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마리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라마리보는 수리남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수리남 강 어귀에 위치해 있다. 1613년 네덜란드인에 의해 무역 기지가 건설되면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영국과 네덜란드의 지배를 거쳐 1975년 수리남 독립 이후 수도가 되었다. 파라마리보는 열대 우림 기후이며, 다양한 민족 구성과 함께 수리남의 상업, 금융, 관광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17세기와 18세기에 건설된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의 역사적 중심지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주요 명소로는 대통령궁, 성 베드로 성 바울 대성당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메리카에 위치한 수도 - 부에노스아이레스
부에노스아이레스는 아르헨티나의 수도이자 자치시로, 16세기 건설과 재건을 거쳐 아르헨티나 독립의 중심지였으며 유럽 이민자 유입으로 남미 최대 도시 중 하나로 성장하여 풍부한 문화와 역사를 자랑한다. - 남아메리카에 위치한 수도 - 브라질리아
브라질리아는 브라질의 수도로, 1960년 내륙 개발과 국토 균형 발전을 목표로 건설되었으며, 십자가 형태의 도시 구조와 모더니즘 건축 양식으로 유명하다. - 수리남의 도시 - 렐리도르프
렐리도르프는 수리남 와니카 구역에 있는 마을로, 원래 코피 돔포였으나 1905년 코르넬리스 렐리 총독의 이름을 따 개명되었고, 다양한 인종 구성과 자바 이주민의 영향, 주요 시설인 카리브 센터 컨퍼런스 센터, 네오트로피컬 나비 공원, 와니카 지역 병원이 특징이다. - 수리남의 도시 - 니우암스테르담 (수리남)
수리남 코메위네 구에 위치한 니우암스테르담은 1734년 건설된 요새에서 시작하여 오버 코메위네 구의 수도가 되었으며, 검역소와 감옥으로도 사용되었지만, 2000년 다리 개통으로 다른 지역과 연결되었고 람세와크 샹카르 대통령의 출생지이기도 하다.
파라마리보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도시 이름 | 파라마리보 |
별칭 | 파르보, "수리남의 파리" |
공식 명칭 | Paramaribo |
로마자 표기 | Paramaribo |
위치 | 수리남 및 남아메리카 |
설립일 | 1613년 |
면적 | 182 제곱킬로미터 |
해발 고도 | 3 미터 |
시간대 | 수리남 표준시 |
UTC 오프셋 | -03:00 |
일광 절약 시간 | (미관찰) |
행정 구역 | |
국가 | 수리남 |
지역 | 파라마리보 구 |
인구 | |
총 인구 | 240,924 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인구 조사 기준 시점 | 2012년 |
기타 정보 | |
세계 유산 | 파라마리보 역사 지구 |
2. 이름
이 도시는 수리남 강 어귀에 살았던 파라마리보(Paramaribo) 부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이름은 투피-과라니어에서 유래했는데, 'para'는 "큰 강"을, 'maribo'는 "주민"을 뜻한다.[2]
3. 역사
파라마리보라는 이름은 원주민 마을 이름에서 변형된 것으로 보이며, 가장 오래된 네덜란드 자료에는 Parmurbo로 표기되어 있다.[3] 1613년 니콜라스 발리스텔(Nicolaes Baliestel)과 디르크 클라스존 반 사넨(Dirck Claeszoon van Sanen)이 이곳에 무역 기지를 세워 최초의 네덜란드 정착지가 되었다.[3] 1644년에는 현재 파라마리보 근처에 프랑스인들이 세운 기지가 있을 정도로 영국과 프랑스 상인들도 수리남에 정착을 시도했다.
1650년 영국 정착민들이 수리남을 건설하기 위해 도착하기 전까지는 모든 초기 정착지가 버려진 상태였다. 바베이도스 총독 윌로비 남작 프랜시스(Lord Francis Willoughby, 5th Baron Willoughby of Parham)가 파견한 이들은 파라마리보 부지에 도시를 건설했으며, 이 도시는 윌로비 요새로 보호받았다. 1662년 윌로비 총독은 찰스 2세로부터 이 정착지와 주변 토지를 하사받았고, 1665년경 파라마리보 마을이 확장되면서 이전 정착지인 토라리카를 빠르게 능가했다.[4]
1667년 제2차 영국-네덜란드 전쟁 중 아브라함 크레인센(Abraham Crijnssen)이 이끄는 함대에 의해 파라마리보가 정복되었다. 같은 해 브레다 조약으로 파라마리보는 네덜란드 식민지 수리남의 주요 도시로 확정되었고, 요새는 제일란디아 요새로 이름이 바뀌었다.
