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삼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삼랑은 명나라 시대 설화집인 《화관색전》에 등장하는 가상의 인물로, 뛰어난 무예를 지닌 여성 무장이다. 관색과의 만남과 결혼, 그리고 군사적 활약상이 주요 내용이며, 관우의 아들인 관색과 결혼하여 유비의 인정을 받아 군에서 직위를 얻는다. 관색 사후에는 가맹관을 지키다 사망하거나, 관색의 측실들과 함께 병사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정사 삼국지에는 등장하지 않으며, 역사적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다. 현대에는 게임 삼국지 시리즈와 진·삼국무쌍 시리즈에 등장하며 대중문화 속에서 매력적인 캐릭터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공의 여장군 - 화목란
    화목란은 중국 설화 속 여성 영웅으로, 아버지를 대신해 남장으로 입대하여 공을 세운 이야기로 전해지며,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재해석되어 효심, 용기, 여성 독립심의 상징적인 문화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다.
  • 가공의 여장군 - 축융부인
    축융부인은 《삼국지연의》에 등장하는 맹획의 아내로, 제갈량의 남만 정벌 당시 뛰어난 무예와 비도술로 촉군에 맞서 싸우며 여러 장수를 사로잡았으나, 맹획과 함께 제갈량에게 항복하여 남중 지역을 다스리게 되었다.
  • 삼국지의 가공 인물 - 과정
    과정은 특정 결과를 얻기 위한 절차나 단계를 뜻하지만, 현재 제공된 문서에는 구체적인 내용이 없어 추가적인 분석이나 설명이 어렵다.
  • 삼국지의 가공 인물 - 하후덕
    하후덕은 《삼국지연의》에 등장하는 조조군의 장수로, 천탕산을 지키다 황충, 엄안과의 전투에서 연이어 패하며 전사했다.
포삼랑
개요
이명포씨 (鮑氏)
국적촉한
출생미상
사망미상
가족포룡, 관색 (배우자)
상세 정보
소속촉한
배우자관색
등장 작품삼국지연의
주요 활동제갈량의 남만 정벌 종군
기타 정보포삼랑은 중국의 대중 소설 《삼국지연의》에 등장하는 가공의 인물로, 관색의 아내이다. 포룡의 딸로 설정되어 있다.
로마자 표기Bo Samnyang

2. 문헌 및 설화 속 포삼랑

포삼랑에 대한 이야기는 역사서보다는 민간 설화와 희곡을 통해 주로 전해진다. 포삼랑은 포원외의 셋째 딸로, 사천의 포씨 마을에 살았다. 연강은 포삼랑에게 청혼했으나 거절당하자 마을을 공격해 그녀를 붙잡으려 했지만, 포삼랑은 이에 맞서 싸웠다. 이후 포씨 가문이 연강을 처형했다.[2]

관우의 아들 관색은 연강을 물리치는 데 큰 역할을 한 여성 무사가 포삼랑이라는 것을 알고 결투를 신청했다. 결투 끝에 포삼랑은 패배했고, 자신을 이긴 첫 상대에게 매료되어 결혼을 제안했다. 관색 또한 그녀의 아름다움과 용기에 감탄하여 이를 받아들였다. 유비의 승인 후, 포삼랑은 군대에 정식 직위를 받았다.[3]

219년, 관우가 번성 전투에서 동오에 의해 살해되자, 관색과 포삼랑은 포씨 가문으로 피신했다. 이후 이릉 전투에서 유비가 패배하고 사망하자, 포삼랑과 관색은 성도로 돌아갈 준비를 했다. 관색은 제갈량에게 자신을 소개하며 아버지의 복수를 돕고자 했으나 병으로 늦어졌다고 말했다.[4] 제갈량은 제갈량의 남중 정벌에 관색과 포삼랑을 참전시켰다. 포삼랑은 성문을 지키며 맹획 군대의 공격을 막아냈고, 맹우를 붙잡아 관색이 적진으로 진격할 수 있도록 도왔다.

관색은 전투 중 사망했고, 포삼랑은 남편의 죽음에도 슬퍼하지 않고 가정관을 지켰다고 전해진다.

2. 1. 화관색전

명나라 시대에 성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설화집인 "화관색전"에서 포삼랑은 포원외의 셋째 딸로 등장한다. 포삼랑은 아름다운 외모와 뛰어난 무예를 겸비하여 귀공자들의 구혼을 받지만, "자신보다 무예가 떨어지는 자와는 결혼하지 않겠다"라며 거절했다.

