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량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량군은 중국의 옛 행정 구역으로, 전진 시기에 처음 설치되어 북위, 수나라, 당나라 시대를 거치며 존속했다. 군의 치소는 시대별로 구위안 시, 바이인 시 핑촨 구 일대에 위치했으며, 여러 현을 관할했다. 당나라 시기에는 원주로 개명되기도 했다.
평량군은 원래 고평현에 치소를 두었으나, 후에 순음현으로 옮겨 설치되었다.
2. 역사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고평현 高平縣 구위안 시 초기 군의 치소가 있었다. 순음현 鶉陰縣 바이인 시 핑촨 구 수천진 아구촌 일대 후기에 본현으로 군의 치소가 이관되었다.
북위(북조) 시기에는 군이 폐지되기도 하였으나, 다시 복구되어 2개의 현을 두었다. 수나라 시기에는 개황 초에 원주에 소속되었던 태평군과 장성군, 원주가 폐지되었고, 대업 초 옛 원주 땅에 설치되었던 총관부가 폐지되면서 평량군이 복구되었다.
당나라 시기에는 618년(당 고조 무덕 원년) 당나라가 군벌 설인고(薛仁杲)를 굴복시킨 뒤 원주(原州)를 설치하면서 평량군은 원주로 바뀌었다. 631년(당 태종 정관 5년), 도독부가 설치되었는데, 원주를 포함한 7개 주를 관할했다.[3] 636년(당 태종 정관 10년)에는 3개 주가 폐지되어 도독부는 4개 주만을 관할하게 되었다.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다시 평량군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가, 758년(당 숙종 건원 원년), 주현제를 재실시하면서 원주로 개명되었다.[3]
2. 1. 전진
안정군 북서부에 신설될 때 치소를 고평현에 두었으나 후에 순음현으로 이관되었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고평현 | 高平縣 | 구위안 시 | 초기 군의 치소가 있었다. |
순음현 | 鶉陰縣 | 바이인 시 핑촨 구 수천진 아구촌 일대 | 후기에 본현으로 군의 치소가 이관되었다. |
2. 2. 북조
북위(북조) 시기에 군이 폐지되었다. 고평현은 고평진으로 격하되었다가 복구되었고 2현을 두었다. 고평현에는 태평군이 설치되었다.[1]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순음현 | 鶉陰縣 | 바이인 시 핑촨 구 수천진 아구촌 일대 | 와정(瓦亭), 경양성(涇陽城), 평량성(平凉城)이 있다. |
음밀현 | 陰密縣 | 핑량 시 링타이 현 백리향 | 후에 평량군의 속현이 되었다. |
- 순음현 - 북주에 의해 폐지.
- 순고현
2. 3. 수
개황 초 원주에 소속되었던 태평군과 장성군, 원주가 폐지되었고, 대업 초 옛 원주 땅에 설치되었던 총관부가 폐지되면서 평량군이 복구되었다. 5현, 27,995호를 거느렸다.[2]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평고현 | 平高縣 | 구위안 시 | 북주에서 원주(原州)총관부(總官府)를 두었는데, 후에 평고현(平高縣)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관관(關官), 계두산(笄頭山)이 있다. |
백천현 | 白泉縣 | 구위안 시 펑양 고성진 | 북위에서 장성군과 황석현을 두었으나 서위에서 황석현을 장성현으로 개명했다. 개황 초 장성군이 폐지되면서 현으로 격하되었고 본현은 대업 초에 백천현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
평량현 | 平凉縣 | 핑량 시 안국향 일대 | 북주 시기에 신설되었다. 가람산(可藍山)이 있다. |
회녕현 | 會寧縣 | 북주에서 회주가 폐지되었고 596년(수 문제 개황 16년) 현이 설치되었다. | |
묵정현 | 默亭縣 |
2. 4. 당
618년(당 고조 무덕 원년) 군벌 설인고(薛仁杲)를 굴복시킨 뒤 원주(原州)를 설치했다. 631년(당 태종 정관 5년), 도독부가 설치되었는데, 원주, 경주, 회주(會州), 은주(銀州), 정주(亭州), 달주(達州), 요주(要州)의 7주를 관할했다.[3]636년(당 태종 정관 10년) 정주, 달주, 요주의 3개 주가 폐지되어 도독부는 4개 주만을 관할하게 되었다.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평량군으로 개명되었다가 758년(당 숙종 건원 원년), 주현제를 재실시하면서 원주로 개명되었다. 본래 3현, 2,413호, 10,512명을 거느렸으나 천보 연간에는 4현, 7,349호, 33,146명을 거느리게 되었다.[3]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평고현 | 平高縣 | 구위안 시 | |
평량현 | 平凉縣 | 핑량 시 | 양진천(陽晉川)에 치소가 있었다. 717년(당 현종 개원 5년), 치소를 고새성(古塞城)으로 옮겼다. |
백천현 | 白泉縣 | 구위안 시 펑양 현 홍하향 | |
소관현 | 蕭關縣 | 중웨이 시 하이위안 현 동 | 632년(당 태종 정관 6년), 돌궐에서 항복한 포로들을 관리하기 위해 연주(緣州)를 신설하고 평고현 경계에 있는 누성(樓城)에 치소를 두었다. 당 고종 시기 소관에 타루현(他樓縣)을 설치했고 705년(당 중종 신룡 원년), 타루현을 폐지하고 소관현을 두었다. 851년(당 선종 대중 5년) 무주가 설치되었다. |
안정군 북서부에 신설될 때 치소를 구위안 시 고평현에 두었으나 후에 바이인 시 핑촨 구 수천진 아구촌 일대의 순음현으로 옮겨졌다.
