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쌀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마스쌀쥐(Oryzomys dimidiatus)는 니카라과 남동부에서 발견된 쌀쥐의 일종이다. 1904년 처음 표본이 채집되었으며, 이후 분류학적 위치가 여러 번 변경되었다. 현재는 Oryzomys 속에 속하며, O. couesi 구역에 포함된다. 토마스쌀쥐는 중간 크기의 쌀쥐로, 회색과 갈색을 띠는 털과 반수생 생활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2019년 IUCN 적색 목록에서는 자료 부족으로 평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5년 기재된 포유류 - 아포산숲쥐
필리핀 루손 섬 아포 산에서 발견되는 아포산숲쥐는 몸길이 12~15cm, 꼬리 길이 13~16cm의 쥐로, 등 쪽은 짙은 갈색, 배 쪽은 회색빛을 띠며 육상 생활을 하는 잡식성 동물이고, 필리핀 민다나오섬의 산지림과 이끼숲 해발 1,700~2,700m 사이 고도에 서식하며 서식지 보전이 필요한 종이다. - 1905년 기재된 포유류 - 달링관박쥐
달링관박쥐는 1905년 안데르센에 의해 처음 기재되었고 몸길이 4.5~5.5cm의 관박쥐과 박쥐로, 아프리카 남부 지역에 분포하며, 어두운 갈색 등과 연한 갈색 배, 넓은 날개폭을 가진 여러 아종으로 분류되는 종이다. - 목화쥐아과 - 단색올드필드쥐
- 목화쥐아과 - 계곡오시쿠도
계곡오시쿠도는 2008년 동물학자들이 학술적으로 명명한 설치류의 일종으로, 아르헨티나 투쿠만 주에서 발견된 LMC 7247 모식표본을 통해 알려졌다. - 올드필드 토머스가 명명한 분류군 - 티티원숭이
티티원숭이는 신세계원숭이의 소형 영장류로, 다양한 털 색깔을 지니고 물가 숲에 서식하며, 일부일처제 가족 무리를 이루고, 과일을 주식으로 섭취하며, 듀엣 소리로 의사소통하고, 과거 *Callicebus* 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세 개의 속으로 나뉘며 종 수가 증가하였다. - 올드필드 토머스가 명명한 분류군 - 다산저녁쥐
토마스쌀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상태 | 정보 부족 |
상태 참고 | IUCN 3.1 |
학명 | |
속 | 코메네즈미속 (Oryzomys) |
종 | 니카라과코메네즈미 (O. dimidiatus) |
명명자 | Thomas(1905) |
이명 | Nectomys dimidiatus Thomas, 1905 "[Oryzomys] dimidiatus": Hershkovitz, 1948 |
분포 | |
![]() |
2. 분류
토마스쌀쥐(학명: ''Oryzomys dimidiatus'')는 설치류 비단털쥐과 목화쥐아과 쌀쥐족(Oryzomyini)에 속하는 종이다.[20][21]
1904년 W.G. Palmer가 처음 표본을 채집한 후,[6] 1905년 올드필드 토마스에 의해 ''Nectomys'' 속의 새로운 종인 ''Nectomys dimidiatus''로 처음 기재되었다.[2] 토마스는 이 종이 기존 ''Nectomys'' 속의 다른 종들보다 훨씬 작지만 유사하다고 보았다.[2]
이후 필립 허시코비츠는 1948년 이 종을 ''Oryzomys'' 속으로 옮기고, 독자적인 아속 ''Micronectomys''를 제안했으나,[8] 이는 후에 나명(nomen nudum)으로 처리되었다.[10][11] 한때 ''Micronectomys'' 아속으로 함께 분류되었던 ''Oryzomys borreroi''는[9] 나중에 ''Zygodontomys brunneus''와 동일한 종으로 밝혀져 다른 속으로 재분류되었다.[12]
여러 연구를 통해 토마스쌀쥐는 습지쌀쥐(Oryzomys palustris) 및 Oryzomys couesi와 가까운 관계임이 확인되었고,[13][15] 2006년 마르셀로 웩슬러 등의 연구에서도 ''Oryzomys'' 속에 속하는 것으로 재확인되었다.[15] 현재 토마스쌀쥐는 ''Oryzomys'' 속의 8종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으며,[16] 중앙아메리카에 넓게 분포하는 ''O. couesi''를 중심으로 하는 ''O. couesi'' 종군(species group)에 포함된다.[17] 이 종은 니카라과 남동부에서 ''O. couesi''와 함께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8]
