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웨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웨이는 아이신 교로 가문의 일원으로, 청나라 말기 복벽파를 조직하여 청나라 부흥을 시도했으며, 청나라 멸망 후에는 재정적 어려움과 정치적 좌절을 겪었다. 그는 공친왕 이혁의 손자이자 재징의 양자로서 황위 계승 자격을 가졌으며, 만주사변 이후 일본으로부터 괴뢰 정권 황제 자리를 제안받았으나 푸이에게 밀려 좌절되었다. 1936년 56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친왕 - 혁흔
혁흔은 청나라 황족이자 정치가로, 도광제의 아들이자 함풍제의 이복 동생이며, 서구 열강과의 외교에서 활약하고 양무운동을 주도했으나 서태후와의 갈등으로 실각과 복귀를 반복하다가 청불전쟁과 청일전쟁에서 외교와 군사를 총괄하고 1898년에 사망했다. - 공친왕 - 상녕
상녕은 순치제의 아들이자 강희제의 이복동생으로, 청나라 황족 종실로서 대장군을 지냈으나 오란포통 전투 과실로 의정 참여권이 박탈되었고 고륜순희공주를 포함한 자녀를 두었으며, 그의 후손들은 청나라 귀족 작위를 상속받았고, 2011년 드라마에서 상녕 역을 맡은 배우도 있다. - 중국의 일제 부역자 - 한간
한간은 중국 민족주의에서 정치적, 민족적 정체성을 융합하는 데 사용된 용어로, 만주족과 내통한 한족에서 시작하여 제국주의 열강, 중일 전쟁 시기 일본 협력자까지 지칭하며, 오늘날에도 역사적 인물 평가와 관련하여 논쟁의 대상이 된다. - 중국의 일제 부역자 - 천궁보
천궁보는 중국 공산당 창당 멤버였으나 국민당으로 전향하여 왕징웨이 정권에서 친일 행위를 하다가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 아이신기오로 할라 - 푸쥔
푸쥔은 청나라 말기 서태후에 의해 잠시 옹립되었다가 폐위된 광서제의 6촌 조카로, 보경제로 옹립 후 폐위되었으며, 선통제 섭정과 중화민국 총통부 참의를 역임하고 만성 간부전으로 사망하여 그의 삶은 서태후의 정치적 계략과 청나라 몰락의 격동기를 반영한다. - 아이신기오로 할라 - 시버오치피양구
시버오치피양구는 건주여진 가문 출신으로 건주좌위지휘사를 세습했으며, 그의 아들 푸만은 흥조로 추숭되었고, 누르하치의 고조부이다.
푸웨이 | |
---|---|
기본 정보 | |
![]() | |
휘 | 푸웨이 (溥偉) |
시호 | 공헌친왕 (恭賢親王) |
만주어 | ᠠᡞᠰᡞᠨ ᡤᡞᠣᠷᠣ ᡦᡠ ᠸᡝᡞ (Aisin Gioro Puwei) |
신분 | |
작위 | 공친왕 (恭親王) |
봉호 | 공 (恭) |
생애 | |
출생 | 1880년 12월 30일, 베이징, 청나라 |
사망 | 1936년 10월 10일, 신징, 만주국 |
가계 | |
아버지 | 자이잉 (載瀛) (친부), 자이청 (載澄) (양부) |
어머니 | 해서리씨 (赫舍里氏) |
자녀 | 위잔 |
경력 | |
즉위 | 1898년 |
퇴위 | 1936년 10월 10일 |
재위 기간 | 1898년 ~ 1936년 10월 10일 |
기타 | |
친왕 세습 | 공친왕 |
2. 생애
푸웨이는 아이신 교로 가문의 일원으로, 이혁(奕訢)의 둘째 아들 재영(載瀅)의 아들이었다. 서태후의 칙령에 따라 이혁의 장남 재징(載澄)의 양자로 입적되었고,[1] 재징 사후 왕자 칭호를 이어받아 2대 공친왕이 되었다. 금연부 대신으로도 임명되었다.[1]
1911년 신해혁명 당시 산치 등과 복벽파를 조직, 청나라 부흥을 꾀했고 청나라 선통제의 퇴위 조칙 서명을 거부하며 "내가 있는 한, 우리는 싸울 것이다. 대청 제국은 결코 멸망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한다.[1]
청나라 멸망 후, 칭다오 해변에 집을 구매하여 가족을 베이징에서 이주시켰다. 1914년 일본군이 칭다오를 점령했을 때, 그의 집은 해군 포격에 노출되었다. 여러 차례 포격을 받자 푸웨이와 가족은 친구 집으로 피신했으나, 피신한 친구 집 역시 포격을 받는 위험한 상황을 겪었다. 그럼에도 랴오둥 지역에서 비밀리에 무장 세력을 조직하는 등 청나라 부흥을 위한 노력을 이어갔다.[2]
1922년, 중국이 칭다오 주권을 되찾았지만, 일본 통치 하의 다롄으로 이주했다. 다롄으로 떠나기 전, 가구 일부를 캉유웨이에게 주었다. 재산 관리인의 횡령과 자금성 방화 사건 등으로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 넓은 토지를 소유했었지만, 재산 관리인이 토지를 팔아 돈을 챙기고, 자금성에서 책과 골동품을 밀반출한 뒤 은폐하기 위해 방화까지 저질러 마차를 포기해야 할 정도로 재정 상황이 악화되었다.[2]
