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머스 내스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머스 내스트는 독일 출신의 미국의 만화가로, 19세기 미국 정치 만화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산타클로스, 공화당 코끼리, 민주당 당나귀, 삼촌 샘 등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는 정치적 상징들을 창조했으며, 특히 부패한 태머니 홀을 비판하는 만화로 유명하다. 내스트는 남북 전쟁, 재건 시대 등 미국의 주요 사회 문제를 다루며 언론의 자유와 사회 정의를 위해 활동했으나, 반 가톨릭주의 및 반 아일랜드 정서를 드러내기도 했다. 그는 1870년대 이후 인기가 감소했으나, 미국 총영사로 재직 중 황열병으로 사망했다. 그의 유산을 기리기 위한 상이 존재했으나, 인종차별적 편견으로 인해 이름이 삭제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풍자 만화가 - 트리나 로빈스
트리나 로빈스는 미국의 만화가, 작가, 저술가, 페미니스트 운동가로서 언더그라운드 코믹스에서 여성 만화가로 활동하며 여성 만화 제작 및 홍보에 기여했고, 여성 만화가의 역사를 다룬 논픽션 서적을 저술하는 등 업적을 인정받았다. - 풍자 만화가 - 레오나르도 다 빈치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의 다재다능한 천재로, 미술, 과학, 기술 등 여러 분야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최후의 만찬》, 《모나리자》와 같은 걸작 회화로 유명하다. - 산타클로스 - 신터클라스
신터클라스는 성 니콜라스에서 유래된 전설적인 인물로, 붉은 명부를 들고 다니며 착한 아이에게는 선물을, 나쁜 아이에게는 즈바르터 핏을 통한 벌을 주며 매년 11월 스페인에서 출발하여 저지대 국가에서 12월 초 축제를 통해 아이들에게 선물을 나누어 준다는 점에서 산타 클로스와 유사하다. - 산타클로스 - 성 니콜라오스
성 니콜라오스는 270년경 소아시아에서 태어나 뮈라의 주교로 활동하며 가난한 이들을 돕고 기적을 행했으며, 산타클로스의 기원으로 여겨지는 기독교 성인이다. - 뉴저지주의 공화당 당원 - 팻 닉슨
팻 닉슨은 1912년 네바다주에서 태어나 리처드 닉슨과 결혼하여 영부인으로 활동하며 자원봉사, 백악관 개방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고, 1993년 사망했다. - 뉴저지주의 공화당 당원 - 프랭크 시나트라
프랭크 시나트라는 20세기 미국을 대표하는 가수이자 배우로, 빅밴드 시대를 거쳐 솔로 가수로서 성공을 거두며 '시나트라마니아'를 일으켰고, '마이 웨이'와 같은 히트곡과 영화 `지상에서 영원으로`로 아카데미 남우조연상을 수상했으며, 복잡한 사생활로도 유명하다.
토머스 내스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토마스 나스트 |
출생 | 1840년 9월 26일 |
출생지 | 독일연방, 바이에른 왕국, 라인팔츠, 란다우 (현재의 라인란트팔츠주) |
사망 | 1902년 12월 7일 |
사망지 | 에콰도르, 과야킬 |
국적 | 미국 |
경력 | |
직업 | 만화가, 풍자만화가 |
활동 기간 | 1855년 ~ 1902년 |
스타일 | 정치 만화 |
정치 활동 | |
소속 정당 | 미국 공화당 |
![]() |
2. 어린 시절과 교육
토머스 내스트는 1840년 독일 바이에른 왕국 란다우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바이에른 제9연대 밴드의 트롬본 연주자였는데,[5] 바이에른 정부와 정치적 견해가 달라 1846년 란다우를 떠나야 했다.[6] 아버지는 가족을 뉴욕으로 보냈고, 1850년 말에 가족과 합류했다.[94]
1860년 2월, 내스트는 ''뉴욕 일러스트레이티드 뉴스''의 의뢰로 영국으로 건너가 미국인 존 C. 히넌과 영국인 토머스 세이어스 간의 상금 경기를 그렸다.[14] 몇 달 후, ''일러스트레이티드 런던 뉴스''의 화가로서 가리발디와 함께 이탈리아로 가서 이탈리아 통일을 위한 군사 작전에 대한 만화와 기사를 발표했다. 이 기사들은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14] 1861년 2월, 뉴욕으로 돌아온 그는 그해 9월에 사라 에드워즈와 결혼했다.