2. 1. 학명의 유래
토마스쌀쥐의 학명 ''Oryzomys dimidiatus''는 그리스어와 라틴어에서 유래했다. ''Oryza'' (ὄρυζα|오리자grc)는 그리스어로 '쌀'을 의미하며, ''mys'' (μῦς|미스grc)는 '생쥐' 또는 '쥐'를 뜻한다.[22] 종소명 ''dimidiatus''는 라틴어로 '중간이 나뉜'이라는 의미인데,[23] 이는 '반으로 나누다' 또는 '두 개의 동일한 부분으로 나누다'라는 뜻의 동사 ''dimidio''에서 파생된 단어이다.[24] 따라서 학명을 직역하면 '중간이 나뉜 쌀쥐'가 된다.이 종은 1904년 W.G. Palmer가 처음 표본을 채집했고,[6] 1905년 대영 박물관 자연사 박물관의 올드필드 토마스(Oldfield Thomas)가 이 표본을 모식표본(holotype)으로 삼아 새로운 종(species)으로 기재하며 ''Nectomys dimidiatus''라는 학명을 부여했다.[2] 토마스는 이 종이 기존의 ''Nectomys'' 속의 다른 종들보다 훨씬 작지만 그 외에는 유사하다고 언급했다.[2] 이후 여러 분류학적 검토를 거쳐 현재는 ''Oryzomys'' 속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된다.[15][16]
2. 2. 분류학적 변천
1904년 W.G. Palmer가 처음으로 알려진 표본을 채집했고,[6] 이듬해 런던 자연사 박물관의 올드필드 토마스는 이 동물을 새로운 종의 모식표본으로 삼아 학명 ''Nectomys dimidiatus''로 명명하고 기재했다.[2] 그는 이 종을 ''Nectomys'' 속에 포함시키면서, 이전에 알려진 해당 속의 다른 구성원들보다 훨씬 작지만 그 외의 특징은 유사하다고 언급했다.[2] 이 종은 이후 수십 년 동안 분류군 개요에서 ''Nectomys'' 속으로 등재되었으며, 필립 허시코비츠가 1944년에 발표한 해당 속에 대한 검토에서도 마찬가지였다.[7]허시코비츠는 런던에서 모식표본을 검사한 후, 1948년에 이 종을 ''Oryzomys'' 속으로 옮겼다. 그는 이 종이 해당 속 내에서 특히 두드러진다고 언급하며, 자체적인 아속인 ''Micronectomys''로 분류할 것을 제안했다.[8] 1957년, J. 에르난데스-카마초는 콜롬비아에서 ''Micronectomys'' 아속의 두 번째 종으로 ''Oryzomys (Micronectomys) borreroi''를 기재했다.[9] 1970년에 허시코비츠는 또 다른 출판물에서 ''O. dimidiatus''를 다루면서, 1948년 출판물에서 다른 분류군과의 차이점을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자신이 제안한 이름 ''Micronectomys''가 nomen nudum(라틴어로 "벌거벗은 이름", 즉 학명으로 인정받기 위한 요건을 갖추지 못한 이름)임을 인정했다.[10]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상황을 바로잡기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Micronectomys''는 여전히 ''nomen nudum'' 상태로 남아 있다.[11] 허시코비츠는 또한 ''O. dimidiatus''의 외부 해부학적 특징이 어린 ''Nectomys''와 유사하지만, 그 외에는 습지쌀쥐 (''Oryzomys palustris'')와 유사하다고 언급했다.[10] 그는 ''O. borreroi''를 ''Oryzomys'' 속으로 받아들였지만, ''O. dimidiatus''와는 밀접한 관련이 없다고 생각했다.[9] 6년 후인 1976년, 알프레드 가드너와 제임스 L. 패튼은 ''O. borreroi''를 ''Zygodontomys'' 속으로 분류할 것을 제안했고,[12] 1991년에 로버트 보스는 이 속에 대한 검토에서 ''O. borreroi''가 ''Zygodontomys brunneus''와 동일한 종임을 확인했다.[12]