만주사변 이후 일본으로부터 괴뢰 정권 황제 자리를 제안받았으나, 푸이에게 밀려 좌절되었다. 1936년 10월, 창춘의 한 호텔에서 56세의 나이로 가난과 질병으로 사망했다.[2]
2. 1. 청나라 시대
그는 아이신 교로 가문의 일원이었다. 푸웨이의 생부는 이혁(奕訢)의 둘째 아들 재영(載瀅)이었고, 이혁의 장남 재징(載澄)이 후사 없이 사망하자 서태후의 칙령에 따라 재징의 양자로 입적되었다.[1] 재징이 사망한 후, 푸웨이는 왕자 칭호를 이어받아 2대 공친왕이 되었다. 푸웨이는 금연부 대신으로도 임명되었다.[1] 1911년 신해혁명 당시 산치 등과 함께 복벽파를 조직하여 청나라 부흥을 시도했고, 청나라 선통제의 퇴위 조칙에 서명하는 것을 거부했다. 그는 "내가 있는 한, 우리는 싸울 것이다. 대청 제국은 결코 멸망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1]2. 2. 청나라 멸망 이후
청나라가 멸망한 후, 푸웨이는 칭다오 해변에 집을 구매하여 가족들을 베이징에서 이주시켰다. 1914년 일본군이 칭다오를 점령했을 때, 그의 집은 해군 포격에 노출되었다. 어느 날 밤, 그의 거처가 여러 차례 포격을 받자 푸웨이와 가족은 친구 집으로 피신했다. 그러나 피신한 친구 집 역시 포격을 받아 벽이 파괴되는 위험한 상황을 겪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푸웨이는 청나라 부흥을 위해 랴오둥 지역에서 비밀리에 무장 세력을 조직하는 등 노력을 이어갔다.[2]1922년, 중국이 칭다오의 주권을 되찾았지만, 푸웨이는 일본 통치 하의 다롄으로 이주했다. 다롄으로 떠나기 전, 그는 가구 일부를 캉유웨이에게 주었다. 푸웨이는 재산 관리인의 횡령과 자금성 방화 사건 등으로 인해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넓은 토지를 소유했었지만, 재산 관리인이 토지를 팔아 돈을 챙기고, 자금성에서 책과 골동품을 밀반출한 뒤 이를 은폐하기 위해 방화까지 저질렀다. 이로 인해 푸웨이는 마차를 포기해야 할 정도로 재정 상황이 악화되었다.[2]
만주사변 이후 푸웨이는 일본으로부터 괴뢰 정권의 황제 자리를 제안받았으나, 푸이에게 밀려 좌절되었다. 1936년 10월, 창춘의 한 호텔에서 56세의 나이로 가난과 질병으로 사망했다.[2]
3. 황위 계승 주장
푸웨이는 초대 공친왕 이혁(奕訢)의 직계 손자이다. 이혁의 장남 재징(載澄)이 황위를 계승할 예정이었으나 일찍 사망했다. 푸웨이는 재징의 양자였기 때문에 황위를 주장할 자격이 있었다.[1]
만주사변 이후, 일본은 만주를 점령하고 푸이와 접촉하여 괴뢰 정권을 수립하려 했다. 푸이는 망설이며 즉시 동의하지 않았다. 그러자 일본은 푸웨이에게 황제가 되도록 요청했다. 이 소식을 들은 푸이는 톈진을 떠나 배를 타고 급히 뤼순커우 구로 갔지만, 일본은 여전히 푸이의 명성이 더 크다고 판단하여 푸이를 집정관으로 하는 괴뢰 만주국을 세웠고, 푸웨이는 황제가 될 기회를 다시 잃었다.
4. 가족 관계
구분 | 성명 | 비고 |
---|---|---|
친아버지 | 재영(載瀅) | 공친왕 이혁(奕訢)의 차남, 베일 작위, 중친왕 |
양아버지 | 재징(載澄) | 공친왕 이혁(奕訢)의 장남, 사후 공과민친왕(恭果敏親王)으로 추증 |
어머니 | 헤세리 씨(赫舍里氏) | 헤세리 충링의 딸 |
정실 부인 | 비루 씨(碧魯氏) | 몽골 황족 출신 |
측실 부인 | 자자 씨(賈佳氏) | |
첩 | 장 씨(張氏) | |
첩 | 저우 씨(周氏) | |
장남 | 미상 | 사망 |
차남 | 위린(毓嶙) | 1905년생, 불명 |
삼남 | 위완(毓岏) | 1906년생, 불명 |
사남 | 위쑹(毓崧) | 1907년생, 불명 |
오남 | 위펀(毓岎) | 1909년생, 불명 |
육남 | 미상 | 사망 |
칠남 | 위잔(毓嶦) | 1923년생, 2016년 사망, 장 씨(張氏) 소생, 공친왕 |
팔남 | 위뤼(毓嵂) | 1926년생, 불명 |
구남 | 미상 | 사망 |
십남 | 위롱(毓嶸) | 1930년생, 불명 |
십일남 | 위용(毓嵱) | 1932년생, 불명 |
딸 | 윈샤(蕴霞) | 1934년생 |
참조
[1]
웹사이트
溥伟:被误读的纨绔子弟-书摘-光明网
https://epaper.gmw.c[...]
2023-10-18
[2]
웹사이트
恭亲王傅伟客居青岛十年 两次欲"称帝"皆梦碎{{!}}半岛网
https://news.bandao.[...]
2023-1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