파라마리보의 인구는 다양하게 구성되었다. 최초의 영국 정착민 중에는 유대인들이 많았으며,[5] 아메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회당 중 하나인 네베 샬롬 회당(Neveh Shalom Synagogue)이 파라마리보에 있다.[6] 1863년 노예 해방 후 1873년부터 전 노예들이 농장을 떠날 수 있게 되면서 도시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
파라마리보는 식민지 시대부터 1975년 수리남 독립 이후 현재까지 수도 역할을 하고 있다. 구시가지는 1821년 1월(400채 이상 건물 파괴)과 1832년 9월(약 50채 건물 파괴) 등 여러 차례 큰 화재를 겪었다.[7] 방화 혐의로 노예 코조, 멘토, 프레젠트가 화형당했다.[8]
1972년 5월 파라마리보 동물원이 개장했고,[9] 1987년 수리남 행정 개편으로 파라마리보는 12개 행정 지구로 나뉘었다.
3. 1. 초기 역사
파라마리보라는 이름은 원주민 마을 이름에서 변형된 것으로 보이며, 가장 오래된 네덜란드 자료에는 Parmurbo로 표기되어 있다.[3] 1613년 니콜라스 발리스텔(Nicolaes Baliestel)과 디르크 클라스존 반 사넨(Dirck Claeszoon van Sanen)이 이곳에 무역 기지를 세우면서 최초의 네덜란드 정착지가 되었다.[3] 영국과 프랑스 상인들 또한 수리남에 정착을 시도했는데, 1644년에는 현재 파라마리보 근처에 프랑스인들이 세운 기지가 있었다.
1650년 영국 정착민들이 수리남을 건설하기 위해 도착하기 전까지 모든 초기 정착지는 버려졌다. 바베이도스 총독인 윌로비 남작 프랜시스(Lord Francis Willoughby, 5th Baron Willoughby of Parham)가 파견한 이들은 파라마리보 부지(아마도 현재 시가지 남쪽)에 도시를 건설했다. 이 도시는 윌로비 요새라는 요새로 보호되었다. 1662년 윌로비 총독은 찰스 2세 국왕으로부터 이 정착지와 주변 토지(수리남 내륙까지 확장)를 하사받았다. 1665년경 파라마리보 마을이 확장되면서 이전 정착지인 토라리카를 빠르게 능가했다.[4]
1667년 제2차 영국-네덜란드 전쟁 중에 파라마리보는 아브라함 크레인센(Abraham Crijnssen)이 이끄는 함대에 의해 정복되었다. 1667년 브레다 조약은 파라마리보를 이제 네덜란드 식민지인 수리남의 주요 도시로 확정했다. 파라마리보를 보호하는 요새는 크레인센의 함대에 자금을 지원했던 네덜란드 주의 이름을 따서 제일란디아 요새로 개명되었다. (도시 이름도 뉴 미들부르크(New Middelburg)로 바뀌었지만, 주민들에게는 통용되지 않았다).
파라마리보의 인구는 항상 매우 다양했다. 최초의 영국 정착민들 중에는 많은 유대인들이 있었고,[5] 아메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회당 중 하나인 네베 샬롬 회당(Neveh Shalom Synagogue)이 파라마리보에 있다.[6] 1863년 노예 해방 후 1873년부터 전 노예들이 전 주인을 위해 일하는 것을 멈추고 사탕 수수 농장을 떠날 수 있게 되면서 도시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
파라마리보는 식민지 시대부터 1975년 수리남 독립 이후 현재까지 수리남의 수도이다. 구시가지는 수년간 많은 파괴적인 화재를 겪었는데, 특히 1821년 1월(400개 이상의 건물이 파괴됨)과 1832년 9월(약 50개의 건물이 파괴됨)이 대표적이다.[7] 노예 코조, 멘토, 프레젠트는 방화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화형당했다.[8]
1972년 5월 파라마리보 동물원이 개장했다.[9] 1987년 수리남의 행정 개편으로 도시는 12개의 행정 지구(관할 구역)로 나뉘었다.
