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산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산시는 중국 광둥성 주강 삼각주 서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부처의 산"을 의미하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고대 백월 민족의 거주지였으며, 당나라 시대에 불상이 발견된 후 불교 중심지로 발전했다. 명나라 시대에는 도자기 산업이 번성하여 중국 4대 명진으로 꼽혔으며, 청나라 시대에는 광저우부의 관할을 받았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포산시는 광둥성 직할시로 승격되었으며, 2002년에는 5개의 구를 관할하는 행정 체제를 갖추었다. 현재는 주강 삼각주와 광둥-홍콩-마카오 대만구의 핵심 도시로 성장하고 있으며, 가전제품, 의류, 도자기, 금속 가공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다. 포산시는 황비홍 기념관, 엽문당, 조묘, 서초산 등 풍부한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타미시, 오클랜드 등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웨강아오 대만구 - 선전시
선전시는 광둥성 남동부에 위치한 중국 최초의 경제특구이자 홍콩과 접경한 도시로, 급속한 경제 성장을 통해 중국 경제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첨단 기술, 금융, 물류, 문화 산업이 발달하고 세계적인 기업들이 본사를 둔 마천루가 많은 도시이다. - 웨강아오 대만구 - 한정
중화인민공화국 정치인 한정은 상하이시 시장과 당 서기를 거쳐 국무원 부총리를 역임하고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부주석을 맡고 있으며, 상하이 방파의 일원으로서 시진핑 지도부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 광둥성의 지급시 - 산터우시
산터우시는 중국 광둥성 동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고대 어촌에서 시작하여 제2차 아편 전쟁 이후 개항하며 발전했고, 현재 제조업이 발달했으며, 조주인을 중심으로 많은 인구가 거주하며, 버스, 택시,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과 산터우 항 및 제양 차오산 국제공항을 통해 국내외로 연결된다. - 광둥성의 지급시 - 선전시
선전시는 광둥성 남동부에 위치한 중국 최초의 경제특구이자 홍콩과 접경한 도시로, 급속한 경제 성장을 통해 중국 경제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첨단 기술, 금융, 물류, 문화 산업이 발달하고 세계적인 기업들이 본사를 둔 마천루가 많은 도시이다. - 국가역사문화명성 - 베이징시
베이징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직할시로, 정치, 문화, 교육의 중심지이며, 3,000년의 역사를 지닌 북부의 교통 요충지이다. - 국가역사문화명성 - 우한시
우한은 후베이성 중부에 위치한 장강과 한수 합류 지점의 대도시이자 경제·문화 중심지로, 무창, 한커우, 한양이 통합되어 형성되었으며 오랜 역사와 신해혁명 발상지, 코로나19 팬데믹 진원지로 알려져 있고, 현재는 중국 중부 부흥 계획의 중심 도시로서 경제 성장과 발달된 교통망, 산업 시설, 연구 기관을 갖추고 있다.
포산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佛山市 |
다른 이름 | Fatshan (팟샨) |
별칭 | (찬) |
국가 | 중국 |
성 | 광둥성 |
소재지 | 찬청 구 |
CPC 위원회 서기 | Zheng Ke () |
시장 | Bai Tao () |
면적 (전체) | 3848 km2 |
면적 (물) | 690 km2 |
도시 면적 | 3848 km2 |
광역 도시권 면적 | 19870.4 km2 |
인구 (2020년) | 9498863 명 |
인구 (광역 도시권) | 65594622 명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
UTC 오프셋 | +8 |
해발 고도 | 16 m |
우편 번호 | 528000 |
지역 번호 | (0)757 |
ISO 코드 | CN-GD-06 |
자동차 번호판 접두사 | | (2018년 2월 이전 난하이구 등록 차량)| (2018년 2월 이전 순더구 등록 차량)}} |
상징 | |
시의 나무 | 은향목 |
시의 꽃 | 백란 |
경제 | |
GDP (2016년) | 8767 억 |
1인당 GDP (2016년) | 117985 |
GDP | |
지급시 | CN¥ 1.759 trillion US$ 166.8 billion |
1인당 | CN¥ 127,085 US$ 19,699 |
위치 정보 | |
2. 명칭
"포산"(중국어 佛山|풔산중국어)이라는 이름은 당나라 때인 628년에 시내의 탑파강에서 3개의 동 불상이 발굴되어 근처에 《탑파사》가 지어지면서 유래되었다.[6] 이 지역은 불교의 중심지라고 하여 "선성"(禪城)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포산의 역사는 고대 백월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전한 무제에 의해 남월이 멸망하고 군국제가 시행되면서 중원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진나라 대에는 《계화》, 당나라 때인 628년에는 탑파강에서 3개의 동 불상이 발굴되어 《탑파사》가 지어지면서 불산으로 개명되었고, 불교 중심지로 선성(禪城)으로 불렸다.
