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공친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친왕은 청나라 황족 작위로, 역대 공친왕은 여러 인물에게 수여되었다. 주요 인물로는 도광제의 여섯째 아들인 이신이 있으며, 그는 공충친왕으로 추존되었다. 이신의 후손으로는 재징, 재영, 보위, 육첨 등이 있다. 또한, 순치제의 아들 상녕을 시조로 하는 상녕계 공친왕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친왕 - 혁흔
    혁흔은 청나라 황족이자 정치가로, 도광제의 아들이자 함풍제의 이복 동생이며, 서구 열강과의 외교에서 활약하고 양무운동을 주도했으나 서태후와의 갈등으로 실각과 복귀를 반복하다가 청불전쟁과 청일전쟁에서 외교와 군사를 총괄하고 1898년에 사망했다.
  • 공친왕 - 푸웨이
    푸웨이는 청나라 부흥을 시도하고 황위 계승 자격을 가졌으나 정치적 좌절을 겪었으며 1936년에 사망했다.
공친왕

2. 역대 공친왕

공친왕(恭親王)은 청나라의 왕작 중 하나로, 크게 두 가계가 있다. 하나는 순치제의 아들 상녕을 시조로 하는 가계이고, 다른 하나는 도광제의 아들 혁흔(奕訢)을 시조로 하는 가계이다.

역대 공친왕
봉호시호이름가계재위년도
공친왕(恭親王)충(忠)혁흔(奕訢)도광제의 6남1850년 ~ 1898년
공친왕(恭親王)현(賢)부위(溥偉)혁흔의 손자 (재영의 장남)1898년 ~ 1936년
공친왕(恭親王)없음육첨(毓嶦)부위의 아들1936년 ~ 1945년



상녕계 공친왕가는 순치제의 아들 상녕을 시조로 하며, 초기 공친왕 작위를 세습했다. 혁흔계 공친왕가는 도광제의 아들 혁흔을 시조로 하며 '철모자왕'으로 불리며 세습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항목을 참조하면 된다.

2. 1. 상녕계 경친왕가(常寧系恭親王家)

상녕계 경친왕가(常寧系恭親王家)는 순치제의 아들 상녕을 시조로 하는 가계로, 초기 공친왕 작위를 세습했다.

상녕은 1671년부터 1703년까지 공친왕 작위를 받았다. 이후 그의 후손들이 작위를 이어받았는데, 해선은 패륵 작위를, 만도호는 봉은진국공 작위를 받았다. 비소는 패륵, 명소는 패자 작위를 받았다. 진창은 봉은진국공 작위를 받았다가 박탈당한 후 봉은보국공으로 복귀했고, 진롱은 봉은보국공 작위를 받았다가 박탈당했다. 상임, 승희, 숭략, 덕음, 덕무는 불입팔분진국공 작위를 받았다.

2. 1. 1. 역대 가주 목록

상녕계 공친왕가 가계도
대수봉호시호이름가계재위년도비고
1공친왕상녕순치제의 5남1671년 ~ 1703년
2패륵해선상녕의 3남1703년 ~ 1712년1712년 작위 박탈
3봉은진국공만도호해선의 차남1703년 ~ 1712년1726년까지 패륵
1726년 패자
1726년부터 봉은진국공
4패륵비소해선의 손자1731년 ~ 1762년
5패자명소비소의 차남1763년 ~ 1787년
6봉은진국공진창명소의 장남1788년 ~ 1803년1803년까지 봉은진국공
1803년 작위 박탈
1817년부터 봉은보국공
7봉은보국공진롱명소의 차남1803년 ~ 1817년1817년 작위 박탈
8봉은보국공진창명소의 장남1817년 ~ 1828년1803년까지 봉은진국공
1803년 작위 박탈
1817년부터 봉은보국공
9불입팔분진국공상임진창의 차남1828년 ~ 1834년
10불입팔분진국공승희상임의 장남1834년 ~ 1891년
11불입팔분진국공숭략승희의 장남1892년 ~ 1894년
12불입팔분진국공덕음숭략의 장남1894년 ~ 1895년
13불입팔분진국공덕무숭략의 차남1895년 ~ ?


2. 2. 혁흔계 공친왕가(奕訢系恭親王家)

도광제의 아들 이신(奕訢)을 시조로 하는 가계로, '철모자왕'으로 불리며 세습되었다. 초대 공친왕 이신은 도광제의 여섯째 아들로, 1850년부터 1898년까지 공친왕 작위를 받았다. 사후 '''공충친왕'''(恭忠親王)으로 추존되었다.

이신의 장남 재징(載澂)은 1868년 패륵으로 진봉되었고, 1872년에는 군왕 작위를 받았지만 군왕의 칭호는 받지 못했으며, 사후 '''과민패륵'''(果敏貝勒)으로 추존되었다. 이신의 차남 재영(載瀅)은 1868년 종친왕 작위에 입양되어 패륵이 되었으나, 1900년에 작위를 박탈당했다.

이신의 손자이자 재영의 장남인 푸웨이(溥偉)는 1898년부터 1936년까지 공친왕 작위를 받았으며, 사후 '''공현친왕'''(恭賢親王)으로 추존되었다. 푸웨이의 아들 육첨(毓嶦)은 1936년부터 1945년까지 공친왕 작위를 받았으며, 서예가로 활동했다.

