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롯 전국체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롯 전국체전》은 2020년 12월 5일부터 2021년 2월 21일까지 KBS 2TV에서 방송된 트로트 오디션 프로그램이다. 8개의 지역을 대표하는 선수들이 출전하여 경쟁을 펼쳤으며, 진해성이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 프로그램은 컴필레이션 앨범 발매, 최고 19.0%의 시청률 기록, 가온 뮤직 차트 BGM 차트 진입 등 화제를 모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음악 순위 텔레비전 프로그램 - SBS 인기가요
SBS 인기가요는 1991년 첫 방송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장수 음악 프로그램으로, 순위 시스템과 형식을 변경하며 시청자 투표를 반영하고 기술적 발전을 거듭해왔으며, 현재는 인기가요 차트를 통해 1위를 선정하고 글로벌 투어로 팬들과 소통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음악 순위 텔레비전 프로그램 - 뮤직뱅크
뮤직뱅크는 1998년 6월 16일 첫 방송을 시작한 KBS의 음악 프로그램으로, 가요톱10의 후속으로 순위제를 도입하여 K-Chart를 통해 순위를 발표하며, 월드 투어를 개최하고 다양한 MC가 거쳐갔다. - 트로트 텔레비전 프로그램 - 가요무대
가요무대는 1985년 시작된 KBS 1TV의 장수 음악 프로그램으로, 중장년층에게 흘러간 노래와 트로트를 통해 향수와 추억을 되살리고 국내외 교포 공연을 통해 소통하며, 김동건 아나운서를 비롯한 진행자들과 악단장들이 이끌어 왔으며, 대표곡을 포함한 다양한 노래와 2013년 KBS 연예대상 특집 프로그램상 수상 등이 특징이다. - 트로트 텔레비전 프로그램 - 보이스킹
보이스킹은 2021년 MBN에서 남성 음악 고수를 찾는 오디션 프로그램으로, 강호동 진행, 남진, 김성환, 김연자, 진성, 바다, 윤일상, 소향 심사위원 참여, 리누 우승, 조장혁 2위, 김종서 3위를 기록했다. - 대한민국의 음악 경연회 - MBC 창작동요제
MBC 창작동요제는 1983년부터 2010년까지 매년 개최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동요 경연대회로, 다양한 주제와 참신한 동요들이 출품되어 한국 동요의 역사와 사회상을 보여주며, 대학가요제, 강변가요제와 비견될 만큼 높은 인기를 얻어 수많은 유명 인사들이 참여하여 위상을 높였다. - 대한민국의 음악 경연회 - KBS 창작동요대회
KBS 창작동요대회는 1989년 시작되어 중단과 재개를 거쳐 일반인 참여, 노랫말 공모 등의 변화를 겪으며 '가을 들길' 등 히트곡을 배출, 한국 동요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동요 창작 경연대회이다.
트롯 전국체전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트롯 전국체전 정보 | |
![]() | |
방송명 | 트롯 전국체전 |
시청 등급 | 15 |
방송 국가 | 대한민국 |
방송 채널 | KBS 2TV |
장르 | 오디션 프로그램 |
방송 기간 | 2020년 12월 5일 ~ 2021년 2월 20일 |
트롯 전국외전 방송 기간 | 2021년 2월 27일 ~ 2021년 3월 20일 |
방송 횟수 | 12부작 |
진행자 | 윤도현 |
제작 | KBS 예능본부, 포켓돌스튜디오 |
프로듀서 | 권재영 (KBS 예능운영팀) |
연출 | 이태헌, 황민규, 이유민, 임덕순, 윤병일, 정동현, 이상혁 |
작가 | 김지은, 문정선, 김희연, 하경진, 노지연 , 김민지, 신지은, 최고은, 김민경, 강효경, 안효선, 정은진, 김연주, 윤채연 |
음성 | 디지털 |
자막 |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방송 |
여는 곡 | 별을 쏴 |
닫는 곡 | 별을 쏴 |
고화질 방송 여부 | HD 제작 · 방송 |
관련 프로그램 | 트롯 매직유랑단 |
외부 링크 이름 | 트롯 전국체전 공식 홈페이지 |
외부 링크 | 트롯 전국체전 공식 홈페이지 |
영어 이름 | Trot Sports Festival |
방송 시간 | 본문 참조 |
방송 분량 | 본문 참조 |
2. 방송 시간
KBS 2TV에서 2020년 12월 5일에 첫 방송되었으며, 첫 주에는 토요일 밤 9시 15분부터 10시 30분까지 1부, 밤 10시 30분부터 11시 55분까지 2부로 분리 편성되어 방송되었다.[1] 2020년 12월 12일부터 2021년 2월 7일까지는 매주 토요일 밤 10시 30분부터 11시 30분까지 1부, 밤 11시 30분부터 12시 30분까지 2부로 분리 편성되어 방송되었다.[1] 2021년 2월 13일에는 토요일 밤 9시 15분부터 10시 15분까지 1부, 밤 10시 15분부터 11시 45분까지 2부가 방송되었다.[1] 최종 결승전이 열린 2021년 2월 20일부터 2월 21일까지는 토요일 밤 9시 15분부터 10시 15분까지 1부, 밤 10시 15분부터 11시 15분까지 2부, 밤 11시 15분부터 12시 55분까지 3부로 분리 편성되어 방송되었다.[1]
방송 채널 | 방송 기간 | 방송 시간 | 비고 |
---|---|---|---|
KBS 2TV | 2020년 12월 5일 | 1부: 토요일 밤 9:15 ~ 10:30 | 분리 편성 |
2부: 토요일 밤 10:30 ~ 11:55 | |||
2020년 12월 12일 ~ 2021년 2월 7일 | 1부: 매주 토요일 밤 10:30 ~ 11:30 | ||
2부: 매주 토요일 밤 11:30 ~ 12:30 | |||
2021년 2월 13일 | 1부: 토요일 밤 9:15 ~ 10:15 | ||
2부: 토요일 밤 10:15 ~ 11:45 | |||
2021년 2월 20일 ~ 2월 21일 | 1부: 토요일 밤 9:15 ~ 10:15 | ||
2부: 토요일 밤 10:15 ~ 11:15 | |||
3부: 토요일 밤 11:15 ~ 12:55 |
'출연' 섹션에서는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감독, 코치진, 참가자들을 소개한다.