포산의 표준 만다린 발음을 기준으로 한 로마자 표기인 병음은 ''포산''(Fóshān)이다. 중국 우편 지도 표기로는 "Fatshan"인데, 이는 현지 광둥어 발음에서 파생된 것이다. 다른 로마자 표기로는 '''Fat-shan'''[3]과 '''Fat-shun'''[5]이 있다.
3. 역사
명나라 1449년(정통 14년), 양광 등의 향신이 《충의영》(忠義營)이라는 무장세력을 조직, 황소 등의 농민 봉기를 진압하여 명조로부터 충의관 칭호를 받고 불산 일대는 〈충의향〉으로 불렸다. 이때 불산은 요업이 번성하여 장시성 징더전, 후베이성 한커우(우한시), 허난성 주셴전과 함께 중국 4대 명진으로 손꼽혔다.
청나라 1732년(옹정 10년), 영남 지방 행정 개편으로 불산에는 불산직례청이 설치되어 광저우부 관할이 되었다.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에서는 난하이 현 관할 하에 배속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1949년 10월 29일, 난하이 현에서 포산 전구가 독립 행정구분으로 성립되었고, 1975년에는 광둥성 직할시인 포산 시가 성립되었다. 1983년 6월, 난하이 현, 순더 현, 싼수이 현, 가오밍 현, 중산 현의 5현을 관할했고, 동년 12월 중산 현은 중산 시로 분할되었다. 2002년에 하부 행정구역으로 찬청 구, 난하이 구, 순더 구, 싼수이 구, 가오밍 구의 5구가 설치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포산시의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시기 행정 구역 변천 1950년 1월 12일 광둥성 주장전구 포산시 → 지급시 포산시 승격 1956년 1월 4일 포산시 → 포산전구 편입, 현급시 강등 1966년 포산 전구 포산시 → 지급시 포산시 승격 1970년 포산시 → 포산 지구 편입, 현급시 강등 1975년 11월 22일 포산 지구 포산시 → 지급시 포산시 승격 1983년 12월 22일 포산 지구 난하이현, 산수이현, 순더현, 가오밍현, 중산현 편입 (중산현은 시로 승격) 1984년 7월 펀장구, 스완구 설치 1987년 2월 12일 펀장구 → 청구 개칭 1992년 ~ 1994년 순더현, 난하이현, 산수이현, 가오밍현 → 시로 승격 2002년 12월 8일 청구, 스완구, 난하이시 일부 합병 → 찬청구 / 난하이시, 순더시, 산수이시, 가오밍시 → 구로 승격
''포산''(Fóshān)은 도시의 중국어 이름 佛山중국어을 표준 만다린 발음을 기준으로 한 로마자 표기인 병음이다. 중국 우편 지도 표기인 "Fatshan"은 동일한 이름의 현지 광둥어 발음에서 파생되었다. 포산은 "부처 산"을 의미하며, 서기 628년에 세 개의 청동 중국 조각 불상이 발견된 도시 중심부 근처의 작은 언덕을 가리킨다.[6]
3. 1. 고대와 중세
백월 여러 민족의 거주지였던 포산은 전한 무제에 의해 남월이 멸망하면서 군국제가 시행된 이후 중원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진나라 대에는 《계화》라고 불렸고, 당나라 때인 628년에 시내의 탑파강에서 3개의 동 불상이 발굴되어 근처에 《탑파사》가 지어지면서 불산으로 개명되었다. 부근은 불교의 중심지라고 하여 선성(禪城)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명나라 1449년(정통 14년), 양광 등의 향신에 의해 《충의영》(忠義營)이라는 무장세력이 조직 되어 황소 등에 의한 농민 봉기를 진압하자, 명조는 양광을 〈충의관〉이라고 하는 칭호를 주어 불산 일대를 〈충의향〉이라고 칭하게 되었다. 그즈음 불산은 요업이 번성해 장시성 징더전, 후베이성 한커우(우한시), 허난성 주셴전과 함께 중국 4대 명진으로 손꼽혔다.[7] 명나라 초기에 포산은 지역 도자기와 금속 공예로 인해 중국 4대 시장 중 하나로 성장했다.
