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괴자 모랜트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괴자 모랜트는 1980년에 개봉한 오스트레일리아 영화로, 제2차 보어 전쟁 중 호주 출신 군인들의 살인 재판을 다룬다. 영화는 부시벨트 카빈니어스 소속의 세 명의 호주 군인들이 보어인 포로 살해 혐의로 군사 재판을 받는 과정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키치너 경의 정치적 의도와 재판의 불공정성, 전쟁의 비극성을 조명하며, 역사적 사실과 영화적 해석 사이의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이 영화는 AACTA상과 칸 영화제 등에서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으며, 전쟁과 정의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제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보어 전쟁 영화 - 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
    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는 매튜 본 감독의 스파이 액션 영화이자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의 프리퀄로, 제1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세계를 혼란에 빠뜨리려는 음모에 맞서는 옥스퍼드 공작과 콘래드의 활약, 킹스맨 조직의 기원을 다룬다.
  • 제2차 보어 전쟁 영화 - 젊은 날의 처칠
    윈스턴 처칠의 젊은 시절을 그린 1972년 영화 《젊은 날의 처칠》은 처칠의 인도 군 복무 후 국회의원이 되기까지의 과정, 아버지와의 관계, 정치적 야망을 다룬 작품으로, 사이먼 워드 주연, 로버트 쇼, 앤 밴크로프트, 앤서니 홉킨스 등이 출연했으며 골든 글로브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하고 아카데미상과 BAFTA에 후보로 올랐다.
  • 1902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
    킹스맨: 퍼스트 에이전트는 매튜 본 감독의 스파이 액션 영화이자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의 프리퀄로, 제1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세계를 혼란에 빠뜨리려는 음모에 맞서는 옥스퍼드 공작과 콘래드의 활약, 킹스맨 조직의 기원을 다룬다.
  • 1902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맥케이브와 밀러 부인
    《맥케이브와 밀러 부인》은 19세기 말 워싱턴주의 작은 마을을 배경으로 도박사 맥케이브가 사창가 사업을 시작하며 번성하지만, 광산 회사의 음모로 비극적인 결말을 맞는 로버트 알트만 감독의 1971년 서부극 영화이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역사 영화 - 피아노 (1993년 영화)
    제인 캠피언 감독의 영화 《피아노》는 선택적 함구증을 가진 여성 아다가 딸과 함께 뉴질랜드로 이주하여, 피아노 연주로 감정을 표현하며 남편과 은퇴한 선원 사이에서 갈등하는 이야기를 그린, 여성의 억압과 자기표현을 다룬 작품이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역사 영화 - 세이빙 MR. 뱅크스
    영화 《세이빙 MR. 뱅크스》는 P. L. 트래버스의 소설 《메리 포핀스》의 영화화 과정을 배경으로, 월트 디즈니가 P. L. 트래버스를 설득하여 영화 판권을 얻는 과정과 트래버스의 어린 시절 경험이 작품에 미친 영향을 그린 2013년 미국의 드라마 영화이며, 에마 톰프슨과 톰 행크스가 주연을 맡았다.
파괴자 모랜트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브레이커 모랜트 포스터
극장 개봉 포스터
감독브루스 베레스포드
제작자매튜 캐롤
각본조너선 하디
데이비드 스티븐스
브루스 베레스포드
원작키트 덴턴의 "더 브레이커"
케네스 로스의 "브레이커 모랜트"
주연에드워드 우드워드
잭 톰슨
존 워터스
브라이언 브라운
찰스 팅웰
테렌스 도노반
레이 메이허
루이스 피츠제럴드
로드 멀리나
프랭크 윌슨
촬영도널드 맥알파인
편집윌리엄 앤더슨
제작사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필름 코퍼레이션
오스트레일리아 필름 커미션
세븐 네트워크
Pact Productions
배급사로드쇼 필름 디스트리뷰터
개봉일1980년 3월 15일 (오스트레일리아)
상영 시간107분
국가오스트레일리아
언어영어
아프리칸스어
제작비A$ 800,000
흥행 수입$470만 (오스트레일리아)
$350만 (미국/캐나다)
관련 정보
관련 서적Leach, 2012, p. xxxii

