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넌트콜로부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넌트콜로부스는 1838년 조지 로버트 워터하우스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박물학자 토머스 페넌트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붉은콜로부스에 속하며, 전통적으로 비오코 붉은 콜로부스, 나이저 델타 붉은 콜로부스, 부비에 붉은 콜로부스의 세 가지 아종이 인식되었으나, 현재는 일부 아종이 별개의 종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페넌트콜로부스는 엄지손가락이 작거나 없는 대신 강한 갈고리를 형성하는 네 개의 긴 발가락을 가지고 있으며, 잎, 꽃, 과일, 씨앗 등을 먹는 초식 동물이다. 서부 중앙 아프리카에 분포하며, 각 아종별로 서식지가 다르다. IUCN 적색 목록에 따라 멸종 위기종 또는 심각한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벌목으로 인한 절멸위기종 - 대왕판다
대왕판다는 곰과에 속하며, 검은색과 흰색 털을 가진 포유류로, 대나무를 주식으로 하며 멸종 위기에 처했으나 보호 노력을 통해 개체 수가 증가하여 멸종 취약종으로 분류된다. - 벌목으로 인한 절멸위기종 - 흰손긴팔원숭이
흰손긴팔원숭이는 동남아시아 열대 우림에 서식하며 팔굽혀매달리기를 하고 과일을 주로 먹으며, 멸종 위기에 처한 긴팔원숭이의 일종이다. - 식용으로 인한 절멸위기종 - 바이지
바이지, 즉 양쯔강돌고래는 인간 활동으로 멸종된 최초의 고래목 동물로 추정되지만, 멸종 선언 이후에도 목격담이 보고되어 IUCN 레드 리스트에서 절멸위급종으로 분류되어 소수 개체의 생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식용으로 인한 절멸위기종 - 청상아리
청상아리는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빠른 속도로 헤엄치는 상어 종으로, 두족류 등을 먹고 사람에게 위험하지만 공격 사례는 드물며, 어업 대상종으로 이용되지만 사육은 매우 어렵다. - 붉은콜로부스속 - 서부붉은콜로부스
서부붉은콜로부스(Procolobus badius)는 서아프리카에 고유종으로 서식하는 영장류이며, 3종의 아종으로 분류되고, 12~80마리 집단으로 생활하며 사회적 위계질서가 존재한다. - 붉은콜로부스속 - 타나강붉은콜로부스
케냐 타나강 유역에 서식하는 타나강붉은콜로부스는 멸종 위기에 처한 영장류로, 서식지 파괴, 밀렵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페넌트콜로부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Piliocolobus pennantii |
명명자 | 워터하우스, 1838 |
속 | 붉은콜로부스속 |
종 | 페넌트콜로부스 |
![]() | |
동의어 | Piliocolobus pennantii |
보존 상태 | |
IUCN | CR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영장목 |
과 | 긴꼬리원숭이과 |
아과 | 콜로부스아과 |
2. 계통 분류
다음은 붉은콜로부스의 계통 분류이다.[19]
{| class="wikitable"
|-
! !! 올리브콜로부스속 !! 붉은콜로부스속
|-
| || 올리브콜로부스 ||
|-
! || colspan="2" |
|-
| colspan="2" | ||
{| class="wikitable"
|-
! !! !! 나이저삼각주붉은콜로부스 !! colspan="2" | 서부붉은콜로부스, 테민크붉은콜로부스
|-
| || colspan="2" | || 왈드론붉은콜로부스
|-
! !! !! !! colspan="2" |
|-
| colspan="2" | ||
||
프로이스붉은콜로부스 | 페넌트콜로부스 |
---|
|-
! !! !! !! colspan="2" |
|-
| colspan="2" | ||
||
로마미붉은콜로부스 | 오스탈렛붉은콜로부스 (서부) |
---|
