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코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랜스코딩은 한 형식의 데이터를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초기에는 아날로그 비디오 표준 간의 변환에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디지털 데이터의 형식 변환에 널리 활용된다. 트랜스코딩은 원본 데이터를 중간 비압축 형식으로 디코딩한 후 대상 형식으로 인코딩하는 두 단계로 이루어지며, 편집, 낮은 비트 전송률, 이미지 크기 조정 등의 목적으로 수행된다. 트랜스코딩은 디지털 세대 손실을 유발하여 품질 저하를 초래할 수 있으며, 휴대폰 콘텐츠 적응,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파일 크기 감소,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홈 시어터 PC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상 기술 -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은 정지된 이미지나 사물을 연속적으로 보여 움직임처럼 보이게 하는 시각 매체로, 실사 촬영 외 기술로 이미지를 움직이는 창작물을 의미하며, 제작 기법과 표현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고 여러 매체를 통해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 영상 기술 - 디지털 시네마
디지털 시네마는 1990년대 후반부터 확산된 영화 제작 및 상영 방식으로, 스타워즈 에피소드 1과 돌비 디지털의 출시를 기점으로 DCI 표준화 및 VPF 모델 도입을 통해 극장 시스템이 전환되었으며, 현재 4K 해상도, 레이저 프로젝터 등의 기술 발전과 새로운 콘텐츠 배급 방식을 통해 향상된 관람 경험을 제공하지만 필름 옹호론과 단점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트랜스코드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데이터 변환 |
설명 | 한 종류의 디지털 인코딩에서 다른 종류로 직접 디지털-디지털 변환하는 과정 |
추가 정보 | |
관련 항목 | 코덱 디지털 신호 처리 비트 전송률 파일 포맷 |
2. 역사
반도체와 집적 회로가 등장하기 전에는, 서로 다른 아날로그 비디오 표준 간의 실시간 해상도 및 프레임 속도 트랜스코딩은 음극선관(CRT)/비디오 카메라 튜브 조합으로 이루어졌다. CRT 부분은 형광체에 쓰지 않고, 얇은 유전체 타겟에 썼다. 카메라 부분은 이 타겟의 뒷면에서 다른 스캔 속도로 쌓인 전하 패턴을 읽었다.[4] 이 설정은 젠록으로도 사용될 수 있었다.
트랜스코딩은 원본 데이터를 중간 비압축 형식(오디오의 경우 PCM, 비디오의 경우 YUV)으로 디코딩한 다음, 대상 형식으로 인코딩하는 두 단계 과정이다.
데이터는 여러 가지 이유로 동일한 형식으로 '''재인코딩'''될 수 있다.
3. 과정
4. 재인코딩 (Recoding)
비트 전송률 필링이 있는 형식을 사용하여 재인코딩 없이 비트 전송률을 쉽게 낮출 수도 있지만, 품질은 재인코딩보다 낮은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2008년 현재 Vorbis 비트 전송률 필링의 경우 품질이 재인코딩보다 열등하다.
4. 1. 편집
데이터를 압축된 형식으로 편집하려는 경우(예: JPEG 이미지에서 이미지 편집을 수행하려는 경우), 일반적으로 디코딩한 다음 편집하고 다시 인코딩한다. 이 재인코딩은 디지털 세대 손실을 유발한다.[3] 따라서 파일을 반복적으로 편집하려는 경우 ''한 번만'' 디코딩하고 해당 복사본에서 모든 편집을 수행해야 하며, 반복적으로 재인코딩해서는 안 된다. 마찬가지로, 손실 형식으로 인코딩이 필요한 경우 마스터링 후와 같이 데이터가 최종화될 때까지 연기해야 한다.
4. 2. 더 낮은 비트 전송률 (트랜스레이팅)
'''더 낮은 비트 전송률 (트랜스레이팅)'''
데이터는 여러 가지 이유로 동일한 형식으로 '''재인코딩'''될 수 있다.
비트 전송률 필링이 있는 형식을 사용하여 재인코딩 없이 비트 전송률을 쉽게 낮출 수도 있지만, 품질은 재인코딩보다 낮은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2008년 현재 Vorbis 비트 전송률 필링의 경우 품질이 재인코딩보다 열등하다.
4. 3. 이미지 크기 조정 (트랜스사이징)
비디오의 그림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트랜스사이징'''이라고 하며, 출력 해상도가 미디어의 해상도와 다른 경우에 사용된다. 충분히 강력한 장치에서는 재생 시 이미지 크기 조정을 수행할 수 있지만, 특히 다운샘플링된 이미지에 더 낮은 비트 전송률이 필요한 경우 트랜스레이팅의 일부로 재인코딩을 통해 수행할 수도 있다.[3]
4. 4. 비트 전송률 필링
트랜스레이팅은 비디오 형식을 변경하지 않고 파일을 더 낮은 비트 전송률로 코딩하는 트랜스코딩과 유사한 프로세스이다.[3] 여기에는 샘플 속도 변환이 포함될 수 있지만, 더 높은 압축률로 동일한 샘플링 속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주어진 미디어를 더 작은 저장 공간에 맞추거나(예: DVD를 비디오 CD에 맞춤) 더 낮은 대역폭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비트 전송률 필링이 있는 형식을 사용하여 재인코딩 없이 비트 전송률을 쉽게 낮출 수도 있지만, 품질은 재인코딩보다 낮은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2008년 현재 Vorbis 비트 전송률 필링의 경우 품질이 재인코딩보다 열등하다.
