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리 (여자 프로레슬링 선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리(Tori)는 1988년 프로레슬링 선수로 데뷔하여, 패시픽 노스웨스트 레슬링(PNW), 여성 프로레슬링 협회(LPWA), 전일본 여자 프로레슬링 등에서 활동했다. 1998년 WWE에 입성하여 세이블의 열성 팬 기믹으로 등장, 레슬매니아 XV에서 WWF 위민스 챔피언십 경기를 치렀다. 이후 케인의 여자친구, 엑스 팍의 연인이 되면서 D-Generation X의 멤버로 활동했으며, 2001년에는 블랙 닌자 기믹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프로레슬링 선수 활동 이전에는 보디빌더와 피트니스 모델로 활동했으며, 현재는 요가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LPWA 챔피언십을 1회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여자 프로레슬러 - 미키 제임스
    미키 제임스는 1999년 프로 데뷔 후 TNA와 WWE에서 활동하며 여성 챔피언십을 여러 차례 획득하고, 음악 앨범 발매 및 NWA 여성부 프로듀서로 활동한 미국의 프로레슬러이다.
  • 미국의 여자 프로레슬러 - 차이나 (프로레슬링 선수)
    차이나(조애니 로러)는 WWE에서 활약하며 여성 최초 로열럼블 참가, 인터콘티넨탈 챔피언 등 여성 프로레슬링 역사에 큰 영향을 남긴 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이자 배우로, DX 활동, WWE 위민스 챔피언십 획득, 은퇴 후 배우 활동, WWE 명예의 전당 헌액 등의 업적을 남겼다.
  • 1964년 출생 - 원희룡
    원희룡은 서울대 법대 졸업 후 사법시험 수석 합격, 검사, 변호사를 거쳐 3선 국회의원과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국토교통부 장관을 역임한 정치인이지만, 총선 낙선과 여러 논란을 겪었다.
  • 1964년 출생 - 오연호
    오연호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작가로, 《오마이뉴스》를 창간하여 시민 참여 저널리즘을 구현했으며 덴마크의 행복 사회 모델을 연구하여 행복한 삶과 사회에 대한 담론을 제시하고 꿈틀리인생학교 이사장 및 사단법인 꿈틀리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 살아있는 사람 - 릴 테르셀리우스
    릴 테르셀리우스는 위키백과 문서에서 관련 문서와 추가 자료를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마그달레나 툴
    폴란드의 가수 마그달레나 툴은 2007년 데뷔 앨범 발매 후 201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폴란드 대표로 참가했으며, 이후에도 앨범 발매와 유로비전 관련 활동, 방송 출연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토리 (여자 프로레슬링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테리 포치 (Terri Poch)
출생일1964년 8월 20일
출생지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
링네임테일러 메이드
테리 파워
토리
더 블랙 닌자
신장173cm - 175cm
체중63.5kg
출신지포틀랜드, 오리건
트레이너브래드 라인건스
로디 파이퍼
데뷔1988년
은퇴2001년
프로레슬링 경력
훈련브래드 라인건스
데뷔1988년
은퇴2001년
신체 정보
신장5 ft 11 in
체중140 lb
기타
활동 지역전일본여자프로레슬링, WWF
스포츠 경력보디빌딩

2. 프로레슬링 경력

1988년 고향 포틀랜드의 인디 단체 PNW에서 스카티 더 바디의 매니저로 프로레슬링계에 첫발을 내디뎠다.[8] 1990년에는 여자 프로레슬링 단체인 LPWA에서 테리 파워라는 링네임으로 선수로 등장했으며, 1992년 7월 전일본 여자 프로레슬링(이하 전녀)과 계약을 맺고 일본으로 건너갔다.[8] 전녀에서는 여러 차례 부상으로 큰 활약을 보이지 못하고 1년 후 미국으로 돌아왔다.

1998년 12월 28일 WWE RAW에 WWF 위민스 챔피언 세이블의 열성 팬 기믹으로 등장했다.[4] 트리쉬 스트래터스, 미키 제임스보단 베스 피닉스, 로사 멘데스에 가까운 관계였는데, 플레이보이 화보 촬영 이후 거만한 헐리웃 슈퍼스타 기믹의 악역으로 변신한 세이블에게 배신당하며 선역 도전자가 된다. 레슬매니아 XV에서 WWF 위민스 챔피언십 경기를 가졌으나, 니콜 배쓰의 방해로 패배했다.[4] 이후 악역 챔피언 아이보리를 상대로 섬머슬램에서 경기를 가졌으나 패배했다.