1966년에 두 번째 표본이 채집되었고, 이 발견은 1971년 휴 제노웨이와 녹스 존스에 의해 발표되었다. 그들은 이 종이 ''O. palustris''와 매우 유사하다고 언급했다.[13] 이후의 연구자들은 ''O. dimidiatus'', ''O. palustris'' 및 ''O. couesi''와 같은 관련 종들 사이의 관계를 확인했다.[15] 피오나 리드는 1997년에 세 번째 표본이 발견되었다고 보고했다.[14] 2006년에 마르셀로 웩슬러와 동료들은 이전에 ''Oryzomys'' 속에 속했던 많은 종들을 해당 속의 모식종인 ''O. palustris''와 밀접한 관련이 없다는 이유로 속에서 제외했지만, ''O. dimidiatus''는 ''Oryzomys'' 속에 그대로 유지했다.[15]
현재 ''Oryzomys dimidiatus''는 ''Oryzomys'' 속의 8종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16] 또한, 중앙아메리카에 넓게 분포하는 ''O. couesi''를 중심으로 하며, 더 제한적이고 주변적인 분포를 보이는 6종을 포함하는 ''O. couesi'' 종군(species group)의 일부이다.[17] ''O. dimidiatus''는 니카라과 남동부에서 ''O. couesi''와 함께 발견된다.[18] ''O. couesi'' 종군의 계통 분류에 관한 많은 측면은 여전히 불분명하며, 현재의 분류가 해당 그룹의 실제 다양성을 과소평가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19] ''Oryzomys'' 속은 100종이 넘는 다양한 아메리카 설치류를 포함하는 Oryzomyini("쌀쥐") 족으로 분류되며, 더 상위 분류 수준에서는 주로 작은 설치류 수백 종을 포함하는 비단털쥐과의 아과인 목화쥐아과에 속한다.[20][21]
학명 ''Oryzomys dimidiatus''는 그리스어 ὄρυζα|oryzagrc("쌀")와 μῦς|mysgrc("생쥐, 쥐")[22], 그리고 라틴어 dimidiatus|dimidiatuslat("중간이 나뉜, 반으로 나뉜")[23]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dimidio|dimidiolat("반으로 나누다, 두 개의 동일한 부분으로 나누다")[24]라는 동사에서 파생되었다.
2. 3. 계통 분류
1904년 W.G. Palmer가 처음 알려진 표본을 채집했고,[6] 이듬해 대영 박물관 자연사 박물관의 올드필드 토마스(Oldfield Thomas)는 이 동물을 새로운 종(species)의 모식표본(holotype)으로 삼아 ''Nectomys dimidiatus''라는 학명으로 기재했다.[2] 그는 이 종을 ''Nectomys'' 속에 포함시키면서, 기존에 알려진 해당 속의 다른 종들보다 훨씬 작지만 그 외의 특징은 유사하다고 언급했다.[2] 이 종은 이후 수십 년 동안 분류학적 검토에서 ''Nectomys'' 속으로 유지되었으며, 필립 허시코비츠(Philip Hershkovitz)가 1944년에 발표한 해당 속에 대한 연구에서도 마찬가지였다.[7]허시코비츠는 런던에서 모식표본을 검토한 후, 1948년에 이 종을 ''Oryzomys'' 속으로 옮겼다. 그는 이 종이 해당 속 내에서 특히 독특하다고 여겨, 별도의 아속(subgenus)인 ''Micronectomys''로 분류할 것을 제안했다.[8] 1957년 J. 에르난데스-카마초는 콜롬비아에서 ''Micronectomys'' 아속의 두 번째 종으로 보이는 ''Oryzomys (Micronectomys) borreroi''를 기재했다.[9] 그러나 1970년, 허시코비츠는 다른 논문에서 ''O. dimidiatus''를 다루면서, 1948년 발표 당시 다른 분류군과의 명확한 차이점을 기술하지 않았기 때문에 자신이 제안한 ''Micronectomys''라는 이름이 나명(nomen nudum, "벌거벗은 이름"이라는 뜻으로, 정식 학명으로 인정받기 위한 요건을 갖추지 못한 이름) 상태임을 인정했다.