3. 2. 영국 식민지 시대
파라마리보라는 이름은 원주민 마을 이름이 변형된 것으로 보이며, 가장 오래된 네덜란드 자료에는 Parmurbo로 표기되어 있다.[3] 1613년 니콜라스 발리스텔(Nicolaes Baliestel)과 디르크 클라스존 반 사넨(Dirck Claeszoon van Sanen)이 이곳에 무역 기지를 세우면서 최초의 네덜란드 정착지가 되었다.[3] 1644년에는 파라마리보 근처에 프랑스인들이 세운 기지가 있을 정도로 영국과 프랑스 상인들 또한 수리남에 정착을 시도했다.
1650년 영국 정착민들이 수리남을 건설하기 위해 도착하기 전까지 모든 초기 정착지는 버려졌다. 바베이도스 총독인 윌로비 남작 프랜시스(Lord Francis Willoughby, 5th Baron Willoughby of Parham)가 파견한 이들은 파라마리보 부지(아마도 현재 시가지 남쪽)에 도시를 건설했다. 이 도시는 윌로비 요새라고 불리는 요새로 보호되었다. 1662년 윌로비 총독은 찰스 2세 국왕으로부터 이 정착지와 주변 토지(수리남 내륙까지 확장)를 하사받았다. 1665년경 파라마리보 마을이 확장되면서 이전 정착지인 토라리카를 빠르게 능가했다.[4]
3. 3.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
파라마리보라는 이름은 원주민 마을 이름이 변형된 것으로 보이며, 가장 오래된 네덜란드 자료에는 Parmurbo로 표기되어 있다.[3] 1613년 니콜라스 발리스텔(Nicolaes Baliestel)과 디르크 클라스존 반 사넨(Dirck Claeszoon van Sanen)이 이곳에 무역 기지를 설립하면서 최초의 네덜란드 정착지가 되었다.[3] 영국과 프랑스 상인들 또한 수리남에 정착을 시도했는데, 1644년 현재 파라마리보 근처에 프랑스인들이 세운 기지가 있었다.
1650년 영국 정착민들이 수리남을 건설하기 위해 도착하기 전, 모든 초기 정착지는 버려졌다. 바베이도스 총독인 윌로비 남작 프랜시스(Lord Francis Willoughby, 5th Baron Willoughby of Parham)가 파견한 이들은 파라마리보 부지(아마도 현재 시가지 남쪽)에 도시를 건설했다. 이 도시는 윌로비 요새라고 불리는 요새로 보호되었다. 1662년 윌로비 총독은 찰스 2세 국왕으로부터 이 정착지와 주변 토지(수리남 내륙까지 확장)를 하사받았다. 1665년경 파라마리보 마을이 확장되면서 이전 정착지인 토라리카를 빠르게 능가했다.[4]
1667년 제2차 영국-네덜란드 전쟁 중에 아브라함 크레인센(Abraham Crijnssen)이 이끄는 함대에 의해 파라마리보가 정복되었다. 1667년 브레다 조약은 파라마리보를 네덜란드 식민지인 수리남의 주요 도시로 확정했다. 파라마리보를 보호하는 요새는 크레인센의 함대에 자금을 지원했던 네덜란드 주의 이름을 따서 제일란디아 요새로 개명되었다. (도시 이름도 뉴 미들부르크(New Middelburg)로 바뀌었지만, 주민들에게는 통용되지 않았다).
파라마리보의 인구는 항상 매우 다양했다. 최초의 영국 정착민들 중에는 많은 유대인들이 있었고,[5] 아메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회당 중 하나인 네베 샬롬 회당(Neveh Shalom Synagogue)이 파라마리보에 있다.[6] 1863년 노예 해방 후, 1873년부터 전 노예들이 전 주인을 위해 일하는 것을 멈추고 사탕수수 농장을 떠날 수 있게 되면서 도시 인구가 크게 증가했다.
파라마리보는 식민지 시대부터 1975년 수리남 독립 이후 현재까지 수리남의 수도이다. 구시가지는 수년간 많은 파괴적인 화재를 겪었는데, 특히 1821년 1월(400개 이상의 건물이 파괴됨)과 1832년 9월(약 50개의 건물이 파괴됨)이 대표적이다.[7] 노예 코조, 멘토, 프레젠트는 방화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화형당했다.[8]
3. 4. 독립 이후
파라마리보는 수리남의 수도로서 식민지 시대부터 1975년 수리남 독립 이후 현재까지 그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구시가지는 수년간 여러 차례 큰 화재 피해를 보았는데, 특히 1821년 1월에는 400채 이상의 건물이 파괴되었고, 1832년 9월에는 약 50채의 건물이 소실되었다.[7] 노예 코조, 멘토, 프레젠트는 방화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화형에 처해졌다.[8]
1972년 5월에는 파라마리보 동물원이 문을 열었다.[9] 1987년에는 수리남의 행정 구역 개편이 이루어져 파라마리보는 12개의 행정 지구로 나뉘었다.
