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미나타 제12군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풀미나타 제12군단은 기원전 58년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의해 창설된 로마 군단이다. 갈리아 전쟁, 카이사르의 내전 등 공화정 시대 주요 전투에 참전했으며, 제정 시대에는 파르티아, 유대 지역에서 활약했다. 이후 동부 국경 수비를 담당하며, 아르메니아와 알란족 격퇴에도 참여했다. 12군단은 다양한 황제들을 지지했으며, 멜리테네를 중심으로 동방 국경을 방어했다. 소설 《넵툰의 아들》, 《거장과 마르가리타》 등 대중문화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58년 - 게미나 제10군단
게미나 제10군단은 기원전 1세기경 창설되어 로마 제국 시대에 활약한 군단으로, 갈리아 전쟁, 내전, 파르티아 원정 등 다양한 전역에 참여했으며, 여러 지역에 배치되어 국경 수비와 반란 진압 임무를 수행하다 5세기까지 존속했다. - 기원전 58년 - 클라우디아 제11군단
클라우디아 제11군단은 기원전 58년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징집한 로마 군단으로, 공화정 후기부터 서로마 제국 말기까지 존속하며 갈리아 원정, 내전, 필리피 전투 등에 참여했고, 발칸 반도 주둔 시기에는 건설 작업에도 투입되었으며, 갈리아 제국과의 전쟁 공로로 "피아 피델리스" 칭호를 받았고, 5세기 초까지 두로스토룸에 주둔했다. - 로마 군단 - 미네르비아 제1군단
미네르비아 제1군단은 82년 도미티아누스 황제가 창설한 로마 제국 군단으로,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에서 활동하고 다키아 전쟁에도 참전했으며, 내전기에 여러 황제를 지지하다 353년경 프랑크족 침공 이후 기록에서 사라졌다. - 로마 군단 - 아디우트릭스 제2군단
아디우트릭스 제2군단은 로마 제국의 군단으로,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에서 시작해 브리튼을 거쳐 다키아 전쟁에 참전했으며, 아퀸쿰에 주둔하며 여러 전쟁에 파견되어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권력 장악에 기여했고, 금석문 자료를 통해 활동 범위를 파악할 수 있다.
풀미나타 제12군단 | |
---|---|
군사 정보 | |
![]() | |
존속 기간 | 기원전 43년 ~ 5세기 초 |
충성 대상 | 로마 공화정 (기원전 43년 ~ 기원전 27년), 로마 제국 (기원전 27년 ~ 5세기 초) |
병종 | 중장보병 |
규모 | 군단병 5,000명 + 지원병 |
별칭 | Fulminata (번개 부대) Antiqua (고참 부대) Certa Constans (확실하고 불변하는 부대) Victrix (승리 부대) |
역사 | |
창설 | 기원전 43년 |
창설자 |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
해체 | 5세기 초 |
주요 참전 | |
주둔지 | |
기원전 31년 ~ 서기 4년 | 히스파니아 |
서기 4년 ~ 58년 | 달마티아 |
서기 58년 ~ 62년 | 시리아 속주 |
서기 62년 ~ 66년 | 이집트 |
서기 66년 ~ 114년 | 유대 속주 |
서기 114년 ~ 5세기 초 | 멜리테네 (현재의 터키 말라티아 인근) |
지휘관 | |
