톰미 매키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톰미 매키넨은 핀란드 출신의 전직 랠리 드라이버로, 1996년부터 1999년까지 4년 연속 월드 랠리 챔피언십(WRC) 드라이버 타이틀을 획득했다. 1988년 핀란드 랠리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으며, 1994년 포드 에스코트로 첫 WRC 우승을 기록했다. 1996년부터 2001년까지 미쓰비시 팀에서 활약하며, 1998년 미쓰비시 팀의 유일한 제조사 챔피언십 우승을 이끌었다. 2002년 스바루 팀으로 이적하여 몬테카를로 랠리에서 우승했으며, 2003년 은퇴 후에는 랠리 팀 운영과 토요타 가주 레이싱 WRT 팀 대표를 역임하며 팀의 WRC 복귀를 이끌었다. 2018년에는 토요타 팀을 제조사 타이틀 우승으로 이끌었으며, 2021년에는 토요타의 모터스포츠 어드바이저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의 자동차 경주 선수 - 키미 래이쾨넨
키미 래이쾨넨은 2007년 F1 월드 챔피언십 우승자이자 "아이스맨"이라는 별명을 가진 핀란드 출신의 전직 F1 드라이버로, 카트 레이싱을 시작으로 F1 자우버 팀 데뷔, 맥라렌과 페라리에서 활동, WRC 참가, 로터스 복귀 및 알파로메오에서 은퇴 후 NASCAR 컵 시리즈에도 출전하는 등 다양한 모터스포츠 경력을 쌓았다. - 핀란드의 자동차 경주 선수 - 마르쿠 알렌
마르쿠 알렌은 1970~80년대에 활동한 핀란드의 랠리 드라이버로, 1969년 데뷔하여 WRC에서 통산 19번 우승했으며, 피아트, 란치아, 스바루, 토요타 등 다양한 팀에서 활동했다. - 1964년 출생 - 원희룡
원희룡은 서울대 법대 졸업 후 사법시험 수석 합격, 검사, 변호사를 거쳐 3선 국회의원과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국토교통부 장관을 역임한 정치인이지만, 총선 낙선과 여러 논란을 겪었다. - 1964년 출생 - 오연호
오연호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작가로, 《오마이뉴스》를 창간하여 시민 참여 저널리즘을 구현했으며 덴마크의 행복 사회 모델을 연구하여 행복한 삶과 사회에 대한 담론을 제시하고 꿈틀리인생학교 이사장 및 사단법인 꿈틀리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 살아있는 사람 - 릴 테르셀리우스
릴 테르셀리우스는 위키백과 문서에서 관련 문서와 추가 자료를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마그달레나 툴
폴란드의 가수 마그달레나 툴은 2007년 데뷔 앨범 발매 후 201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폴란드 대표로 참가했으며, 이후에도 앨범 발매와 유로비전 관련 활동, 방송 출연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톰미 매키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국적 | 핀란드 |
출생일 | 1964년 6월 26일 |
출생지 | 중앙수오미 현 유바스큘레 시 푸웁폴라 |
경력 | |
활동 기간 | - |
소속 팀 | 닛산, 미쓰비시, 스바루 |
코 드라이버 | 세포 하르얀네| 리스토 마니센마키| 카이 린드스트룀}} Jari Nieminen 리스토 만니센매키 Rodney Spokes Timo Hantunen 세포 하르얀네 카이 린드스트룀 |
출전 횟수 | 139회 |
챔피언십 우승 | 4회 (, , , ) |
우승 횟수 | 24회 |
포디움 입상 횟수 | 45회 |
스테이지 승리 횟수 | 361회 |
총 획득 포인트 | 544점 |
첫 출전 | 1987년 1000호 랠리 |
첫 승리 | 1994년 1000호 랠리 |
마지막 승리 | 2002년 몬테카를로 랠리 |
마지막 출전 | 2003년 랠리 GB |
2. 경력
매키넨은 1985년 유하 칸쿠넨 등의 지원을 받아 포드 에스코트 RS2000으로 랠리를 시작했다.[10] 1987년 월드 랠리 챔피언십(WRC)에 데뷔했지만, 초기에는 닛산 등의 워크스 팀에 소속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팀과 머신 모두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10] 1988년 그룹 N 핀란드 랠리 챔피언십에서 란치아 델타 HF 4WD를 몰고 우승했다.