페넌트콜로부스는 머리와 몸통 길이가 53cm~63cm이고, 꼬리 길이는 60cm~70cm인 중간 크기의 종이다. 몸무게는 약 7kg~10kg이다.[8] 작은 머리와 튼튼한 몸, 긴 팔다리를 가지고 있다. 긴 손가락은 나뭇가지 사이를 오르내리는 데 강력한 그립감을 제공하지만, 엄지손가락은 없다. 털색은 아종에 따라 다르며, 검은색 또는 갈색 계통에 밤색 또는 붉은색 얼굴, 팔다리, 옅은 아랫부분을 띤다. 검은색 얼굴은 긴 털로 덮여 있으며, 보통 가운데가 갈라져 있다.[9] 붉은콜로부스원숭이는 균형을 잡는 데 사용되는 길고 유연성이 없는 꼬리를 가지고 있다.[7]
다른 붉은콜로부스원숭이들처럼, 페넌트붉은콜로부스원숭이도 12마리에서 80마리까지 구성된 무리를 이루며, 25ha에서 150ha의 영역에서 생활한다. 이 무리에는 여러 수컷과 꽤 많은 수의 암컷과 어린 개체가 있다. 그들은 나무에서 나무로 민첩하게 뛰어다니며 가지의 탄성을 이용하여 나뭇잎 사이를 이동한다.[9] 임신 기간은 아마도 5개월 정도이며, 그 후 한 마리의 새끼가 태어난다.[9]
페넌트콜로부스는 서부 중앙 아프리카의 여러 지역에서 발견된다. 명명 아종인 ''P. p. pennantii''는 적도 기니 해안에서 32km 떨어진 비오코 섬의 고유종이다. 이 원숭이들은 섬의 남서부에 주로 분포하며, 서식 면적은 500km2 미만이다. 섬에서 가장 높은 산인 피코 바실레에서 발견되었다는 주장은 기각되었다. 이 아종은 5,000마리 미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1986년과 2006년 사이에 개체 수가 크게 감소했다.[2] 부비에붉은콜로부스는 콩고 공화국의 하류 콩고강 오른쪽 강둑과 알리마강 하류에서 리쿠알라-오-에르베강 입구까지 분포하며, 이 두 강은 모두 콩고강의 지류이다. 나이저 삼각주 붉은콜로부스는 나이지리아 나이저 삼각주 지역의 습한 숲에서 포카도스-니크로가 크릭과 사그바마-오시아마-아그보이 크릭 사이에 발견된다.[2] 페넌트콜로부스는 수목형 종이며, 1차림과 2차림, 늪지대 숲에서 발견된다.[8]
원종인 ''P. p. pennantii''는 IUCN의 적색 목록에서 서식지가 비오코섬에 500km2 미만이고, 부시미트를 위한 사냥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어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있다.[2] 2006년, 비오코섬의 개체 수는 5,000마리 미만으로 추정되었다.[2] 나이저 삼각주 붉은콜로부스는 나이저 삼각주의 서식지가 벌목으로 인해 파괴되고 원숭이가 식용으로 사냥당하고 있다는 사실 때문에 "심각한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개체 수는 30년 동안 80% 감소했다.[11] 부비에붉은콜로부스는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했으며, 2019년에는 "멸종 위기"에서 "심각한 멸종 위기"로 등급이 상향 조정되었다. 1970년대 이후로 발견되지 않아 멸종되었을 것으로 여겨졌지만, 2015년 콩고 공화국의 Ntokou-Pikounda 국립 공원에서 발견되어 사진이 찍혔다(''P. bouvieri''의 첫 번째 사진). 이 아종은 멸종 직전에 놓여 있을 가능성이 높다.[12][13]
[1]
MSW3
|}
|}
페넌트콜로부스는 1838년 조지 로버트 워터하우스(George Robert Waterhouse)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그는 런던 동물학회 박물관의 큐레이터였다. 이 동물은 박물학자이자 여행가인 토머스 페넌트(Thomas Pennant)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전통적으로 이 붉은 콜로부스의 세 가지 아종이 인식되어 왔다:[1] 비오코 붉은 콜로부스 (''Procolobus pennantii pennantii''), 나이저 델타 붉은 콜로부스(''Procolobus pennantii epieni'') 그리고 부비에 붉은 콜로부스(''Procolobus pennantii bouvieri''). 그러나 콜린 그로브스(Colin Groves, 2007)는 ''P. p. epieni''와 ''P. p. bouvieri''를 각각 ''Piliocolobus epieni''와 ''Piliocolobus bouvieri''로 승격시켰다.[4][5] 팅은 예비 유전자 증거가 최소한 ''P. epieni''의 승격을 지지한다는 데 동의했다.[2]
