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발은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가뭄의 여신 또는 가뭄을 일으키는 짐승을 의미한다. 황제의 딸인 발(妭)은 치우와의 전투에서 비와 바람을 다스리는 신들과 싸워 승리에 기여했으나, 과도한 힘을 사용하여 하늘로 돌아가지 못하고 가뭄을 일으키는 존재가 되었다. 한발은 가뭄을 일으키는 짐승으로 묘사되기도 하며, 일본의 요괴 히데리가미와 유사한 특징을 갖는다. 또한 진종 황제 시대에는 관우가 한발을 물리쳤다는 설화가 전해지며, 관우 숭배와 기우제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뭄의 여신 - 치치미메
치치미메는 마른 체형에 키가 크고 좁은 어깨, 평평한 가슴, 창백한 피부 등의 외형적 특징을 가진 존재로 다양한 매체에서 적으로 등장하거나 특정 인물, 소환 가능한 악마 등으로 묘사되며 문화적 중요성을 지닌다. - 날씨의 의인화 - 에오스트레
에오스트레는 게르만 신화의 봄과 새벽의 여신으로, 앵글로색슨족은 4월을 에오스트레의 달이라 부르며 축제를 열었고, 이름은 '빛나다'라는 뜻에서 유래했으며, 현대 영어의 'Easter'와 부활절 토끼, 오스타라 축제 등과 관련된다. - 날씨의 의인화 - 이리스
이리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무지개의 여신으로 헤라의 전령사이자 제우스의 심부름꾼이며, 날개 달린 모습으로 묘사되어 소통과 새로운 시작을 상징한다. - 산해경 - 구미호
구미호는 아홉 개의 꼬리를 가진 여우 요괴로, 동아시아 설화에 등장하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상서로운 존재, 인간을 유혹하는 존재, 악한 요괴 등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고 대중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된다. - 산해경 - 봉래산
봉래산은 중국 신화에 나오는 신선이 사는 영산으로, 불사신이 거주하는 곳이자 불로불사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그 위치에 대해서는 다양한 주장이 존재한다.
한발 |
---|
2. 여신 한발
여신 한발은 『산해경』 「대황북경」에 기술되어 있다. 원래 이름은 발(妭)이며, 황제 헌원씨의 딸이다.
진종 황제 시대에 한발이 나타나 염지현(鹽池縣)의 모든 물을 빼앗아갔다는 소문이 돌았다. 이에 황제는 장천사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장천사는 관우를 보내 한발을 물리치게 했다. 관우는 7일 동안 싸워 괴물을 물리쳤다. 황제는 그의 공을 기려 음력 5월 13일에 "의용무안왕(義勇武安王)"이라는 칭호를 내렸다. 그 후, 중국인들은 그 날을 관우의 날로 기념하며, 악마와 역병을 몰아내고 비를 기원했다. 사람들은 그 날에는 반드시 비가 와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만약 비가 오지 않으면 기도가 반드시 응답될 것이라고 믿었다.
2. 1. 황제와 치우의 전쟁
황제가 치우와 싸울 때, 치우는 비의 신 우사와 바람의 신 풍백을 불러 황제군을 공격했다. 황제는 딸 발(妭)을 보내 이들에 맞서게 했다. 妭|발중국어은 미녀라는 뜻이지만, 인간에게 해를 끼치게 되면서 부수를 여자 여(女)에서 귀신 귀(鬼)로 바꾸어 발(魃)이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19] 검은 옷을 입고, 대머리에, 강렬한 빛과 열을 발산하며 군대 앞에 나타난 그녀는 자신의 힘을 사용했고, 폭풍은 흩어졌으며, 황제는 치우를 사로잡아 죽일 수 있었다.[2]2. 2. 발(妭)의 역할과 희생