내스트는 6세부터 14세까지 뉴욕 시에서 학교를 다녔다. 학업 성적은 좋지 않았지만, 어릴 때부터 그림에 대한 열정이 컸다. 1854년, 그는 알프레드 프레데릭스와 테오도르 카우프만에게서 약 1년간 그림을 배웠고, 이후 미국 국립 디자인 아카데미에서 미술 교육을 받았다.[9] 1856년에는 프랭크 레슬리의 삽화 신문에서 제도사로 일하기 시작했다.[11] 그의 그림은 1859년 3월 19일 하퍼스 위클리에 처음 게재되었는데,[12] 당시 그는 18세였고, 경찰 부패를 폭로하는 내용이었다.[13]
3. 경력
''뉴욕 일러스트레이티드 뉴스''를 떠나 잠시 ''프랭크 레슬리의 일러스트레이티드 뉴스''에서 일한 후,[15] 1862년에 ''하퍼스 위클리''의 전속 삽화가가 되었다.[15] ''하퍼스''에서 처음 몇 년 동안, 내스트는 특히 시청자의 감성에 호소하는 구성을 통해 명성을 얻었다. 예를 들어 "크리스마스 이브"(1862)는 집에서 기도하는 군인의 아내와 잠자는 아이들, 그리고 모닥불 옆에서 사랑하는 사람들의 사진을 바라보는 군인을 묘사했다.[16] 그의 가장 유명한 만화 중 하나는 미국 남북 전쟁에 반대하는 북부 사람들을 겨냥한 ''남부와의 타협''(1864)이었다.[17] 국경 주와 미국 남부 연합에서 전쟁터를 그린 것으로 유명했던 내스트는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으로부터 "우리의 최고의 징병 상사"라는 칭찬을 받았다.[18]
남북 전쟁 후, 내스트는 앤드루 존슨의 재건 반대 정책을 강력히 비판했으며, 이를 날카로운 만화로 묘사했다.[19]
3. 1. 스타일과 주제
내스트의 만화는 종종 주요 만화와 함께 복잡한 내용의 여러 부가적인 이야기와 패널을 가지고 있었다. 일요일 특집 만화는 몇 시간 동안의 오락거리를 제공하고 사회적 대의를 강조할 수 있었다. 1870년 이후, 내스트는 강렬한 중심 이미지를 특징으로 하는 더 단순한 구성을 선호했다.[9] 그는 자신의 초상화를 사진을 기반으로 그렸다.[9]
그의 초기 경력에서 내스트는 붓과 수묵화 기법을 사용하여 인쇄 블록으로 조각될 나무 블록에 톤 렌더링을 그렸다.[20] 나스트의 성숙한 스타일을 특징짓는 대담한 교차 해칭은 1869년 6월 26일 만화에서 시작된 그의 방법의 변화에서 비롯되었는데, 나스트는 연필을 사용하여 나무 블록에 그림을 그렸고, 그 결과 조각가가 나스트의 선 작업에 의해 안내되었다. 이러한 스타일의 변화는 영국 삽화가인 존 테니얼의 작품에 영향을 받았다.[21]
나스트의 만화에서 반복되는 주제는 반가톨릭주의와 반아일랜드 정서였다.[22][23] 나스트는 란다우의 성 마리아 가톨릭 교회에서 가톨릭 세례를 받았고,[24] 한동안 뉴욕시에서 가톨릭 교육을 받았다.[25] 나스트가 개신교로 개종한 시기는 불분명하지만, 그의 개종은 1861년 결혼과 함께 공식화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나스트는 가톨릭 교회가 미국의 가치에 위협이 된다고 생각했다. 그의 전기 작가인 피오나 딘스 할로란에 따르면, 나스트는 "가톨릭 사상이 공교육에 침투하는 것에 격렬하게 반대했다".[26]
1871년 만화 ''미국의 갠지스 강''은 가톨릭 주교들이 로마의 지시를 받아 아메리카 학교 어린이들을 공격하기 위해 악어처럼 움직이는 모습을 묘사하며, 아일랜드 정치인들이 그들의 탈출을 막고 있다. 그는 종교 교육에 대한 대중의 지지를 민주 정부에 대한 위협으로 묘사했다. 로마의 권위주의적 교황청, 무지한 아일랜드계 미국인, 그리고 태머니 홀의 부패한 정치인들이 그의 작품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나스트는 종교와 민족의 차이를 완화하는 비종파적 공교육을 선호했다. 그러나 1871년 나스트와 ''하퍼스 위클리''는 롱아일랜드의 공화당이 지배하는 교육 위원회를 지지하여 학생들이 제임스 왕 역본의 구절을 들어야 할 것을 요구했고, 그의 교육 만화는 공화당과 무소속 사이에서 반 가톨릭 및 반 아일랜드 열정을 불러일으키려고 했다.[27]