2. 영화 정보

이 영화는 남호주 영화 위원회(SAFC), 호주 영화 위원회, 세븐 네트워크, 팩트 프로덕션의 자금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다.[9] 배급사 로드쇼는 잭 톰슨을 제임스 프랜시스 토마스 소령 역으로 강력히 원했다.[9]

감독 브루스 베레스포드는 남호주 영화 협회를 위해 두 편의 영화를 제작하려 했는데, 코라 탈출 사건을 다룬 ''Breakout''을 만들고 싶었으나 만족스러운 각본을 찾지 못해 브레이커 모란트 이야기로 방향을 틀었다.[9]

2. 1. 줄거리

호주 출신 모란트 중위는 호주 제일의 야생마 조련사(Breaker)로 남아프리카 보어 전쟁대영 제국 일원으로 호주에서 차출되어 참가한다. 전쟁 중 여러 살인을 저지르게 되고 국제정치의 소용돌이 속에 그는 군사재판을 통해 사형당한다.

영화 ''브레이커 모랜트''는 남아프리카 연방에서 엘리트 부대인 부시벨트 카빈니어스 소속의 세 명의 호주 군인, 장교들에 대한 살인 재판을 다룬다. 해리 "브레이커" 모란트, 피터 핸콕, 그리고 조지 위튼은 한 명의 보어인 포로 살해, 그 후 여섯 명의 추가 살인 혐의를 받고 있다. 모란트와 핸콕은 저격 방식으로 독일인 선교사 헤세 목사를 살해한 혐의를 받고 있다. 그들의 변호인 토마스 소령은 변호를 준비할 시간이 단 하루밖에 없었다.

재판을 명령한 키치너 경은 평화 회담을 통해 제2차 보어 전쟁을 종식시키기를 바랐다. 이를 위해 그는 모란트 재판을 통해 전쟁 규칙을 위반하는 자신의 군인들을 가혹하게 심판할 의향이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현역 군인에게 살인죄를 적용하는 데는 큰 복잡성이 있지만, 키치너는 유죄 판결을 확정하려 하며 법원장도 그를 지지한다.

재판과 관련된 원인과 사건들이 전개된다. 보어인 포로에 대한 모란트의 처형은 그의 친구이자 지휘관이었던 헌트 대위의 시신 훼손과 죽음에 대한 복수였다. 이 사건에 분노한 모란트는 보어인 진지를 공격했고, 헌트의 카키색 재킷을 입은 보어인이 체포되었다. 모란트는 그를 처형했다.

여섯 명의 포로 살해 역시 비슷한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모란트는 나중에 그들의 죽음을 정당화하며 "화이트홀의 명령을 알잖아. 백기를 흔들면 우리는 보지 못해. 난 못 봤어."라고 말한다. 처형 전에 모란트는 헤세가 포로들과 대화하는 것을 알아차린다. 모란트는 격분하여 헤세가 스파이라고 확신하지만 증거는 없다. 핸콕과의 대화 끝에 핸콕은 총과 말을 가지고 헤세를 따라갔고, 다음 날 아침 헤세는 총에 맞아 숨진 채 발견된다.

재판 과정에서 유죄 판결에 대한 법원의 편향성과 그 뒤에 숨겨진 정치적 술책이 드러난다. 핵심은 키치너가 모든 보어인 포로를 사살하라는 명령을 내렸는지 여부이다. 토마스의 주장은 그렇게 하라는 암묵적인, 즉 문서화되지 않은 명령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는 헌트에게 구두로 전달되었고, 헌트가 모란트에게 전달했기 때문에 명령이 존재했음을 증명할 방법이 없다.