3. 2. 청나라 시대와 근현대
명대 1449년(정통 14년), 량광 등지의 향신에 의해 "충의영"이라는 무장 조직이 조직되어 황소양 등이 일으킨 농민 봉기를 진압하였다. 명나라는 량광에게 "충의관"이라는 칭호를 부여하고, 포산 일대를 "충의향"이라고 칭하였다. 이 시기 포산은 요업이 번성하여, 장시성징더전, 후베이성한커우진(우한시), 허난성주셴전과 함께 중국 4대 명진으로 꼽혔다.
청대 1732년(옹정 10년), 영남 지방의 행정 개편으로 포산에는 "포산 직례청"이 설치되어 광저우부의 관할이 되었다. 신해 혁명으로 성립된 중화민국은 포산을 난하이현의 관할 하에 두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1949년10월 29일, 난하이현에서 포산 전구가 독립된 행정 구역으로 분리되었고, 1975년에는 광둥성 직할시인 포산시가 성립되었다. 1983년 6월, 난하이현, 순더현, 산수이현, 가오밍현, 중산현의 5개 현이 포산시 관할이 되었다(같은 해 12월, 중산현은 중산시로 분할). 2002년에는 하부 행정 구역으로 찬청 구, 난하이 구, 순더 구, 싼수이 구, 가오밍 구의 5개 구가 설치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포산시는 1950년대까지 주로 도자기 및 철강 생산에 집중했으며, 이후 중국의 도시화된 정치 중심지가 되었다. 1951년 6월 26일, 난하이 현에서 분리되어 별도의 현급시가 되었으며, 1954년에는 지방 정부의 소재지가 되었다.[7]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경제가 정체되었는데, 전통적인 도자기 제품이 금지되었고, 작업장은 마오주의와 중국 내전의 혁명적 장식품을 생산하는 곳으로 바뀌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산시는 계속 성장하여 1970년대에는 30만 명에 달하여 광저우에 이어 광둥성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가 되었다.[7]
1973년 초부터 농업 및 소비재 산업은 수출 생산 기지가 될 수 있었고, 곧 현대식 고속도로가 광저우와 연결되었다. 이는 덩샤오핑이 사인방 몰락 이후 중국 경제 개혁 정책을 도입했을 때 당시 당 서기 퉁멍칭과 시장 위페이가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한 요인이 되었다.[7]
1983년 포산시는 지급시로 승격되었고, 이전 핵심 지역이 새로운 찬청 구가 되었지만, 이전 영토의 남서쪽 절반을 장먼에 넘겨주었다.[7] 2002년 12월 8일, 순더 구와 난하이 구가 도시 중심부에 합류하여 정식 구가 되었다.