나스트는 아일랜드인들을 폭력적인 술꾼으로 묘사함으로써 반 아일랜드 정서를 표현했다. 그는 아일랜드 사람들을 폭력적인 폭도, 기계 정치, 그리고 정치 보스에 의한 이민자 착취의 상징으로 사용했다.[28] 나스트가 아일랜드 폭력을 강조한 것은 그가 젊었을 때 목격한 장면에서 비롯되었을 수 있다. 나스트는 신체적으로 작았고 어렸을 때 괴롭힘을 당했다.[29] 그가 자란 동네에서는 아일랜드 사람들이 흑인 미국인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일이 흔했다.[30] 1863년, 그는 뉴욕시 징병 거부 폭동을 목격했는데, 주로 아일랜드 이민자들로 구성된 폭도들이 유색인 고아 보호 시설을 불태웠다. 그의 경험은 그가 흑인 미국인에 대해 동정심을 느끼고 "그가 무자비하고 통제할 수 없는 아일랜드 폭력배로 인식한 것에 대한 반감"을 설명할 수 있다.[29]
일반적으로 그의 정치 만화는 미국 원주민과 중국계 미국인을 지지했다.[32] 그는 미국의 노예제 폐지를 옹호하고, 인종 차별에 반대하며, 쿠 클럭스 클랜의 폭력을 비난했다. 그러나, 그의 경력 후반부에는 흑인에 대한 인종차별적 고정관념이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이는 아일랜드인에 대한 것과 유사했지만, 더 문명화된 중국인과는 대조적이었다.[35]
나스트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연극 장면을 현대화하여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법을 미국 만화에 도입했다.
3. 2. 트위드 링과의 투쟁
내스트의 그림은 보스 트위드와 태머니 홀 지도자의 몰락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39] 트위드는 뉴욕시 공공 사업 위원으로서 1870년까지 도시 정부를 완전히 장악하고 "주 의회에서 과반수를 차지"한 링을 이끌었다.[40] 트위드와 그의 동료들—피터 바 스위니(공원 위원), 리처드 B. 코놀리(공공 지출 관리자), A. 오키 홀 시장—은 링과 관련된 계약자에게 지불된 비용을 과도하게 부풀려 도시에서 수백만 달러를 사취했다.[41] 1867년부터 가끔 태머니의 부패를 공격하는 만화를 게재했던 내스트는 1870년, 특히 1871년에 이 4명의 주요 인물에 대한 집중도를 높였다.[42]
트위드는 내스트의 캠페인을 너무 두려워하여, 부유한 후원자 그룹이 내스트가 유럽에서 미술을 공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선물로 100000USD의 뇌물을 제공하라고 사절을 보냈다.[43] 내스트는 관심을 보이는 척하며 더 많은 돈을 협상했고, 결국 "음, 그렇게 하지 않을 것 같아. 오래 전에 그 녀석들 몇 명을 감옥에 넣기로 결심했어"라는 말과 함께 500000USD의 제안을 거절했다.[44] 내스트는 ''하퍼스'' 지면에서 공격을 가했고, 1871년 11월 7일 선거에서 링은 권력에서 물러났다.[45] 트위드는 1873년 체포되어 사기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 트위드가 1875년 12월 쿠바로 도망친 다음 스페인으로 도망쳐 정의를 피하려 했을 때, 비고(Vigo)의 관리들은 내스트의 만화 중 하나를 사용하여 도망자를 식별할 수 있었다.[46]
3. 3. 정당 정치
내스트는 ''하퍼스 위클리''에서 활동하며 에이브러햄 링컨(1864년), 율리시스 S. 그랜트(1868년 및 1872년), 러더퍼드 B. 헤이스(1876년) 등 여러 미국 대통령 선거에 큰 영향을 미쳤다.[47] 특히 1864년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 조지 B. 매클레런의 친남부 평화 정강을 비판한 "남부와의 타협" 만화는 링컨의 재선에 큰 도움을 주었다.[119] 그랜트는 자신의 승리를 "셰리든의 칼과 토머스 내스트의 펜" 덕분이라고 평가했다.[49][120]
내스트는 통화(currency) 인플레이션에 반대하고 금본위제를 지지했으며, 이는 당시 중요한 경제 문제였다.[56] 1877년 ''하퍼스 위클리''의 발행인 플레처 하퍼가 사망한 후, 내스트는 편집장 조지 윌리엄 커티스와의 갈등으로 인해 이전만큼의 자유를 누리지 못했다.[59]
