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크토아부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크토아부카는 고려 충렬왕의 4대손으로, 원나라에서 동궁겁설관과 심왕을 지냈다. 기황후와 최유의 모함으로 원 순제가 공민왕을 폐위하고 그를 고려 왕으로 옹립하려 했으나, 그는 숙부인 공민왕의 자리를 빼앗을 수 없다며 사양했다. 이후 북원이 멸망하자 고려에 왕위를 요구했지만 거절당했고, 1376년 사망과 함께 심양왕 직위가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심양왕 - 충선왕
    충선왕은 고려 제26대 왕으로 즉위 후 원나라 간섭 속에서 심양왕에 봉해졌으며, 고려와 심양을 동시에 통치하는 동군연합을 이루었으나 개혁 정치는 실패하고 티베트로 유배되었다.
  • 심양왕 - 연안군 (왕족)
    연안군 왕고는 고려 후기의 왕족으로 충선왕의 총애를 받아 연안군에 봉해졌고, 심왕에 책봉되어 원나라의 영향력을 바탕으로 고려의 왕위를 여러 차례 노렸으나 실패했다.
  • 친왕 - 돈친왕
    돈친왕은 청나라 황족 작위로, 가경제의 아들 면개와 그의 양자 이총 등 여러 인물에게 계승되었으며, 그들의 생애와 작위 변동은 청나라 후기 정치 상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친왕 - 혈통친왕
    혈통친왕은 프랑스 왕국에서 카페 왕조의 남계 후손 중 국왕의 직계 자녀가 아닌 왕족을 지칭하는 칭호로, 왕위 계승권과 특별한 지위를 누렸으며, 왕권 안정에 활용되었다.
  • 1376년 사망 - 영성대군
    영성대군 이천계는 이자춘의 아들이자 이성계의 이복 형으로, 고려 말 완성군에 봉해졌으나 반란을 기도하다 옥사 후 의정부 좌찬성에 추증되고 효민의 시호를 받았다.
  • 1376년 사망 - 필리프 도를레앙 공작
    필리프 도를레앙 공작은 프랑스의 왕족이자 필리프 6세의 아들이며 초대 오를레앙 공작으로, 푸아티에 전투에 참전했으나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작위와 영지가 프랑스 왕실 영지로 되돌아갔다.
토크토아부카
기본 정보
토크토아 부카
다른 이름독타불화 (한자: 篤朶不花)
탈탈불화 (한자: 脫脫不花)
몽골어(Toγtoγa Buqa)
왕조
왕가고려 왕족
생애
출생1338년
사망1376년
재위
즉위1354년
퇴위1376년
이전 통치자기새인테무르
다음 통치자도선테무르
가족
조부왕고
아버지기새인테무르
기타 정보
칭호심왕

2. 생애

토크토아부카는 충렬왕의 4대손으로, 원나라에서 관직 생활을 했다. 원나라의 동궁겁설관(東宮怯薛官)으로 태자궁을 숙위했고, 이후 심왕에 봉해졌다.

기황후와 최유가 공민왕에게 앙심을 품고 원나라에 참소하자, 원 순제는 공민왕을 폐위하고 토크토아부카를 고려 왕으로 세우려 했다. 그러나 토크토아부카는 공민왕에게 아들이 없음을 이유로 왕위를 사양했다. 이 일로 이공수를 통해 그의 발언이 고려에 전해지자 공민왕은 그에게 후한 선물을 보냈고, 토크토아부카 역시 사신을 보내 화답했다.

1368년 원나라가 멸망하고 북원이 세워지자 심양왕은 폐지되었고, 토크토아부카는 고려에 왕위를 요구했으나 거절당했다. 이후 그의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다. 1376년 그가 사망하면서 심양왕 직위는 폐지되었다.[2]

2. 1. 가계

충렬왕의 4대손으로 증조부는 강양공 자이며, 할아버지는 연안군 고이다. 아버지는 연안군 왕고의 아들 왕덕수이고 어머니는 미상이다.

아버지 왕덕수는 일찍 사망했고 기록도 실전되었다.[2]

2. 2. 원나라에서의 활동

토크토아부카는 일찍부터 원나라에 체류하며 원나라의 동궁겁설관(東宮怯薛官)이 되어 원나라 태자궁을 숙위하였다. 그 이후에 심왕이 되었다.[2]

기황후는 고려공민왕이 자신의 오빠인 기철과 태자비의 아버지 노책 등을 숙청한 것에 앙심을 품고 있었다. 마찬가지로 공민왕에게 원한을 품고 있던 최유가 홍건적의 난 때에 공민왕이 원으로부터 하사받은 옥새를 잃어버렸다고 참소하자, 원 순제는 공민왕을 폐위시키고 토크토아부카를 고려왕으로 옹립하려 하였다. 그러나 토크토아부카는 "숙부(공민왕)께서 지금 아들이 없으니 백 년 뒤에 나라가 장차 어디로 가겠습니까? 그리고 지금 숙부께 아들이 없는데 제가 어떻게 숙부의 자리를 빼앗을 수 있겠습니까?"라며 사양하였고, 이에 원 순제는 덕흥군을 대신 고려왕으로 옹립하였다.[2]

