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트르진 케이블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트르진 케이블카는 체코 프라하에 위치한 케이블카이다. 1891년 처음 운행을 시작했으며, 수력 밸런스 철도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1932년 표준 궤간으로 개궤하여 재개통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도 운행을 지속했다. 1965년 산사태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1985년 새로운 객차와 함께 재개통되었다. 2024년 폭우로 인한 산사태 위험으로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2025년 전체 개보수가 예정되어 있다. 케이블카는 Újezd, Nebozízek, 페트르진 세 개의 역을 운행하며, 프라하 통합 교통 정기권으로 이용 가능하다. 중간역인 네보지제크는 카를 4세의 아들과 관련된 전설이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라하의 철도 - 프라하 메트로
프라하 메트로는 A, B, C, D선으로 구성되어 총 61개 역과 약 65km의 철로를 운영하며, 매년 약 6억 명이 이용하는 프라하의 도시 철도 시스템이다. - 프라하의 철도 - 프라하 노면전차
프라하 노면전차는 1875년 마차 철도로 시작하여 1891년 전기 노면전차로 전환되었으며, 현재 27개의 주간 노선, 10개의 야간 노선, 2개의 역사 노선을 운영하는 체코 프라하의 대중교통 시스템이다. - 강삭철도 - 긴테쓰 니시시기코사쿠선
긴테쓰 니시시기코사쿠선은 긴키 일본 철도가 운영하는 1.3km 길이의 케이블카 노선으로, 시기산구치역과 다카야스야마역을 480‰ 급경사로 연결하며 교통계 IC 카드를 사용할 수 있고 특수한 운임 체계가 적용된다. - 강삭철도 - 긴테쓰 이코마코사쿠선
긴테쓰 이코마코사쿠선은 긴키 닛폰 철도의 케이블카 노선으로, 호잔지선과 산조선으로 이루어져 호잔지 참배객과 이코마산조유원지 방문객을 수송하며, 특히 호잔지선은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상업 운행 삭도로 토목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페트르진 케이블카 | |
---|---|
기본 정보 | |
![]() | |
원래 이름 | Lanová dráha na Petřín |
IPA | ˈpɛtr̝̊iːn |
위치 | 페트르진, 프라하, 체코 |
노선 종류 | 삭도 |
개통 | 1891년 |
폐쇄 | 알 수 없음 |
운영자 | 알 수 없음 |
노선 정보 | |
역 수 | 3개 |
노선 길이 | 0.510 km |
선로 수 | 단선 (대피선 포함) |
궤간 | 표준궤 |
최대 경사 | 29.5% |
해발 고도 | 130 m |
웹사이트 | 알 수 없음 |
운영 | |
차량 | 삭도 열차 2대 |
2. 역사
페트르진 케이블카는 1891년 처음 운행을 시작하여[8] 여러 차례 운행 중단과 재개를 반복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1932년에 재개되었으나, 1965년 산사태로 다시 중단되었다.[8] 1985년에 운행이 재개되면서 열차 교체와 선로 재건이 이루어졌지만, 설비는 그대로 유지되었다.[9]
역 건물은 프라하 지하철과 유사하지만, 페트르진 케이블카는 프라하 시 교통공사의 트램 부서에서 관리하고 있다.
체코의 전설에 따르면, 두 번째 역인 네보지즈제크(Nebozízek)는 보헤미아의 국왕이자 신성로마제국의 황제였던 카를 4세의 아들과 관련된 설화가 있다. 카를 4세의 아들은 체코 글자 "ř"을 잘 발음하지 못했는데, "nebo řízek"(슈니첼을 뜻하는 체코어)를 달라고 한 것을 Nebozízek(네보지즈제크, 송곳의 일종)라고 발음한 것이 지명의 유래라고 한다.