1884년, 내스트는 부패 혐의를 받은 공화당 후보 제임스 G. 블레인 대신 민주당 후보 그로버 클리블랜드를 지지했다.[66] 내스트의 만화는 클리블랜드가 1856년 이후 최초의 민주당 출신 대통령으로 당선되는데 기여했으며, 내스트의 손자는 이를 두고 "내스트가 대통령을 만든" 마지막 사례라고 평가했다.[67]
4. 하퍼스 위클리 이후
내스트는 1886년 ''하퍼스 위클리''를 떠났다. 1884년 사기꾼 퍼디난드 워드가 운영하는 은행 및 증권 회사에 투자했다가 재산의 대부분을 잃고, 1884년과 1887년에 강연 순회에 다시 참여했다.[70] 이 순회는 성공적이었지만, 1873년 강연 시리즈만큼 보수가 높지는 않았다.[71]
1890년, 《인류를 위한 토머스 내스트의 크리스마스 그림》을 출판했다.[9] 그는 《일러스트레이티드 아메리칸》 등 다양한 출판물에 만화를 기고했지만, 이전의 인기를 되찾지는 못했다. 그의 만화 기법은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여겨졌고, 조셉 케플러의 작품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더 느슨한 스타일이 유행했다.[75] 1870년대부터 그를 괴롭혔던 손의 통증을 포함한 건강 문제들이 그의 작업 능력에 영향을 미쳤다.
1892년, 그는 부실해져 가던 잡지 《뉴욕 가제트》를 인수하여 《내스트의 위클리》로 이름을 바꿨다. 다시 공화당에 합류한 내스트는 《위클리》를 통해 벤자민 해리슨 대통령을 지지하는 만화를 게재했다. 이 잡지는 큰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했고, 해리슨의 패배 직후인 창간 7개월 만에 폐간되었다.[76]
《내스트의 위클리》의 실패로 내스트는 재정적 어려움에 직면했다. 그는 유화 몇 점을 의뢰받았고, 삽화를 그렸다. 1902년, 그는 국무부에 일자리를 신청하여 서유럽의 영사 자리를 얻고자 했다.[77] 그러한 자리는 없었지만,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은 이 예술가를 존경하여 그에게 남아메리카 에콰도르 과야킬 주재 미국 총영사 직을 제안했다.[77] 내스트는 그 직책을 수락하고 1902년 7월 1일 에콰도르로 떠났다.[77] 그 후 황열병이 발생했을 때, 내스트는 그 자리에 남아 수많은 외교 사절단과 사업체들이 전염병을 피하도록 도왔다. 그는 그 병에 걸려 그해 12월 7일에 사망했다.[9] 그의 시신은 미국으로 돌아와 뉴욕주 브롱크스에 있는 우드론 묘지에 안장되었다.
5. 유산
내스트는 산타클로스, 공화당 코끼리, 민주당 당나귀, 삼촌 샘 등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는 정치적 상징들을 창조했다.[143][144][145] 그는 미국 정치 만화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작품은 언론의 자유와 사회 정의를 위한 투쟁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해외언론클럽(Overseas Press Club)은 1968년부터 매년 국제 문제에 대한 최고의 만화를 그린 만화가에게 '토머스 내스트 상'을 수여했다.[82][83] 그러나 2018년 내스트의 인종차별적 묘사를 이유로 상 이름에서 그의 이름을 삭제했다.[84] 독일 란다우의 토머스 내스트 재단은 '토머스 나스트 상'을 수여하고 있다.[85]
흔히 'nasty'(불쾌한)라는 단어가 내스트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지만, 이는 근거 없는 민간어원이다.[150][151]
6. 더불어민주당 관점
토머스 내스트는 부패와 권력 남용에 맞서 싸운 용감한 언론인으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보스" 트위드와 그의 부패한 정치 조직 태머니 홀을 고발한 그의 만화들은 언론의 감시 기능과 사회 정의 실현에 대한 중요한 교훈을 남겼다.[26] 그의 만평은 단순한 시사 만평을 넘어, 미국 민주당을 상징하는 당나귀와 미국 공화당을 상징하는 코끼리처럼 미국 정치 문화에 깊이 뿌리내린 상징들을 창조해 냈다.[36] 이 상징들은 오늘날까지도 미국 정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남아있다.