이후 핀란드 랠리 선수권 등에 출전하며 경력을 쌓았다. 1994년 포드 소속으로 참가한 1000호 랠리(현 랠리 핀란드)에서 디디에 오리올 등을 제치고 첫 WRC 우승을 차지하며 주목받기 시작했다.[2]
그의 경력은 크게 미쓰비시 시절(1994-2001), 스바루 시절(2002-2003), 그리고 은퇴 이후 토요타 팀 대표 시절(2015-2020)로 나눌 수 있다.
매키넨의 WRC 참가 기록은 다음과 같다.
시즌 | 팀 | 출전 | 우승 | 포디움 | 스테이지 우승 | DNF | 점수 | 최종 결과 |
---|---|---|---|---|---|---|---|---|
1987 | 개인 | 1 | 0 | 0 | 0 | 1 | 0 | NC |
1988 | 개인 | 1 | 0 | 0 | 0 | 1 | 0 | NC |
Mu-Uutiset 4 Rombi Corse | 1 | 0 | 0 | 0 | 1 | 0 | ||
1989 | 개인 | 2 | 0 | 0 | 0 | 2 | 0 | NC |
1990 | Pro Sport Rally Team | 5 | 0 | 0 | 0 | 1 | 10 | 24위 |
1991 | Promoracing Finland | 2 | 0 | 0 | 0 | 1 | 0 | 31위 |
마쓰다 랠리 팀 유럽(Mazda Rally Team Europe) | 2 | 0 | 0 | 0 | 1 | 8 | ||
개인 | 1 | 0 | 0 | 0 | 1 | 0 | ||
1992 | 닛산 모터스포츠 유럽(Nissan Motorsports Europe) | 4 | 0 | 0 | 1 | 2 | 5 | 40위 |
1993 | Astra | 3 | 0 | 0 | 3 | 0 | 26 | 10위 |
1994 | Nissan F2 | 2 | 0 | 0 | 0 | 1 | 2 | 10위 |
포드 모터 컴퍼니(Ford Motor Co) | 1 | 1 | 1 | 14 | 0 | 20 | ||
미쓰비시 랠리 아트(Mitsubishi Ralliart) | 1 | 0 | 0 | 0 | 1 | 0 | ||
1995 | 미쓰비시 랠리 아트(Mitsubishi Ralliart) | 7 | 0 | 1 | 24 | 3 | 38 | 5위 |
1996 | 미쓰비시 랠리 아트(Mitsubishi Ralliart) | 9 | 5 | 6 | 70 | 2 | 123 | 1위 |
1997 | 미쓰비시 랠리 아트(Mitsubishi Ralliart) | 14 | 4 | 9 | 78 | 4 | 63 | 1위 |
1998 | 미쓰비시 랠리 아트(Mitsubishi Ralliart) | 13 | 5 | 7 | 41 | 6 | 58 | 1위 |
1999 | 말보로 미쓰비시 랠리 아트(Marlboro Mitsubishi Ralliart) | 14 | 4 | 7 | 56 | 3 | 62 | 1위 |
2000 | 말보로 미쓰비시 랠리 아트(Marlboro Mitsubishi Ralliart) | 14 | 1 | 5 | 27 | 5 | 36 | 5위 |
2001 | 말보로 미쓰비시 랠리 아트(Marlboro Mitsubishi Ralliart) | 14 | 3 | 4 | 21 | 6 | 41 | 3위 |
2002 | 555 스바루 월드 랠리 팀(555 Subaru World Rally Team) | 14 | 1 | 3 | 16 | 7 | 22 | 8위 |
2003 | 555 스바루 월드 랠리 팀(555 Subaru World Rally Team) | 14 | 0 | 2 | 10 | 4 | 30 | 8위 |
합계 | 139 | 24 | 45 | 361 | 53 | 544 |
2004년 랠리 재팬 첫 개최 당시에는 제로 카를 운전했다. 2019년 1월 FIA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2. 1. 미쓰비시 시절 (1994-2001)
1994년, 1000 레이크 랠리 (현 핀란드 랠리)에서 포드 에스코트 RS 코스워스로 첫 WRC 우승을 차지하며 랠리계에서 주목받기 시작했다.[2] 1995년, 미쓰비시 랠리아트 팀에 합류하여 본격적인 WRC 활동을 시작했다.
