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색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색성은 684년 덴무 천황이 제정한 신분 제도로, 고대 일본 사회의 지배 구조를 재편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이는 씨족 제도를 개혁하고 새로운 국가 체제에 적응하기 위한 관료제 창조 정책의 일환이었다. 팔색성은 마히토, 아손, 스쿠네 등의 새로운 성(姓)을 부여하여 황족의 지위를 높이고, 중앙 귀족과 지방 호족을 구별했다. 나라 시대부터 헤이안 시대에 걸쳐 아손 성을 칭하는 씨족이 번성하면서 성 자체의 의미는 퇴색되었으나, 메이지 시대까지 성을 칭하는 관습은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 (씨성제) - 스쿠네
스쿠네는 과거 일본에서 사용된 칭호 또는 성씨로, 이나리야마 검에서 가장 오래된 사용례를 찾아볼 수 있으며, 5세기 이전에는 기내 지방 호족이 사용하다가 684년에 성이 되었다. - 684년 일본 - 하쿠호 지진
684년에 일본에서 발생한 하쿠호 지진은 일본서기에 기록된 대규모 지진으로, 산사태, 하천 범람, 건물 붕괴, 특히 쓰나미로 인해 도사 지역에 심각한 피해를 초래했으며, 난카이 지진의 가장 오래된 기록 중 하나이고 덴무 천황 시대의 활발한 지진 활동과 함께 발생했다. - 덴무 천황 - 다이호 율령
다이호 율령은 701년 일본에서 당나라 율령을 토대로 제정된 법전으로, 율은 당나라 것을 따르고 령은 일본 실정에 맞게 수정되었으며, 천황 중심의 중앙 집권 체제 확립과 행정 효율성 및 투명성 증진, 그리고 통일 국가 건설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지만, 원문은 전해지지 않고 양로령을 바탕으로 복원 중이다. - 덴무 천황 - 야쿠시지
야쿠시지는 아스카 시대에 덴무 천황이 창건을 시작하여 헤이조쿄로 이전된 후 재건된 사찰로, 국보인 약사여래삼존상 등을 보유하며 다양한 문화재와 건축 양식을 보여주고 봉납 콘서트가 열리는 문화 공간으로 활용된다.
팔색성 | |
---|---|
기본 정보 | |
국호 | 팔색성 |
한자 표기 | 八色の姓 |
로마자 표기 | Yakusa no Kabane |
개요 | |
내용 | 덴무 천황 13년(684년)에 제정된 새로운 가바네 제도임. 기존의 가바네 제도를 폐지하고 새롭게 제정함. |
팔색성 | |
마히토 (眞人) | 아베노 씨, 오미노 씨, 사루메노 씨, 이시노 씨, 구스노 씨, 다카하타노 씨, 히가시노후부 씨, 도모노 씨 등 |
아손 (朝臣) | 나카토미 씨, 오토모 씨, 무라쿠니 씨, 이세노 씨, 다지히노 씨, 하타모토노 씨, 소카베노 씨, 하야시노 씨, 미와노 씨 등 |
스쿠네 (宿禰) | 소가 씨, 가지와라노 씨, 하제 씨, 미야케노 씨, 히가시노와니 씨, 헤구리 씨, 도모노미야쓰코 씨, 지카쓰아헤노 씨, 단바노무라지 씨 등 |
이미키 (忌寸) | 이노우에노 씨, 사사키베노 씨, 미나부치노 씨, 도모노와니 씨 등 |
미치노시 (道師) | 야마토노아야 씨 |
오미 (臣) | 무라야마노 씨, 아헤노 씨, 고세노 씨, 하카베노 씨 등 |
무라지 (連) | 오토리 씨, 가스가 씨, 히가시노후케 씨, 쓰쿠시노무라지 씨, 시나노무라지 씨 등 |
이나기 (稲置) | 지방 호족들에게 주어짐 |
2. 제정 배경 및 목적
덴무 천황은 684년 10월 1일에 조칙을 내려 팔색성 제정을 선포했다. 이는 단순히 신분 제도를 바꾸는 것을 넘어, 고대 일본 사회의 지배 구조를 근본적으로 재편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고어습유』는 팔색성을 임신 정변의 포상으로 보고 있지만, 공신에 대한 포상은 주로 위계로 이루어졌으며, 오타 료, 구로이타 가쓰미, 사카모토 타로 등의 연구자들은 덴무 천황에 의한 씨족 제도의 재편책으로 보고 있다. 구로이타 가쓰미는 덴무 천황이 고대 이래의 씨족제를 시대에 적응시키려 한 것으로, 메이지 시대에 화족, 사족, 평민으로 인민의 구분을 나눈 것과 맞먹는 대개혁이라고 평했다.
종래의 신(臣)·렌(連)·도모노조·쿠니노조라는 신분 질서에 대해, 신(臣)·렌(連) 중에서 천황 일족과 관계가 깊은 자들만을 추출하여 마히토(真人)·아손(朝臣)·스쿠네(宿禰)의 성(姓)을 부여하고 새로운 신분 질서를 만들어 황족의 지위를 높였다. 상급 관료와 하급 관료의 가문을 명확히 하는 동시에, 중앙 귀족과 지방 호족을 뚜렷이 구별했다. 다만, 모든 성을 이 제도에 적용한 것은 아니며, 종래 있던 성은 그대로 남겨졌다. 그 때문에 예로부터 있던 키미(君)·신(臣)·렌(連)·도모노조(伴造)·쿠니노조(国造) 등도 그대로 남아 있었다. 종래부터 있던, 신(臣)·렌(連)의 성보다 상위의 지위에 해당하는 성을 만듦으로써, 종래의 씨족과의 차이를 두려 했다는 시각도 있다.
680년 (덴무 10) 아스카 기요미하라령의 선정 시작에서 드러나듯이, 또한 팔색성의 조에도 나타나듯이, 종래의 씨족 제도를 개혁하고 새로운 국가 체제에 즉응할 수 있는 관료제 창조 정책의 일환이었다.
2. 1. 각 성(姓)의 의미와 특징
3. 팔색성 제도 이후의 변화
680년(덴무 10) 아스카 기요미하라령의 선정에서 볼 수 있듯이, 팔색성 제도는 종래의 씨족 제도를 개혁하고 새로운 국가 체제에 맞는 관료제를 만들기 위한 정책이었다. 나라 시대부터 헤이안 시대에 걸쳐 아손(朝臣) 성을 칭하는 미나모토, 타이라, 후지와라, 타치바나의 4성이 번성하였고, 스가와라, 반 씨 등 다른 성씨에서 아손 성을 받는 씨족이 증가하면서 성(姓) 자체는 큰 의미를 갖지 않게 되었다. 그러나 그 후에도 성을 칭하는 관습은 남아 메이지 시대의 본성 폐지 때까지 이어졌다.
4. 한국사와의 비교 및 평가
참조
[1]
논문
長忌寸意吉麻呂伝考
大妻女子大学文学部
[2]
서적
藤原仲麻呂-古代王権を動かした異能の政治家
中央公論新社
2021-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