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성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성시는 평안남도에 위치한 도시로, 1965년 평양시와 순천군, 순안군의 일부를 통합하여 평성구로 신설되었다. 1969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평안남도의 도 소재지 역할을 한다. 평성시는 공업과 농업이 발달했으며, 3.16 공장(평남종합기계공장)을 비롯한 여러 공장이 위치해 있다. 또한, 북한의 과학 기술 연구 중심지로서 여러 대학과 연구 기관이 자리 잡고 있으며, 평양과 연결되는 철도와 노면전차를 갖춘 교통 요충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성시 - 리과대학
리과대학은 북한의 이공계 대학으로, 국가과학원 산하에서 소수정예 학생들을 선발하여 7년간 교육하며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할 핵심 인재를 양성한다. - 평성시 - 안국사 (평성시)
평성시에 위치한 안국사는 고구려 시대에 창건되어 조선 시대에 중수된 사찰로, 고려 시대의 탑과 은행나무가 있으며, 태평루와 독특한 2층 구조의 대웅전이 주요 건축물이다. - 평안남도의 도시 - 덕천시
덕천시는 평안남도 동북부에 위치한 시로,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고려 시대에는 요원군으로 불리다가 조선 시대에 덕천이라는 명칭을 사용했고, 한국 전쟁 이후 복구를 거쳐 1986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북한 최대 규모의 자동차 공장이 위치하고 평덕선 철도가 지난다. - 평안남도의 도시 - 개천시
개천시는 북한 평안남도 중북부에 위치한 시로, 농업과 광업이 발달했으며 석탄 생산이 활발하지만, 정치범 수용소 존재로 인권 문제 논란이 있다. - 1969년 설치 - 서울강북경찰서
서울강북경찰서는 서울특별시 강북구를 관할하는 경찰서로, 1969년 개서 이후 명칭 변경과 관할 구역 조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지구대와 파출소를 산하에 두고 2016년에는 경찰관 순직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 1969년 설치 - 속초해양경찰서
속초해양경찰서는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안의 해상 치안을 담당하는 동해해양경찰서 소속 기관으로, 속초시, 춘천시, 고성군 등 넓은 지역을 관할하며 해상 경비, 구조, 안전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함정을 보유하고 있으나 과거 경비정 침몰 사고를 겪기도 했다.
평성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공식 명칭 | 평성시 |
조선어 (한글) | 평성시 |
로마자 표기 | Pyeongseong-si |
지리 | |
![]() | |
![]() | |
위치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
면적 | 381km² |
방언 | 평안 방언 |
인구 통계 | |
인구 (2008년) | 284,386명 |
도시 인구 (2008년) | 236,609명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 20개 동, 14개 리 |
시간대 | |
시간대 | 평양 시간 (UTC+9) |
2. 역사
평성시는 과거 평양시와 평안남도의 일부 지역을 통합하여 만들어진 계획도시이다. 1965년 평양시 룡성구역과 평안남도 순천군, 순안군의 일부 지역을 합쳐 '''평성구'''가 처음 설치되었으며,[28] 1969년에는 '''평성시'''로 승격되어 평안남도의 새로운 도청 소재지가 되었다.[3] 대한민국 측 자료에 따르면, 도시의 이름은 당시 최고지도자였던 김일성이 직접 지었으며, 평양을 방어하는 성(城)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전해진다.[4]
이후 여러 차례 주변 지역을 편입하며 확장되었으나, 1995년에는 덕산동, 배산동 등 일부 지역이 평양시 은정구역으로 편입되기도 했다.[3] 1999년에는 경신리가 평양시 강동군으로 편입되었다.[29]
비교적 최근인 2017년 11월에는 평성시 일대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인 화성-15형이 발사되었다.[5]
2. 1. 평성시 설치 이전
광복 당시 현재의 평성시 지역은 평안남도 순천군의 사인면과 후탄면에 속해 있었다.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수립 후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965년 평양시 룡성구역의 하리·하차리 일부, 순천군의 사인리·봉학리·덕산리, 순안군의 상차리를 분리 및 통합하여 평성구를 신설하였다.[28] 이때 봉학리는 봉학동으로, 사인리는 사인동으로 승격되었고, 하차동은 하차리로 강등되어 2동 4리 체제가 되었다.1967년에는 순천군의 월포리, 삼룡리, 후탄리, 청옥리와 강동군의 하단리, 한왕리를 추가로 편입했다. 또한 기존의 하차리를 상차리에 통합하고, 사인동을 옥전동, 평성동, 두무동, 신배동으로 분할하였다. 봉학동 일부는 주례동과 련합동으로 분리되었고, 하리는 배산동으로 승격되어 8동 8리 체제로 확장되었다.
