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틈관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틈관동은 만리장성 동쪽, 즉 관동 지역으로 한족이 이주한 역사를 의미한다. 청나라는 만주족의 발원지를 보호하기 위해 한족의 이주를 금지했으나, 경제적 요인과 러시아의 남하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정책을 변경하여 한족의 이주를 장려했다. 1891년부터 1942년까지 약 2,540만 명이 관동으로 이주했으며, 이는 인구 구성 변화, 경제 발전, 문화적 영향을 가져왔다. 2008년에는 이를 소재로 한 드라마가 제작되기도 했다. 틈관동의 경험은 동북아시아 지역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협력의 중요성을 시사하며, 문화적 다양성과 상호 연결성을 보여주는 상징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주의 역사 - 만주사변
    만주사변은 1931년 일본 관동군이 류탸오후 사건을 자작극으로 일으켜 만주를 침략하고 만주국을 수립한 사건이며, 일본 군국주의 팽창을 가속화하고 중일 전쟁과 태평양 전쟁의 계기가 되었다.
  • 만주의 역사 - 만주국
    만주국은 1931년 일본 제국이 만주사변으로 세운 괴뢰국가로, 푸이를 황제로 옹립했으나 일본 관동군이 실질적인 권력을 장악했고, 오족협화와 왕도낙토를 내세웠지만 일본 침략 전쟁의 수단으로 이용되었으며 국제 사회에서 인정받지 못하다 1945년 일본 패망으로 멸망 후 중화인민공화국 영토가 되었다.
틈관동
개요
유형인구 이동
시기19세기 후반
원인한족의 이주 촉진
결과만주족을 넘어 한족만주의 다수 민족이 됨
관련 용어촹관둥 (텔레비전 드라마)

2. 역사적 배경

만주는 관동(문자 그대로 '통과 동쪽'을 의미하며 중국 만리장성 동쪽 끝에 있는 산해관을 가리킴) 또는 관외()라고도 불리며, 주로 퉁구스족이 거주하는 인구가 희박한 땅이었다. 1668년 강희제 통치 기간 동안 청 정부는 팔기군이 아닌 사람들의 이 지역으로의 이주를 더욱 금지했다.[1]

그러나 청의 통치는 불법적으로 그리고 합법적으로 만주로 유입되어 토지를 경작하기 위해 정착하는 한족의 수가 대폭 증가하는 것을 보았는데, 만주 지주들은 한족 농민들이 그들의 토지를 임대하여 곡물을 재배하기를 원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한족 이주민들은 만리장성과 버드나무 울타리를 넘어갔기 때문에 추방되지 않았다. 18세기 동안 한족은 만주에서 개인 소유 토지 50만 헥타르와 운송소, 귀족 영지 및 기지 토지에 속하는 203,583 헥타르를 경작했다. 만주에서 한족은 수비대와 마을 인구의 80%를 차지했다.[1]

한족 농민들은 토지를 복원하기 위해 청나라에 의해 요하를 따라 북중국에서 이 지역으로 재정착되었다.[2] 황무지는 만주 지주로부터 토지를 임대한 다른 한족 외에 한족 불법 점유자들에 의해 개간되었다.[3] 청나라는 공식적으로 만주족과 몽골족의 토지에 한족 정착을 금지했음에도 불구하고, 18세기에는 기근, 홍수, 가뭄으로 고통받는 북중국에서 온 한족 난민들을 만주와 내몽골로 정착시키기로 결정했다. 1780년대에 한족은 만주에서 50만 헥타르, 내몽골에서 수만 헥타르를 경작했다.[4] 건륭제1740년부터 1776년까지 한족의 이주를 금지하는 칙령을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가뭄으로 고통받는 한족 농민들이 만주로 이주하도록 허용했다.[5] 한족 소작농들은 이 지역의 "황실 영지"와 만주 기지 토지로부터 토지를 임대하거나 심지어 소유권을 주장하기도 했다.[6] 건륭제 통치 기간 동안 금주, 봉천, 철령, 장춘, 후룬, 영고탑을 연결하는 길은 만주 남부의 요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 외에도 한족에 의해 정착되었다. 1800년까지 한족은 만주의 도시 지역에서 다수를 차지했다.[7] 청나라는 제국 재정 수입을 늘리기 위해 도광제 통치 초기에 송화강을 따라 이전의 만주족 토지를 한족에게 판매했고, 아베 위그에 따르면 1840년대까지 한족이 만주의 대부분의 도시를 채웠다.[8]