알려진 지휘관 | 카이우스 카시우스 론기누스 (기원전 43년) 퀸틸리우스 바루스 (기원전 25년 ~ 기원전 23년) 코르불로 (서기 63년) 루키우스 케스시우스 페투스 (서기 66년)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코르불로 (서기 67년)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돌라벨라 (서기 69년) 루키우스 율리우스 마리누스 (서기 82년) 가이우스 안티우스 아울루스 율리우스 콰드라투스 (서기 94년 ~ 100년) 루키우스 아일리우스 카이사르 (서기 136년) 마르쿠스 디디우스 율리아누스 (서기 150년대) 마르쿠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 (서기 183년) 루키우스 파비우스 킬로 (서기 193년 ~ 197년) 마르쿠스 이우니우스 무시아누스 (서기 218년) 티투스 클라우디우스 아우렐리우스 아리스토불루스 (3세기) 루피키누스 (4세기 말) |
관련 항목 | |
관련 항목 | 로마 군단 로마 군대 |
2. 역사
풀미나타 제12군단은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갈리아 전쟁을 위해 창설한 군단으로, 네르비족과의 전투, 알레시아 공방전에 참전했다.[1] 카이사르의 내전 기간 중 파르살루스 전투(기원전 48년)에서 폼페이우스에 맞서 싸웠으며, 내전이 끝난 후 'Victrix'(승리자)라는 칭호를 받았다.[1] 기원전 43년에는 레피두스와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휘하에 배속되었다.[1]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제12군단의 이름을 'Antiqua'(고대의)로 바꾸고 파르티아 제국 원정에 투입했다.[1]
아우구스투스 통치기에 풀미나타 제12군단은 시리아 라파나에 주둔하며 동방 국경을 방어했다.[11] 58년 파르티아 제국의 볼로가세스 1세가 아르메니아를 침공하자, 네로 황제는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코르불로에게 이 문제를 해결할 것을 명령했다.[11] 코르불로는 파르티아군을 격퇴하고 티그라네스 6세를 왕위에 복위시켰다.[11] 62년, 풀미나타 제12군단은 루키우스 카이센니우스 파이투스의 지휘 하에 란데이아 전투에서 파르티아, 아르메니아 연합군에게 패배하여 불명예를 입었다.[11]
66년 유대 반란이 일어나자, 제12군단은 로마의 권위를 회복하기 위해 파견되었으나, 베스 호론 전투에서 패배하고 군단의 ''아퀼라''를 잃었다.[2] 그러나 이후 전쟁에서 훌륭하게 싸웠고, 베스파시아누스가 황제가 되는 것을 도왔다. 전쟁 후 제12군단은 제16군단 플라비아 피르마와 함께 멜리테네에 주둔하며 유프라테스 강 국경을 방어했다.[3]
75년 베스파시아누스 황제는 12군단을 캅카스 지역에 파견했다.[20][21] 아제르바이잔 고부스탄에서는 12군단 백인대장 루키우스 율리우스 막시무스의 비문이 발견되었는데,[4][5] 이는 로마가 동쪽으로 진출한 가장 동쪽 지점에서 발견된 기록이다. 바쿠 인근 라마나는 12군단의 루키우스 율리우스 막시무스가 건설했다는 주장이 있다.[6][7]
114년 12군단은 트라야누스 황제의 아르메니아 원정에 참여했고, 134년에는 카파도키아 총독 아리아노스 휘하에서 알란족의 침입을 격퇴했다.[8] 162년-166년 루키우스 베루스 황제의 파르티아 원정에도 참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마르코만니 전쟁 당시에는 "비의 기적"을 경험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24]
175년 아비디우스 카시우스의 반란 때 12군단은 황제에게 충성을 유지하여 'Certa Constans'(확실히 변함없는)라는 칭호를 얻었다. 193년 페스켄니우스 니게르를 지지했으나,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에게 패배했다.