1969년에는 평성구가 평성시로 승격되었으며, 평안남도의 도청 소재지가 평성시로 이전되었다.[3] 이때 대규모 동 분할 및 신설이 이루어져 22동 6리 체제가 되었다. 대한민국 측 자료에 따르면 김일성이 직접 도시 이름을 지었다고 전해지는데, 이는 평양의 '평'과 성(城, 요새)을 의미하는 '성'을 결합한 것이라고 한다.[4]
연도 | 주요 변동 사항 | 비고 (변동 후) |
---|---|---|
1965년 | 평양시 룡성구역 하리·하차동 일부, 평안남도 순천군 사인리·봉학리·덕산리, 순안군 상차리를 병합하여 평성구 설치. | 2동 4리 (봉학동, 사인동 승격, 하차동 강등) |
1967년 | 순천군 월포리·삼룡리·청옥리·후탄리, 강동군 하단리·한왕리 편입. 하차리 폐지(상차리에 편입). 사인동 분할(옥전동·평성동·두무동·신배동), 봉학동 분할(주례동·련합동), 하리→배산동 승격. | 8동 8리 |
1969년 | 평성구가 평성시로 승격. 평안남도청 이전. 대규모 동 분할 및 신설. | 22동 6리 |
2. 2. 평성시 설치 및 발전
광복 당시 현재의 평성시 지역은 평안남도 순천군의 사인면과 후탄면에 속해 있었다.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수립 후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965년 평양시 룡성구역의 하리·하차리 일부, 순천군의 사인리·봉학리·덕산리, 순안군 상차리를 통합하여 '''평성구'''가 신설되었다.[28] 평성시는 과거 평양시와 평안남도의 일부였던 지역들을 합쳐 만들어진 계획도시인 셈이다.1967년에는 순천군 월포리, 삼룡리, 후탄리, 청옥리와 강동군 하단리, 한왕리를 추가로 편입하고, 기존의 사인동을 평성동, 옥천동, 두무동으로 나누는 등 행정 구역을 개편했다. 1969년에는 평성구를 '''평성시'''로 승격시키면서 평안남도의 도청 소재지가 되었다.[3] 대한민국 측 자료에 따르면, 도시의 이름은 김일성이 직접 지었으며, 평양의 '평' 자와 성(城)을 합쳐 '평양을 지키는 도시'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한다.[4]
1972년 순안군이 평양시 순안구역으로 개편되면서 률화리와 어중리가 평성시에 편입되었고, 1974년에는 화포리, 자산리, 백송리, 고천리, 운흥리가 추가로 편입되었다. 그러나 1995년에는 덕산동, 배산동, 지경동 일부, 송령동 일부가 평양시 은정구역으로 편입되면서 시의 면적이 일부 축소되었다. 지경동의 나머지 지역은 하차동에 흡수되었다.[3] 1999년에는 경신리가 평양시 강동군에 편입되었다.[29]
2017년 11월 2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평성시 일대에서 대륙간 탄도 미사일인 화성-15형을 발사했다.[5]
'''행정 구역 변천사'''[28][29][3]
연도 | 변경 내용 | 결과 |
---|---|---|
1965년 | 평양직할시 룡성구역 하리·하차동 일부, 평안남도 순천군 사인리·봉학리·덕산리, 순안군 상차리를 병합하여 평성구 설치. | 2동 4리 (봉학동, 사인동, 덕산리, 상차리, 하리, 하차리) |
1967년 | 순천군 월포리·삼룡리·청옥리·후탄리, 강동군 하단리·한왕리 편입. 하차리 폐지 및 상차리에 편입. 사인동 분할 (옥전동·평성동·두무동·신배동). 봉학동 일부 분할 (주례동·련합동). 하리 → 배산동으로 승격. | 8동 8리 |
1969년 | 평성구를 평성시로 승격. 평안남도청 이전. 봉학동·주례동 일부 → 구월동. 봉학동 잔부·주례동 일부 → 보덕동. 덕산리 분할 (덕산동·삼화동·송령동). 배산동 일부 분할 (지경동). 상차리 분할 (상차동·하차동). 신배동 분할 (문화동·오리동). 평성동·옥전동 일부 → 은덕동, 덕성동. 옥전동 일부 분할 (양지동·중덕동). 련합동 분할 (봉학동·학수동). 청옥리 일부 분할 (랭천동). | 22동 6리 |