2020년부터 포산의 일본 테마 거리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해외 여행이 불가능해진 젊은이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었다.[8] '이치반 거리'라고 불리는 100m 길이의 도로는 일본의 벚꽃 나무를 포함한 유명 상업 거리를 닮도록 현지 부동산 개발업자가 꾸몄다.[8] 이 "이국적인" 거리는 광저우, 중산, 주하이와 같은 인근 도시의 젊은이들을 끌어들이고 있는데, 이는 젊은 중국 세대가 일본 문화와 디자인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8] 그러나 부정적인 반응과 반일 감정으로 인해 모든 일본어 표지판이 제거되었고 거리는 대부분 폐쇄되었다.
4. 지리
포산 시는 주강 삼각주의 북서부에 위치하며, 전체적으로 평탄한 지형이다. 시강(西江)과 주강을 비롯한 여러 하천이 그물처럼 얽혀 흐르고 있어 비옥한 토지를 형성하고 있다.
포산 시는 펄 강 삼각주 서쪽 하구의 펀 강에 자리잡고 있다. 주변 도시와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광둥어의 남번순 방언(난하이화(南海話)·순더화(順德話) 등)이 사용되는 지역이다.
4. 1. 기후
주강 삼각주 서북쪽에 위치하며, 전체 지형은 평탄하고, 서강, 주강을 시작으로 하는 하천이 그물처럼 흐르고 있다. 토지는 비옥하고, 해양성 몬순 기후에 속하기 때문에, 연평균 강수량이 2100mm로 풍부하여 농업에 적절한 기후이다. 연평균 기온은 22.9°C으로 대체로 온난하다. 광둥어 남번순 방언(난하이어, 순더어 등)의 사용 지역에 있다.[28][29] 포산시는 습윤 아열대 기후(쾨펜 기후 구분 ''Cfa'')를 보인다.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 | 18.3°C | 19.7°C | 22.3°C | 26.7°C | 30.5°C | 32.4°C | 33.7°C | 33.6°C | 32.2°C | 29.4°C | 25.2°C | 20.4°C |
평균 기온 (℃) | 14°C | 15.7°C | 18.6°C | 23°C | 26.6°C | 28.6°C | 29.5°C | 29.4°C | 28.1°C | 25.1°C | 20.7°C | 15.8°C |
평균 최저 기온 (℃) | 11.1°C | 12.9°C | 15.9°C | 20.3°C | 23.7°C | 25.8°C | 26.5°C | 26.3°C | 25°C | 21.9°C | 17.4°C | 12.6°C |
역대 최고 기온 (℃) | 26.7°C | 27.1°C | 30.7°C | 32.7°C | 35.6°C | 37.1°C | 38.5°C | 38.5°C | 37.8°C | 34.2°C | 30.6°C | 28.8°C |
역대 최저 기온 (℃) | 2°C | 2.3°C | 3.4°C | 10.5°C | 14.9°C | 18.7°C | 22.8°C | 23.3°C | 19.6°C | 10.7°C | 4.4°C | 3.1°C |
강수량 (mm) | 53.1mm | 54.4mm | 95.8mm | 161.5mm | 260.9mm | 308.1mm | 226.6mm | 266.3mm | 211.1mm | 78.7mm | 42.2mm | 35.2mm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7.2 | 9.3 | 13.8 | 14.6 | 17.2 | 18.5 | 16.5 | 15.8 | 12.3 | 5.3 | 5.7 | 5.7 |
평균 상대 습도 (%) | 71 | 76 | 79 | 80 | 79 | 80 | 77 | 77 | 74 | 67 | 67 | 65 |
평균 일조 시간 | 104.3 | 75.1 | 61.8 | 73.2 | 112.5 | 132.6 | 178.8 | 167.5 | 157.0 | 170.5 | 150.8 | 140.4 |
일조율 (%) | 31 | 23 | 17 | 19 | 27 | 33 | 43 | 42 | 43 | 48 | 46 | 42 |
4. 2. 행정 구역
코드[15]()[16]
번호
커뮤니티
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