1999년 11월, 케인의 여자친구가 되었다.[2] 엑스 팍과 함께 케인의 인간성을 되찾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얼마 안 가 케인의 뒤통수를 치고 엑스팍의 연인이 되어 맥맨-헴즐리 치하 디 제네레이션 X의 멤버가 되었다.[8] 스테파니 맥맨의 파트너 역할을 하기도 했으나, 존재감이 미미해 DX 멤버였다는 사실을 모르는 이들이 많다. 2000년 6월 킹 오브 더 링에서 버버 레이 더들리에게 테이블 위로 파워 밤을 맞고 중상을 입어 휴식에 들어갔다.[6]

2001년 초, 블랙 닌자라는 복면 레슬러 기믹으로 복귀했다.[7] 파트너는 레이븐이었고, 레이븐과 크래쉬 홀리의 하드코어 타이틀 대립 중 잠시 등장했다. 몰리 홀리와 짧은 대립 후, WWE 터프 이너프 시즌1 트레이너로 활동하다가 선데이 나잇 히트에서 엑스 팍의 뺨을 때리는 세그먼트를 끝으로 WWE와 관계를 마무리하고 은퇴했다.

2. 1. 초기 경력 (1988-1993)

1988년, 포틀랜드의 패시픽 노스웨스트 레슬링(PNW)에서 스카티 더 바디의 시종인 테일러 메이드로 데뷔했다.[8] 1990년에는 여성 프로레슬링 협회(LPWA)에 테리 파워라는 링네임으로 합류하여 레이라니 카이와 주디 마틴을 꺾었다.[8] 1992년 2월 23일, 로체스터의 메이요 시빅 센터에서 열린 ''슈퍼 레이디스 쇼다운''에서 레이디 X를 꺾고 LPWA 챔피언십을 획득했다.[8]

1992년 여름, 전일본 여자 프로레슬링에 진출하여 일본 그랑프리에서 9위를 기록했고, 쿄코 이노우에와 함께 후지 네트워크 태그팀 토너먼트에 참가했다. 1993년까지 일본에서 활동했다.

그녀의 초기 경력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연도주요 활동 및 경력
1988년
1990년
1992년
1993년


2. 2. 전일본 여자 프로레슬링 (1992-1993)

"여자 프로레슬링에서 정상을 차지하고 싶다. 그러기 위해서는 세계에서 가장 메이저하고 여자가 진지하게 프로레슬링을 추구할 수 있는 유일한 단체인 전일본 여자 프로레슬링에 올 필요가 있었다." "일본은 여자 프로레슬링의 메카이며 선수들은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여기에 오고 싶었고, 당분간 일본에 살면서 시합을 하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포부를 밝혔다.[8]

1992년 6월 21일, 고라쿠엔 홀에서 미타 에이즈코와 팀을 이루어 데비 마렌코, 시모다 미마 팀과 데뷔전을 치렀다.[8] 데비 마렌코와는 사이가 좋았으며, 함께 스파링을 하고 일본 생활에 대한 조언을 받았다. 보디빌딩 경험을 바탕으로 전일본 여자 프로레슬링 선수들에게 웨이트 트레이닝을 가르치기도 했다. 전일본 여자 프로레슬링은 그녀를 위해 한쪽 45kg의 덤벨을 구입하는 등, 유망주로 기대를 걸었다.[8]

6월 27일, 오미야 스케이트 센터에서 아쟈 콩, 신가미 미오리와 팀을 이루어 불 나카노, 미나미 스즈카, 호리타 유미코 팀과 6인 태그 매치를 가졌다. 불 나카노와의 첫 대결이었지만, 힘겨루기에서도 밀리지 않고 세컨드 로프에서의 플라잉 라리앗, 드롭킥 등을 선보였다. 링 아나운서는 "정글 잭 테리 파워"라고 외쳤다.[8]

7월 5일, 고라쿠엔 홀에서 데비 마렌코와 "아메리칸 태그"를 결성하여 호리타 유미코, 미나미 스즈카와 대결했다. 이는 최초로 미국인끼리 팀을 이룬 경기였다. 이노우에 케이코는 "테리는 뭐든지 할 수 있다", "보디빌더로서의 건강 관리에 감탄한다", "이제 수비만 (제대로) 익히면 적수가 없을 것이다"라고 평가했다. 경기는 데비가 잭나이프식 회전 발목꺾기 기술로 호리타를 핀폴시켜 승리했다.[8]