1972년 4월 | 순안군 어중리·률화리 편입. | 22동 8리 |
1974년 5월 | 순천군 자산리·자모리·백송리·화포리·운흥리·고천리 편입. | 22동 14리 |
1981년 | 한왕리 → 경신리로 개칭. | 22동 14리 |
1989년 | 중덕동 일부 분할하여 역전동 신설. | 23동 14리 |
1995년 5월 | 덕산동·배산동 및 지경동·송령동 일부 → 평양직할시 은정구역 편입. 지경동 잔부 → 하차동 편입. | 20동 14리 |
1999년 12월 | 하단리 일부 → 경신리 편입. 경신리 일부 → 평양직할시 강동군 동리·향목리 분할 편입. | 20동 14리 |
2000년 11월 | 송령동 일부 → 평양직할시 은정구역 광명동 편입. | 20동 14리 |
수도 평양에서 북쪽으로 약 30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주변에는 여러 산이 솟아 있다. 평성시는 해발 100m에서 200m 사이의 높이에 자리 잡고 있으며, 특히 도시 서쪽 지역은 대부분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도시 면적의 53%는 숲으로 덮여 있는데, 주요 수종으로는 참나무, 자작나무, 아카시아, 단풍나무, 오리나무 등이 있다.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보이며, 다양한 귀금속이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동강이 도시를 가로질러 흐른다.
평성시는 20개의 동(洞)과 14개의 리(里)로 구성되어 있다.
3. 지리
4. 행정 구역
4. 1. 동(洞)
평성시는 20개의 동(洞)과 14개의 리(里)로 구성되어 있다. 동(洞)의 목록은 아래와 같다.
행정동 | 행정동 |
---|---|
구월동 (九月洞) | 양지동 (陽地洞) |
덕성동 (德性洞) | 역전동 (驛前洞) |
두무동 (杜茂洞) | 오리동 (五里洞) |
랭천동 (冷泉洞) | 옥전동 (玉田洞) |
문화동 (文化洞) | 은덕동 (恩德洞) |
보덕동 (保德洞) | 주례동 (周禮洞) |
봉학동 (鳳鶴洞) | 중덕동 (中德洞) |
삼화동 (三花洞) | 평성동 (平城洞) |
상차동 (上次洞) | 하차동 (下次洞) |
송령동 (松嶺洞) | 학수동 (鶴水洞) |
4. 2. 리(里)
평성시는 다음과 같은 14개의 리(里)로 구성되어 있다.경신리 (敬信里) | 어중리 (御重里) |
고천리 (古泉里) | 운흥리 (雲興里) |
율화리 (栗花里) | 월포리 (月浦里) |
백송리 (栢松里) | 자모리 (慈母里) |
삼룡리 (三龍里) | 자산리 (慈山里) |
청옥리 (青玉里) | 화포리 (和浦里) |
하단리 (下端里) | 후탄리 (厚灘里) |
5. 경제
평성시의 경제는 공업과 농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축산업 또한 이루어진다. 주요 공장으로는 평성편직공장, 평성고무줄공장, 평성합성가죽공장, 모란봉시계공장, 평성식료품공장, 평성제약공장 등이 있다. 이들 공장에서는 일용품을 비롯하여 고무줄, 합성가죽, 시계, 목재, 방직 및 피복, 식료품, 의약품 등을 생산한다.[26]
농업은 토지 이용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시 전체 면적의 28%가 농경지로 활용된다. 이 중 논이 24%, 밭이 64%, 과수원이 12%를 구성하며[26], 과일도 재배된다.[7]
평성시는 북한 과학 기술 연구의 중심지로, 국가과학원 산하의 연구 시설들이 위치해 있다. 여기에는 소규모 핵 및 물리학 연구 시설과[6] 대규모 연구소가 포함된다.[26] 관련 고등 교육기관으로는 평성리과대학 등이 있다.