아이러니하게도, 모란트가 포로를 사살하는 과정에서 명령에 따라 행동했지만, 그는 사실 헤세 살인에 대한 책임이 없었다. 두 명의 "여성 친구"와 알리바이를 설정하는 데 신경 썼던 핸콕은 위튼에게 자신이 실제로 헤세를 따라가 쐈다고 인정한다. 그러나 법원은 그들에게 헤세 살인에 대한 무죄를 선고했지만 다른 두 가지 혐의에 대해서는 유죄를 선고한다.

키치너는 편리하게 부재하여 감형을 요청할 수 없었지만, 떠나기 전에 위튼의 형을 종신형으로 감형한다. 모란트와 핸콕은 아침에 총살당하고 위튼은 교도소로 이송된다. 마지막 모욕으로 핸콕의 관은 그의 키에 비해 너무 작게 만들어져 군인들은 그의 시신을 어색하게 욱여넣어야 했다.

영화 마지막 부분의 요약은 몇몇 등장인물에게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보여준다. 토마스는 고국 호주로 돌아가 상속 계획과 유언장에 국한된 변호사 업무를 계속한다. 위튼은 3년의 형을 살았지만, 전국적인 항의 이후 석방되었고, 모란트 사건에 대한 기록인 ''제국의 희생양''이라는 책을 썼다. 이 책은 매우 선동적이고 반 영국적이어서 세계 대전 중에 금서가 되었다.

2. 2. 출연진


  • 주연
  • * 에드워드 우드워드 - 해리 "브레이커" 모란트 중위 역
  • * 브라이언 브라운 - 피터 핸콕 중위 역
  • * 루이스 피츠제럴드 - 조지 램스데일 위튼 중위 역
  • * 잭 톰슨 - 제임스 프랜시스 토마스 소령 역
  • * 존 워터스 - 알프레드 테일러 대위 역


나머지 출연진은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룬다.

2. 2. 1. 주연


  • 에드워드 우드워드 - 해리 "브레이커" 모란트 중위 역
  • 브라이언 브라운 - 피터 핸콕 중위 역
  • 루이스 피츠제럴드 - 조지 램스데일 위튼 중위 역
  • 잭 톰슨 - 제임스 프랜시스 토마스 소령 역
  • 존 워터스 - 알프레드 테일러 대위 역
  • 로드 멀리너 - 찰스 볼턴 소령 역
  • 찰스 '버드' 팅웰 - 데니 중령 역
  • 테렌스 도노반 - 사이먼 헌트 대위 역
  • 앨런 캐슬 - 키치너 경 역
  • 빈센트 볼 - 해밀턴 대령 역
  • 레이 미거 - 드럼몬드 상사 역
  • 크리스 헤이우드 - 샤프 상병 역
  • 러셀 키펠 - 크리스티안 보타 역
  • 롭 스틸 - 로버트슨 대위 역
  • 크리스 스미스 - 카메론 상사 역
  • 프랭크 윌슨 - 존슨 박사 역
  • 브루노 크네즈 - 헤세 목사 역

2. 2. 2. 조연


  • 로드 멀리너 - 찰스 볼턴 소령 역
  • 찰스 '버드' 팅웰 - 데니 중령 역
  • 테렌스 도노반 - 사이먼 헌트 대위 역
  • 앨런 캐슬 - 키치너 경 역
  • 빈센트 볼 - 해밀턴 대령 역
  • 레이 미거 - 드럼몬드 상사 역
  • 크리스 헤이우드 - 샤프 상병 역
  • 러셀 키펠 - 크리스티안 보타 역
  • 롭 스틸 - 로버트슨 대위 역
  • 크리스 스미스 - 카메론 상사 역
  • 프랭크 윌슨 - 존슨 박사 역
  • 브루노 크네즈 - 헤세 목사 역

2. 3. 제작

자금 지원은 남호주 영화 위원회(SAFC), 호주 영화 위원회, 세븐 네트워크, 팩트 프로덕션에서 이루어졌다. 배급사인 로드쇼는 잭 톰슨의 배역을 강력히 요구했다.[9] 이 영화는 베레스포드가 남호주 영화 협회를 위해 제작하려 했던 두 편의 영화 중 두 번째였다. 그는 코라 탈출 사건을 다룬 영화 ''Breakout''을 제작하고 싶었지만, 만족스러운 각본을 찾지 못해 브레이커 모란트의 이야기로 방향을 틀었다.[9]

