – Photographer of the Lost Archive
[4]
서적
John Cura – Photographer of the Lost Archive
[5]
인용
[6]
웹사이트
The First TV Recordings
http://lost-british-[...]
Lost British Television
2007-01-20
[7]
서적
Missing Believed Wiped. Searching for the lost treasures of British Television
British Film Institute
[8]
간행물
History of the Reconstructions Part I
http://archive.whoni[...]
2007-03-20
[9]
간행물
History of the Reconstructions Part II
http://archive.whoni[...]
2007-03-20
[10]
웹사이트
The Ice Warriors
http://www.purplevil[...]
1998-08-07
[11]
웹사이트
The Cybermen' Boxset
http://www.purplevil[...]
2000-11-01
[12]
웹사이트
Doctor Who: News: Power of the Daleks
http://www.bbc.co.uk[...]
2005-06-08
[13]
웹사이트
The Power of the Daleks DVD artwork and extras unveiled
https://www.doctorwh[...]
2016-10-26
[14]
웹사이트
'The Macra Terror' DVD and Blu-Ray cover art and special features revealed
https://www.doctorwh[...]
2019-03-02
[15]
웹사이트
'The Faceless Ones' cover art and special features revealed
https://www.doctorwh[...]
2020-02-08
[16]
웹사이트
The Beginning – DVD Boxset
http://www.purplevil[...]
2005-11-15
[17]
웹사이트
The Andromeda Anthology – Review
http://www.dvdtimes.[...]
2006-09-02
[18]
웹사이트
The Avengers Reconstructed
http://declassified.[...]
[19]
서적
John Cura: Snapshots of History
[20]
서적
John Cura – Photographer of the Lost Archive
[21]
서적
John Cura – Photographer of the Lost Archive
[22]
서적
John Cura – Photographer of the Lost Archive
[23]
인용
[24]
웹인용
The First TV Recordings
http://lost-british-[...]
Lost British Television
2007-01-20
[25]
서적
Missing Believed Wiped. Searching for the lost treasures of British Television
British Film Institute
[26]
저널
History of the Reconstructions Part I
http://archive.whoni[...]
2007-03-20
[27]
저널
History of the Reconstructions Part II
http://archive.whoni[...]
2007-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