5. 단점
트랜스코딩의 주된 단점은 손실 압축 형식에서 화질이 저하된다는 것이다. 압축 인공물이 누적되어 트랜스코딩을 할 때마다 점차 품질이 저하되며, 이를 디지털 세대 손실이라고 한다. 따라서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라면 트랜스코딩(손실 압축 형식)은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는다.
오디오를 재인코딩하고 디지털 오디오 편집을 하려는 사용자는 원본 비압축 PCM 형식(예: WAV, AIFF) 대신 저장 공간을 절반 정도 차지하는 무손실 형식(예: FLAC, ALAC, TTA, WavPack 등)으로 마스터 사본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무손실 형식은 일반적으로 메타데이터 옵션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PCM 형식은 메타데이터가 거의 없다. 이러한 무손실 형식은 PCM 형식으로 트랜스코딩하거나, 다른 무손실 형식으로 직접 트랜스코딩할 때 품질 손실이 전혀 없다. 손실 압축 형식으로 트랜스코딩할 수도 있지만, 이후에는 어떤 형식(PCM, 무손실, 손실 압축)으로든 품질 손실 없이 트랜스코딩할 수 없다.[1]
이미지 편집 사용자는 이미지를 RAW 또는 비압축 형식으로 저장한 후, 마스터 버전의 사본을 편집하고, 최종 배포를 위해 파일 크기가 작은 이미지가 필요한 경우에만 손실 압축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이 좋다. 오디오와 마찬가지로, 손실 압축 형식에서 다른 형식으로 트랜스코딩하면 화질이 저하된다.[2]
비디오 편집의 경우, (비디오 변환의 경우)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기록 과정에서 직접 압축된다. 압축하지 않으면 파일 크기가 너무 커져서 저장 공간이 부족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록 단계에서 사용되는 압축량은 이미지 품질(예: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표준 화질 또는 고화질 등) 및 사용 가능한 장비 유형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지며, 이는 예산 제약과 관련이 있다. 최고 품질의 디지털 비디오 장비 및 저장 공간은 비쌀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트랜스코딩은 약간의 이미지 손실을 수반하므로, 화질 손실을 최소화하는 가장 실용적인 해결책은 원본 기록을 마스터 사본으로 간주하고, 원하는 형식과 더 작은 파일 크기를 가진 트랜스코딩된 버전은 해당 마스터 사본에서만 트랜스코딩하는 것이다.[3]
6. 활용
트랜스코딩은 콘텐츠 적응의 여러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휴대폰 콘텐츠 적응 분야에서 사용된다. 이 경우, 트랜스코딩은 다양한 모바일 장치와 그 기능 때문에 필수적이다. 이러한 다양성은 소스 콘텐츠가 전송될 대상 장치에서 적절하게 작동하도록 하기 위해 콘텐츠 적응의 중간 상태를 필요로 한다.
대부분의 소비자 디지털 카메라에서 비디오를 트랜스코딩하면 품질을 거의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파일 크기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이는 대부분의 소비자 카메라가 실시간이며, 데스크톱 CPU의 처리 능력이나 견고한 전원 공급 장치를 갖추지 못한 전력 제약 장치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트랜스코딩이 사용되는 가장 인기 있는 기술 중 하나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MMS)이다. MMS는 휴대폰 간에 미디어(이미지, 사운드, 텍스트 및 비디오)를 포함한 메시지를 보내거나 받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카메라 폰을 사용하여 디지털 사진을 찍으면 일반적으로 640x480 픽셀 이상의 고품질 이미지가 생성된다. 이 이미지를 다른 휴대폰으로 보낼 때, 이 고해상도 이미지는 대상 장치의 화면 크기 및 색상 제한에 더 잘 맞도록 더 적은 색상으로 더 낮은 해상도 이미지로 트랜스코딩될 수 있다. 이러한 크기 및 색상 감소는 대상 장치에서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며, 때로는 다른 모바일 장치 간에 콘텐츠를 전송하는 유일한 방법이기도 하다.
트랜스코딩은 홈 시어터 PC 소프트웨어에서 비디오 파일의 디스크 공간 사용을 줄이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이 응용 프로그램에서 가장 일반적인 작업은 MPEG-2 파일을 MPEG-4 또는 H.264 형식으로 트랜스코딩하는 것이다.
5억 개 이상의 비디오가 웹에 있고 수많은 모바일 장치가 있는 상황에서, 모든 모바일 장치에서 모든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진정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다대다 방식(모든 입력 형식을 모든 출력 형식으로)의 실시간 트랜스코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7. 트랜스코딩 기능을 탑재한 소프트웨어
- 컴프레서
- 핸드브레이크
- DVD 린크
- TMPGEnc 오소링 웍스
- 클론DVD
- DVD 카피 플래티넘
- 판도라 DVD 프로
참조
[1]
웹사이트
transcoding
http://searchmicrose[...]
2018-01-14
[2]
간행물
Advancements in Compression and Transcoding: 2008 and Beyond
https://archive.toda[...]
Society of Motion Picture and Television Engineers
2008
[3]
웹사이트
Why is Bit Rate Important When Converting Videos to MP3?
http://converta2z.bl[...]
2015-07-06
[4]
웹사이트
"GEC 7828 Scan conversion tube'' data sheet"
http://www.mif.pg.gd[...]
General Electric Corporation
1961-04-10
[5]
웹인용
transcoding
http://searchmicrose[...]
2018-10-13
[6]
간행물
Advancements in Compression and Transcoding: 2008 and Beyond
https://archive.toda[...]
SMPTE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