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팥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팥밥은 멥쌀과 팥으로 만든 밥으로,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널리 먹는 음식이다. 한국의 팥밥은 겨울철이나 명절, 생일에 먹는 전통 음식이며, 팥을 불린 쌀과 함께 끓여 만든다. 중국에서는 장쑤성을 중심으로 겨울 옷을 입는 날에 찹쌀에 팥을 섞어 먹는 홍두판(红豆饭)을 먹는 풍습이 있으며, 일본에서는 찹쌀과 팥을 쪄서 만든 세키한(赤飯)을 생일이나 결혼 등 특별한 날에 먹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밥 - 밥 (한국 음식)
    밥은 한국인의 주식이며 쌀을 주재료로 짓는 음식으로, 짓는 방식, 쌀의 종류, 혼합 재료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고 한국 식탁에서 중요한 음식이며 문화를 계승하는 역할을 한다.
  • 한국의 밥 - 오곡밥
  • 쌀밥 - 졸로프 라이스
    졸로프 라이스는 서아프리카에서 유래하여 쌀, 토마토, 양파, 고추 등의 향신료로 조리하는 쌀 요리로, 지역별 변형과 국가 간 기원 논쟁 속에서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 쌀밥 - 파에야
    파에야는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의 얕고 둥근 팬인 파예라에 쌀과 해산물, 육류, 채소 등 다양한 재료를 넣어 만든 쌀 요리로, 냄비 바닥의 누룽지인 소카라트가 특징이며 세계적으로 유명한 스페인 대표 음식이다.
  • 팥 요리 - 팥죽
    팥죽은 팥을 주재료로 하여 붉은색이 악귀를 물리친다는 믿음과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동지에 먹는 한국의 전통 음식이다.
  • 팥 요리 - 젠자이
    젠자이는 일본 각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와 이름으로 불리는 대표적인 팥 요리로, 관동, 관서, 큐슈 등 지역에 따라 팥앙금의 종류나 즙의 유무에 따라 구별되며, 불교 용어 또는 신사 의식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오키나와에서는 빙수 형태로, 고치현에서는 도미를 넣은 형태로도 존재한다.
팥밥 - [음식]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팥밥
유형
지역한국
관련 요리한국 요리
주재료
주요 재료,

2. 한국의 팥밥

팥밥


'''팥밥'''(팥밥|pʰat̚.p͈ap̚|한국어)은 찹쌀이 아닌 멥쌀으로 만든 밥이다.[10]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 팥밥 만드는 법이 언급되어 있으며,[11] 특히 팥이 많이 나는 평안도의 전통 음식이다.[10] 한국에서 팥밥은 주로 겨울에 먹지만, 명절이나 생일에도 먹어 "생일밥"이라고도 한다.[12][13]

팥밥은 보통 흰밥처럼 만들지만, 끓이기 전에 불린 쌀에 익힌 통팥을 섞는 점이 다르다.[10] 신선한 생팥은 미리 삶지 않아도 된다.[14] 쌀과 팥의 비율은 4:1 정도가 좋지만, 기호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12][14] 한국 궁중 요리에서는 팥 삶은 물로 밥을 짓기도 했다.[10]

2. 1. 한국의 팥밥 종류



한국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팥밥을 즐겨 먹는다. 특히 평안도는 팥이 많이 생산되어 팥밥 요리법이 발달하였다.[10]

팥밥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부둥팥밥'''(부둥팥밥한국어)은 말린 팥이 아닌 생팥을 사용한다.[14]
  • '''거피팥밥'''(거피팥밥한국어)은 껍질을 벗긴 팥을 사용한다.[14]
  • '''중둥밥'''(중둥밥한국어)은 통팥을 삶아 체에 거른 물로 붉은 빛깔의 밥을 짓는다.[15] 보리를 섞으면 팥보리밥이 되고,[16] 강원도에서는 옥수수 알갱이를 섞어 옥수수팥밥을 만들기도 한다.[17]

2. 1. 1. 일반 팥밥



'''팥밥'''(팥밥|pʰat̚.p͈ap̚|한국어)은 찹쌀이 아닌 멥쌀으로 만든 밥이다.[10]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 팥밥 만드는 법이 언급되어 있으며,[11] 특히 팥이 많이 나는 평안도의 전통 음식이다.[10] 한국에서 팥밥은 주로 겨울에 먹지만, 명절이나 생일에도 먹는다.[12] 그래서 "생일밥"이라고도 한다.[13]