7월 15일, 오타구 체육관에서 이노우에 케이코와 올 파시픽 챔피언십 타이틀 매치를 벌였다. 이노우에 케이코가 공격을 제대로 펼치지 못하고 스태미나 부족으로 고전했으나, 결국 나이아가라 드라이버로 패배했다. 이 경기에서 이노우에 케이코를 들어올리려고 할 때 무릎 인대를 다치는 부상을 입었다.[8]

8월 15일, 고라쿠엔 홀에서 신가미 미오리와 팀을 이루어 와타나베 토모코, 마에카와 쿠미코와 대결, 신가미를 리프트 업 프레스로 와타나베에게 던진 후 엘보 드롭으로 핀폴승을 거두었다.[8]

무릎 수술을 위해 3개월 정도 귀국했고, '태그 리그 더 베스트 '92'에 이노우에 타카코와 팀을 이루어 출전했다.[8]

1993년 4월 2일, 요코하마 아레나에서 열린 올스타 대항전에 누마타 미에미와 팀을 이루어 FMW(프론티어 마셜 아츠 레슬링)의 요시카 마에토키, 도야 에리코와 대결했다. 오른쪽 어깨 탈구로 왼팔 하나로 강행 출전했으나, 누마타가 핀폴 패배하며 전일본 여자 프로레슬링에서의 마지막 무대가 되었다.[8]

2. 3. World Wrestling Federation / WWF (1998-2001)

1998년 12월 28일 WWE RAW에 WWF 위민스 챔피언 세이블의 열성 팬 기믹으로 등장했다. 트리쉬 스트래터스, 미키 제임스보단 베스 피닉스, 로사 멘데스에 가까운 관계였는데, 플레이보이 화보 촬영 이후 거만한 헐리웃 슈퍼스타 기믹의 악역으로 변신한 세이블이 토리를 배신하면서 선역 도전자가 된다. 토리와 세이블은 레슬매니아 XV에서 WWF 위민스 챔피언십을 건 경기를 가졌으나, 절정의 인기를 누리고 있던 세이블을 상대로 토리가 관중들의 환호를 받아내기는 불가능에 가까웠다. 경기는 니콜 배쓰의 방해로 세이블이 승리했다.[4]

세이블과의 대립이 종료된 후, 토리는 악역 챔피언이 된 아이보리를 상대로 섬머슬램에서 경기를 가졌으나 패배했다. 1999년 4월과 5월에는 재클린과 대립했고, 7월에는 아이보리의 여성 챔피언십을 노렸다. 섬머슬램에서 아이보리와의 경기에 앞서 렉시 파이프(Lexie Fyffe)를 핀폴로 이겼지만, 아이보리는 챔피언십을 지켰다. 토리는 다음 날 이브닝 가운 매치에서 아이보리를 이겼고, 1999년 9월 6일 ''Raw''에서 WWF 여성 최초의 하드코어 매치를 가졌으나, 아이보리가 토리의 머리에 거울을 깨뜨리고 뜨거운 인두로 지지는 등의 공격으로 타이틀을 방어했다. 9월 26일, 토리는 매치 중 아이보리를 공격하여 복수하려 했지만, 오히려 아이보리에게 상자에 밀쳐졌다.

토리는 1999년 서바이버 시리즈 8인 여성 서바이벌 매치에 참가하여 소속팀의 승리에 기여했다. 같은 해 영국에서 열린 페이퍼뷰 레벨리온(Rebellion)에서는 루나, 아이보리, 자클린과 4자 여성 매치를 가졌다. 12월 13일 ''Raw''에서는 더 캣(The Kat)과 엉덩이 노출과 초콜릿 푸딩 매치를 벌여 패했다.

2. 3. 1. 케인과의 관계 및 D-Generation X (1999-2000)

1999년 11월, 토리는 케인의 여자친구가 되면서 메인 스토리의 중심에 섰다.[2] 엑스팍과 함께 케인의 인간성을 되찾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케인의 뒤통수를 치고 엑스팍의 연인이 되어 맥맨-헴즐리 체제하의 디 제네레이션 X(DX)의 멤버가 되었다.[8]

이후 스테파니 맥맨의 파트너 역할을 하기도 했으나, 커리어 내내 존재감이 미미했기 때문에 DX의 멤버였다는 사실 자체를 알지도 못하는 이들이 많다. 2000년 1월 27일, 케인은 엑스팍의 동맹인 DX에 가입하도록 속임을 당했고, 맥마흔-헬름슬리 패션에 의해 링에서 습격당했다. 케인을 묶은 후 엑스팍은 토리가 이제 자신의 여자친구라고 밝혔다.[8]

