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편입학은 4년제 대학교 또는 전문대학을 졸업하거나 학점은행제를 통해 학위를 취득한 후 다른 대학의 3학년으로 입학하는 제도이다. 일반편입, 학사편입, 특별편입의 유형이 있으며, 일반편입은 2년 이상 수료 또는 전문대 졸업 후 지원 가능하고, 학사편입은 학사 학위 취득자가 지원할 수 있다. 특별편입은 대학 폐교 등 특수한 상황에서 교육부 주관으로 이루어진다. 편입학 전형은 영어 필기시험, 전공 시험, 면접 등으로 진행되며, 경쟁률은 높은 편이다. 미국, 유럽 등 해외 대학에서도 편입학 제도가 활성화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편입학 | |
---|---|
편입학 정보 | |
정의 | '편입학은 재학 중인 대학 또는 전문대학에서 다른 대학의 동일 학과 또는 다른 학과로 옮겨 입학하는 제도이다. (대학 재학 중 타 대학으로 옮겨 입학하는 것)' |
유형 | 일반 편입학 학사 편입학 |
지원 자격 | '각 대학별로 상이하며, 일반적으로 일정 학점 이상 이수, TOEIC, TOEFL 등의 공인 어학 성적 요구' |
대학 편입 (College transfer) | |
설명 | '대학 편입 (College transfer)은 학생들이 한 대학교에서 다른 대학교로 학점과 함께 이동하는 과정이다. 편입생은 일반적으로 이전 대학교에서 이수한 학점을 인정받아 학업을 계속할 수 있다.' |
일반적인 편입 이유 | 학업적 목표 변경 재정적 이유 개인적인 이유 더 나은 교육 환경 특정 프로그램의 이용 가능성 |
편입 절차 (미국) | 편입하려는 대학의 입학 요건 확인 필요한 서류 (성적 증명서, 추천서, 에세이 등) 준비 원서 제출 합격 통보 후 등록 |
학점 인정 | '편입생은 이전 대학교에서 이수한 학점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인정받을 수 있다. 학점 인정 기준은 대학교마다 다르므로, 편입하려는 대학교의 학점 인정 정책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
編入学 (일본) | |
정의 | '編入学 (へんにゅうがく)은 일본의 대학교에서, 학부의 도중에 다른 대학교의 해당 학년 또는 다른 학과로 옮겨 입학하는 것이다.' |
편입 시기 | '주로 2학년 또는 3학년으로 편입한다.' |
시험 과목 | 외국어 전문 과목 면접 |
특징 | 결원이 있는 경우에만 모집한다. 대학교 졸업이 최종 학력이 되는 것은 동일하다. |
학력 | '단기대학 (단대) 졸업, 고등전문학교 졸업, 전문학교 졸업 (일정 조건 만족 시) 등의 학력을 가진 사람이 편입할 수 있다.' |
2. 편입학의 유형
한국 대학 편입학은 모집 유형에 따라 크게 일반편입, 학사편입, 특별편입 등으로 나뉜다. 이 외에도 군위탁편입, 실업계고교 출신자 편입 등이 있다.
2. 1. 일반편입
4년제 대학교에서 2년 이상을 수료하거나 2, 3년제 전문대를 졸업하고 3학년으로 편입하는 유형이다. 일부 대학에서는 일정 이상의 수료 학점(대개 67~70학점)을 요구하기도 한다.[8] 3학년이나 4학년 재학생, 수료자, 대졸자도 일반 편입학 지원이 가능하다. 다만 편입은 3학년 1학기로 들어가므로 시간상 손실은 감수해야 한다.일반 편입은 4년제 2학년 수료가 필수이기 때문에, 자신이 취득한 학점이 지원 대학의 자격 조건을 충족하더라도 전적 대학의 2학년 수료 학점을 채우지 못하면 지원할 수 없다. 예를 들어 고려대학교를 지망하는 A가 68학점(고려대 지원 자격)을 취득했어도, A가 다니는 '가' 대학교의 2학년 수료 학점이 70학점이면 지원 자격에 미달한다. 3년제 전문대는 전문대이므로, 4년제 정규 대학의 일반 편입학 전형에 지원하려면 반드시 졸업해야 한다.[8] 영국식 3년제 정규 대학 편제에 속하는 외국 정규 대학은 예외지만, 이수 학점이나 학년에 관해서는 지원 학교에 문의해야 한다.
2. 2. 학사편입
학사편입은 4년제 대학교를 졸업하거나 학점은행제를 통해 학사 학위를 얻은 뒤 3학년으로 편입하는 유형이다. 4년제 대학 졸업 학위가 있어야 지원 자격이 주어지기 때문에 일반편입에 비해 경쟁률이 낮은 편이다.[8] 학사 학위 취득 경로는 국내 4년제 정규 대학교, 외국 대학교, 전문대학 등이 있으며, 일부 수험생들은 학점은행제로 전환하여 학사편입에 응시하기도 한다.서울대는 일반편입 전형을 실시하지 않으며, 학사편입도 타 대학 출신 수험생에게 개방된 것은 2001학년도부터이며, 동일 계열에 대한 제한이 있다.