1996년부터 1999년까지 미쓰비시 랜서 에볼루션을 몰고 4년 연속 WRC 드라이버 챔피언을 차지하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웠다.[13] 이는 당시 유하 칸쿠넨과 함께 최다 챔피언 기록이며, 4연속 챔피언은 최초였다. 1998년에는 미쓰비시 팀의 유일한 제조사 챔피언십 우승을 이끌었다.[4]

2000년에는 마르쿠스 그론홀름(푸조)에게 챔피언 자리를 내주며 5위에 머물렀다.
2001년에는 미쓰비시가 월드 랠리 카(WR Car) 규정으로 전환하면서 랜서 에볼루션 WRC를 투입했으나, 시즌 3위에 그쳤다. 특히 코르시카 랠리에서 사고로 인해 오랜 파트너였던 코드라이버 리스토 만니센매키가 부상을 당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2. 2. 스바루 시절 (2002-2003)
2002년, 매키넨은 7년간 몸담았던 미쓰비시를 떠나 "다른 워크스 팀도 알고 싶다"는 이유로, 그동안 경쟁해왔던 스바루 월드 랠리 팀으로 이적했다. 첫 경기인 몬테카를로 랠리에서 바로 우승했지만, 신형 임프레자 WRC 2002 투입 후 3위 2회에 그치며, 랭킹 8위에 머물렀다.[14]2003년에는 스웨덴 랠리에서 2위를 차지했지만, 팀 동료 페터 솔베르그의 급성장에 따라 솔베르그의 챔피언 경쟁을 지원하는 입장이 되었다. 세바스티앙 로브, 마르코 마르틴과 같은 젊은 선수들의 부상으로 인해, 고향인 핀란드 랠리 종료 후 올해를 마지막으로 은퇴를 발표했다. 은퇴 이벤트가 된 최종전 랠리 GB에서는 금색 신발을 신고 드라이브하여 3위로 화려하게 은퇴했다.[14] 이 랠리에서 3위를 다툰 콜린 맥레이도 정규 참전 마지막 해였고, 솔베르그가 우승하여 챔피언이 되는 등, 월드 랠리 챔피언십(WRC)의 세대교체를 인상적으로 보여주는 한 판이 되었다.
2. 3. 은퇴 이후
2004년 랠리 재팬 첫 개최 당시 제로 카를 운전하며 오랜만에 일본 팬들에게 건강한 모습을 보여주었다.[3]고향인 유바스퀼라 근교에서 스바루 WRX STI의 그룹 N 및 그룹 R4 머신을 수입, 제작, 판매, 개발하는 '''토미 매키넨 레이싱'''(TMR)을 경영하고 있다. 핀란드 랠리 선수권에 랠리 팀으로 참가하여, 2009년에는 WRC 랠리 핀란드에서 키미 라이코넨을 출전시키기도 했다. 또한 2010년까지 매년 WRX STi 시판차 개발 테스트에 드라이버로 참가했다.[3]
2010년 4월 16일, 독일 뉘르부르크링에서 당시 최신형 스바루 임프레자 WRX STi 4도어를 몰고 7분 55초 00을 기록했다.[3]
아라이 토시히로는 2012년 인터컨티넨탈 랠리 챌린지(IRC)에 토미 매키넨 레이싱에서 임프레자 R4 사양으로 참전했다.[3]
2. 4. 토요타 가주 레이싱 WRT 팀 대표 (2015-2020)
2015년 1월, 토요타의 WRC 복귀가 발표되었고, 같은 해 여름 톰미 매키넨은 '토요타 가주 레이싱 WRT'의 팀 대표로 취임했다.[18] 과거 WRC에서 3연패를 달성한 토요타 팀 유럽(TTE)을 전신으로 하는 독일의 토요타 가주 레이싱 유럽(TMG)이 아닌 매키넨에게 팀을 맡기는 것에 대해 반대 의견도 있었지만, 토요타는 매키넨의 인품을 신뢰하여 팀 대표직을 맡겼다. 차체 개발 거점은 매키넨이 소유한 핀란드의 TMR 시설을 확장하고, 엔진은 TMG에서 개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2017년 토요타 야리스 WRC로 WRC에 복귀했다. 매키넨의 승리에 대한 강한 의지와 팀 운영 능력은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폭스바겐의 철수로 야리-마티 라트바라를 영입하는 행운도 더해져 토요타는 짧은 개발 기간에도 불구하고 복귀 2년차인 2018년에 제조사 챔피언십 우승을 달성했다.[4]
