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머스 허버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머스 허버드는 1943년 켄터키 주에서 태어난 미국의 외교관이다. 앨라배마 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국무부에 들어가, 주 도미니카 미국 대사관, 주후쿠오카 미국 영사관, 주일본 미국 대사관 등에서 근무했다. 국무성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경제 협력 개발 기구 미국 대표부 에너지 담당관을 역임했으며, 1989년 공사참사관으로 승진했다. 주 말레이시아, 주 필리핀 수석 공사, 수석 국무 차관보 대리, 주 필리핀 대사 및 주 팔라우 대사를 거쳐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주한 미국 대사를 지냈다. 주한 미국 대사 재임 중 2002년 효순이 미선이 사건을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 주재 미국 대사 - 윌리엄 스티븐슨
    윌리엄 스티븐슨은 미국의 육상 선수로서 1924년 파리 올림픽 4 x 400m 릴레이 금메달을 획득하고, 법조인, 외교관, 교육자로도 활동하며 뉴욕 남부 지방 검찰청 검사보, 로펌 설립, 미국 적십자사 활동, 오벌린 대학교 총장, 주 필리핀 미국 대사 등을 역임한 인물이다.
  • 필리핀 주재 미국 대사 - 스티븐 보즈워스
    스티븐 보즈워스는 미국의 외교관으로, 국무부에서 근무하며 여러 나라의 미국 대사관에서 활동했고, 특히 한반도 문제 해결에 기여했으며,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다 2016년 사망했다.
  • 켄터키주의 정치인 - 존 C. 브레킨리지
    존 C. 브레킨리지는 켄터키주 출신의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미국 역사상 최연소 부통령을 지냈으며, 남북전쟁에서 남부 연합군 장군으로 활동하고 남부 연합의 마지막 전쟁 장관을 역임한 인물이다.
  • 켄터키주의 정치인 - 제퍼슨 데이비스
    미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인 제퍼슨 데이비스는 아메리카 연합국의 초대 대통령으로서 남북 전쟁 당시 남부 연합을 이끌었으며, 노예제 옹호와 남부 연합 지도자로서의 역할로 인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대한민국 주재 미국 대사 - 리처드 스나이더
    리처드 스나이더는 미국의 외교관이자 관료로, 국무부 외교관, NSC 수석보좌관, 주일 미국 대사관 수석 공사,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국무차관보 대리 등을 역임했으며 오키나와 반환 협상에 기여하고 주한 미국 대사로서 한미 관계에 관여했다.
  • 대한민국 주재 미국 대사 - 윌리엄 글라이스틴 주니어
    윌리엄 글라이스틴 주니어는 미국의 외교관으로 국무부 동아태 부차관보와 주한 미국 대사를 지내며 한국 현대사의 격변기와 한미 관계의 주요 현안들을 다루었고 동아시아 문제 전문가로서 외교관계협의회 연구소장으로 활동했다.
토머스 허버드
기본 정보
토머스 C. 허버드
토머스 C. 허버드
개인 정보
출생1943년
국적미국
경력
직업외교관
주필리핀 미국 대사임기 시작: 1996년 7월 11일
임기 종료: 2000년 7월 9일
주한 미국 대사임기 시작: 2001년 8월
임기 종료: 2004년 8월
학력
기타 정보
소속맥라티 어소시에이츠

2. 생애

토머스 허버드는 1943년 켄터키 주에서 태어났다.[10] 앨라배마 대학교를 1965년 졸업하고 미국 국무부에 들어갔다.[10] 앨라배마 대학교에서는 학생 친목 단체 파이 베타 카파에 소속되어 있었다.[10]

도미니카 미국 대사관을 거쳐 1969년 일본 요코하마의 국무성 일본어 연수소에서 일본어 연수를 받았다.[10] 이후 주후쿠오카 미국 영사관에서 경제 담당관, 주일본 미국 대사관 정치부에서 근무했다.[10] 1973년부터 1975년까지는 국무성 본성의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일본부에서 경제 담당관으로 근무했다.[10] 1975년 1월, 경제 협력 개발 기구 미국 대표부에서 근무하며 프랑스 파리로 부임하여 에너지 담당관 등을 역임했다.[10] 1978년 8월에 파리에서의 근무를 마치고 다시 주일본 대사관 정치부에서 근무했다.[10]