발(妭)은 황제 헌원씨의 딸로, 몸에 열이 많은 특성을 지녔다. 황제가 치우와 싸울 때, 치우 측의 우사와 풍백이 일으킨 비바람에 맞서 싸웠다.[17][18] 발은 비바람을 막아 황제가 승리하는 데 큰 공을 세웠지만, 이 과정에서 너무 많은 힘을 소진하여 하늘로 돌아갈 수 없게 되었다.[17][18]발은 그 존재만으로도 주위에 가뭄을 일으키는 힘을 지녔다. 황제는 딸을 죽일 수 없어 적수하 너머 북방 계곤산에 유폐시켰다. 그러나 발은 때때로 중원으로 탈출해 가뭄을 일으켰고, 사람들은 “신이여, 북으로 돌아가소서”라고 빌며 발을 돌려보냈다.[17][18]
2. 3. 가뭄의 신
발(妭)은 황제 헌원씨의 딸로, 치우와의 전투에서 우사와 풍백에 맞서 비바람을 막아 황제의 승리에 기여했다.[17][18] 그러나 이 과정에서 힘을 너무 많이 써 하늘로 돌아갈 수 없게 되었다.[17][18]발은 머무는 곳에 가뭄을 일으키는 힘을 지니게 되었다.[17][18] 황제는 어쩔 수 없이 발을 적수하 북쪽 계곤산에 유폐했지만, 발은 때때로 중원으로 내려와 가뭄을 일으켰다.[17][18] 사람들은 “신이여, 북으로 돌아가소서”라고 빌며 발을 돌려보내려 했다.[17][18]
원래 아름다운 여인을 뜻하던 발(妭)은 인간에게 해를 끼치면서 부수가 여자 여(女)에서 귀신 귀(鬼)로 바뀐 발(魃)로 불리게 되었다.[19]
2. 4. 이름의 변화
원래 이름 발(妭)은 미녀라는 뜻이지만, 인간에게 해를 끼치게 되면서 부수를 여자 여(女)에서 귀신 귀(鬼)로 바꾸어 발(魃)이라고 불리게 되었다.[19]3. 짐승 한발
짐승 한발은 시대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났다. 초기 진나라부터 한나라까지는 검은 옷을 입은 여성으로 묘사되었으며, 신과 괴물의 성격을 동시에 지녔다. 사람들은 한발을 가뭄의 신으로 여겨 햇볕, 홍수, 호랑이 등을 이용해 쫓아내고 비를 내리게 하려 했다.
한나라 중기부터 명나라 초기까지는 자연 숭배 사상이 쇠퇴하면서 여신의 이미지는 점차 유령처럼 변해갔다. 명나라 중기 이후에는 뱀파이어와 비슷한 모습으로 바뀌었으며, 청나라 말기에는 한발이 후(hou)로 변신할 수 있다는 신화도 등장했다.
3. 1. 『산해경』 이후의 문헌 기록
『본초강목』, 『신이경』에 따르면, 남방에는 하(𪕰) 또는 발(魃)이라는 짐승이 있는데, 키가 2 - 3척(40 - 60 cm)이고, 정수리에 눈이 있으며, 바람처럼 달린다고 한다. 이 짐승이 나타나면 큰 가뭄이 들지만, 요강에 던져넣으면 죽는다고 기록되어 있다.[20][21]『삼재도회』에 기록된 신발(神魃)은 이매(魑魅)와 비슷한, 얼굴은 사람이고 몸은 짐승인 짐승인데, 손과 발이 하나씩밖에 없고, 강산(剛山)이라는 산에 많이 살며, 이것이 있는 곳에는 비가 내리지 않는다고 한다.[22]
수나라 때의 『문자지귀』에는 “한발(旱魃)”이라는 짐승이 사는 곳에는 비가 내리지 않는다고 한다.[21]
이러한 존재들은 일본 에도시대의 백과사전 『화한삼재도회』에도 수록되었는데, 한자로 “발(魃)”이라고 쓰고 “히데리가미(ひでりがみ)”라고 읽는다.[21] 도리야마 세키엔의 요괴 화집 『금석화도속백귀』에도 “히데리가미”가 그려져 있고, 위의 특징을 종합한 설명이 달려 있다.
『산해경』에는 여신 한발과 별개로 신치(神𩳁)라는 존재가 있는데, 손발이 한 개씩이고 사람 얼굴을 한 짐승이며 강산에 산다고 되어 있다.[17] 그래서 짐승 한발의 특징은 이 신치가 혼동된 결과라고도 한다.[23]
3. 2. 『삼재도회』의 신발(神魃)

『삼재도회』에 기록된 신발(神魃)은 魑魅와 비슷하게 얼굴은 사람이고 몸은 짐승인데, 손과 발이 하나씩밖에 없으며, 강산(剛山)이라는 산에 많이 살고, 이것이 있는 곳에는 비가 내리지 않는다고 한다.[22]
3. 3. 일본 문헌에서의 한발
일본 에도시대의 백과사전 『화한삼재도회』에는 한발이 “발(魃)”이라고 쓰고 “히데리가미(ひでりがみ)”라고 읽는 존재로 수록되어 있다.[21] 도리야마 세키엔의 요괴 화집 『금석화도속백귀』에도 “히데리가미”가 그려져 있고, 『화한삼재도회』의 특징을 종합한 설명이 달려 있다.『화한삼재도회』에 따르면, 한발은 "60에서 90cm 길이이며, 머리 위에 눈이 있고, 바람처럼 빠르게 움직인다."[3]고 한다. 도리야마 세키엔의 『금석화도속백귀』에서는 魃|히데리가미일본어 또는 旱母|간보일본어라고 불리며, 팔 하나와 눈 하나를 가진 짐승으로 그려진다.[4]