사산 제국 성장 이후, 12군단은 멜리테네를 중심으로 동방 국경 방어에 주력했다. 폴리에욱투스는 발레리아누스 황제 시기 12군단 소속 순교자였다. 5세기 초, 노티티아 디그니타툼에는 12군단이 멜리테네에서 유프라테스 강 국경을 수비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2. 1. 공화정 시절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갈리아 전쟁을 위해 창설한 제12군단은 네르비족과의 전투와 알레시아 공방전에 참전했다.[1] 카이사르의 내전 기간 중 파르살루스 전투(기원전 48년)에서 폼페이우스에 맞서 싸웠다.[1] 내전이 끝난 후, 제12군단은 'Victrix'(승리자)라는 칭호를 받았다.[1] 기원전 43년에는 레피두스와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휘하에 배속되었다.[1]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제12군단의 이름을 'Antiqua'(고대의)로 바꾸고 파르티아 제국 원정에 투입했다.[1]2. 2. 제정 시절
아우구스투스 통치기에, 풀미나타 제12군단은 시리아 라파나에 주둔하며 동방 국경을 방어했다.[11]2. 2. 1. 파르티아와의 전쟁 (58년 - 63년)
58년, 오늘날 이란과 이라크에 해당하는 파르티아 제국의 왕 볼로가세스 1세가 로마의 위성국이던 아르메니아를 침공했다.[11] 네로 황제는 카파도키아의 레가투스인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코르불로에게 이 문제를 해결할 것을 명령했다.[11] 코르불로는 갈리카 제3군단, 페라타 제6군단과 모이시아의 스키티카 제4군단으로 파르티아군을 격퇴하고, 티그라네스 6세를 아르메니아 왕위에 다시 즉위시켰다.[11] 62년, 풀미나타 12군단은 IV 스키티카 4군단과 합류하여, 카파도키아 레가투스 루키우스 카이센니우스 파이투스의 지휘를 받았다.[11] 두 군단은 란데이아 전투에서 파르티아, 아르메니아 연합군에게 패배했으며, 전투에서 항복한 이 군단들은 불명예를 입고 전쟁에서 제외됐다.[11]2. 2. 2. 제1차 유대-로마 전쟁 (66년 - 73년)
66년에, 열심당의 반란으로 예루살렘의 로마 수비대가 파괴되자, 제12군단 풀미나타는 제4군단 스키티카 및 제6군단 페라타의 ''벡실라티오''와 함께 로마의 권위를 회복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그러나 시리아 속주의 레가투스인 가이우스 케스티우스 갈루스는 이 군단이 너무 약하다는 것을 알고 생존자들에게 시리아로 돌아가라고 명령했다.[2] 돌아가는 길에, 제12군단 풀미나타는 엘레아자르 벤 시몬에게 베스 호론 전투에서 매복 공격을 받아 패배했고, 군단의 ''아퀼라''를 잃었다.[2] 그러나 제12군단 풀미나타는 전쟁의 마지막 부분에서 훌륭하게 싸웠고, 사령관 T. 플라비우스 베스파시아누스가 황제 자리를 차지하는 데 성공하도록 지원했다. 전쟁이 끝날 무렵, 제12군단 풀미나타와 제16군단 플라비아 피르마는 유프라테스 강 국경을 방어하기 위해 멜리테네에 주둔했다.[3]2. 2. 3. 동부 국경 수비
75년, 베스파시아누스 황제는 캅카스 지역의 동맹국들을 지원하기 위해 풀미나타 제12군단을 파견했다.[20][21] 아제르바이잔의 고부스탄에서는 12군단의 백인대장 루키우스 율리우스 막시무스가 남긴 비문이 발견되었다.[4][5] 이 비문은 로마가 동쪽으로 진출한 가장 동쪽 지점에서 발견된 기록이다. 바쿠 인근의 라마나는 12군단의 루키우스 율리우스 막시무스가 건설했으며, '로마나'라는 라틴어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 있다.[6][7]114년, 12군단은 트라야누스 황제의 아르메니아 원정에 참여했다. 134년에는 카파도키아 총독 아리아노스 휘하에서 알란족의 침입을 격퇴하는 데 기여했다.[8]
162년-166년, 루키우스 베루스 황제의 파르티아 원정에 참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마르코만니 전쟁 당시, 12군단은 "비의 기적"을 경험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24]
175년, 아비디우스 카시우스의 반란 당시 12군단은 황제에게 충성을 유지하여 'Certa Constans'(확실히 변함없는)라는 칭호를 얻었다. 193년, 페스켄니우스 니게르를 지지했으나,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에게 패배했다.