2. 3. 특별편입
특별편입은 대학이 폐교되는 경우 등 특수한 상황에서 교육부 주관으로 주변 대학에 편입하는 제도이다. 이는 정원 외 특별 전형으로, 농어촌, 특성화고교, 재외국민, 외국인 전형 등이 있다.[8]3. 편입학 전형 방법
대부분의 대학은 영어 필기시험을 기본 전형으로 채택한다.[9][10]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서울시립대 등 상위권 대학은 자기소개서를 제출해야 하며, 2차 또는 3차의 전공심층시험과 면접이 당락을 가르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일정 기준 이상을 충족하지 못하면 지원자를 과락시키는 제도도 있다. 서울 주요 대학의 편입학 영어 필기시험은 어휘, 문법, 독해, 논리 부문이 있으며, 토플, 텝스, 토익보다 난이도가 높다.
일부 대학에서는 토플, 토익, 텝스 등 공인 영어시험 성적을 인정하기도 한다. 중앙대, 숭실대 등은 이공계 학과에 한해 수학 시험을 본다. 한양대, 건국대 등은 인문사회계 수험생에게 국어 시험을 치르기도 했다. 경희대, 아주대, 건국대 등은 계열학력시험을 시행하기도 한다. 서강대, 성균관대, 건국대 등 일부 상위권 대학은 면접을 실시한다.[9][10]
전적대 성적도 반영되지만, 실질 반영률은 크지 않은 경우가 많다. 그러나 경쟁자 간 성적이 비슷할 경우 당락을 가르는 변수가 되기도 한다.
4. 편입학 경쟁률
10여 년 전만 해도 경쟁률이 매우 낮았으나, 최근에는 수십 대 일에서 많게는 수백 대 일 가까이 경쟁률이 올라갔다. 2009학년도 전형 기준으로, 고려대(안암) 일반편입의 경우, 심리학과는 96:1, 경영학과는 71:1를 기록했다[11]. 주요 대학의 경쟁률도 이와 비슷하거나 더 높은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높은 경쟁률 때문에 많은 지원자들이 초시에 합격하지 못하고 편입 재수나 삼수를 하거나 아예 정시 신입학 전형 (수능)으로 전향하기도 한다.
5. 해외 대학 편입학
영국, 스위스, 핀란드 등 일부 국가의 대학에서는 학점은행제 학력을 인정하여 학점은행제 출신 학생도 편입학을 할 수 있다.[12]
대학 편입은 학생들이 이전 학습 자격( 수업 성적, 학점 권장 사항 또는 이전 학습 투자와 노력을 반영하는 시험 포함)을 고려하여 탐색, 자기 평가,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전 대학 학점의 적용 여부와 정도는 대학 수준의 자격 증명을 완료하려는 학생의 학위 프로그램 편입 및 등록으로 이어진다.
대학 편입은 또한 학생이 기관 또는 학위 프로그램 변경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학위 취득 요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학업, 등록 및 상담을 포함한 일반적인 기관 지원 서비스를 설명한다.
미국 국립 교육 통계 센터(NCES)에 따르면 2005년 미국에서 학부 학위를 취득한 대학 졸업생의 약 60%가 졸업 전에 2개 이상의 학교에 다녔다. 미국에서 약 250만 명의 학생들이 편입학을 고려하며, 이는 학위 취득 과정에서 중단과 시작을 반복하는 학생들의 노동 시장 재진입을 포함할 수 있다. 2005년 10월 미국 감사원(GAO)은 의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학생 이동은 학교와 지역을 넘나들며, 서로 다른 정책과 관행으로 인해 대학 학위 취득이 평균적으로 한 학기 더 연장되는 경우가 많다고 밝혔다.[1]
학생 이동은 미국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국가에서 대학 편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5. 1. 미국
미국은 편입학 제도가 상당히 활성화되어 있는데,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4년제 주립대나 중하위권 대학으로 편입학하는 것이 한국의 편입학에 비해 비교적 용이하다. 일부 커뮤니티 칼리지들은 특정 4년제 대학과 편입학 제휴를 맺는 경우도 있다.[12]하지만 이른바 아이비리그급 대학의 편입학은 고등학교 내신성적, SAT 성적(한국의 대학수학능력시험에 해당) 등 지원 요건이 까다로운 경우가 많다. 어떤 아이비리그 대학은 아예 편입학 계획이 없는 시기도 있다.[12]
5. 2. 유럽
Erasmus는 1987년에 설립된 유럽 연합 (EU) 학생 교환 프로그램이다.[2] 2010년 중반까지 220만 명의 학생들이 33개 참여 국가의 4,000개 이상의 고등 교육 기관에서 이 프로그램을 경험했다.[2] 참여 국가는 모든 유럽 연합 회원국뿐만 아니라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노르웨이, 튀르키예, 스위스, 북마케도니아이다.[2] Erasmus는 EU 평생 학습 프로그램 2007–2013의 주요 부분을 형성하며, 유럽 위원회의 고등 교육 분야 이니셔티브를 위한 운영 프레임워크이다.6. 비판
일반적으로 지원 마감일은 3월 1일이며, 학부 과정의 대학들은 통상적으로 신입생 합격 발표보다 몇 달 늦게 지원자들에게 결과를 통보한다. 일반 지원서의 질문은 고등학교 3학년의 개인적인 진술을 강조하기보다는 대학 특정 질문과 더불어 학생이 다른 대학으로 옮기려는 동기에 초점을 맞춘다. 합격 통보를 받은 후 진학할 학교를 결정하여 통보해야 하는 기간이 매우 짧아 중요한 결정에 어려움을 겪는다.[1]
7. 유명 편입 사례
해외 유명 인사들의 편입 사례는 다음과 같다.