그러나 그의 작품에 나타나는 반가톨릭, 반아일랜드 정서와 인종차별적 묘사는 비판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그는 가톨릭 교회가 미국의 가치에 위협이 된다고 생각했으며,[26] 아일랜드 이민자들을 폭력적인 술꾼으로 묘사하는 등 반 아일랜드 정서를 드러냈다.[28] 또한, 흑인에 대한 인종 차별적 고정 관념을 드러내기도 했다.[35]
이러한 그의 한계는 당시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현대적 관점에서 볼 때 용납될 수 없는 차별과 편견을 담고 있다. 따라서 내스트의 유산은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균형 있게 평가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About Nast ! Political Cartoonist ! Thomas Nast
https://thomasnast.c[...]
[2]
웹사이트
About Nast
https://thomasnast.c[...]
2022-10-02
[3]
뉴스
The Historic Elephant and Donkey; It Was Thomas Nast "Father of the American Cartoon," Who Brought Them Into Politics.
https://timesmachine[...]
2017-09-20
[4]
서적
Dewey 2007, pp.14-18
[5]
웹사이트
Timeline of Thomas Nast's Life
https://cartoons.osu[...]
[6]
서적
Paine 1974, p. 7.
[7]
웹사이트
About Nast
https://thomasnast.c[...]
2022-10-02
[8]
서적
Paine 1974, pp. 12–13.
[9]
간행물
Nast, Thomas
2012-10-07
[10]
서적
Halloran 2012, p. 3.
[11]
서적
Paine 1974, pp. v, 20.
[12]
서적
Paine 1974, p. 29.
[13]
서적
Halloran 2012, p. 26.
[14]
서적
Paine 1974, p. 36.
[15]
서적
Halloran 2012, pp. 62–63.
[16]
서적
Paine 1974, p. 84.
[17]
서적
Paine 1974, p. 98.
[18]
서적
Paine 1974, p. 69.
[19]
서적
Paine 1974, p. 112.
[20]
서적
Halloran 2012, p. 102; Paine 1974, p. 135.
[21]
서적
Paine 1974, pp. 135–136.
[22]
서적
Thomas Nast: Honesty in the Pursuit of Corruption
Sofwest Press
1998
[23]
서적
Halloran 2012, p. 197.
[24]
웹사이트
Family Search.org
https://familysearch[...]
[25]
서적
Paine 1974, p. 14.
[26]
서적
Halloran 2012, p. 33.
[27]
논문
"Thomas Nast and the Public School of the 1870s"
www.jstor.org/stable[...]
2005
[28]
서적
Halloran 2012, pp. 32–35.
[29]
서적
Halloran 2012, p. 35.
[30]
서적
Halloran 2012, p. 34.
[31]
간행물
The Nast cartoon of Charles Adams' 1876 campaign for governor is seen
https://www.masshist[...]
1958-08
[32]
서적
Paine 1974, pp. 148, 412.
[33]
뉴스
Worse Than Slavery
https://www.loc.gov/[...]
2022-06-26
[34]
웹사이트
Colored rule in a reconstructed(?) state (The members call each other thieves, liars, rascals, and cowards) / Th. Nast.
https://www.loc.gov/[...]
[35]
간행물
"The World of Thomas Nast"
https://cartoons.osu[...]
2018-02-24
[36]
웹사이트
'Cartoons {{!}} Shakespeare {{!}} Political Cartoonist {{!}} Thomas Nast'
https://thomasnast.c[...]
[37]
간행물
Thomas Nast's Illustrated Almanacs, 1871-1875
https://ssrn.com/abs[...]