덕흥군과 최유는 군사를 이끌고 고려로 들어오다 고려의 최영, 이성계 등에게 격파되었다. 원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그곳에 체류하던 이공수가 귀국한 뒤에 그를 통해 토크토아부카의 해당 발언이 고려에도 전해졌다. 공민왕은 그에게 후한 선물을 보내 위로하였고, 토크토아부카 역시 공민왕 15년(1366년) 8월 사신을 보내왔는데 공민왕이 그 사신을 몸소 접견하고 후하게 대우하여 보냈다고 한다.[2]

2. 3. 공민왕 폐위 반대와 왕위 사양

원나라 기황후공민왕이 자신의 오빠인 기철 등을 숙청한 것에 앙심을 품고 있었다. 최유 역시 공민왕에게 원한을 품고 홍건적의 난 때 공민왕이 원나라에서 받은 옥새를 잃어버렸다고 거짓으로 보고했다. 이에 원 순제는 공민왕을 폐위시키고 토크토아부카를 고려 왕으로 세우려 했다.[2]

하지만 토크토아부카는 "숙부(공민왕)께서 지금 아들이 없으니 백 년 뒤에 나라가 장차 어디로 가겠습니까? 그리고 지금 숙부께 아들이 없는데 제가 어떻게 숙부의 자리를 빼앗을 수 있겠습니까?"라며 왕위를 사양하였다. 그의 발언은 공민왕에 대한 충절과 고려 왕실에 대한 존중을 보여준다.[2]

원 순제는 덕흥군을 대신 고려 왕으로 옹립하였다. 덕흥군과 최유는 군사를 이끌고 고려로 쳐들어왔으나, 고려의 최영, 이성계 등에게 격파되었다. 원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이공수가 귀국한 뒤 토크토아부카의 발언을 전하자, 공민왕은 그에게 후한 선물을 보내 위로하였다. 토크토아부카 역시 공민왕 15년(1366년) 8월 사신을 보내왔고, 공민왕은 사신을 직접 만나 후하게 대접하였다.[2]

2. 4. 공민왕과의 관계

기황후와 최유가 기철 등을 숙청한 공민왕에게 앙심을 품고 참소하자, 원나라 순제는 공민왕을 폐위하려 하였다. 이때 토크토아부카는 "숙부(공민왕)께서 지금 아들이 없으니 백 년 뒤에 나라가 장차 어디로 가겠습니까? 그리고 지금 숙부께 아들이 없는데 제가 어떻게 숙부의 자리를 빼앗을 수 있겠습니까?"라며 사양하였다.[2]

이공수가 귀국한 뒤 토크토아부카의 발언이 고려에 전해지자, 공민왕은 그에게 후한 선물을 보냈다. 1366년 8월, 토크토아부카 또한 사신을 보내왔는데, 공민왕이 직접 사신을 접견하고 후하게 대우하였다.[2]

2. 5. 북원 시기

1368년 원나라가 멸망하고 북원이 되면서 심양왕이 폐지되었다.[2] 토크토아부카는 고려에 왕위를 요구했으나 거절당했다.[2] 이후 그의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다. 1375년 1월 공민왕 암살 이후, 북원은 탈탈불화를 고려 국왕으로 책봉했으나, 알 수 없는 이유로 고려 입국이 거부되었다.[2] 북원나하추는 사신을 보내 고려 조정을 추궁했다.[2] 1376년 10월까지 김에르케는 탈탈불화를 고려 왕으로 추대하려 했으나 실패했다.[2] 고려 조정은 밀직부사 손언을 북원 중서성에 보내 김에르케의 소환을 요청했다.[2] 1376년 토크토아부카가 사망하면서 심양왕 직위는 사라졌다.

2. 6. 탈탈불화 관련

1375년 1월 북원에서 탈탈불화를 고려 국왕으로 책봉했다. 그러나 알 수 없는 이유로 탈탈불화는 고려 입국이 거절되었다. 이를 두고 북원에서는 나하추(納哈出)가 사자를 보내 고려 조정을 추궁하기도 했다.[2] 1376년 10월까지 원나라의 김에르케(金也列哥)는 탈탈불화를 고려 왕으로 추대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고려 조정은 밀직부사 손언(孫彦)을 북원 중서성에 보내 김에르케를 소환해 갈 것을 청하기도 했다.[2]

2. 7. 사망과 심양왕 폐지

1376년 토크토아부카가 사망하면서 심양왕 직위도 폐지되었다.[2]

참조

[1] 서적 Empire's Twilight: Northeast Asia Under the Mongols https://books.google[...] Brill 2020
[2] 서적 고려사 권제91 열전제14 종실 충렬왕 왕자 강양공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