1981년 워싱턴 D.C.로 귀국하여[11] 1982년까지 공화당 하원 의원 짐 리치 (아이오와 주 선출)의 의회 보좌관으로 근무한 후[11] 국무성 인사국에서 교육·연락 담당관으로 근무했다.[11] 1984년부터 1985년까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필리핀부 부부장, 1985년 6월부터 1987년까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일본부 부장으로 근무했다.[10][11] 1987년부터 1990년까지 주 말레이시아 수석 공사, 1990년부터 1993년까지 주 필리핀 수석 공사로 근무했다.[10][11] 1989년 공사참사관으로 승진했다.[10] 1993년부터 1996년까지 수석 국무 차관보 대리 (동아시아·태평양 담당)로 근무했다.[11] 1996년부터 2000년까지 주 필리핀 대사 및 주 팔라우 대사,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주한 미국 대사로 근무했다.[12]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2. 2. 외교 경력

토머스 허버드는 1965년 미국 국무부에 입성했다.[10] 도미니카 미국 대사관에서 근무 후, 1969년 일본 요코하마의 국무성 일본어 연수소에서 일본어 연수를 받았다.[10] 주후쿠오카 미국 영사관 경제 담당관 (1969년),[10] 주일본 미국 대사관 정치부 (1971년-1973년),[10]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일본부 경제 담당관 (1973년-1975년)을 역임했다.[10] 1975년 1월부터 경제 협력 개발 기구 미국 대표부에서 에너지 담당관 등으로 근무했다.[10] 1978년 8월, 다시 주일본 미국 대사관 정치부에서 근무했다.[10]

1981년 워싱턴 D.C.로 귀국,[11] 1982년까지 공화당 하원 의원 짐 리치 (아이오와 주 선출)의 의회 보좌관으로 근무했다.[11] 이후 국무성 인사국 교육·연락 담당관,[11]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필리핀부 부부장 (1984년-1985년),[10]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일본부 부장 (1985년 6월-1987년)을 역임했다.[11] 1987년부터 1990년까지 주 말레이시아 수석 공사로 근무했으며,[11] 1989년 공사참사관으로 승진했다.[10] 1990년부터 1993년까지 주 필리핀 수석 공사,[10] 1993년부터 1996년까지 수석 국무 차관보 대리 (동아시아·태평양 담당)로 근무했다.[11] 1996년부터 2000년까지 주 필리핀 대사 및 주 팔라우 대사를 역임했다.[12]

2001년 9월부터 2004년 7월까지 스티븐 보즈워스의 후임이자 크리스토퍼 힐의 전임으로 주한 미국 대사를 역임했다.[12] 주한 미국 대사 재임 기간 중 2002년 효순이 미선이 사건으로 인해 한미 관계에 어려움을 겪었다. 당시 허버드 대사는 미군 장갑차에 의해 사망한 두 여중생 사건에 대해 사과하고, 진상 규명과 재발 방지를 약속했으나, 이 사건은 한국 사회의 반미 감정을 증폭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Chiefs of Mission for the Philippines https://history.sta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1-08-14
[2] 웹사이트 Former Chiefs of Mission in Korea http://seoul.usembas[...] US Embassy in Korea 2011-08-14
[3] 웹사이트 Chiefs of Mission for Korea https://history.sta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1-08-14
[4] 웹사이트 McLarty Profile http://maglobal.com/[...]
[5] 웹사이트 Thomas C. Hubbard http://www.academyof[...] American Academy of Diplomacy 2010-01-24
[6] 웹사이트 Thomas C. Hubbard - McLarty Associates http://maglobal.com/[...]
[7] 웹사이트 U.S. Department of State Biography Archived http://dosfan.lib.ui[...]
[8] 웹사이트 BIOGRAPHY: Thomas C. Hubbard https://state.gov/ou[...] U.S. Department of State 2005-09-02
[9] 웹사이트 Ambassador Thomas Hubbard Profile - Foundation for Peace and Prosperity in the Philippines http://www.3pf.us/pr[...] 3pf.us 2013-07-08
[10] 웹사이트 State Department Archived Biographies -- Thomas C. Hubbard http://dosfan.lib.ui[...] Bureau of East Asian and Pacific Affairs, U.S. Department of State 2011-04-20
[11] 웹사이트 U.S. Ambassadors to Korea http://seoul.usembas[...] 2011-04-20
[12] 웹사이트 Thomas C. Hubbard (1943-) http://history.state[...] Office of the Historian, Bureau of Public Affair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1-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