사산 제국의 성장 이후, 12군단은 멜리테네를 중심으로 동방 국경 방어에 주력했다. 폴리에욱투스는 발레리아누스 황제 시기 12군단 소속 순교자였다. 5세기 초, 노티티아 디그니타툼에는 12군단이 멜리테네에서 유프라테스 강 국경을 수비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3. 주요 인물
다음은 풀미나타 제12군단의 주요 인물 목록이다.
성명 | 계급 | 시기 | 속주 | 출처 |
---|---|---|---|---|
칼라비우스 사비누스 | 레가투스 | 62년 | 아르메니아 | 타키투스, 로마 편년사, XV.7 |
푸블리우스 툴리우스 바로 | 레가투스 | 120년과 125년 사이 | ||
퀸투스 카이킬리우스 마르켈루스 덴틸리아누스[27] | 레가투스 | 141년경-144년경 | ||
마르쿠스 도미티우스 발레리아누스[28] | 레가투스 | ? 227년-? 229년 | ||
섹스투스 율리우스 포세소루스 | 프리무스 필루스 | 1세기 사분기 | ||
루키니우스 네라티우스 마르켈루스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73년 이전 | ||
가이우스 미니키우스 푼다누스[29]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95년 이전 | ||
퀸투스 보코니우스 삭사 피두스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115년과 118년 사이 | ||
가이우스 율리우스 스카풀라[30]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140년대 | ||
아울루스 율리우스 폼필리우스 피소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160년경 | ||
루키우스 알루스 볼루시아누스[31]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175년 이후 | ||
마르쿠스 아일리우스 아우렐리우스 테오 |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 3세기 초 | ||
칼라비우스 사비누스 | 군단 부사령관 | 62년 | 아르메니아 | 타키투스, 연대기, XV.7 |
푸블리우스 툴리우스 바로 | 군단 부사령관 | 120년에서 125년 사이 | 카파도키아 | |
퀸투스 카에킬리우스 마르켈루스 덴틸리아누스[11] | 군단 부사령관 | 대략 141년-대략 144년 | 카파도키아 | |
마르쿠스 도미티우스 발레리아누스[12] | 군단 부사령관 | ? 227년-? 229년 | ||
섹스투스 율리우스 포세소루스 | 프리무스 필루스 | 1세기 마지막 분기 | 카파도키아 | |
가이우스 카리스타니우스 프론토 카세시아누스 율리우스 | 좁은 띠를 가진 호민관 | 40년 이전 | 시리아 | |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헬비우스 세쿤두스[13] | 좁은 띠를 가진 호민관 | 98년 이전 | 카파도키아 | |
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스페라투스[14] | 좁은 띠를 가진 호민관 | 115년 이전 | 카파도키아 | |
가이우스 아엘리우스 P.f. 도미티아누스 가우로 | 좁은 띠를 가진 호민관 | 175년에서 180년 사이 | ||
가이우스 율리우스 푸덴스 | 좁은 띠를 가진 호민관 | 175년 이후 | ||
퀸투스 마르키우스 디오가[15] | 좁은 띠를 가진 호민관 | 2세기 마지막 분기 | ||
루키우스 네라티우스 마르켈루스 | 넓은 띠를 가진 호민관 | 73년 이전 | 시리아 | |
가이우스 미니키우스 푼다누스[16] | 넓은 띠를 가진 호민관 | 95년 이전 | 카파도키아 | |
가이우스 카리스타니우스 율리아누스 | 넓은 띠를 가진 호민관 | 100년 이전 | 카파도키아 | |
퀸투스 보코니우스 삭사 피두스 | 넓은 띠를 가진 호민관 | 115년에서 118년 사이 | 카파도키아 | |
가이우스 율리우스 스카풀라[17] | 넓은 띠를 가진 호민관 | 140년대 | 카파도키아 | |
아울루스 율리우스 폼필리우스 피소 | 넓은 띠를 가진 호민관 | 대략 160년 | ||
루키우스 알루스 볼루시아누스[18] | 넓은 띠를 가진 호민관 | 175년 이후 | ||
마르쿠스 아엘리우스 아우렐리우스 테오 | 넓은 띠를 가진 호민관 | 3세기 전반 |
4. 대중 문화 속 제12군단
릭 라이어던의 소설 《넵툰의 아들》에서 제12군단은 로마 멸망 후 로마 신들을 따라 아메리카 대륙으로 건너가 캘리포니아에 로마 데미갓들을 위한 기지인 유피테르 캠프를 세웠다고 묘사된다.[1]
미하일 불가코프의 소설 거장과 마르가리타에서 본시오 빌라도는 가야바와의 만남에서 12군단을 언급하며, 미래에 일어날 수 있는 유대인 반란을 피로 진압하기 위해 군단과 아랍 기병대를 동원하겠다고 위협한다.[1]