3. 4. 신치(神𩳁)와의 혼동
『산해경』에는 여신 한발과 별개로 신치(神𩳁)라는 존재가 등장하는데, 손발이 한 개씩이고 사람 얼굴을 한 짐승이며 강산에 산다고 한다.[17] 짐승 한발의 특징은 이 신치가 혼동된 결과라고도 한다.[23]4. 한발과 관련된 역사적 기록
한족 전설에 따르면 한바는 중국 선사 시대부터 등장한다. 치우가 황제(黃帝)를 공격했을 때, 황제는 응룡을 보내 치우를 막게 했다. 응룡은 홍수를 일으켜 치우를 가두려 했으나, 치우는 날씨 마법사들을 불러 응룡의 군대를 혼란에 빠뜨렸다. 이에 황제는 여신 발을 보냈고, 발은 자신의 힘으로 폭풍을 흩어지게 하여 황제가 치우를 사로잡아 죽일 수 있게 도왔다. 응룡과 한바는 큰 공을 세웠지만 신성한 힘을 잃고 하늘로 돌아갈 수 없었다. 응룡은 물과 비가 많은 중국 남쪽에 머물렀고, 한바는 가뭄이 심한 북쪽에 머물렀다. 한바는 가는 곳마다 저주를 받아, 그때부터 한바(旱魃)라고 불렸다.[2]
진종 황제 시대에 한바가 나타나 염지현(鹽池縣)의 물을 빼앗아갔다는 소문이 돌았고, 황제는 장천사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관우를 보내 한바를 물리치게 했다.[2]
4. 1. 관우와 한발 퇴치
진종 황제 시대에 염지현(鹽池縣)에 한바가 나타나 모든 물을 빼앗아갔다는 소문이 돌았다. 황제는 장천사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장천사는 관우를 보내 한바를 물리치게 했다. 관우는 7일 동안 싸워 한바를 물리쳤다.[2] 황제는 그의 공에 감사하며 음력 5월 13일에 그에게 "의용무안왕(義勇武安王)"이라는 칭호를 내렸다.[2] 이후 중국인들은 그 날을 관우의 날로 기념하며, 악마와 역병을 몰아내고 비를 기원했으며, 그 날에는 반드시 비가 와야 한다고 생각했다. 만약 비가 오지 않으면 기도가 반드시 응답될 것이라고 믿었다.[2]4. 2. 관우 숭배와 기우제
진종 황제 시대에, 한바가 나타나 염지현(鹽池縣)의 모든 물을 빼앗아갔다는 소문이 돌았다. 이에 황제는 장천사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장천사는 관우를 보내 한바를 물리치게 했다.[2] 관우는 7일 동안 싸워 괴물을 물리쳤다. 황제는 그의 힘에 감사하며 음력 5월 13일에 그에게 "의용무안왕(義勇武安王)"이라는 칭호를 내렸다.[2] 그 후, 중국인들은 그 날을 관우의 날로 기념하며, 악마와 역병을 몰아내고 비를 기원했다. 사람들은 그 날에는 반드시 비가 와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만약 비가 오지 않으면 기도가 반드시 응답될 것이라고 믿었다.[2]참조
[1]
서적
Toriyama Sekien Gazu Hyakki Yagyō Zen Gashū
Kadokawa Shoten
[2]
서적
Chinese Mythology A to Z
Chelsea House
[3]
서적
中国古典小説選
明治書院
[4]
서적
Yōkai Jiten
The Mainichi Newspaper Company
[5]
서적
妖怪伝
講談社
[6]
서적
中国の神獣・悪鬼たち 山海経の世界 増補改訂版
東方書店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문서
[11]
서적
中国古典小説選
明治書院
[12]
서적
[13]
문서
[14]
웹사이트
三才図会
http://kande0.ioc.u-[...]
漢籍webdb project
2009-08-27
[15]
서적
鳥山石燕 画図百鬼夜行
国書刊行会
[16]
서적
怪奇鳥獣図巻 大陸からやって来た異形の鬼神たち
工作舎
[17]
서적
山海経 中国古代の神話世界
平凡社
[18]
서적
中国の神話伝説
青土社
[19]
서적
幻想世界の住人たち
新紀元社
[20]
서적
中国古典小説選
明治書院
[21]
서적
図説・日本未確認生物事典
柏書房
[22]
웹인용
三才図会
http://kande0.ioc.u-[...]
漢籍webdb project
2009-08-27
[23]
서적
怪奇鳥獣図巻 大陸からやって来た異形の鬼神たち
工作舎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