4. 지리
이 도시는 수리남 강에 위치하며, 대서양에서 약 15km 내륙에 있으며 파라마리보 지구에 속한다.[1]
5. 기후
파라마리보는 쾨펜의 기후 분류에 따라 열대 우림 기후(''Af'')에 속한다. 파라마리보는 무역풍보다 열대 수렴대의 영향을 더 많이 받으며, 열대성 저기압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적도 기후로 분류된다. 이 도시에는 진정한 건기가 없으며, 연중 12개월 모두 평균 강수량이 60mm를 넘지만, 연중 강수량이 현저하게 많은 시기와 적은 시기가 있다. 북반구의 "가을"(9월~11월)은 파라마리보에서 가장 건조한 시기이며, 가장 많은 강수량은 4월부터 7월까지 발생한다. 이러한 기후를 가진 많은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연중 기온은 비교적 일정하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 | 29.2°C | 29.4°C | 28.7°C | 29.9°C | 30°C | 30.2°C | 30.7°C | 31.5°C | 32°C | 32.1°C | 31.2°C | 30°C | 30.4°C |
일 평균 기온 (°C) | 27.1°C | 27.3°C | 27.7°C | 27.9°C | 27.6°C | 27.4°C | 27.8°C | 28.7°C | 29.3°C | 29.3°C | 28.5°C | 27.5°C | 28°C |
평균 최저 기온 (°C) | 24.1°C | 23.2°C | 23.5°C | 24.5°C | 23.7°C | 24.4°C | 24.4°C | 24.6°C | 25.1°C | 25.1°C | 24.8°C | 24.2°C | 24.3°C |
평균 강수량 (mm) | 172.7mm | 146.2mm | 130.5mm | 215.8mm | 306.6mm | 295.6mm | 234.3mm | 147.7mm | 90.3mm | 86.5mm | 125.7mm | 183.7mm | 2135.5mm |
평균 강수일수 (≥ 3.0 mm) | 15 | 12 | 14 | 16 | 22 | 22 | 20 | 15 | 11 | 12 | 13 | 18 | 190 |
평균 상대 습도 (%) | 76.1 | 74.4 | 73.2 | 76.2 | 79.4 | 80.2 | 77.4 | 74.0 | 70.9 | 71.0 | 75.6 | 78.3 | 75.6 |
6. 인구
파라마리보의 인구는 2012년 인구 조사 기준 240,924명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인구 증가가 정체되어 있지만, 주변 와니카 지구의 많은 도시들은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13]
이 도시는 다양한 민족 구성으로 유명하다. 인구 구성은 다음과 같다.
민족 | 비율 |
---|---|
크리올인(아프리카계 또는 혼혈 아프리카-유럽계) | 27% |
인도계 수리남인 | 23% |
다민족 | 18% |
마룬인(탈출한 노예 아프리카인의 후손) | 16% |
자바계 수리남인 | 10% |
수리남 원주민 | 2% |
중국계 수리남인 | 1.5% |
기타 (백인 수리남인(주로 네덜란드계와 포르투갈계), 레바논인, 유대인 등) | 소수 |
지난 수십 년 동안 상당수의 브라질인, 가이아나인, 그리고 새로운 중국계 이민자들이 파라마리보에 정착했다.
7. 경제
파라마리보는 수리남의 상업 및 금융 중심지이다. 수도 자체는 많은 상품을 생산하지 않지만, 금, 석유, 보크사이트, 쌀, 열대 목재 등 수리남 주요 수출품에서 발생하는 거의 모든 수입이 파라마리보의 기관들을 통해 유통된다. 모든 은행, 보험 회사, 기타 금융 및 상업 회사들은 파라마리보에 본사를 두고 있다. 수리남 GDP의 약 75%가 파라마리보에서 소비된다.