청 제국의 북동쪽 변경 지역의 희박한 인구는 아무르 병합으로 인해 외만주 (흑룡강 북쪽과 우수리강 동쪽 지역)를 러시아 제국에 병합하는 것을 촉진했으며, 이는 아이군 조약 (1858년)과 베이징 조약 (1860년)에 의해 최종적으로 확정되었다. 이에 대응하여 1859년-1867년 흑룡강성의 군사 지휘관인 터푸친()과 같은 청나라 관료들은 러시아의 추가적인 병합에 반대하기 위해 관동의 일부 지역을 한족 민간 농민 정착민에게 개방하자는 제안(1860년)을 했다.[9] 청 정부는 이후 정책을 변경하여 인근 직례성 (오늘날의 허베이성)과 산둥성의 가난한 농민들이 정착을 위해 하나둘씩 공식적으로 개방된 만주로 이주하여 살도록 장려했다.

이주민의 정확한 숫자는 여행 방법의 다양성(일부는 걸어서 이동)과 개발되지 않은 정부 통계 장치로 인해 계산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해관 통계국의 보고서와 나중에는 남만주 철도를 바탕으로 현대 역사가인 토마스 갓쇼앙과 다이애나 라리는 1891년부터 1942년까지 약 2,540만 명의 이주민이 만리장성 이남의 중국에서 만주로 도착했고 1,670만 명이 돌아갔다고 추정한다. 이는 이 반 세기 동안 870만 명의 순 이주 증가를 나타낸다.[10]

만주로 이주한 사람들은 주로 산해관을 통해 또는 산둥반도의 웨이하이와 랴오둥반도의 뤼순에 주둔했던 북양함대로 인해 운행되던 옌타이-뤼순 페리를 이용하여 바다를 건너 여행한 가난한 농민들이었다.

1887년 헨리 E.M. 제임스가 본, 당시 야생 지역이었던 통화시 동쪽의 한 방 객실에서 ''캉''에서 이동하는 이주민들과 여행객들

2. 1. 청나라의 봉금 정책과 해제

청나라는 초기 만주족의 발원지를 보호하기 위해 한족의 만주 이주를 금지하는 봉금 정책을 시행했다. 1668년 강희제는 팔기군이 아닌 사람들의 만주 이주를 더욱 금지했다.[1]

그러나 청의 통치 기간 동안 만주 지주들이 한족 농민들에게 토지를 임대하여 곡물을 재배하기를 원했기 때문에, 한족의 만주 유입은 크게 증가했다.[1] 18세기 동안 한족은 만주에서 개인 소유 토지 50만 헥타르와 운송소, 귀족 영지 및 기지 토지에 속하는 203,583 헥타르를 경작했다.[1] 청나라는 공식적으로 만주족과 몽골족의 토지에 한족 정착을 금지했음에도 불구하고, 18세기에는 기근, 홍수, 가뭄으로 고통받는 북중국에서 온 한족 난민들을 만주와 내몽골로 정착시키기로 결정했다.[4] 건륭제는 1740년부터 1776년까지 한족의 이주를 금지하는 칙령을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 가뭄으로 고통받는 한족 농민들이 만주로 이주하도록 허용했다.[5] 1800년까지 한족은 만주의 도시 지역에서 다수를 차지했다.[7]

19세기 후반, 러시아 제국시베리아에서 오호츠크해까지 진출하면서, 아이군 조약 (1858)과 베이징 조약 (1860)으로 외만주를 병합하는 상황에 이르렀다.[9] 이에 대응하여 청나라 관료들은 러시아의 추가적인 병합에 반대하기 위해 관동의 일부 지역을 한족 민간 농민 정착민에게 개방하자는 제안을 했다.[9] 청 정부는 정책을 변경하여 직례성(오늘날의 허베이성)과 산둥성의 가난한 농민들이 만주로 이주하여 살도록 장려했다.[9] 이들은 주로 산해관을 통해 이동하거나, 산둥반도의 옌타이-랴오둥반도의 뤼순 간 페리를 이용하여 바다를 건너 이동했다. 1931년의 만주 사변까지 수백만 명 규모의 사람들이 관내에서 이동했다고 전해진다.