3. 속현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고평현 高平縣 구위안 시 초기 군의 치소가 있었다. 순음현 鶉陰縣 바이인 시 핑촨 구 수천진 아구촌 일대 후기에 군의 치소가 이관되었다.
3. 1. 전진
안정군 북서부에 신설될 때 치소를 구위안 시 고평현에 두었으나 후에 바이인 시 핑촨 구 수천진 아구촌 일대의 순음현으로 옮겨졌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고평현 | 高平縣 | 구위안 시 | 초기 군의 치소가 있었다. |
순음현 | 鶉陰縣 | 바이인 시 핑촨 구 수천진 아구촌 일대 | 후기에 본 현으로 군의 치소가 이관되었다. |
3. 2. 북조
북위 시기에 군이 폐지되었다. 고평현은 고평진으로 격하되었다가 복구되었고 2현을 두었다. 고평현에는 태평군이 설치되었다.[1]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순음현 | 鶉陰縣 | 바이인 시 핑촨 구 수천진 아구촌 일대 | 와정(瓦亭), 경양성(涇陽城), 평량성(平凉城)이 있었다. |
음밀현 | 陰密縣 | 핑량 시 링타이 현 백리향 | 후에 평량군의 속현이 되었다. 북주에 의해 순음현은 폐지되었다. |
3. 3. 수
개황 초 원주에 소속되었던 태평군과 장성군, 원주가 폐지되었고, 대업 초에 옛 원주 땅에 설치되었던 총관부가 폐지되면서 평량군이 복구되었다. 5현, 27,995호를 거느렸다.[2]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평고현 | 平高縣 | 구위안 시 | 북주에서 원주(原州)총관부(總官府)를 두었는데, 후에 평고현(平高縣)으로 개명되었다. 관관(關官), 계두산(笄頭山)이 있다. |
백천현 | 白泉縣 | 구위안 시 펑양 고성진 | 북위에서 장성군과 황석현을 두었으나 서위에서 황석현을 장성현으로 개명했다. 개황 초 장성군이 폐지되면서 현으로 격하되었고 본현은 대업 초에 백천현으로 개명되었다. |
평량현 | 平凉縣 | 핑량 시 안국향 일대 | 북주 시기에 신설되었다. 가람산(可藍山)이 있다. |
회녕현 | 會寧縣 | 북주에서 회주가 폐지되었고 596년(수 문제 개황 16년) 현이 설치되었다. | |
묵정현 | 默亭縣 |
3. 4. 당
618년(당 고조 무덕 원년) 군벌 설인고(薛仁杲)를 굴복시킨 뒤 원주(原州)를 설치했다. 631년(당 태종 정관 5년), 도독부가 본주에 설치되었는데, 해당 도독부는 원주, 경주, 회주(會州), 은주(銀州), 정주(亭州), 달주(達州), 요주(要州)의 7주를 관할했다.[3]636년(당 태종 정관 10년) 정주, 달주, 요주의 3개 주를 폐지하고 본도독부가 4개 주만을 관할하게 되었다.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군현제를 실시하면서 평량군으로 개명되었다가 758년(당 숙종 건원 원년), 주현제를 재실시하면서 원주로 개명되었다. 본래 3현, 2,413호, 10,512명을 거느렸으나 천보 연간에는 4현, 7,349호, 33,146명을 거느리게 되었다.[3]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평고현 | 平高縣 | 구위안 시 | |
평량현 | 平凉縣 | 핑량 시 | 양진천(陽晉川)에 본현의 치소가 있다. 717년(당 현종 개원 5년), 치소를 고새성(古塞城)으로 옮겼다. |
백천현 | 白泉縣 | 구위안 시 펑양 현 홍하향 | |
소관현 | 蕭關縣 | 중웨이 시 하이위안 현 동 | 632년(당 태종 정관 6년), 돌궐에서 항복한 포로들을 관리하기 위해 연주(緣州)를 신설하고 평고현 경계에 있는 누성(樓城)에 치소를 두었다. 당 고종 시기 소관에 타루현(他樓縣)을 설치했고 705년(당 중종 신룡 원년), 타루현을 폐지하고 소관현을 두었다. 851년(당 선종 대중 5년) 무주가 설치되었다. |
참조
[1]
서적
魏書
https://zh.wikisourc[...]
[2]
서적
隋書
https://zh.wikisourc[...]
[3]
서적
舊唐書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