팥밥은 보통 흰밥처럼 만들지만, 끓이기 전에 불린 쌀에 익힌 통팥을 섞는 점이 다르다.[10] 신선한 생팥은 미리 삶지 않아도 된다.[14] 쌀과 팥의 비율은 4:1 정도가 좋지만, 기호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12][14] 지역에 따라 덜 익은 붉은팥이나 검은팥을 껍질을 벗겨 갈아서 쌀과 섞기도 한다.[10] 한국 궁중 요리에서는 팥 삶은 물로 밥을 짓기도 했다.[10]

  • '''팥밥'''(팥밥한국어) - 팥을 물 6~7컵에 삶아 익히되, 모양이 으깨지지 않도록 한다.[14] 불린 쌀과 섞어 팥 삶은 물과 일반 물을 섞은 물에 끓인다.[14]
  • '''부둥팥밥'''(부둥팥밥한국어) - 부둥팥은 생팥을 말한다.[14] 익힌 생팥을 불린 쌀과 섞어 끓인다.[14] 생팥은 수분이 있어 말린 팥보다 물을 적게 넣는다.[14]
  • '''거피팥밥'''(거피팥밥한국어) - 거피팥은 껍질 벗긴 팥이다.[14] 붉은팥이나 검은팥을 껍질 벗겨 맷돌에 갈아 불린 쌀과 섞는다.[14] 껍질 벗긴 팥은 아이보리색이다.
  • '''중둥밥'''(중둥밥한국어) - 통팥을 삶아 체에 거른 물로 붉은 밥을 짓는다.[15] 체에 거른 팥은 설탕을 넣어 후식으로 먹을 수 있다. 보리를 섞으면 팥보리밥이다.[16] 강원도에서는 옥수수 알갱이로 밥을 짓고 팥을 넣은 옥수수팥밥을 먹는다.[17]

2. 1. 2. 부둥팥밥

부둥팥밥은 말린 팥이 아닌 생팥을 사용하여 만든 밥이다.[14] 익은 생팥을 불린 쌀과 섞어 끓여서 만든다.[14] 생팥에는 수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말린 팥을 사용할 때보다 물을 적게 사용한다.[14]

2. 1. 3. 거피팥밥

거피팥밥(거피팥밥한국어)에서 '거피팥'은 껍질을 벗긴 팥을 의미한다.[14] 붉은색 또는 검은팥을 껍질을 벗기고 맷돌로 갈아 불린 쌀과 섞는다.[14] 껍질을 벗긴 팥은 아이보리색을 띤다.

2. 1. 4. 중둥밥

통팥을 물에 삶아 체에 거르면, 그 물을 사용하여 붉은 빛깔의 밥을 지을 수 있다.[15] 체에 걸러진 팥은 설탕을 넣어 디저트에 사용할 수 있다. 보리를 함께 섞으면 팥보리밥이 된다.[16] 강원도에서는 옥수수 알갱이로 밥을 짓고 팥을 넣은 것을 옥수수팥밥이라고 한다.[17]

2. 2. 한국의 팥밥 관련 풍습

한국 문화에서 팥밥은 주로 겨울철에 먹지만, 명절이나 생일에도 준비한다.[12] 이러한 이유로 "생일밥"이라고도 불린다.[13] 특히 팥이 많이 생산되는 평안도의 전통적인 요리법이다.[10] 조선 시대 전통 음식 조리법을 담은 초기 요리책인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 팥밥이 언급되어 있다.[11] 한국 궁중 요리에서는 팥을 삶은 물로 밥을 짓기도 했다.[10]

강원도에서는 옥수수 알갱이로 밥을 짓고 팥을 넣은 것을 ''옥수수팥밥''이라고 한다.[17]

3. 중국의 팥밥 (홍두판)

홍두판(红豆饭|hóngdòufàn중국어)은 중국 일부 지역, 특히 장쑤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통 음식이며, 겨울 옷을 입는 날에 먹는다.[1][2] 2015년 인도 총리 나렌드라 모디시진핑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와 함께 산시성 시안에서 열린 국빈 만찬에서 팥밥을 대접받았다.[4]