2. 4. 수상 내역

부문대상결과
AACTA상
(1980 AFI 시상식)
최우수 작품상매트 캐롤수상
최우수 감독상브루스 베레스포드수상
최우수 각본상조나단 하디, 데이비드 스티븐스, 브루스 베레스포드수상
최우수 남우주연상잭 톰슨수상
에드워드 우드워드후보
최우수 남우조연상루이스 피츠제럴드후보
브라이언 브라운수상
찰스 버드 팅웰후보
최우수 촬영상도널드 맥알파인수상
최우수 의상상안나 시니어수상
최우수 편집상윌리엄 M. 앤더슨수상
최우수 프로덕션 디자인상데이비드 코핑수상
최우수 음향상윌리엄 앤더슨, 지닌 키아블로, 필 저드, 게리 윌킨스수상
아카데미상최우수 각색상조나단 하디, 데이비드 스티븐스, 브루스 베레스포드후보
칸 영화제황금종려상브루스 베레스포드후보
남우조연상잭 톰슨수상
골든 글로브상최우수 외국어 영화상후보
캔자스시티 영화 비평가 협회최우수 외국어 영화수상
전미 비평가 위원회상톱 10 영화수상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최우수 외국어 영화2위


2. 5. 사운드트랙

체리 파이 뮤직(Cherry Pie Music, CPF 1046)에서 사운드트랙을 발매했다.

2. 6. 홈 미디어

2001년 REEL Corporation에서 104분 분량의 DVD가 출시되었다. 이미지 엔터테인먼트는 2008년 2월 5일 미국에서 다큐멘터리 "보어 전쟁(The Boer War)"을 포함하여 영화의 블루레이 디스크 버전을 출시했다(107분). 이 다큐멘터리는 영화에 묘사된 역사적 사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다. 2015년에는 크라이테리온 컬렉션에서 DVD와 블루레이로 영화를 출시했다.

3. 역사적 배경

영화는 제2차 보어 전쟁을 배경으로, 대영제국의 일원으로 참전한 호주 출신 모랜트 중위의 이야기를 다룬다. 모랜트는 남아프리카 연방에서 부시벨트 카빈니어스 부대 소속으로 복무했다.

3. 1. 제2차 보어 전쟁

모랜트 중위는 호주 제일의 야생마 조련사(Breaker)로, 대영제국의 일원으로 제2차 보어 전쟁에 참전했다.

3. 2. 부시벨트 카빈니어스

Bushveldt Carbineers영어남아프리카에 주둔했던 다국적 영국 기병 연대로, 제2차 보어 전쟁보어인 게릴라에 맞서 싸웠다. 1901년 2월 창설되어 1902년 5월 31일 전쟁이 끝날 때까지 활동했으며, 약 32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파괴자 모랜트'는 이 부대 소속이었던 해리 모랜트 중위의 이야기를 다룬다.

3. 3. 해리 "브레이커" 모란트

해리 "브레이커" 모란트 중위는 호주 출신으로, 뛰어난 야생마 조련 실력으로 "브레이커"라는 별명을 얻었다. 그는 대영제국의 일원으로 제2차 보어 전쟁에 참전하여 남아프리카에서 복무했다.[1]

모란트는 전쟁 중 여러 살인 사건에 연루되었다. 그는 부시벨트 카빈니어스라는 엘리트 부대 소속으로, 보어인 포로 살해와 독일인 선교사 헤세 목사 살해 혐의로 군사 재판을 받게 된다.[1]

모란트의 친구이자 지휘관이었던 헌트 대위가 보어인에게 살해당하고 시신이 훼손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분노한 모란트는 보어인 진지를 공격하여 헌트 대위의 재킷을 입고 있던 보어인을 체포, 처형했다. 또한, 모란트는 다른 여섯 명의 보어인 포로를 살해한 혐의도 받고 있다. 그는 "백기를 흔들면 우리는 보지 못해."라는 명령을 언급하며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려 했다.[1]