이듬해인 2019년에는 오트 타낙/마르틴 야르베오야가 드라이버 및 코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했고, 2020년에는 세바스티앙 오지에/줄리앙 잉그라시아가 드라이버 및 코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승을 차지하며 팀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2021년, 매키넨은 토요타 모터스포츠 어드바이저로 자리를 옮기고 팀 대표직을 야리-마티 라트발라에게 넘겨주었다.[20]
3. 특징
매키넨은 뛰어난 운전 실력뿐만 아니라 전략적인 레이스 운영으로도 유명했다. 강점을 보이는 스테이지에서 경쟁자와의 격차를 벌리고, 후반에는 경쟁자의 페이스를 보면서 리드를 유지하는 전략을 즐겨 사용했다. 특히 몬테카를로 랠리나 고향인 핀란드에서 이러한 전략이 두드러졌다.[13]
핀란드 출신이지만, 아스팔트 랠리에도 강한 면모를 보였다. 1997년 카탈루냐 랠리에서 피에로 리아티를 7초 차이로 꺾고 우승한 것을 시작으로, 몬테카를로 랠리에서는 1999년부터 2002년까지 4년 연속,[13] 산레모 랠리에서는 1998년과 1999년에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12]
아스팔트 노면을 기반으로 눈과 얼음으로 인해 시시각각 변하는 노면 상황이 특징인 몬테카를로 랠리에서 1999년부터 2002년까지 사상 최초로 4연패를 달성했다.[13] 몬테카를로에서의 통산 4승은 발터 뢰를과 동률인 최다 타이 기록이었으나, 2008년에 세바스티앙 로브에 의해 기록이 경신되었다.
반면, 구불구불한 코스가 특징인 투르 드 코르스에서는 어려움을 겪었다. 1997년에는 200km/h로 달리던 중 코스에 나타난 소와 충돌하여 50미터 낭떠러지로 추락하는 사고를 당했고,[21] 2001년에는 바위에 충돌하여 전복, 낭떠러지 직전에 멈추는 큰 사고를 겪었다. 이 사고로 오랜 파트너였던 코드라이버 리스토 마니센매키가 부상을 당해 카이 린드스트롬으로 교체되었다.
매키넨은 단단한 서스펜션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프로드라이브 엔지니어가 놀랄 정도였다고 한다.[22]
4. 에피소드
- 4년 연속 드라이버즈 타이틀 획득을 기념하여, 2000년 1월 8일에 랜서 에볼루션 VI 토미 매키넨 에디션이 판매되었다[11]. WRC 드라이버의 이름이 붙은 차는 매우 드문 존재이다.
- 과묵한 성격으로 알려져 있지만, 은퇴 후 일본의 자동차 관련 비디오에 출연하여 쾌활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 2003년 투르 드 코르스 셰이크다운 중, 팀 동료 페터 솔베르그가 큰 사고를 당했을 때, 자신의 차량을 양보하겠다고 제안할 정도로 동료애가 강했다.[14]
- 성룡의 영화 데드히트에서 스턴트맨을 맡았다.[23]
- 좋아하는 일본 음식은 자가리코이다.[24]
5. WRC 우승 기록
톰미 매키넨은 1994년부터 2002년까지 총 24번의 WRC 우승을 기록했다. 연도별 우승 횟수는 다음과 같다.