[10]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 문제를 바로잡기 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고, ''Micronectomys''는 여전히 나명으로 남아 있다.[11] 허시코비츠는 또한 ''O. dimidiatus''의 외형이 어린 ''Nectomys''와 유사하지만, 다른 특징들은 습지쌀쥐(Oryzomys palustris)와 비슷하다고 언급했다.[10] 그는 ''O. borreroi''를 ''Oryzomys'' 속으로 인정했지만, ''O. dimidiatus''와는 가까운 관계가 아니라고 생각했다.[9] 6년 후인 1976년, 알프레드 가드너(Alfred Gardner)와 제임스 L. 패튼(James L. Patton)은 ''O. borreroi''를 ''Zygodontomys'' 속으로 분류할 것을 제안했고, 1991년 로버트 보스(Robert Voss)는 해당 속에 대한 검토에서 이 종이 ''Zygodontomys brunneus''와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했다.[12]
두 번째 표본은 1966년에 채집되었고, 이 발견은 1971년 휴 제노웨이스와 녹스 존스에 의해 발표되었다. 그들은 이 종이 ''O. palustris''와 매우 유사하다고 지적했다.[13] 이후의 연구자들은 ''O. dimidiatus'', ''O. palustris'', 그리고 Oryzomys couesi와 같은 관련 종들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했다.[15] 피오나 리드는 1997년에 세 번째 표본이 발견되었다고 보고했다.[14]
2006년, 마르셀로 웩슬러(Marcelo Weksler)와 동료들은 분자계통학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전에 ''Oryzomys'' 속에 속했던 많은 종들이 모식종(type species)인 ''O. palustris''와 밀접한 관련이 없다는 이유로 해당 속에서 제외했다. 하지만 ''O. dimidiatus''는 ''Oryzomys'' 속에 그대로 남겨졌다.[15]
현재 ''Oryzomys dimidiatus''는 ''Oryzomys'' 속에 속하는 8종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16] 또한, 중앙아메리카에 넓게 분포하는 ''Oryzomys couesi''를 중심으로 하는 ''O. couesi'' 종군(species group)의 일원으로 분류된다. 이 종군에는 분포 범위가 더 제한적이고 주변적인 6종이 포함된다.[17] ''O. dimidiatus''는 니카라과 남동부에서 ''O. couesi''와 함께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18] ''O. couesi'' 종군의 계통 분류(systematics)에 대해서는 아직 불분명한 점이 많으며, 현재의 분류 체계가 이 그룹의 실제 다양성을 과소평가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19] ''Oryzomys'' 속은 100종이 넘는 다양한 아메리카 설치류를 포함하는 쌀쥐족(Oryzomyini)으로 분류되며, 더 상위 분류 단계에서는 수백 종의 작은 설치류를 포함하는 비단털쥐과(Cricetidae)의 목화쥐아과(Sigmodontinae)에 속한다.[20][21]
학명 ''Oryzomys dimidiatus''에서 속명 ''Oryzomys''는 그리스어 ὄρυζα|오리자grc(쌀)와 μῦς|미스grc(생쥐)를 합친 것이고,[22] 종소명 ''dimidiatus''는 라틴어 dimidiatuslat("반으로 나뉜")이다.[23] 이는 "반으로 나누다"라는 뜻의 동사 dimidiolat에서 유래했다.[24]
3. 특징
쌀쥐속에 속하는 중간 크기의 설치류로[56][57], 쿠스쌀쥐(Oryzomys couesi)보다는 작은 편이다.[54] 등 쪽은 회갈색, 배 쪽은 회색을 띠며 쿠스쌀쥐보다 전반적으로 어두운 색조를 보인다. 꼬리는 몸길이와 비슷하며 윗면이 아랫면보다 약간 더 어둡지만, 그 차이는 쿠스쌀쥐만큼 뚜렷하지 않다.[54] 외형적으로 늪쌀쥐(Oryzomys palustris)와 유사하다.