헤세 목사 살해 사건은 더욱 복잡하다. 모란트는 헤세 목사가 포로들과 대화하는 것을 보고 그를 스파이로 의심했지만, 확실한 증거는 없었다. 핸콕과의 대화 후, 핸콕이 헤세를 따라가 살해했고, 다음 날 아침 헤세는 총에 맞아 숨진 채 발견되었다.[1]

재판 과정에서 키치너 경은 평화 회담을 유리하게 이끌기 위해 모란트와 그의 동료들을 희생양으로 삼으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된다. 모든 보어인 포로를 사살하라는 키치너의 암묵적인 명령이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지만, 이는 구두로만 전달되어 증명하기 어려웠다.[1]

결국 법원은 모란트와 핸콕에게 유죄를 선고하고 총살형을 집행했다. 위튼은 종신형을 선고받았으나, 이후 전국적인 항의로 3년 만에 석방되어 ''제국의 희생양''이라는 책을 출간했다. 이 책은 영국에 대한 강한 반감을 드러내어 세계 대전 중에 금서로 지정되기도 했다.[1]

4. 논란과 재해석

영화 개봉 이후, 역사적 사실 왜곡 논란과 법적 공정성 문제가 제기되었다. 특히 빌헬름 2세 독일 황제의 항의 여부, 실제 피고인 수, 헌트 대위의 국적 등에서 영화와 실제 역사 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점이 지적되었다.[11][12][19] 또한, 재판 과정에서 키치너 경의 정치적 의도와 법원의 편향성으로 인해 피고인들이 공정한 재판을 받지 못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이 영화는 제2차 보어 전쟁을 배경으로 전쟁의 잔혹함, 개인의 윤리적 책임, 제국주의의 문제점을 다루고 있다. 모란트 중위와 그의 동료들이 전쟁의 광기 속에서 명령에 따라 살인을 저지르는 모습은 전쟁의 비극성을 보여준다. 또한, 키치너 경이 정치적 목적을 위해 모란트 등을 희생양으로 삼는 모습은 제국주의 국가의 비정한 현실을 반영한다.

4. 1. 역사적 정확성 논쟁

Breaker Morant영어남아프리카 연방에서 엘리트 부대인 부시벨트 카빈니어스 소속 호주 장교 세 명의 살인 재판을 다룬 영화이다. 영화에서는 역사적 사실과 다른 부분이 존재하여 논쟁을 일으켰다.[11]

  • 독일 정부의 항의: 영화에서 빌헬름 2세 황제가 헤세 목사(독일 시민으로 묘사) 살해에 대해 공식 항의했다고 묘사되지만, 남아프리카 역사가 찰스 리치에 따르면 이는 "공식 채널을 통해 증명될 수 없다"고 한다.[12] 영국 하원 질의에서도 육군성, 외무성, 키치너 경 모두 "독일 정부를 대신하여" 어떠한 통신도 받지 않았다고 답변했다. 국제법상 헤세는 케이프 식민지 출신으로 "기술적으로 말하면 독일 시민이 아닌 영국 시민"이었기 때문에 독일 정부는 항의할 근거가 없었다.[12]
  • 피고인의 수: 영화에서는 모란트, 핸콕, 위튼 세 명만 재판을 받는 것으로 묘사되지만, 실제로는 다른 세 명의 피고인이 더 있었다.[11]
  • 헨리 픽턴 중위: 영국 출신 호주군 부시벨트 기병대 장교로, 부상당한 포로 처형 후 ''최후의 일격''을 가한 혐의로 과실치사 유죄 판결을 받고 제적 처분.[11]
  • 앨프레드 제임스 테일러 대위: 군 정보부의 포트 에드워드 사령관, 무장하지 않은 아프리카너 남성과 소년 6명 살해, 돈과 가축 절도, 부시벨트 기병대 기병 1명 살해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무죄.[12]
  • 로버트 레네한 소령: 부시벨트 기병대의 호주 야전 사령관, 포로 사격을 반대했던 부시벨트 기병대 기병 1명의 살인 사건 은폐 혐의로 유죄 판결, 견책 처분.[13]
  • 헌트 대위의 국적: 영화에서 헌트 대위는 오스트레일리아 억양을 가진 것으로 묘사되지만, 남아프리카 역사가 찰스 리치에 따르면 헌트는 영국인이며, 키치너의 전투 정찰대 전직 중위였다.[19]