상업 및 유통 분야에서는 특히 중국으로부터 수입된 제품을 취급하는 도매업이 발달했다. 이는 평성시의 지리적 이점과 교통망 덕분이기도 하지만, 많은 상인들이 평양으로 들어갈 수 있는 여행 허가증을 소지하지 못해 평양 진입 전 검문 지점인 평성시에서 상품을 거래해야 하는 상황과도 관련이 있다.[8] 이곳의 시장들은 해주시나 사리원시 등 다른 도시들에도 상품을 공급하며, 신의주시에서 원산시와 같은 동해안 도시로 물품을 보내는 데 있어 평성시를 경유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 경로로 이용되기도 한다.[4] 그러나 2009년에는 이러한 시장 활동이 자본주의적 영향력을 확산시킨다는 이유로 당국에 의해 두 개의 작은 시장으로 강제 분할되었다고 전해진다.[4]
5. 1. 3.16 공장 (평남종합기계공장)
평성시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공장은 3.16 공장으로, 평남종합기계공장 또는 평상자동차공장으로도 알려져 있다.[9] 이 공장의 면적은 248000m2에 달하며, 고용 인원은 7,000명에서 8,000명으로 추정된다.[9] 1977년 3월 16일에 설립되었다.[4]공장의 정확한 위치는 논란의 대상이다. 일반적으로 평성시 구월동에 위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대한민국 정보기관은 이 공장이 실제로는 배산동에 등재된 '대백산 회사' 소속이며, 행정구역상 평양에 속한다고 주장한다.[4] 공장에는 평양과 순천시로 이어지는 도로가 연결되어 있다.[4]
이 공장에서는 과거 개성 69와 개성 85 지프,[10][11] 대백산 시리즈 트럭, 장갑차 등을 생산했다.[4] 또한 2007년 러시아의 카마즈와의 협력을 통해 KamAZ-55111 모델을 기반으로 한 대백산-96 트럭을 현지에서 조립 생산하기도 했다.[4] KamAZ 트럭 생산은 2010년에 종료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지만,[13] 이후에도 다른 모델의 KamAZ 트럭이 공장 시설에서 목격된 바 있다.[12]
최근 들어 이 공장은 군사적 목적의 생산 활동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화성-15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이동식 발사대(TEL)를 생산하거나 개조하고,[12] 중국 중차량 그룹의 대형 트럭을 다연장 로켓(MRL) 발사 차량으로 개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있다.[12] 2017년에는 공장 내부에 임시 구조물이 건설되었는데, 이는 자강도 전천군에 위치한 제65호 공장의 사례와 유사하게 TEL 관련 개발 및 생산을 지원하기 위한 시설로 추정된다.[14]
2019년에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시에 따라 공장 내 여러 건물이 재건축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 과정에서 공장 내 모든 도로가 재포장되었고 일부 노후 구조물이 철거되었으며, 부업으로 보이는 축산 시설 건설에도 일부 진척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공장 내부 도로의 회전 반경은 여전히 화성-15 ICBM용 TEL을 자유롭게 운용하기에는 비좁아, 해당 차량의 대량 생산이 아직 본격화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NK 뉴스 등 북한 전문 매체의 분석가들은 이러한 시설 개선 작업이 TEL 생산 능력을 확보하기 위한 단계적 조치일 수 있다고 평가한다.[12]
6. 교육 기관
평성시는 북한의 과학 기술 분야의 중심지 역할을 할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여러 대학, 대학교 및 연구 센터가 위치해 있다.
- 리과대학
- 평성대학
- 평성경공업대학
- 평성체육대학
- 평성 과학 기술 대학교 - 핵물리학과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학과의 연구원들은 북한의 핵 프로그램에 기여한다. 이 학과는 원자력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15][16]
- 평성 의학 대학 - 평안남도 지역 의학 훈련 기관 역할을 한다.
- 우주 과학 연구소
- 평성 수의 축산 대학[17]
7. 교통
평성시는 평양과 지리적으로 가까워 교통 연계성이 좋으며, 주요 교통 수단으로 평라선 철도와 노면전차가 운행되고 있다.