3. 1. 형태

중간 크기의 쌀쥐로, 머리부터 몸까지 길이는 110mm에서 128mm 사이이다. 쿠스쌀쥐(Oryzomys couesi)보다는 작다. 두껍고 광택이 나는 벨벳 같은 털을 가지고 있으며, 등 쪽 털 길이는 약 6mm이다. 등 부분은 회갈색이며 검은색 털이 섞여 있어 쿠스쌀쥐보다 전체적으로 더 어둡게 보인다. 옆구리 쪽으로 갈수록 색이 더 노란색을 띤다. 희미한 황갈색 선이 옆구리에서 뒷다리 안쪽까지 이어지기도 한다. 아랫부분은 회색으로, 쿠스쌀쥐의 황갈색 아랫부분과 대조된다. 주둥이는 짧고, 털이 많은 귀는 부분적으로 털에 가려진다. 손과 발 윗면은 연한 흰색 또는 갈색을 띠며, 쿠스쌀쥐처럼 완전히 흰색은 아니다. 뒷발에는 작은 발가락 사이 물갈퀴가 있지만, 발가락에 긴 털 뭉치(ungual tuft)는 없으며 일부 발바닥 패드는 줄어들거나 없다. 꼬리는 머리와 몸통 길이와 거의 같으며, cm당 약 15개의 고리가 있다. 꼬리 윗면(회색)이 아랫면(흰색)보다 약간 더 어둡지만, 색상 차이는 쿠스쌀쥐보다 덜 뚜렷하다.[54]
두개골은 물쌀쥐속(Nectomys)의 두개골에 비해 가볍게 구성되어 있다. 코뼈는 가늘고, 뇌두는 넓고 둥글며 눈에 띄는 능선이 없다. 광대뼈판(zygomatic plate)은 넓다. 입천장(구개) 앞부분의 구멍인 절치공(incisive foramen)은 첫 번째 어금니 사이에 뻗어 있으며 뒤쪽 절반에서 가장 넓다. 입천장 끝 뒤의 틈인 넓은 중간날개오목(mesopterygoid fossa)에는 나비입천장공백(sphenopalatine vacuities)이 있다. 어금니의 치관은 물쌀쥐속 종만큼 단순하지는 않지만, 위쪽 첫 번째 어금니의 앞쪽 교두(anterocone)와 아래쪽 첫 번째 어금니의 앞쪽 교두(anteroconid)는 두 개로 나뉘지 않는다. 주요 뿌리 외에도, 위쪽 및 아래쪽 첫 번째 어금니는 더 작은 추가 뿌리를 가지고 있다.[55]
측정값은 다음과 같다.
측정 항목 | 기준 표본 (1904년) | 1966년 표본 | Reid 보고 표본[57] |
---|---|---|---|
머리-몸통 길이 | 125mm | 118mm | 최대 128mm |
꼬리 길이 | 115mm | 110mm | 최대 150mm |
뒷발 길이 | 27mm | 28mm | 최대 31mm |
귀 길이 | 13mm | 15mm | 최대 19mm |
두개골 길이 | 29.8mm | 29mm | |
무게 | 46g | ||
고환 길이 | 11mm |
3. 2. 측정값
토마스쌀쥐의 주요 측정값은 다음과 같다. 처음 알려진 두 표본(1904년 채집된 기준 표본과 1966년 채집된 표본)과 이후 Reid가 보고한 세 번째 표본의 측정값을 비교하면 아래 표와 같다.측정 항목 | 1904년 기준 표본 | 1966년 표본 | Reid 보고 표본 (최대값) |
---|---|---|---|
머리-몸통 길이 | 125mm | 118mm | 128mm |
꼬리 길이 | 115mm | 110mm | 150mm |
뒷발 길이 | 27mm | 28mm | 31mm |
귀 길이 | 13mm | 15mm | 19mm |
두개골 길이 | 29.8mm | 29mm | |
무게 | 46g | ||
고환 길이 | 11mm |
1966년 표본의 무게는 46g이었고, 고환 길이는 11mm였으나, 1904년 기준 표본에서는 이 측정값이 기록되지 않았다.[56] Reid가 보고한 세 번째 표본의 측정값은 머리-몸통 길이 최대 128mm, 꼬리 길이 150mm, 뒷발 길이 31mm, 귀 길이 19mm이다.[57]
3. 3. 두개골
물쌀쥐속(''Nectomys'')의 두개골과 비교했을 때 가볍게 구성되어 있으며, 가느다란 코뼈와 눈에 띄는 능선이 없는 넓고 둥근 뇌두개를 가지고 있다. 광대뼈판(관골궁)은 넓다. 구개 앞부분에 있는 절치공은 첫 번째 어금니(대구치) 사이에 뻗어 있으며 뒤쪽 절반에서 가장 넓다. 구개 끝 뒤의 넓은 틈(mesopterygoid fossa)은 sphenopalatine vacuities에 의해 뚫려 있다. 어금니의 치관은 물쌀쥐속 종만큼 단순하지는 않지만, 위쪽 첫 번째 어금니의 앞쪽 융기(anterocone)와 아래쪽 첫 번째 어금니의 앞쪽 융기(anteroconid)는 두 개로 나뉘지 않는다. 주요 치근 외에도, 위쪽 및 아래쪽 첫 번째 어금니는 더 작은 추가 치근을 가지고 있다[55].처음으로 알려진 두 표본의 두개골 길이는 각각 29.8mm와 29mm였다[56].