엑스팍 & 로드 독이 더들리 보이즈와 대립하던 중, 2000년 6월 킹 오브 더 링에서 버버 레이 더들리에게 테이블 위로 파워 밤을 맞았다가 중상을 당하고 휴식에 들어갔다.[6]

2. 3. 2. 블랙 닌자 (2001)

2001년 초, 토리는 검은색 보디슈트를 입고 가면을 쓴 악역인 블랙 닌자로 복귀하여 레이븐이 하드코어 타이틀을 방어하는 것을 도왔다.[7] 레이븐과 크래시 홀리의 하드코어 타이틀 대립은 닌자와 크래시의 사촌인 몰리 홀리와의 갈등으로 이어졌다. 몰리 홀리는 2001년 3월 11일 ''선데이 나잇 히트'' 방송에서 닌자의 가면을 벗겨 그녀가 토리임을 밝혔다. 이후 토리의 캐릭터는 TV에서 사라졌다.

3. 은퇴 후

프로레슬링 선수 은퇴 후 요가 강사로 전향하여 포틀랜드에서 요가 스튜디오를 운영하고 있다.[2]

4. 프로레슬링 기술

토리는 경기에서 링네임에 걸맞게 힘을 앞세운 기술을 주로 사용했지만, 블러드 레이건스(Blood Reign's) 도장에서 훈련받은 경험 덕분에 기본적인 관절기나 로프워크 등 레슬링 기본기도 갖춘 선수였다.


  • '''주요 기술'''
  • '''로프를 이용한 역회전''': 링 밖으로 나갔다가 철봉 회전 요령으로 다시 링 안으로 들어오는 기술로, 토리의 특기였다. 일본 링 첫 등장부터 관객들의 박수갈채를 받으며, 그녀의 시그니처 무브가 되었다.
  • '''스킨 캣''': 역회전을 응용하여 상대를 링 밖으로 던지는 기술이다.

4. 1. 피니싱 무브


  • '''AR 불독''' (불독) (1983-1985)
  • '''AR 버스터''' (브레인버스터) (1983-1985)
  • '''AR 넥브레이커''' (넥브레이커 슬램) (1983-1985)
  • '''AR 슬램''' (펌프핸들 슬램) (1983-1985)
  • '''브라이언 크로스바디''' (크로스바디) (1985-1987)
  • '''브라이언 엘보 스매시''' (백 엘보 스매시) (1985-1987)
  • '''브라이언 피스트 드롭''' (피스트 드롭) (1985-1987)
  • '''케이지 브롱코 버스터''' (브롱코 버스터) (1993-1995)
  • '''케이지 슬리퍼 홀드 슬램''' (슬리퍼 홀드 슬램) (1993-1995)
  • '''케이지 스파인버스터''' (스윙잉 스파인버스터) (1993-1995)
  • '''도노반 니 킥''' (하이 니) (1991-1993)
  • '''도노반 시티드 센턴''' (시티드 센턴) (1991-1993)
  • '''도노반 센턴''' (센턴) (1991-1993)
  • '''사모안 찹 드롭''' (찹 드롭) (1987-1989)
  • '''사모안 드롭킥''' (프론트 드롭킥) (1987-1989)
  • '''사모안 수플렉스''' (레그 훅 벨리 투 백 수플렉스) (1987-1989)
  • 스냅 플로잉 DDT (1999-2001)
  • 싯아웃 파워슬램 (1999-2001)
  • '''테일러 드롭''' (싯아웃 밀리터리 프레스 바디 슬램 파일드라이버) (1997-1999)
  • '''테일러 파일드라이버''' (오버 더 숄더 벨리 투 백 파일드라이버) (1997-1999)
  • '''테일러 슬램''' (더블 언더훅 매트 슬램) (1997-1999)
  • '''토리-플렉스''' (폴어웨이 파워밤) (1999-2001)
  • '''웨폰 매스 디스트럭션 아토믹 드롭''' (아토믹 드롭) (1989-1991)
  • '''웨폰 매스 디스트럭션 킥''' (힐 킥) (1989-1991)
  • '''웨폰 매스 디스트럭션 파워밤''' (것렌치 파워밤) (1989-1991)
  • '''Zay 슬램''' (밀리터리 프레스 슬램) (1995-1997)
  • '''제로원 불독''' (쓰리쿼터 페이스락 불독) (1995-1997)
  • '''제로원 드라이버''' (벨리 투 백 파일드라이버) (1995-1997)