3. 1. 홍두판의 유래

홍두판(紅豆飯)은 중국 일부 지역, 특히 장쑤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통적인 중국 요리이다. 겨울 옷을 입는 날에 먹는 음식으로, 장쑤성 옌청 다펑 지역의 전설에 따르면, 겨울 옷을 입는 날에 찹쌀에 팥밥을 섞어 먹는 풍습은 한 지주에게 살해당한 양치기 소년을 기리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1][2]

옛날 옛적,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난 귀여운 양치기 소년이 있었다. 부모는 그를 부양할 수 없어, 소년은 지주를 위해 양을 치며 생계를 유지했다.[3] 어느 날, 소년의 부주의로 양들이 계곡으로 떨어져 죽었고, 화가 난 지주는 소년을 때리고 꾸짖었다. 소년은 구타를 멈춰달라고 간청했지만, 지주는 듣지 않았다. 결국 소년이 구타로 죽을 것이라 생각했을 때 지주에게 대항했지만, 지주는 옆에 있던 칼로 소년을 살해했다. 소년의 피는 땅에 흩어진 찹쌀을 붉게 물들였는데, 공교롭게도 그날은 10월 1일이었다.[3]

3. 2. 현대 중국의 홍두판

홍두판(紅豆飯)은 중국 일부 지역, 특히 장쑤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전통 음식으로, 겨울 옷을 입는 날에 먹는다.[1][2] 장쑤성 옌청 다펑 지역의 전설에 따르면, 겨울 옷을 입는 날에 찹쌀에 팥밥을 섞어 먹는 풍습은 한 지주에게 살해당한 양치기 소년을 기리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1][2]

옛날,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난 귀여운 양치기 소년이 있었다. 부모는 그를 부양할 수 없어 지주를 위해 양을 치며 생계를 유지했다.[3] 어느 날, 소년의 부주의로 양들이 계곡에 떨어져 죽었고, 화가 난 지주는 소년을 심하게 때리고 꾸짖었다. 소년은 구타를 멈춰달라고 간청했지만, 지주는 멈추지 않았다.[3] 구타로 죽을 위기에 처한 소년이 지주에게 대항하자, 지주는 칼로 소년을 살해했다. 소년의 피는 땅에 흩어진 찹쌀을 붉게 물들였는데, 공교롭게도 그날은 10월 1일이었다.[3]

2015년, 인도 총리 나렌드라 모디시진핑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와 함께 산시성 시안에서 열린 국빈 만찬에서 팥밥을 대접받았다.[4]

4. 일본의 팥밥 (세키한)

세키한


세키한으로 만든 오니기리


'''세키한'''(赤飯|세키한일본어)은 찹쌀을 함께 쪄서 만드는 일본의 전통 요리이다.[5][6] 팥 때문에 쌀이 붉은색을 띠어 이런 이름이 붙었다.

일본에서는 생일, 결혼, 시치고산 등 특별한 날에 세키한을 자주 먹는다.[6] 지역에 따라 초경을 시작할 때 세키한을 만들기도 하지만, 요즘은 덜 일반적이다.[8]

"세키한을 먹자"는 말은 "축하하자"라는 뜻으로 쓰일 만큼, 세키한은 축하와 깊이 관련되어 있다. 이는 일본에서 붉은색이 행복을 상징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보통은 조리 직후에 먹지만, 벤토(도시락)처럼 상온에서 먹기도 한다. 전통적으로는 살짝 구운 참깨소금을 섞은 고마시오를 곁들인다.

지역에 따라 소금 대신 설탕을 넣어 달게 하거나, 팥 대신 아마낫토나 검은콩을 쓰기도 한다.[9]

4. 1. 세키한의 특징

赤飯|세키한일본어(red rice|레드 라이스영어, 붉은 콩과 함께 삶은 쌀[5])은 일본의 전통 요리이다. 찹쌀을 함께 쪄서 만드는데, 팥이 쌀에 붉은 색을 띠게 하여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6]

고대 일본의 쌀은 붉은색이었다. 따라서 붉은 쌀은 신토의 신사에서 사용되었다. 붉은 쌀은 탄닌의 강한 맛을 가지고 있으며, 재배는 거의 완전히 중단되었다.[7]