4. 분포 및 서식지
토마스쌀쥐는 니카라과 남동부 남부 카리브 해안 자치 지역 저지대의 물가 근처에서 발견된다.[29][58] 현재까지 알려진 표본이 매우 적으며, 발견된 표본 모두 물 근처에서 포획되어 물에서 상당 시간을 보내는 반수생 동물로 추정된다.[28][31][57] 2019년 IUCN 적색 목록은 이 종에 대해 알려진 정보가 거의 없다는 점을 들어 보존 상태를 자료 부족으로 평가했다.[1]
4. 1. 분포
''토마스쌀쥐''는 니카라과 남동부에 있는 남부 카리브 해안 자치 지역 저지대에서만 발견되었다.[29][58] 현재까지 단 3점의 표본만이 알려져 있다.[29]첫 번째 표본은 1904년 11월 5일 엘 라마 근처 리오 에스콘디도의 매우 습한 붉은 점토 토양의 바나나 농장에서 수집된 늙은 수컷이다.[6][37] 두 번째 표본은 1966년 7월 26일, 첫 발견지에서 서쪽으로 15km 떨어진 엘 레크레오의 리오 미코 남쪽 둑의 빽빽한 사탕수수 밭에서 잡힌 어린 성체 수컷이다.[30][59] 이때 다른 종류의 쌀쥐(''O. couesi'', ''멜라노미스 칼리기노서스'', ''올리고리조미스 풀베스켄스''), 목화쥐 ''시그모돈 히르수투스'', 브라질토끼 ''실비라구스 브라질리엔시스''도 함께 발견되었다.[30] 세 번째 표본은 블루필즈 근처의 개울에서 잡혔다.[28][57]
3점의 표본 모두 물 근처에서 포획되었기 때문에[28], 리드(Reid)는 다른 ''Oryzomys'' 속처럼 이 종 역시 물에서 상당 시간을 보내는 반수생 동물일 것으로 추정했다.[28][31][60][57]
2019년 IUCN 적색 목록은 ''토마스쌀쥐''의 보존 상태를 자료 부족(Data Deficient)으로 평가하며, 현재 이 종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고 언급했다.[1]
4. 2. 서식지
토마스쌀쥐는 니카라과 남동부 남부 카리브 해안 자치 지역 저지대에서 수집된 세 개의 표본만 알려져 있다.[29][58] 발견된 표본 정보는 다음과 같다.발견 순서 | 연도 | 날짜 | 위치 | 서식 환경 | 특징 | 함께 발견된 종 |
---|---|---|---|---|---|---|
첫 번째 | 1904년 | 11월 5일 | 엘 라마 근처 리오 에스콘디도 | 매우 습한 붉은 점토 토양의 바나나 농장 | 늙은 수컷 | - [6][37] |
두 번째 | 1966년 | 7월 26일 | 엘 레크레오 (리오 미코 남쪽 둑, 첫 발견지 서쪽 15km) | 빽빽한 사탕수수 밭 | 어린 성체 수컷 | O. couesi, 멜라노미스 칼리기노서스, 올리고리조미스 풀베스켄스, 시그모돈 히르수투스, 실비라구스 브라질리엔시스 [30][59] |
세 번째 | 정보 없음 | 정보 없음 | 블루필즈 근처 | 개울 | 정보 없음 | - [28][31] |
세 표본 모두 물 근처에서 포획되었기 때문에, 다른 ''Oryzomys'' 속 쥐들처럼 물에서 상당 시간을 보내는 반수생 동물일 것으로 추정된다.[28][31][60][57]
2019년 IUCN 적색 목록은 토마스쌀쥐(''Oryzomys dimidiatus'')에 대해 알려진 정보가 거의 없다는 점을 들어 보존 상태를 "자료 부족"으로 평가했다.[1]
5. 생태 및 행동
지금까지 발견된 토마스쌀쥐 표본 3점은 모두 물 근처에서 포획되었으며, 이 때문에 물에서 주로 시간을 보내는 반수생 동물로 추정된다. 모든 개체는 니카라과 남부의 남아틀란티코 자치 지역 저지대에서 발견되었다.[58]
가장 먼저 발견된 개체는 1904년 11월 5일에 포획된 노령 수컷이다. 이 개체는 El Rama 근교 Río Escondido 강가의 매우 습한 붉은 흙으로 된 바나나 농장에서 발견되었다.[37] 두 번째 개체는 1966년 7월 26일에 발견된 젊은 성숙 수컷으로, 첫 번째 발견 장소에서 남쪽으로 15km 떨어진 El Recreo 지역의 Río Mico 강둑의 짙은 풀숲에서 다른 쥐나 토끼와 함께 발견되었다.[59] 세 번째 개체는 Bluefields의 강에서 발견되었다. 연구자 Reid는 토마스쌀쥐가 다른 쌀쥐속 동물들처럼[60] 일정 시간을 물속에서 보내는 반수생 동물일 것으로 보고 있다.[57]
6. 보전 상태
토마스쌀쥐는 현재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서 관심대상종(Least Concern, LC)으로 분류한다. 2009년 IUCN 적색 목록 평가에서도 동일한 등급으로 분류되었으며, 실제 분포 지역은 알려진 것보다 더 넓을 수 있고 개체수가 풍부하며 서식지에 대한 특별한 위협 요인도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61]