한편, 관우의 아들 관색은 아버지 관우를 만나기 위해 방랑하던 중 포삼랑에 대한 소문을 듣고 포가장에 찾아가 결투를 신청한다. 50합도 겨루기 전에 포삼랑은 말에서 떨어지고, 처음으로 패배한 데다 관색이 관우의 아들임을 알게 된 포삼랑은 그를 집으로 초대해 결혼을 제안한다. 관색 역시 포삼랑의 무예에 감탄하고, 미모에 기뻐하며 승낙하여 결혼식을 올린다.[3] 이후 관색과 포삼랑은 유비 진영에 합류한다.

관색과 포삼랑은 늘 같은 전장에서 싸웠지만, 관색이 제갈량의 남중 정벌에 선봉으로 종군하게 되자 포삼랑은 가맹관을 지키게 된다. 이때 관색이 아쉬운 마음에 고민을 털어놓자, 포삼랑은 "나라의 대사에 무슨 말씀을 하시는 겁니까? 저는 괜찮습니다. 훌륭하게 임무를 수행하고 오세요."라며 설득했다고 한다.

이후 관색은 남정에서 전사하지만, 그 소식을 들은 포삼랑은 눈물 한 방울 흘리지 않고 갑옷을 벗지 않은 채 가맹관을 지키다 죽는 이야기도 있고, 그대로 관색의 측실이라는 설정의 왕도, 왕열 자매와 함께 가맹관을 지키다 병사했다는 이야기도 있다.[4]

2. 2. 기타 문헌

일본의 여러 문헌에서는 포삼랑이 가맹관을 지키다 죽었다거나, 관색의 측실들과 함께 병사했다는 등의 다양한 이야기가 전해진다.[2] 중국 윈난성 청장 시 샤오툰 촌에 남아있는 극인 윈난 관색희에는[8] 포삼랑과 백화공주가 싸우는 "삼랑공주전" 등의 이야기가 있다. "화관삭전삼랑"이 전해져 만들어진 방자희의 "소과산", "흑호산"에서는 포삼랑이 관삭을 생포하여 결혼한다.[9] 윈난 관색희에서는 그 외에 "삼랑공주전"에서 포삼랑은 쌍전(쇠몽둥이, 철편)을 사용하여 백화공주와 싸운다.[8] 강서성 완재현 담부진의 추나 행사 가면극에는 요괴 포삼랑이 신인 화관색과 싸워 패배하고 결혼한다는 내용의 "포삼랑여화관색"이 상연된다.[10]

3. 역사적 실존 여부

쓰촨성 광위안시에 포삼랑의 묘라고 전해지는 곳이 있어, 그녀의 실존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5][6] 그러나 '삼랑'과 같은 이름은 삼국 시대가 아닌 당송 시대 이후에 흔히 보이는 여성 이름이다.[7] 또한, 포삼랑의 아버지로 언급되는 '포 원외'에서 '원외'라는 호칭은 · 시대에 널리 사용된 것이다.

4. 대중문화 속 포삼랑

포삼랑은 현대 대중문화에서 매력적인 캐릭터로 자주 등장한다. 일본 코에이사의 게임 삼국지 시리즈와 진·삼국무쌍 시리즈에 등장하여 한국에서도 인지도가 높다.[1]

4. 1. 게임

일본 코에이사의 게임 삼국지 시리즈와 진·삼국무쌍 시리즈에 등장하여 한국에서도 인지도가 높다. 특히 진·삼국무쌍 7무쌍 오로치 3에서는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등장한다.[1]

4. 2. 기타 매체

포삼랑은 코에이의 게임 시리즈 ''삼국지'' 11번째 작품에 등장한다. 또한 진·삼국무쌍 시리즈의 7번째 작품인 진·삼국무쌍 7과 스핀오프 게임 무쌍 오로치 3에서도 새로운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소개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鲍三娘墓 https://archive.toda[...]
[2] 서적 Chinese Popular Culture and Ming Chantefables https://books.google[...] BRILL 1998
[3] 서적 A study of Hua Guan suo zhuan: a prosimetric narrative printed in 147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Department of Far Eastern Languages and Civilizations 1982
[4] 서적 花関索伝の研究 https://books.google[...] 1989
[5] 웹사이트 鮑三娘墓 百度百科 http://baike.baidu.c[...]
[6] 웹사이트 鮑三娘其人其墓 南充《三国志》文化坊_百度空間 http://hi.baidu.com/[...]
[7] 문서 先秦魏晋南北朝女子命名以及女子姓名文化初探 http://www.360doc.co[...]
[8] 간행물 雲南関索戯とその周辺 The Mask Theatre of Guan Suo and its Context http://www.spacelan.[...] 金沢大学文学部中国語学・中国文学講座 2011-12-14
[9] 간행물 清代英雄傳奇小説成立の背景 貴州安順地戲よりの展望 http://web.kanazawa-[...] 2011-12-14
[10] 간행물 資料紹介・中国民間の仮面 (二)花関索面 https://hdl.handle.n[...] 神奈川大学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