관광은 점점 더 중요한 부문이 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관광객은 네덜란드에서 온다.[12]
8. 행정 구역
행정적으로 파라마리보는 수리남의 자체 지구를 형성한다. 따라서 파라마리보 지구의 레소르트는 도시의 자치구에 해당한다. 파라마리보 지구에는 12개의 레소르트가 있다.[13]
9. 교통
파라마리보는 요한 아돌프 펭겔 국제공항과 국내선 운항을 위한 조르흐 엔 후프 공항을 이용한다. 동서 연결 도로의 일부인 줄스 위덴보쉬 다리는 파라마리보를 수리남 강 건너편의 메에르조르흐와 연결한다.
줄스 세드니 항구는 주요 화물 항구이다.[14] 이전의 와터칸트 항구는 페리가 사용한다.[15]
검 에어, 카리콤 항공, 블루 윙 항공 등 대부분의 항공사는 파라마리보의 조르흐 엔 후프 공항 부지에 본사를 두고 있다. 요한 아돌프 펭겔 국제공항은 45km 남쪽에 위치해 있다.
10. 교육
수리남 안톤 드 콤 대학교는 수리남의 유일한 대학교이며, 파라마리보에 있는 고등 교육 기관이다.
11. 의료
파라마리보에는 파라마리보 아카데믹 병원(Academic Hospital Paramaribo), 스 란츠 병원('s Lands Hospitaal), 신트 빈센티우스 병원(Sint Vincentius Hospital), 디아코네센후이스 등 네 개의 병원이 있다.
12. 파라마리보의 역사적 중심 지역
17세기와 18세기에 건설된 네덜란드 식민지 도시는 2002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16] 역사적 중심지는 수리남 강의 왼쪽 강둑을 따라 위치해 있다. 건물의 원래 건축 양식과 도로 계획은 대부분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13. 주요 명소
- 제란디아 요새
- 수리남 대통령궁
- 로마 가톨릭 성 베드로 성 바울 대성당
- 수리남 모스크
- 수리남 국회
- 네베 샬롬 회당
- 아리아 디와커 힌두 사원
- 종려나무 정원 - 대통령궁 뒤편의 왕립 야자수 조경 정원
- 센트룸케르크
- 콰코에 - 노예 해방 기념비
14. 주요 인물
이름 | 설명 |
---|---|
애슈윈 아딘 |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수리남의 부통령을 역임한 정치인이다.[17] |
로니 알로에마 | 축구 선수 |
마르텐 아트모디코로 | 축구 선수 |
레기 블링커 | 축구 선수 |
레미 본야스키 | 킥복서 |
에드손 브라프하이트 | 축구 선수 |
로메오 카스텔렌 | 축구 선수 |
오드리 크리스티안 | 활동가 |
어거스타 쿠리엘 | 사진작가[18] |
에드가르 다비드스 | 축구 선수 |
스탠리 프랭커 | 테니스 선수 |
헨크 프레이저 | 축구 선수 |
울리히 판 고벨 | 축구 선수 |
마조이에 하자리 | 작곡가, 피아니스트 |
지미 플로이드 하셀바잉크 | 축구 선수 |
루스 자콧 | 가수, 1993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네덜란드 대표 |
제리 더 용 | 축구 선수 |
라젠드레 카르기 | 언론인, 네덜란드 대사[19] |
켈빈 레르담 | 축구 선수 |
코엔라드 판 리어 | 의사, 정치인[20] |
장구 마크로이 | 가수, 2020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및 202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네덜란드 대표 |
스탠리 멘조 | 축구 선수 |
펠리페 엔리케 네리, 바론 드 바스트롭 | 텍사스의 영국계 미국인 정착에 자금을 지원한 사업가이자 지주 |
핌 더 라 파라 | 감독 |
허먼 레이카르트 | 축구 선수 |
앤디 리스티 | 킥복서 |
자이르지뉴 로젠스트루이크 | 종합격투기 선수이자 킥복서 |
그레이스 슈나이더스-하워드 | 공무원/정치인[21] |
클라렌스 세이도르프 | 축구 선수 |
안드웰 슬로리 | 축구 선수 |
타이론 스퐁 | 킥복서이자 권투 선수 |
레질리오 투르 | 권투 선수 |
마크 더 브리스 | 축구 선수 |
파비안 윌니스 | 축구 선수 |
아론 윈터 | 축구 선수 |
15. 자매 도시
도시 | 국가 |
---|---|
광주광역시 | {{lang|ko|대한민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