7. 1. 철도
평성시는 평양과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며 여러 도로로 연결되어 있다. 평양과 라선을 잇는 평라선 철도가 평성시를 통과하며, 이 노선 상에는 평성시 역전동에 위치한 평성역과 봉학동에 위치한 봉학역이 있다.평성시에는 노면전차 노선도 운영되고 있다. 이 노선은 1983년 8월 4일 문화동에서 평성역까지 처음 개통되었고, 1992년에는 5.2km 연장되어 배산동까지 운행 구간이 늘어났다. 하지만 1996년에서 2005년 사이에 평성역과 당시 광명동 (현재 평양 은정구역)을 잇던 구간이 단절되어 노선이 분리되었다. 이는 도시 구역 조정의 결과로 추정된다.[19] 2015년 기준으로 문화동-평성역 구간에는 굴절 노면전차 3대를 포함하여 약 12대의 차량이 운행되었으나,[20] 2015년과 2020년 사이에 굴절 노면전차가 운행을 중단하면서 운행 차량은 8대로 감소했다.[21]
7. 2. 노면 전차
평성에는 노면전차 노선이 하나 있다. 이 노선은 1983년 8월 4일 문화동에서 평성역까지 개통되었으며, 1992년에는 5.2km 연장되어 배산동까지 이르렀다. 그러나 1996년에서 2005년 사이에 평성역과 광명동 (현재 은정구역, 평양의 일부) 사이의 노선이 단절되어 원래 연결되어 있던 노선이 분리되었는데, 이는 도시 분할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19] 2015년에는 문화동에서 평성역까지 운행하는 노선에 3대의 굴절 노면전차를 포함하여 약 12대의 노면전차가 운행 중인 것으로 보고되었으나,[20] 2015년과 2020년 사이에 굴절 노면전차가 퇴역하면서 8대로 줄었다.[21]8. 관광지
9. 자매 결연 도시
참조
[1]
뉴스
Harmonious neighbourhood
http://www.pyongyang[...]
2021-03-31
[2]
간행물
2008 Population Census, National Report
http://unstats.un.or[...]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Pyongyang, DPR Korea
2010-03-31
[3]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2021-10-09
[4]
웹사이트
Profiles of the cities of DPR Korea – Phyongsong
https://www.univie.a[...]
[5]
웹사이트
North Korea's Third ICBM Launch
https://www.38north.[...]
2021-10-09
[6]
웹사이트
Much Ado About Kangson
https://www.38north.[...]
2021-10-09
[7]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2021-10-09
[8]
뉴스
Pyongyang Bling: The rise of North Korea's consumer comrades
https://www.reuters.[...]
Reuters
2015-06-04
[9]
웹사이트
TAEPAEKSAN 70
https://www.chinesec[...]
2021-10-09
[10]
웹사이트
KAENGSAENG 85
https://www.chinesec[...]
2021-10-09
[11]
웹사이트
KAENGSAENG 68KA
https://www.chinesec[...]
2021-10-09
[12]
웹사이트
North Korea renovates key missile launcher factory ahead of big military parade
https://www.nknews.o[...]
2021-10-09
[13]
웹사이트
Satellite photos show work on North Korean site linked to long-range missiles
https://www.nbcnews.[...]
2021-10-09
[14]
웹사이트
Shelter Recently Dismantled at March 16 Factory
https://www.38north.[...]
2021-10-09
[15]
웹사이트
Pyongsong - North Korean Special Weapons Facilities
https://fas.org/nuke[...]
[16]
웹사이트
Pyongsong city guide, North Korea
http://www.koreakons[...]
[17]
웹사이트
Higher education updated
http://www.pyongyang[...]
2021-10-09
[18]
웹사이트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cybernk.n[...]
2021-10-09
[19]
웹사이트
Pyongsong
https://transphoto.o[...]
2020-10-19
[20]
웹사이트
Beitrag – trolley:motion
https://www.trolleym[...]
2021-10-09
[21]
웹사이트
Beitrag – trolley:motion
https://www.trolleym[...]
2021-10-09
[22]
웹사이트
Agreement signed between DPRK and Bulgaria
http://kcna.co.jp/it[...]
KCNA
2000-02-10
[23]
웹사이트
Nepal-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Relations – Ministry of Foreign Affairs Nepal MOFA
https://mofa.gov.np/[...]
2024-05-11
[24]
뉴스
bhaktapura ra pyongsong bich bhagini sambandha sthapana
https://archive.org/[...]
Bhaktapur Municipality
2014-07-19
[25]
웹사이트
평안남도 평성시 역사
http://www.cybernk.n[...]
[26]
보고서
남북협력 확대 대비 교통물류 협력 여건 및 전망: 11. 평성-순천권
https://www.koti.re.[...]
한국교통연구원
2021-06-22
[27]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28]
백과사전
평성시(平城市)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
[29]
서적
조선지명편람 평안남도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