참조
[1]
iucn
"''Oryzomys dimidiatus''"
2019
[2]
서적
1905
[3]
서적
1948
[4]
서적
2005
[5]
서적
2004
[6]
서적
1905
[7]
서적
1944
[8]
서적
1948
[9]
서적
1970
[10]
서적
1970
[11]
서적
2005
[12]
서적
1991
[13]
서적
1971
[14]
서적
1997
[15]
서적
2006
[16]
서적
2009
[17]
서적
2009
[18]
서적
1986
[19]
서적
2009
[20]
서적
2006
[21]
서적
2005
[22]
기타
o)/ruza
[23]
기타
dimidiatus
[24]
기타
dimidio
[25]
서적
1905
[26]
서적
1948
[27]
서적
1986
[28]
서적
2009
[29]
서적
2008
[30]
서적
1971
[31]
서적
2009
[32]
간행물
"Oryzomys dimidiatus"
https://doi.org/10.2[...]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9
[33]
간행물
Superfamily Muroidea
http://www.departmen[...]
Mammal Species of the World
2005
[34]
간행물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18
[35]
서적
2005
[36]
서적
Duff and Lawson, 2004, p. 54; Jones and Engstrom, 1986, p. 12
[37]
서적
Thomas, 1905, p. 587
[38]
서적
Thomas, 1905, p. 586
[39]
서적
Hershkovitz, 1944, p. 80
[40]
서적
Hershkovitz, 1948, pp. 54–55
[41]
서적
Hershkovitz, 1970, p. 792
[42]
서적
Hershkovitz, 1970, p. 791
[43]
서적
Musser and Carleton, 2005, p. 1144
[44]
서적
Voss, 1991, p. 46
[45]
서적
Genoways and Jones, 1971, p. 433
[46]
서적
Reid, 1997, p. 204
[47]
간행물
Weksler et al., 2006, table 1, footnote e
[48]
서적
Carleton and Arroyo-Cabrales, 2009, p. 116
[49]
서적
Carleton and Arroyo-Cabrales, 2009, p. 117
[50]
서적
Jones and Engstrom, 1986, p. 12
[51]
서적
Carleton and Arroyo-Cabrales, 2009, p. 107
[52]
서적
Weksler, 2006, p. 3
[53]
서적
Musser and Carleton, 2005
[54]
서적
Thomas, 1905, p. 586; Genoways and Jones, 1971, p. 833; Sánchez et al., 2001, pp. 209–210; Reid, 2009, p. 207
[55]
서적
Hershkovitz, 1948, p. 55; Sánchez et al., 2001, pp. 209–210
[56]
서적
Jones and Engstrom, 1986, p. 13
[57]
서적
Reid, 2009, p. 207
[58]
서적
Timm and Reid, 2008; Reid, 2009, p. 207
[59]
서적
Genoways and Jones, 1971, p. 833; Musser and Carleton, 2005, pp. 1125, 1141, 1147, 1175
[60]
서적
Carleton and Arroyo-Cabrales, 2009, p. 114
[61]
서적
Timm and Reid, 2008
[62]
웹사이트
Oryzomys dimidiatus
http://www.iucnredli[...]
IUCN
2010-03-23
[63]
서적
Thomas, 1905, p. 586
[64]
서적
Hershkovitz, 1948, p. 55
[65]
서적
Musser and Carleton, 2005, p. 1148
[66]
서적
Duff and Lawson, 2004, p. 54; Jones and Engstrom, 1986, p. 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