2. 2. 1. 역대 가주 목록

역대 공친왕
대수봉호시호이름가계재위년도비고
1공친왕(恭親王)충(忠)이신도광제의 6남1850년 ~ 1898년
2공친왕(恭親王)현(賢)푸웨이이신의 손자 (재영의 장남)1898년 ~ 1936년
3공친왕(恭親王)없음육첨푸웨이의 7남1936년 ~ 1945년서예가



이신 (1833–1898), 초대 "철모자" 공친왕

3. 공친왕 가계도

공친왕 가계는 크게 순치제의 아들 상녕을 시조로 하는 가계와 도광제의 아들 혁흔을 시조로 하는 가계로 나뉜다. 상녕계 공친왕가는 여러 대에 걸쳐 작위가 강등되거나 박탈되는 등 부침을 겪었으나, 혁흔계 공친왕가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작위를 유지했다.

두 가계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상녕계 공친왕가'''


  • 순치제의 아들 상녕 (1671년 ~ 1703년)
  • 상녕의 3남 해선 (1703년 ~ 1712년): 작위 박탈
  • 해선의 차남 만도호 (1703년 ~ 1712년)
  • 해선의 손자 비소 (1731년 ~ 1762년)
  • 비소의 차남 명소 (1763년 ~ 1787년)
  • 명소의 장남 진창 (1788년 ~ 1803년): 작위 박탈, 이후 복권
  • 명소의 차남 진롱 (1803년 ~ 1817년): 작위 박탈
  • 진창의 차남 상임 (1828년 ~ 1834년)
  • 상임의 장남 승희 (1834년 ~ 1891년)
  • 승희의 장남 숭략 (1892년 ~ 1894년)
  • 숭략의 장남 덕음 (1894년 ~ 1895년)
  • 숭략의 차남 덕무 (1895년 ~ ?)


'''혁흔계 공친왕가'''

3. 1. 상녕계 공친왕가 가계도

상녕계 공친왕 가계도
봉호시호이름가계재위년도기록
1공친왕상녕순치제의 5남1671년 ~ 1703년
2패륵해선(海善)상녕의 3남1703년 ~ 1712년1712년 작위 박탈
3봉은진국공만도호(滿都護)해선의 차남1703년 ~ 1712년1726년까지 패륵
1726년 패자(貝子)
1726년부터 봉은진국공
4패륵비소(斐蘇)해선의 손자1731년 ~ 1762년
5패자명소(明韶)비소의 차남1763년 ~ 1787년
6봉은진국공진창(晋昌)명소의 장남1788년 ~ 1803년1803년까지 봉은진국공
1803년 작위 박탈
1817년부터 봉은보국공
7봉은보국공진롱(晋隆)명소의 차남1803년 ~ 1817년1817년 작위 박탈
8봉은보국공진창(晋昌)명소의 장남1817년 ~ 1828년1803년까지 봉은진국공
1803년 작위 박탈
1817년부터 봉은보국공
9불입팔분진국공상임(祥林)진창의 차남1828년 ~ 1834년
10불입팔분진국공승희(承熙)상임의 장남1834년 ~ 1891년
11불입팔분진국공숭략(崇略)승희의 장남1892년 ~ 1894년
12불입팔분진국공덕음(德蔭)숭략의 장남1894년 ~ 1895년
13불입팔분진국공덕무(德茂)숭략의 차남1895년 ~ ?


3. 2. 혁흔계 공친왕가 가계도

도광제의 6남 혁흔(奕訢)을 중심으로 한 가계는 다음과 같다.

공친왕가 가계도
대수봉호시호이름가계재위년도비고
1공친왕충(忠)혁흔(奕訢)도광제의 6남1850년 ~ 1898년초대 공친왕, 공충친왕(恭忠親王)
2공친왕현(賢)부위(溥偉)혁흔의 손자, 재영(載瀅)의 장남1898년 ~ 1936년공현친왕(恭賢親王)
3공친왕-육첨(毓嶦)부위의 7남1936년 ~ 1945년


  • '''이신''' (奕訢, 1833–1898): 도광제의 여섯째 아들, 1850년 ~ 1898년 재위. 사후 '''공충친왕'''(恭忠親王).
  • * 재징 (載澂, 1858–1885): 이신의 장남. 1868년 패륵으로 진봉, 1872년 군왕 작위를 받았으나 칭호는 받지 못함. 사후 '''과민패륵'''(果敏貝勒).
  • * 재영 (載瀅, 1861–1909): 이신의 차남. 1868년 종친왕 작위에 입양되어 패륵이 됨. 1900년 작위 박탈.
  • ** '''보위''' (溥偉, 1880–1936): 재영의 장남. 1898년 ~ 1936년 재위. 사후 '''공현친왕'''(恭賢親王).

'''유잔''' (毓晱, 1923–2016): 보위의 일곱째 아들. 1936년 ~ 1945년 재위.

  • * 재준 (載濬, 1864–1866): 이신의 셋째 아들. 후사 없음.
  • * 재황 (載潢, 1880–1885): 이신의 넷째 아들. 후사 없음.

4. 현대의 공친왕

마지막 공친왕은 육첨이었다. 육첨은 공현친왕 부위의 아들이자 초대 공친왕 이신의 증손자였다. 그는 서예가로도 활동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