"콜로부스"라는 단어는 그리스어 ''κολοβός''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짧게 잘린"을 의미한다. 이는 다른 영장류에 비해 엄지손가락이 현저하게 작거나 아예 없는 특징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6] 이를 보완하기 위해, 콜로부스는 강한 갈고리를 형성하도록 정렬된 네 개의 긴 발가락을 가지고 있어 나뭇가지를 쉽게 잡고 기어오를 수 있다.[7]
3. 형태
4. 생태
페넌트붉은콜로부스원숭이는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다른 붉은콜로부스원숭이와 유사한 식단을 가질 것으로 보이며, 주로 신선한 잎을 먹고 꽃, 과일, 씨앗으로 보충한다. 그들은 잎을 으깨고 질기지만 유연한 덜 익은 과일과 과육에 박힌 씨앗을 부술 수 있는 특수 치아를 가지고 있다. 그들의 여러 개의 방으로 이루어진 위는 발효를 가능하게 하며, 잎을 기반으로 하는 식단과 씨앗을 기반으로 하는 식단 사이를 번갈아 가며 먹을 수 있다. 그들은 단백질 대 섬유질 비율이 높고 탄닌 함량이 낮은 잎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10] 그들이 가장 좋아하는 먹이 나무 중 하나는 ''Fleroya ledermannii''이다.[2]
5. 분포
6. 보전 상태
참조
[2]
IUCN
"''Piliocolobus pennantii''"
2019
[3]
서적
The Kingdon Guide to African Mammals
https://archive.org/[...]
Academic Press Limited, London
[4]
서적
Primates in Peril: The World's 25 Most Endangered Primates 2008–2010
http://www.primate-s[...]
IUCN/SSC Primate Specialist Group (PSG), International Primatological Society (IPS), and Conservation International (CI)
[5]
간행물
The taxonomic diversity of the Colobinae of Africa
http://arts.anu.edu.[...]
[6]
웹사이트
Colobus Monkey
http://www.awf.org/c[...]
American Wildlife Foundation
[7]
문서
"Behavioral Application in Wildlife Photography: Developing a Foundation in Ecologic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Zanzibar red colobus Monkey (''Procolobus kirkii'') as it Applies to the Development Exhibition Photography"
SIT – Zanzibar Coastal Ecology and Natural Resource Management
[8]
웹사이트
"El Colobo Rojo de Pennant (''Procolobus pennantii'')"
http://www.damisela.[...]
Damisela
2013-09-03
[9]
웹사이트
"Pennant's red colobus"
http://www.arkive.or[...]
ARKive
2013-09-03
[10]
간행물
Colobine monkeys: Their ecology, behaviour and evolution
[11]
IUCN
"''Piliocolobus epieni''"
2019
[12]
웹사이트
Rare monkey photographed in Congo's newest national park, Ntokou-Pikounda
http://www.eurekaler[...]
[13]
IUCN
"''Piliocolobus bouvieri''"
2020
[14]
MSW3
[15]
IUCN
[16]
서적
https://archive.org/[...]
[17]
IUCN
[18]
웹인용
http://www.arkive.or[...]
2008-07-20
[19]
문서
"Molecular systematics of red colobus monkeys (''Procolobus [Piliocolobus]''): Understanding the evolution of an endangered primat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