2024년 9월 13일, 폭우로 인한 산사태 가능성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 2025년에 전체 개보수가 시작될 예정이며, 임시 수리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들기 때문에 운행이 재개되지 않았다.[4]
2. 1. 초기 역사 (1891년 ~ 1914년)
페트르진 케이블카는 1891년에 처음 운행을 시작했다.[8] 당시 길이는 383m였고, 궤간(선로 사이 간격)은 1,000mm(미터 궤)였다. 추진 방식은 수력 밸런스 철도 방식을 사용했다.[2] 케이블카는 1년 내내 운행되었지만, 겨울철과 1890년대 중반에는 선로에 물이 얼어붙어 주말에만 운행되기도 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면서 케이블카 운행은 중단되었고, 전쟁이 끝난 후에도 다시 운행되지 않았다.[8][2]
2. 2. 제1차 세계 대전과 운행 중단 (1914년 ~ 1932년)
페트르진 케이블카는 1891년에 처음 운행을 시작했다.[8] 당시 케이블카는 383m 길이에 1,000mm 궤간을 사용했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운행이 중단되었고, 전쟁이 끝난 후에도 다시 운행되지 않았다.[8]2. 3. 재개통과 표준 궤간으로의 변화 (1932년 ~ 1965년)
페트르진 케이블카는 1891년에 처음 운행을 시작했다.[8] 당시 케이블카는 383m 길이에 궤간(선로 사이 간격)은 1,000mm였다.[8]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운행이 중단되었고, 전쟁이 끝난 후에도 다시 운행되지 않았다.[8]1931년 11월 4일, 프라하 노동자들만 참여하여 새로운 케이블카 건설이 시작되었다. 원래 있던 두 역은 모두 철거되었고, 레일과 객차는 해체되었다. 1932년에는 링호퍼(Ringhoffer)에서 제작한 두 대의 새로운 객차가 더 넓어진 표준궤(1,435mm)에 투입되었다. 1932년 6월 5일 정식 운행이 시작되었고, 중간역인 네보지제크(Nebozízek)는 약 한 달 뒤인 7월 9일에 운행을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에는 두 번의 짧은 운행 중단을 제외하고는 계속 운행되었다. 1938년 가을(약 1개월)과 1945년 전쟁 말(약 4개월)에 잠시 운행이 중단되었다. 전쟁 후에는 주로 스파르타키아드 전에 선로, 건물 수리 및 견인 로프 교체가 이루어졌는데, 이는 승객 수 증가가 예상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1965년에 산사태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고, 1985년까지 재개되지 못했다.[2] 운행이 재개되면서 열차가 교체되고 선로도 재건되었지만, 설비는 그대로 유지되었다.[9]
2. 4. 산사태와 운행 중단 (1965년 ~ 1985년)
페트르진 케이블카는 1965년 산사태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고, 1985년까지 재개되지 못했다.[8] 운행 재개 당시 새로운 객차가 도입되었고 선로는 재건되었지만, 원래 기계는 그대로 유지되었다.[9]1985년 2월 7일, 프라하로 수입된 두 대의 새로운 객차는 다음 날 선로에 설치되었다. 4월 17일 시험 운행이 시작되었고, 5월 9일에는 승객 없이 시험 운행이 진행되었다. 1985년 6월 15일에 정규 운행이 재개되었으며, 같은 해 7월 19일에는 중간 정류장인 네보지제크의 운행도 시작되었다.[2]
2. 5. 현대화와 재개통 (1985년 ~ 현재)
1965년 산사태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고, 1985년까지 재개되지 못했다.[2] 1985년에 새로운 객차가 제공되었고 선로가 재건되었지만, 원래 기계는 그대로 유지되었다.[3] 1985년 2월 7일 두 대의 새로운 객차가 프라하로 수입되었고 다음날 선로에 재설치되었다. 4월 17일 시험 운행이 시작되었고, 5월 9일에는 승객 없는 시험 운행이 시작되었다. 1985년 6월 15일에 정규 운행 개통식이 거행되었으며, 같은 해 7월 19일, 중간 정류장 네보지제크가 운행을 시작했다.[8]2024년 9월 13일, 폭우로 인한 산사태 가능성으로 삭도 운행이 중단되었다. 2025년에 전체 개보수가 시작될 예정이며, 임시 수리는 비용이 너무 많이 들기 때문에 운행이 재개되지 않았다.[4]
3. 운영
페트르진 케이블카는 Újezd(언덕 아래), Nebozízek(중간역), 페트르진 (언덕 꼭대기)에 세 정류장이 있다.[5] 케이블카는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11시 30분까지 운행하며, 15~20분 간격으로 운행한다.[5] 프라하 통합 교통 정기권으로 페트르진 케이블카를 이용할 수 있다.[5]
4. 역
페트르진 케이블카는 우예스트 (Újezd), 네보지제크 (Nebozízek), 페트르진 (Petřín) 3개의 역을 가지고 있다. 케이블카는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11시 30분까지 운행하며, 운행 간격은 15분에서 20분 사이이다.[5] 프라하 통합 교통 정기권으로 페트르진 케이블카를 이용할 수 있다.
역 건물은 프라하 지하철과 유사하지만, 페트르진 케이블카는 프라하 시 교통공사의 트램 부서에서 관리하고 있다.
4. 1. 네보지제크 역 관련 전설
체코의 전설에 따르면, 중간역인 네보지제크(Nebozízek)의 이름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4세의 아들과 관련된 설화가 있다. 카를 4세의 아들은 체코글자 "ř"을 잘 발음하지 못했다고 하는데, 슈니첼(체코어로 řízek)을 달라고 할 때 "nebo řízek"(또는 슈니첼) 대신 "Nebozízek"(네보지제크, 송곳의 일종)라고 발음한 것이 지명의 유래라고 한다.[6]5.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Linka LD
http://portalpid.ido[...]
portál jízdních řádů PID
2010-04
[2]
웹사이트
Revamped funicular enjoys third life
http://www.praguepos[...]
2000-12-06
[3]
웹사이트
Public Funiculars of Czech Republic
http://www.funimag.c[...]
funimag.com
2007-04-20
[4]
웹사이트
Současná lanovka na Petřín již neobnoví provoz, veřejnost ji bude moct navštívit o říjnových víkendech
https://www.dpp.cz/s[...]
2024-12-12
[5]
웹사이트
Funicular to Petřín
https://www.dpp.cz/e[...]
2019-12-23
[6]
뉴스
Etymologie petřínského názvu Nebozízek
https://www.prahanez[...]
2021-06-24
[7]
웹인용
Přehled linek, Linka LD
http://jrportal.dpp.[...]
2019-02-06
[8]
웹인용
Revamped funicular enjoys third life
http://www.praguepos[...]
2000-12-06
[9]
웹인용
Public Funiculars of Czech Republic
http://www.funimag.c[...]
funimag.com
2007-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