2. 2. 경제적 요인

산둥성, 허베이성 등 중국 북부 지역은 잦은 자연재해와 인구 증가로 인해 토지 부족 현상이 심각했다.[4][5][9] 반면 만주는 비옥한 토지와 풍부한 자원을 가진 미개척지가 많아 새로운 삶의 터전을 찾는 한족들에게 매력적인 기회의 땅이었다.[1] 만주 지주들은 한족 농민들에게 토지를 임대하여 곡물을 재배하는 것을 선호했다.[1][3]

2. 3. 러시아의 남하 정책

19세기 후반, 러시아 제국시베리아를 거쳐 오호츠크해까지 진출하며 남하 정책을 추진했다.[9] 이로 인해 청나라아이훈 조약(1858)과 베이징 조약(1860)을 통해 외만주(흑룡강 북쪽과 우수리강 동쪽 지역)를 러시아 제국에 할양해야 했다.[9]

청나라는 러시아의 세력 확장을 견제하고 추가적인 영토 병합을 막기 위해 만주 지역의 인구를 늘리고 개발을 가속화할 필요성을 느꼈다.[9] 청나라 관리들은 직례성(오늘날의 허베이성)과 산둥성의 가난한 농민들을 만주로 이주시켜 정착시키는 정책을 추진했다.[9] 1891년부터 1942년까지 약 2,540만 명의 이주민이 만리장성 이남의 중국에서 만주로 이주했고, 1,670만 명이 돌아가 870만 명의 순 이주 증가를 기록했다.[10] 이주민들은 주로 산해관을 통과하거나, 산둥반도의 옌타이에서 랴오둥반도의 뤼순으로 가는 페리를 이용했다.

17세기 중반 강희제는 팔기군이 아닌 사람들의 만주 이주를 금지했지만,[1] 18세기 동안 한족은 만주에서 개인 소유 토지 50만 헥타르와 운송소, 귀족 영지 및 기지 토지에 속하는 203,583 헥타르를 경작했다.[1] 건륭제는 한족의 이주를 금지하는 칙령을 발표했음에도 불구하고,[5] 한족 소작농들은 "황실 영지"와 만주 기지 토지로부터 토지를 임대하거나 소유권을 주장하기도 했다.[6] 19세기 초, 도광제 통치 시기에는 송화강을 따라 만주족 토지가 한족에게 판매되면서,[8] 1840년대에는 한족이 만주의 대부분 도시를 채우게 되었다.[8]

3. 이주 과정

3. 1. 육로 이주

3. 2. 해로 이주

3. 3. 이주민 규모

4. 틈관동의 영향

4. 1. 인구 구성 변화

4. 2. 경제 발전

4. 3. 문화적 영향

5. 대중문화 속 틈관동

2008년에는 가오만탕이 각본을 쓰고 제작한 52부작 텔레비전 드라마 《틈관동》이 CCTV-8에서 방영되었다.[11][12][13] 다롄 텔레비전 방송국이 제작한 이 드라마는 산둥성에서 일어난 가뭄으로 인해 한 가족이 하얼빈까지 육로로 이동하는 모습을 그렸으며, CCTV 및 다른 지방 방송국에서도 방송되었다. 관련 작품인 「틈관동 중편」도 제작되어 2009년 8월에 베이징 위성 텔레비전과 저장 위성 텔레비전에서 방영되었다.

6. 한국과의 관계

6. 1. 역사적 연관성

6. 2. 현대적 의의

틈관동의 경험은 동북아시아 지역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협력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틈관동은 단순한 이주 역사를 넘어, 동북아시아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과 상호 연결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상징이다. 이민은 주로 산둥반도가난한 사람들이 새로운 터전을 찾아 육로로 산해관을 통과하거나, 청나라 북양함대가 웨이하이웨이(현: 웨이하이 시)와 뤼순에 군항을 설치한 후, 옌타이 - 뤼순의 페리를 이용하여 해로로 이동했다.

참조

[1] 서적 Richards 2003 https://books.google[...]
[2] 논문 Reardon-Anderson 2000 https://www.jstor.or[...]
[3] 논문 Reardon-Anderson 2000 https://www.jstor.or[...]
[4] 논문 Reardon-Anderson 2000 https://www.jstor.or[...]
[5] 간행물 Scharping 1998 http://www.phil-fak.[...]
[6] 논문 Reardon-Anderson 2000 https://www.jstor.or[...]
[7] 논문 Reardon-Anderson 2000 https://www.jstor.or[...]
[8] 논문 Reardon-Anderson 2000 https://www.jstor.or[...]
[9] 서적 Lee 1970
[10] 서적 Reardon-Anderson 2005
[11] 웹사이트 Pathfinding to the Northeast (TV Series 2008– ) https://www.imdb.com[...] 2008
[12] 웹사이트 闯关东 https://movie.douban[...] 2008
[13] 웹사이트 闯关东 http://tv.cctv.com/2[...] 2008-0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