- 1994년: 1회
- 1996년: 5회
- 1997년: 4회
- 1998년: 5회
- 1999년: 4회
- 2000년: 1회
- 2001년: 3회
- 2002년: 1회
연도 | 랠리 | 개최국 | 공동 드라이버 | 차량 |
---|---|---|---|---|
1994 | 1000 레이크 랠리 | 핀란드 | 세포 하르얀네 | 포드 에스코트 RS 코스워스 |
1996 | 인터내셔널 스웨디시 랠리 | 스웨덴 | 세포 하르얀네 | 미쓰비시 랜서 Evo 3 |
1996 | 사파리 랠리 케냐 | 케냐 | 세포 하르얀네 | 미쓰비시 랜서 Evo 3 |
1996 | 아르헨티나 랠리 | 아르헨티나 | 세포 하르얀네 | 미쓰비시 랜서 Evo 3 |
1996 | 네스테 1000 레이크 랠리 | 핀란드 | 세포 하르얀네 | 미쓰비시 랜서 Evo 3 |
1996 | API 랠리 오스트레일리아 | 오스트레일리아 | 세포 하르얀네 | 미쓰비시 랜서 Evo 3 |
1997 | TAP 랠리 드 포르투갈 | 포르투갈 | 세포 하르얀네 | 미쓰비시 랜서 Evo 4 |
1997 | 랠리 카탈루냐-코스타 브라바(랠리 데 에스파냐) | 스페인 | 세포 하르얀네 | 미쓰비시 랜서 Evo 4 |
1997 | 아르헨티나 랠리 | 아르헨티나 | 세포 하르얀네 | 미쓰비시 랜서 Evo 4 |
1997 | 네스테 랠리 핀란드 | 핀란드 | 세포 하르얀네 | 미쓰비시 랜서 Evo 4 |
1998 | 인터내셔널 스웨디시 랠리 | 스웨덴 | 리스토 만니센매키 | 미쓰비시 랜서 Evo 4 |
1998 | 아르헨티나 랠리 | 아르헨티나 | 리스토 만니센매키 | 미쓰비시 랜서 Evo 5 |
1998 | 네스테 랠리 핀란드 | 핀란드 | 리스토 만니센매키 | 미쓰비시 랜서 Evo 5 |
1998 | 랠리 산레모 - 랠리 디탈리아 | 이탈리아 | 리스토 만니센매키 | 미쓰비시 랜서 Evo 5 |
1998 | API 랠리 오스트레일리아 | 오스트레일리아 | 리스토 만니센매키 | 미쓰비시 랜서 Evo 5 |
1999 | 랠리 오토모빌 드 몬테카를로 | 모나코 | 리스토 만니센매키 | 미쓰비시 랜서 Evo 5 |
1999 | 인터내셔널 스웨디시 랠리 | 스웨덴 | 리스토 만니센매키 | 미쓰비시 랜서 Evo 5 |
1999 | 뉴질랜드 랠리 | 뉴질랜드 | 리스토 만니센매키 | 미쓰비시 랜서 Evo 6 |
1999 | 랠리 산레모 - 랠리 디탈리아 | 이탈리아 | 리스토 만니센매키 | 미쓰비시 랜서 Evo 6 |
2000 | 랠리 오토모빌 드 몬테카를로 | 모나코 | 리스토 만니센매키 | 미쓰비시 랜서 Evo 6 |
2001 | 랠리 오토모빌 드 몬테카를로 | 모나코 | 리스토 만니센매키 | 미쓰비시 랜서 Evo 6 |
2001 | TAP 랠리 드 포르투갈 | 포르투갈 | 리스토 만니센매키 | 미쓰비시 랜서 Evo 6 |
2001 | 사파리 랠리 케냐 | 케냐 | 리스토 만니센매키 | 미쓰비시 랜서 Evo 6 |
2002 | 랠리 오토모빌 드 몬테카를로 | 모나코 | 카이 린드스트룀 | 스바루 임프레자 WRC |
6. 타이틀
톰미 매키넨은 1988년 란치아 델타 HF 4WD로 핀란드 랠리 선수권 (그룹 N)에서 우승했다.[13] 이후 1996년부터 1999년까지 세계 랠리 선수권(WRC)에서 4년 연속 드라이버 챔피언에 올랐다.[13]
연도 | 타이틀 | 차량 |
---|---|---|
1988 | 핀란드 랠리 선수권 (그룹 N) | 란치아 델타 HF 4WD |
1996 | 세계 랠리 선수권 | 미쓰비시 랜서 Evo 3 |
1997 | 세계 랠리 선수권 | 미쓰비시 랜서 Evo 4 |
1998 | 세계 랠리 선수권 | 미쓰비시 랜서 Evo 4 / 미쓰비시 랜서 Evo 5 |
1999 | 세계 랠리 선수권 | 미쓰비시 랜서 Evo 5 / 미쓰비시 랜서 Evo 6 |
참조
[1]
웹사이트
Tommi Mäkinen on rallin Midas – näin Puuppolan päälliköstä tuli historiallinen maailmanmestari Toyotan tallipäällikkönä
https://www.aamuleht[...]