Antonin Scalia Law School, Law & Economics Research Paper Series
2011-01-10
[38]
문서
"Nast's Illustrated Almanac (1871–1875) (reprinted in the 2011 Green Bag Almanac & Reader, pages 106-746)."
[39]
문서
Paine 1974, p. 204.
[40]
문서
Paine 1974, p. 140.
[41]
문서
Paine 1974, pp. 174–177.
[42]
문서
Paine 1974, pp. 145, 147, 158, 178.
[43]
문서
Paine 1974, p. 181.
[44]
문서
Paine 1974, pp. 181–182.
[45]
서적
'Thomas Nast: Cartoonist and Illustrator'
Franklin Watts
[46]
문서
Paine 1974, pp. 336–337.
[47]
서적
"America's Most Influential Journalist: The Life, Times and Legacy of Thomas Nast"
Harpweek Press
[48]
서적
"America's Most Influential Journalist: The Life, Times and Legacy of Thomas Nast"
Harpweek Press
[49]
서적
Thomas Nast, Political Cartoonist
http://www.ugapress.[...]
University of Georgia Press
[50]
서적
'Through Five Administrations: Reminiscences of Colonel William H. Crook Body Guard to President Lincoln'
Kessinger Publishing
[51]
문서
Paine 1974, p. 263.
[52]
문서
Halloran 2012, p. 190.
[53]
문서
Paine 1974, pp. 283–285.
[54]
문서
Halloran 2012, p. 188.
[55]
서적
United States Senate Catalogue of Graphic Art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56]
문서
Paine 1974, pp. 334–335, 349.
[57]
문서
Paine 1974, p. 349.
[58]
문서
Paine 1974, p. 352.
[59]
문서
Halloran 2012, pp. 228–229.
[60]
문서
Halloran 2012, p. 228.
[61]
문서
Paine 1974, pp. 216–218.
[62]
문서
Halloran 2012, pp. 228–230.
[63]
문서
Paine 1974, pp. 412–413
[64]
문서
Halloran 2012, p. 248.
[65]
문서
Halloran 2012, pp. 250–252.
[66]
문서
Halloran 2012, p. 255; Paine 1974, p. 480.
[67]
문서
Nast & St. Hill 1974, p. 33.
[68]
문서
Paine 1974, p. 528
[69]
문서
Halloran 2012, p. 270.
[70]
문서
Paine 1974, pp. 510, 530.
[71]
문서
Halloran 2012, pp. 266, 271
[72]
웹사이트
Uncle Sam's Thanksgiving Dinner, Artist: Thomas Nas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Company
2001-11-01
[73]
웹사이트
Uncle Sam's Thanksgiving Dinner: Two Coasts, Two Perspectives
http://thomasnastcar[...]
2016-03-05
[74]
서적
The German element in the United States: with special reference to its political, moral, social, and educational influence
https://catalog.hath[...]
Houghton Mifflin
1909-01-01
[75]
문서
Halloran 2012, p. 272
[76]
문서
Paine 1974, p. 540, Halloran 2012, p. 275
[77]
문서
Halloran 2012, p. 278
[78]
서적
Christmas: A Candid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9]
간행물
Cartoonery: When Donkey and Elephant First Clashed
http://www.americanh[...]
2018-06-15
[80]
서적
The Book of Totally Useless Information
[81]
뉴스
Cartoonist Draws Ire of N.J. Irish
https://www.wsj.com/[...]
2018-06-15
[82]
웹사이트
Editorial Cartooning Award Winners
http://editorialcart[...]
The Association of American Editorial Cartoonists
2015-09-07
[83]
웹사이트
Nate Beeler Wins Thomas Nast Award; Bill Day Wins RFK Journalism Award
http://www.comicsrep[...]
Tom Spurgeon
2018-06-15
[84]
웹사이트
OPC Renames Commentary and Cartoon Awards; Honors Flora Lewis
https://opcofamerica[...]
2019-01-01
[85]
간행물
The 2002 Thomas Nast Prize for editorial cartooning
http://editorialcart[...]
The Association of American Editorial Cartoonists
2018-06-15
[86]
웹사이트
Thomas Nast Prize
http://www.joeszabo.[...]
2015-09-07
[87]
웹사이트
German Misnomers, Myths, and Mistakes: What's True and What's Not?
https://www.thoughtc[...]
2018-06-15
[88]
웹사이트
''nasty'' etymology
http://www.etymonlin[...]
