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개구리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풀개구리과는 2022년 중반 기준으로 17개 속, 224종으로 구성된 개구리과이다. 이들은 Acanthixalinae, Hyperoliinae, Kassininae의 3개 아과로 나뉘며, 일부 속은 아과 위치가 정해지지 않았다. 풀개구리과는 개구리목 개구리상과에 속하며, 아르트롤렙티스과, 헤미수스과, 비개구리과 등과 계통학적으로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풀개구리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학계 분류 | 무미목 |
과 | 쿠사개구리과 |
학명 | Hyperoliidae |
명명자 | 로랑, 1943년 |
특징 | |
크기 | 1.5~8cm |
하위 분류 | |
속 | 17속 (본문 참조) |
2. 분류
풀개구리과는 2022년 중반 기준으로 17개 속 224종으로 구성되며, 이 중 절반 이상이 ''Hyperolius'' 속에 속한다.[4] 이 속들은 3개의 아과로 나뉘며, 3개의 속은 위치가 정해지지 않았다.
- 아과 Acanthixalinae (2종)
- * ''Acanthixalus'' - 아프리카 사마귀 개구리 (2종)
- 아과 Hyperoliinae (196종)
- * ''Afrixalus'' - 바나나 개구리 (35종)
- * ''Congolius'' - 콩고 개구리 (1종)
- * ''Cryptothylax'' - 왁스 개구리 (2종)
- * ''Heterixalus'' - 마다가스카르 갈대 개구리 (11종)
- * ''Hyperolius'' - 아프리카 갈대 개구리 (143종)
- * ''Kassinula'' - 딸깍거리는 개구리 (1종)
- * ''Morerella'' - 파란 눈 개구리 (1종)
- * ''Opisthothylax'' - 회색 눈 개구리 (1종)
- * ''Tachycnemis'' - 세이셸 제도 개구리 (1종)
- 아과 Kassininae (23종)
- * ''Hylambates'' - 아프리카 줄무늬 개구리 (5종; 이전에는 ''Phlyctimantis'')
- * ''Kassina'' - 달리는 개구리 (15종)
- * ''Paracassina'' - 흔한 줄무늬 개구리 (2종)
- * ''Semnodactylus'' - Weal's 개구리 (1종)
- 아과 ''incertae sedis''
- * ''Arlequinus'' - 메베브케 개구리 (1종)
- * ''Callixalus'' - 아프리카 페인트 개구리 (1종)
- * ''Chrysobatrachus'' - 이톰베 골든 개구리 (1종)
2. 1. Acanthixalinae 아과
Acanthixalinae 아과는 ''Acanthixalus'' 속 2종으로 구성되어 있다.[4]2. 2. Hyperoliinae 아과
''Afrixalus'' 속 (35종), ''Congolius'' 속 (1종), ''Cryptothylax'' 속 (2종), ''Heterixalus'' 속 (11종), ''Hyperolius'' 속 (143종), ''Kassinula'' 속 (1종), ''Morerella'' 속 (1종), ''Opisthothylax'' 속 (1종), ''Tachycnemis'' 속 (1종)이 Hyperoliinae 아과에 속한다.[4]2. 3. Kassininae 아과
Kassininae 아과는 Hylambates(아프리카 줄무늬 개구리, 5종, 이전에는 ''Phlyctimantis''), ''Kassina''(달리는 개구리, 15종), ''Paracassina''(흔한 줄무늬 개구리, 2종), ''Semnodactylus''(Weal's 개구리, 1종)을 포함한다.[4]2. 4. 아과 미지정 (''incertae sedis'')
''Arlequinus'' 속에는 메베브케 개구리 1종이,[4] ''Callixalus'' 속에는 아프리카 페인트 개구리 1종이,[4] ''Chrysobatrachus'' 속에는 이톰베 골든 개구리 1종이 포함되어 있다.[4]3. 계통 분류
2014년 현재, 개구리목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 풀개구리과는 개구리상과에 속하며, 아르트롤렙티스과, 헤미수스과, 비개구리과 등과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8][9]
3. 1. 상세 계통도
2014년 현재, 개구리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8][9]신와아목 | {{분지군 |
참조
[1]
서적
Treefrogs of Africa
Edition Chimaira, Frankfurt
[2]
서적
Encyclopedia of Reptiles and Amphibians
Academic Press
[3]
서적
Biology of Amphibians.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4]
간행물
2022-06-29
[5]
서적
世界博物学大図鑑
東京書籍
[6]
웹사이트
Hyperoliidae
https://amphibiansof[...]
2022-06-29
[7]
문서
Shiotz, 1999
[8]
저널
Phylogenetic view of Amphibia
http://www.amphibiaw[...]
[9]
저널
The first endemic West African vertebrate family . a new anuran family highlighting the uniqueness of the Upper Guinean biodiversity hotspot
http://www.fronti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