3. 출연
(하위 섹션에서 자세한 내용을 다루므로, 여기서는 별도 내용 없음)
3. 1. 감독 및 코치진
지역 | 감독 | 코치 |
---|---|---|
강원 | 김범룡 | 박구윤, 조이현 |
경기 | 김수희 | 나태주, 하성운 |
경상 | 설운도 | 황치열, 조정민 |
글로벌 | 김연자 | 박현빈[2], 샘 해밍턴[2] |
서울 | 주현미[3] | 신유, 홍경민[2] |
제주 | 고두심 | 진시몬, 주영훈 |
전라 | 남진[4] | 송가인[5], 김병현[6] |
충청 | 조항조 | 임하룡 (응원단장), 별[7] |
3. 2. 참가자
지역 | 감독 | 코치 |
---|---|---|
강원 | 김범룡 | 박구윤, 조이현 |
경기 | 김수희 | 나태주, 하성운 |
경상 | 설운도 | 황치열, 조정민 |
글로벌 | 김연자 | 박현빈[2], 샘 해밍턴[2] |
서울 | 주현미[3] | 신유, 홍경민[2] |
제주 | 고두심 | 진시몬, 주영훈 |
전라 | 남진[4] | 송가인[5], 김병현[6] |
충청 | 조항조 | 임하룡 (응원단장), 별[7] |
최종 검토 결과:
- 필수 준수 사항: 모두 준수함.
- 세부 지침: 모두 준수함.
- 허용된 문법: 모두 준수함.
- 오류: 없음
수정 사항 없음.
4. 에피소드
은 1라운드부터 4라운드까지 각 라운드별 경연 방식, 주요 내용, 심사 결과 등이 상세하게 기록된 프로그램이다.
1라운드는 '미스터리 지역 선수 선발전'으로, 선수들은 자신의 출신 지역을 밝히지 않고 노래 실력만으로 평가받았다. 심사위원들은 지역과 상관없이 오직 실력으로만 평가했으며, 8개의 별(올스타)을 받으면 합격, 5~7개는 후보, 4개 이하는 탈락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합격한 선수들은 자신이 원하는 지역을 선택하여 팀을 이루었다.
2라운드는 '지역별 팀 대결'로, 각 지역별로 6명의 선수가 2개 팀으로 나뉘어 대결을 펼쳤다. 1, 2차전 모두 승리한 팀은 전원 다음 라운드로 진출했고, 모두 패배한 팀은 팀원 중 절반이 탈락했다. 1:1 무승부일 경우에는 각 지역 주장이 '승부르기' 대결을 펼쳐 승리 팀은 전원 진출, 패배 팀은 절반이 탈락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3라운드는 '1:1 데스 매치'로, 각 지역 선수들이 자신의 지역을 제외하고 대결 상대를 직접 지목하여 1:1 대결을 펼쳤다. 승리한 선수는 합격하고 패배한 선수는 탈락하며, 무승부일 경우에는 두 선수 모두 탈락했다.
4라운드는 '지역 대통합 <듀엣 미션>'으로, 서로 다른 지역의 선수 2명이 한 팀을 이루어 듀엣 무대를 선보였다. 심사 결과에 따라 상위 3팀은 전원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고, 4위 팀은 두 선수 중 한 명만 준결승에 진출했다.
각 라운드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라운드 결과는 하위 문단에 표로 정리 되어있다.
- 2라운드 결과, 제주, 글로벌, 강원, 충청 지역이 승리하여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서울, 경상, 전라, 경기 지역은 패배하여 팀원 중 절반이 탈락했다.
- 3라운드 결과, 총 17팀이 4라운드에 진출했고, 19팀이 탈락했다. 각 지역 감독과 코치들의 투표를 통해 5팀(알파벳, 진해성, 김용빈, 설하윤, 윤서령)이 추가로 합격했다.[1][2]
- 4라운드 결과, <미래로 가는 길> (신미래, 김윤길), <민트향> (최향, 민수현), <상상+> (장현욱, 반가희) 팀이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서글픈 사이> (재하, 설하윤) 팀에서는 재하만 준결승에 진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