2018-12-08
[2]
웹사이트
Trackside - Lancer Evo returns to rallying
http://www.autotrade[...]
AutoTrader.co.uk
2006-12-18
[3]
웹사이트
Tommi Mäkinen Racing – a former rally driver now champions wood heating
http://www.biomassco[...]
VTT Technical research centre of Finland
2017-01-25
[4]
뉴스
Rally Australia: Latvala wins as Ogier, Toyota claim WRC titles
https://www.autospor[...]
Motorsport Network
2018-12-08
[5]
웹사이트
1999年世界ラリー選手権(WRC)/チーム&ドライバー
http://web1.mitsubis[...]
2022-01-24
[6]
웹사이트
Tommi Mäkinen
https://www.ewrc-res[...]
2022-02-07
[7]
웹사이트
Tommi Mäkinen Statistics and Results
https://motorsportst[...]
2022-02-07
[8]
문서
1990年代のオートスポーツ誌
[9]
간행물
ランサーエボリューションVI 「トミー・マキネン エディション」
https://www.mitsubis[...]
三菱自動車
2020-07-04
[10]
Youtube
PROFILE Jari-Matti Latvala
https://www.youtube.[...]
2018-04-24
[11]
간행물
1997年WRC世界ラリー選手権 第14戦 ネットワークQ・RACラリー
http://www.mitsubish[...]
三菱自動車
2017-03-21
[12]
간행물
世界ラリー選手権(WRC)第13戦(最終戦)ネットワークQラリー・オブ・グレートブリテン
http://web1.mitsubis[...]
三菱自動車
2017-03-21
[13]
간행물
トミー・マキネン ドライバーズチャンピオン4連覇の軌跡
http://www.mitsubish[...]
三菱自動車
2017-03-21
[14]
웹사이트
P.ソルベルグが総合優勝!2003年WRCワールドチャンピオン獲得!! T.マキネンは3位ポディウムフィニッシュ!
http://www.subaru-ms[...]
SUBARUモータースポーツ
2013-12-22
[15]
뉴스
日本人唯一のFIA世界チャンピオン、新井敏弘選手がインプレッサでIRC2連覇を目指して発進
https://clicccar.com[...]
クリッカー
2022-08-07
[16]
뉴스
トヨタ社長、「ラリーはトヨタのDNAの一部」
http://rallyx.net/ne[...]
2017-03-21
[17]
뉴스
トヨタGT86がWRC第8戦に登場。豊田社長も走行
https://www.as-web.j[...]
オートスポーツWeb
2016-01-31
[18]
뉴스
トヨタWRCチームの主要メンバーが明らかに
http://www.rallyplus[...]
RALLYPLUS.NET
2016-02-03
[19]
뉴스
トヨタWRCプログラムからTDゾトスが離脱。直近で3人目の離脱者か
https://www.as-web.j[...]
[20]
웹사이트
トヨタ、2021年よりWRC活動をTGR-Eに移管。マキネンはトヨタのモータースポーツアドバイザーに - RALLYPLUS.NET
https://www.rallyplu[...]
2022-08-01
[21]
웹사이트
1997世界ラリー選手権(WRC)第6戦ツール・ド・コルス 第2レグ速報
http://www.mitsubish[...]
三菱自動車
2013-12-22
[22]
문서
『WRC PLUS 2002 vol.1』P27
[23]
뉴스
常に冷静、そして運命的なチームとの出会い
https://rally-japan.[...]
ラリージャパン公式サイト
2022-08-10
[24]
뉴스
【プレゼントあり】世界チャンピオン「トミ・マキネン」がイチバン好きな“じゃがりこ”の味は?
https://clicccar.com[...]
cliccar
2013-03-29
[25]
웹사이트
価格.com - 「地球の走り方~世界ラリー応援宣言~」で紹介されたグルメ情報 {{!}} テレビ紹介情報
https://web.archive.[...]
2021-05-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