역사적 정확성 논쟁
영화 속 묘사실제 사실비고
독일 정부의 헤세 목사 살해 항의공식 기록 없음, 헤세는 영국 시민독일 정부 항의 근거 없음[12]
세 명의 피고인 (모란트, 핸콕, 위튼)여섯 명의 피고인헨리 픽턴, 앨프레드 테일러, 로버트 레네한 추가[11][12][13]
오스트레일리아인 헌트 대위영국인 헌트 대위키치너 전투 정찰대 출신[19]


4. 2. 법적 공정성 문제

Breaker Morant영어남아프리카 연방에서 엘리트 부대인 부시벨트 카빈니어스 소속 호주 군인 세 명에 대한 살인 재판을 다룬다. 해리 "브레이커" 모란트, 피터 핸콕, 조지 위튼은 보어인 포로 1명과 이후 6명을 추가로 살해한 혐의를 받고 있다. 모란트와 핸콕은 독일인 선교사 헤세 목사를 저격 방식으로 살해한 혐의도 받고 있다. 이들의 변호인 토마스 소령은 변호를 준비할 시간이 단 하루밖에 주어지지 않았다.

키치너 경은 평화 회담을 통해 제2차 보어 전쟁을 종식시키고자 재판을 명령했다. 그는 모란트 재판을 통해 전쟁 규칙을 위반하는 자신의 군인들을 가혹하게 심판할 의향이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현역 군인에게 살인죄를 적용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지만, 키치너는 유죄 판결을 확정하려 했고 법원장도 그를 지지했다.

재판 과정에서 유죄 판결을 위한 법원의 편향성과 그 뒤에 숨겨진 정치적 술책이 드러난다. 핵심은 키치너가 모든 보어인 포로를 사살하라는 명령을 내렸는지 여부이다. 토마스 소령은 암묵적, 즉 문서화되지 않은 명령이 있었다고 주장한다. 이 명령은 헌트에게 구두로 전달되었고, 헌트가 모란트에게 전달했기 때문에 명령의 존재를 증명할 방법이 없다.

법원은 헤세 목사 살인에 대해서는 무죄를 선고했지만, 다른 두 가지 혐의에 대해서는 유죄를 선고했다.

4. 3. 영화에 대한 다양한 해석

이 영화는 제2차 보어 전쟁이라는 역사적 배경 속에서 전쟁의 잔혹함과 개인의 윤리적 책임, 그리고 제국주의의 문제점을 복합적으로 다루고 있다.

  • 전쟁의 잔혹함과 비인간성: 주인공 모란트 중위와 그의 동료들은 전쟁의 광기 속에서 인간성을 상실하고, 명령에 따라 무자비한 살인을 저지르게 된다. 특히, 친구의 죽음에 대한 복수로 보어인 포로를 처형하는 장면은 전쟁의 비극성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 개인의 책임과 양심: 모란트는 상관의 명령에 따랐다고 주장하지만, 자신의 행동에 대한 도덕적 책임을 회피할 수 없다. 그는 결국 자신의 양심과 법 사이에서 갈등하며,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 제국주의와 정치적 희생양: 키치너 경은 평화 회담을 성공시키기 위해 모란트와 그의 동료들을 희생양으로 삼는다. 이는 제국주의 국가들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개인을 도구화하는 비정한 현실을 반영한다.
  • 정의와 불의: 재판 과정에서 법원은 유죄 판결을 내리기 위해 편파적인 태도를 보이고, 정치적인 술수를 동원한다. 이는 정의가 권력에 의해 왜곡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호주의 입장: 호주 출신 군인들이 영국의 전쟁에 동원되어 희생되는 모습은, 당시 호주가 대영제국의 식민지로서 겪어야 했던 억압과 불이익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특히, 석방 후 모란트 사건을 기록한 ''제국의 희생양''이 세계 대전 중에 금서가 된 것은 이러한 역사적 맥락을 반영한다.