4. 2. 시그니처 무브


  • 바디 슬램
  • 다이빙 허리케인라나
  • 다이빙 플란차
  • 딜레이드 피셔맨 수플렉스
  • 플랩잭
  • 헤어풀 스냅메어
  • 매트 슬램
  • 다양한 킥
  • * 백 킥
  • * 러닝 빅 붓
  • * 사이드 킥
  • 샌프 수플렉스
  • 프랑켄슈타이너
  • 파워슬램
  • 오클라호마 스탬피드
  • 래리어트
  • 리프트 업
  • 브레인 버스터
  • 로프를 이용한 「역회전」
  • 스킨 캣

4. 3. 기타 기술 (일본어판 참고)

경기에선 링네임대로 파워를 어필하는 기술을 많이 사용했고, 서투른 인상을 주기도 했지만, 블러드 레이건스(Blood Reign's) 도장에서의 경험 때문인지 실제로는 기본적인 관절기나 로프워크 등 레슬링 기본 테크닉도 상당히 구사할 수 있는 레슬러였다.

  • 프랑켄슈타이너

: 장신으로 인한, 투박하지만 역동적인 프랑켄슈타이너.

  • 파워슬램

: 파워 파이터다운 호쾌한 기술.

  • 오클라호마 스탬피드

: 파워를 살린 강렬한 기술.

  • 래리엇

: 연결 기술로 자주 사용했다.

  • 리프트 업

: 테리의 힘을 보여주는 기술로, 연결 기술로 자주 사용했다.

  • 브레인 버스터

: 체공 시간이 길었고, 마지막에는 블루저 브로디(Bruiser Brody)처럼 몸을 던지는 경우도 있었다.

  • 로프를 이용한 「역회전」

: 기술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로프 끝에서 넘어질 듯하다가 탑 로프를 잡고 철봉 회전의 요령으로 링 밖으로 나간 후, 역회전의 요령으로 링으로 돌아오는, 그녀의 특기 무브. 일본 링 첫 등장부터 관객들의 박수갈채를 받았으며, 그녀의 시그니처 무브가 되었다.

  • 스킨 캣

: 위의 역회전을 응용한 기술. 역회전 요령으로 로프 끝의 상대의 머리를 발로 끼운 후, 우라칸 라나 형태로 링 밖으로 내던진다.

5. 챔피언 경력 및 업적


  • LPWA 월드 챔피언 (1회)

6. 기타

토리는 프로레슬링 선수 활동 전에는 보디빌더와 피트니스 모델로 활동했다. 1980년에는 보디빌딩 미스 와이오밍 상을 수상했고, 1987년에는 보디빌딩 아이언맨/아이언우먼 콘테스트에서 우승했다. 1987년부터 1988년까지는 보디빌딩 노스웨스트 선수권에서 우승했으며, 1988년에는 보디빌딩 전미 선수권에서 3위를 차지했다.[4]

''WWF WrestleMania 2000''을 통해 비디오 게임에 데뷔했고, ''WWF No Mercy'', ''WWF SmackDown!'', ''WWF SmackDown! 2: Know Your Role'' 등 총 네 개의 WWE 비디오 게임에 등장했다.[4] 또한, 여러 영화와 TV 프로그램에도 출연했다.

연도영화역할비고
1996The Silencers마리아영화 데뷔
연도제목역할비고
200118 Wheels of Justice데지레에피소드: Come Back, Little Diva
WWE Tough Enough본인/트레이너두 에피소드 출연
2003The Best Sex Ever댄서에피소드: Bump and Grind


참조

[1] Youtube All Japan Women (AJW) video profile https://www.youtube.[...]
[2] 서적 WWE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DK/BradyGAMES
[3] 웹사이트 Lethal WOW bio http://www.lethalwow[...]
[4] 웹사이트 Austin wins title at WM15 http://slam.canoe.ca[...] SLAM! Wrestling 2010-03-19
[5] 웹사이트 Stephanie McMahon's reign http://www.wwe.com/i[...] World Wrestling Entertainment 2010-03-19
[6] 웹사이트 Angle, Rock, KOTR victors http://slam.canoe.ca[...] SLAM! Wrestling 2010-03-19
[7] 웹사이트 Raven http://slam.canoe.ca[...] SLAM! Wrestling 2010-03-19
[8] 학술지 Torrie or Tori? What's the Story? http://www.lethalwo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