세키한은 일본에서 생일, 결혼, 시치고산과 같은 일부 명절 등 특별한 날에 자주 제공된다.[6] 어떤 곳에서는 어린 여성이 초경을 시작할 때 관습적으로 만들어지지만, 이는 과거보다 덜 일반적이다.[8]

세키한은 축하와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서 "세키한을 먹자"라는 구절은 "축하하자"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다. 세키한이 축하에 사용되는 것은 일본에서 행복을 상징하는 붉은색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보통 조리 직후에 먹지만, 축하 벤토(도시락)와 같이 상온에서도 먹을 수 있다. 세키한은 전통적으로 살짝 구운 참깨소금을 섞은 고마시오와 함께 먹는다.

세키한에는 지역별 변형도 있다. 일부 버전에서는 소금 대신 설탕을 사용하여 단맛을 낸다. 다른 버전에서는 팥 대신 아마낫토(달콤한 콩 과자) 또는 ''사사게'' (검은콩)를 사용한다.[9]

4. 2. 세키한과 관련된 풍습

赤飯|세키한일본어은 찹쌀과 을 함께 쪄서 만드는 일본의 전통 요리이다.[5][6] 팥이 쌀에 붉은 색을 띠게 하여 세키한(붉은 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세키한은 일본에서 생일, 결혼, 시치고산 등 특별한 날에 자주 먹는다.[6] 지역에 따라서는 어린 여성이 초경을 시작할 때 세키한을 만들기도 하지만, 현대에는 덜 일반적이다.[8]

"세키한을 먹자"라는 구절은 "축하하자"라는 의미로 사용될 정도로, 세키한은 축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는 일본에서 붉은색이 행복을 상징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세키한은 보통 조리 직후에 먹지만, 벤토(도시락)처럼 상온에서 먹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살짝 구운 참깨소금을 섞은 고마시오를 곁들여 먹는다.

지역에 따라 세키한에 다양한 변형이 있다. 소금 대신 설탕을 넣어 단맛을 내기도 하고, 팥 대신 아마낫토나 검은콩을 사용하기도 한다.[9]

4. 3. 지역별 세키한



세키한은 지역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어떤 지역에서는 소금 대신 설탕을 넣어 단맛을 내기도 하고, 팥 대신 아마낫토 (단팥을 설탕에 절인 음식)나 검은콩(사사게)을 사용하기도 한다.[9]

참조

[1] 웹사이트 吃紅豆飯的習俗怎麼來的 https://kknews.cc/hi[...] 2017-11-25
[2] 서적 图解民俗大全-精编美绘版 http://book.duxiu.co[...] 2012-05-01
[3] 서적 节气时令吃什么 http://book.duxiu.co[...] 2013-11-01
[4] 웹사이트 莫迪在西安感受善意获赠"用东方智慧浇灌友谊"--国际--人民网 http://world.people.[...] 2021-09-21
[5] 서적 Kenkyusha's New Japanese-English Dictionary
[6] 서적 Japanese Cooking: A Simple Art Kodansha International
[7] 간행물 History and recent trends of red rice in Japan 2004
[8] 서적 Japanese Women: Constraint and Fulfillmen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5
[9] 웹사이트 Bring Yourself Good Luck With Sekihan, a Traditional and Auspicious Japanese Dish! https://jpninfo.com/[...] 2019-09-03
[10] 웹사이트 Patbap http://encykorea.aks[...] Academy of Korean Studies 2017-07-24
[11] 웹사이트 Patbap https://terms.naver.[...]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of Korea 2021-12-19
[12] 웹사이트 P'atpap http://cooks.org.kp/[...] Korean Association of Cooks 2017-07-24
[13] 뉴스 팥밥 만드는 법, 생일밥하면 팥찰밥! http://ggoms.tistory[...] 2013-03-02
[14] 웹사이트 Patbap http://www.doopedia.[...] Doosan Corporation 2017-07-24
[15] 웹사이트 Jungdung-bap http://encykorea.aks[...] Academy of Korean Studies 2017-07-24
[16] 웹사이트 Pat-bori-bap http://www.doopedia.[...] Doosan Corporation 2017-07-24
[17] 웹사이트 Oksusu-pat-bap http://www.doopedia.[...] Doosan Corporation 2017-07-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