이러한 다양한 해석들은 영화가 단순한 전쟁 영화를 넘어, 인간의 본성과 권력의 속성, 그리고 역사적 정의에 대한 심오한 질문을 던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5. 한국의 관점

영화 《파괴자 모랜트》는 호주 출신 모랜트 중위가 남아프리카 보어전쟁에 참전하여 여러 살인을 저지르고, 국제 정치의 소용돌이 속에서 군사재판을 받고 사형당하는 과정을 다룬다. 이 영화의 내용은 일제강점기를 겪은 한국의 역사적 경험과 연결하여 해석할 수 있다.[1]

모랜트 중위의 이야기는 일제강점기에 한국인들이 강제로 전쟁에 동원되거나, 일본 제국주의의 폭력적인 통치 아래에서 고통받았던 역사적 사실과 연결된다. 이를 통해 제국주의 전쟁의 부당함, 개인의 양심, 전쟁범죄와 같은 문제들을 제기하며, 한국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1]

참조

[1] 서적 How I Made a Hundred Movies in Hollywood and Never Lost a Dime Muller 1990
[2] 서적 American film distribution : the changing marketplace https://archive.org/[...] UMI Research Press
[3] 문서 Subsequent to the film's release, Ross – who began writing under the name "Kenneth Ross" to set himself apart from other creative Australians known as "Ken Ross" – found that he must write under the name of "Kenneth G. Ross" to distinguish himself from that other, also famous, Kenneth Ross: the Scottish/American Kenneth Ross who was the scriptwriter for ''[[The Day of the Jackal (film)|The Day of the Jackal]]''.
[4] 문서 Kit Denton's 1973 book ''The Breaker'' was not the source (see [[Kenneth G. Ross#Legal action against Angus & Robertson|Ross' litigation]] for details).
[5] 뉴스 Breaker Morant: a veldt Vietnam https://news.google.[...] The Age 1980-07-04
[6] 웹사이트 Kangaroo Court: On Bruce Beresford's Breaker Morant http://brightlightsf[...] 2013-04-30
[7] 간행물 2012
[8] 웹사이트 Phone interview with Bruce Beresford https://archive.toda[...] 1999-05-15
[9] 서적 The Last New Wave: The Australian Film Revival Angus & Robertson 1980
[10] 간행물 2012
[11] 간행물 2012
[12] 간행물 2012
[13] 간행물 2012
[14] 간행물 2012
[15] 서적 Breaker Morant and the Bushveldt Carbineers Van Riebeeck Society 1987
[16] 간행물 2012
[17] 간행물 2012
[18] 서적 In Search of Breaker Morant 1979
[19] 간행물 2012
[20] 간행물 2012
[21] 웹사이트 George Witton and the Breaker Morant Affair https://web.archive.[...]
[22] 웹사이트 Breaker Morant (1980) https://www.rottento[...] 2021-01-03
[23] 웹사이트 Breaker Morant http://tarlton.law.u[...] 1997
[24] 웹사이트 Breaker Morant http://pegasus.cc.uc[...] 2009-07-24
[25] 간행물 Top Ten Corman – Part Four, Connections with Australia https://www.filmink.[...] 2024-05-17
[26] 웹사이트 Phone interview with Bruce Beresford https://archive.toda[...] 1999-05-15
[27] 웹사이트 Film Victoria – Australian Films at the Australian Box Office http://film.vic.gov.[...]
[28] 웹사이트 Inflation Calculator http://www.rba.gov.a[...] Reserve Bank of Australia 2015-10-30
[29]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Australian Chart Bo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