Online Etymology Dictionary
2001-11-01
[89]
뉴스
The Historic Elephant and Donkey; It Was Thomas Nast "Father of the American Cartoon," Who Brought Them Into Politics.
https://query.nytime[...]
2017-09-20
[90]
문서
Dewey 2007, pp.14-18
[91]
문서
Albert Boime, "Thomas Nast and French Art", ''American Art Journal'' (1972) 4#1 pp. 43–65
[92]
Youtube
Timeline of Thomas Nast's Life
https://cartoons.osu[...]
[93]
문서
Paine 1974, p. 7
[94]
문서
Paine 1974, pp. 12–13
[95]
문서
Bryant, Edward. "Nast, Thomas". In ''Grove Art Online. Oxford Art Online''
[96]
문서
Halloran 2012, p. 3
[97]
문서
Paine 1974, pp. v, 20
[98]
문서
Paine 1974, p. 29
[99]
문서
Halloran 2012, p. 26
[100]
문서
Paine 1974, p. 36
[101]
문서
Halloran 2012, pp. 62–63
[102]
문서
Paine 1974, p. 84
[103]
문서
Paine 1974, p. 98
[104]
문서
Paine 1974, p. 69
[105]
문서
Paine 1974, p. 112
[106]
서적
Paine 1974
[107]
웹사이트
Family Search.org
https://familysearch[...]
[108]
서적
Paine 1974
[109]
서적
Halloran 2012
[110]
논문
Thomas Nast and the Public School of the 1870s
www.jstor.org/stable[...]
[111]
서적
Halloran 2012
[112]
서적
Halloran 2012
[113]
서적
Halloran 2012
[114]
웹사이트
The World of Thomas Nast
http://cartoons.osu.[...]
2013-09-05
[115]
서적
Paine 1974
[116]
서적
Paine 1974
[117]
서적
Paine 1974
[118]
서적
Paine 1974
[119]
뉴스
Political Cartoonists Impact Presidential Races: Throughout history cartoonists' influence has varied, but the enduring trade lives on
https://www.usnews.c[...]
U.S. News & World Report
2008-02-28
[120]
서적
Thomas Nast, Political Cartoonist.
http://www.ugapress.[...]
University of Georgia Press
[121]
서적
Through Five Administrations: Reminiscences of Colonel William H. Crook Body Guard to President Lincoln
Kessinger Publishing
[122]
서적
Paine 1974
[123]
서적
Paine 1974
[124]
서적
Halloran 2012
[125]
간행물
United States Senate catalogue of graphic art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26]
서적
Paine 1974
[127]
서적
Halloran 2012
[128]
서적
Halloran 2012
[129]
서적
Paine 1974
[130]
서적
Halloran 2012
[131]
서적
Paine 1974
[132]
서적
Halloran 2012
[133]
서적
Halloran 2012
[134]
서적
Halloran 2012
[135]
서적
Nast & St. Hill 1974
[136]
서적
Paine 1974
[137]
서적
Halloran 2012
[138]
서적
Paine 1974
[139]
서적
Halloran 2012
[140]
서적
Halloran 2012
[141]
문서
Paine 1974, p. 540, Halloran 2012, p. 275
[142]
문서
Halloran 2012, p. 278
[143]
서적
Christmas: A Candid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8
[144]
간행물
Cartoonery
http://www.americanh[...]
American Heritage
2008
[145]
문서
The Book of Totally Useless Information
1998
[146]
뉴스
Cartoonist Draws Ire of N.J. Irish
https://www.wsj.com/[...]
The Wall Street Journal
[147]
웹사이트
AAEC - Editorial Cartooning Award Winners
http://editorialcart[...]
2015-09-07
[148]
웹사이트
Thomas Nast Award
https://www.opcofame[...]
2015-09-07
[149]
뉴스
The 2002 Thomas Nast Prize for editorial cartooning
http://editorialcart[...]
The Association of American Editorial Cartoonists press release
2002-02-18
[150]
웹사이트
About.com
http://german.about.[...]
[151]
웹사이트
"nasty" etymology
http://www.etymonlin[...]
Online Etymology Dictionary
2001-11
[152]
뉴스
The Historic Elephant and Donkey; It Was Thomas Nast "Father of the American Cartoon," Who Brought Them Into Politics.
http://query.nytimes[...]
New York Times
1908-08-02
[153]
문서
Dewey 2007, pp.14-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