이름 | 편입 전 학교 | 편입 후 학교 |
---|---|---|
톰 행크스 | 샤보 칼리지 |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교 새크라멘토 |
조지 루카스 | 모데스토 주니어 칼리지 |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
찰스 에반스 휴즈 | 콜게이트 대학교 | 브라운 대학교 |
브래들리 쿠퍼 | 빌라노바 대학교 | 조지타운 대학교 |
워렌 버핏 |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 네브래스카 대학교 |
존 F. 케네디 | 프린스턴 대학교 | 하버드 칼리지 |
지미 카터 | 조지아 공과대학 | 미국 해군사관학교 |
우드로 윌슨 | 데이비슨 칼리지 | 프린스턴 대학교 |
밋 롬니 | 스탠퍼드 대학교 | 브리검 영 대학교 |
안토니오 빌라라이고사 | 이스트 로스앤젤레스 칼리지 |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
루시 리우 | 뉴욕 대학교 | 미시간 대학교 |
스티븐 콜베어 | 햄든–시드니 칼리지 | 노스웨스턴 대학교 |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 하버드 로스쿨 | 컬럼비아 로스쿨 |
7. 1. 버락 오바마
오시덴탈 칼리지에서 컬럼비아 대학교로 편입했다.[1] Barack Obama|버락 오바마영어는 민주당 출신 정치인으로, 그의 정치 철학과 정책은 진보적 가치를 반영한다.7. 2. 도널드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는 포드햄 대학교에서 펜실베이니아 대학교로 편입하였다.[1]7. 3. 버니 샌더스
버니 샌더스는 브루클린 칼리지에서 시카고 대학교로 편입했다.[1] 그는 미국의 대표적인 진보 정치인으로, 사회 불평등 해소와 민주적 사회주의를 주장하며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참조
[1]
간행물
Postsecondary Institutions Could Promote More Consistent Consideration of Coursework by Not Basing Determinations on Accreditation
http://www.gao.gov/n[...]
United States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2]
웹사이트
Mobility and lifelong learning instruments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Education & Training
[3]
웹사이트
12 Famous College Transfer Students
http://www.straighte[...]
2015-04-22
[4]
문서
修業年限が2年以上であることその他の文部科学大臣が定める基準を満たすもの
[5]
문서
希望大学とは別大学(3年制短期大学を含む)
[6]
문서
ただし、校種が同一の学校間を移る時に退学および編入学の手続きを行うこともできる。
[7]
문서
ただし、応募条件によっては認められない場合がある。
[8]
서적
교직원이 직접 쓴 대학 편입 안내서
어학마을
[9]
문서
Untitled Document
http://oku.korea.ac.[...]
[10]
웹인용
연세대학교 입학처
http://admission.yon[...]
2009-04-03
[11]
뉴스
위클리조선 -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http://weekly.chosun[...]
[12]
뉴스
'[인터뷰] 조충열 서울폴리텍평생교육원 대표, 톡톡 튀는 학점은행제·독학사 과정 만든 교육계 ‘미다스의 손’'
http://sisaon.co.kr/[...]
시사오늘 시사ON
2019-01-2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서울디지털대, 5월26일부터 2학기 신·편입생 모집
유급 의대생 명단 제출 마감…1만여명 집단 유급 현실로
'제적 예정 통보' 의대 5곳, 학생 전원 복귀 | JTBC 뉴스
이주호, 의대생에 서한문 “확정된 유급·제적 취소 없어···미확인 소문에 미래 걸지 말아달라”
의총협 "21일까지 휴학계 반려…학칙대로 유급·제적" 재확인
교육부 “의대 편입 추진 대학 자율”…의대 총장들은 “학칙 엄격 적용”
대학들, 미복귀 의대생 제적 땐 ‘편입생 충원’ 검토 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