M.C. 스콧의 소설 《로마: 제12 군단의 독수리》는 유대인 반란 당시의 군단을 배경으로 한다.[1]
참조
[1]
서적
The Roman Legions
1957
[2]
서적
Roman Legions
[3]
서적
Roman Legions
[4]
서적
The Roman Empire and the Silk Routes: the Ancient World Economy and the Empires of Parthia, Central Asia and Han China.
Pen and Sword
2016
[5]
서적
The oil road: journeys from the Caspian Sea to the city of London
2013-08-20
[6]
서적
История города Баку: период средневековья
Азернешр
1992
[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ity of Baku. Part I.
http://www.window2ba[...]
2021-03-20
[8]
기타
https://www.livius.o[...]
2014-02-27
[9]
서적
Lives of the Saints
[10]
기타
Thundering Legion
[11]
서적
Konsulat und Senatorenstand unter der Antoninen
Rudolf Habelt Verlag
1977
[12]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in der Zeit von Commodus bis Severus Alexander
J.C. Gieben
1989
[13]
간행물
"The Earliest Extant Diploma of Thrace, A.D. 114 (= RMD I 14)"
1997
[14]
서적
Corinth: vol. VIII part 3: The Inscriptions (1926-1950)
American School at Athens
1966
[15]
간행물
"Un fidèle de Caracalla: Q. Marcius Dioga"
https://www.persee.f[...]
1991
[16]
서적
Les carrières sénatoriales dans les provinces romaines d'Anatolie au Haut-Empire (31 av. J.-C. - 284 ap. J.-C.)
http://www.persee.fr[...]
Institut Français d'Études Anatoliennes-Georges Dumézil
1989
[17]
서적
Les carrières sénatoriales
[18]
서적
Les carrières sénatoriales
[19]
기타
Homilies xix
[20]
서적
The Roman Empire and the Silk Routes: the Ancient World Economy and the Empires of Parthia, Central Asia and Han China.
Pen and Sword
2016
[21]
서적
The oil road: journeys from the Caspian Sea to the city of London
https://archive.org/[...]
2013-08-20
[22]
서적
История города Баку: период средневековья
Азернешр
1992
[23]
웹사이트
History 1
http://www.window2ba[...]
[24]
기타
https://www.livius.o[...]
2014-02-27
[25]
서적
Lives of the Saints
[26]
기타
Thundering Legion
[27]
서적
Konsulat und Senatorenstand unter der Antoninen
Rudolf Habelt Verlag
1977
[28]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in der Zeit von Commodus bis Severus Alexander
J.C. Gieben
1989
[29]
서적
Les carrières sénatoriales dans les provinces romaines d'Anatolie au Haut-Empire (31 av. J.-C. - 284 ap. J.-C.)
http://www.persee.fr[...]
Institut Français d'Études Anatoliennes-Georges Dumézil
1989
[30]
서적
Les carrières sénatoriales dans les provinces romaines d'Anatolie au Haut-Empire (31 av. J.-C. - 284 ap. J.-C.)
http://www.persee.fr[...]
Institut Français d'Études Anatoliennes-Georges Dumézil
1989
[31]
서적
Les carrières sénatoriales
[32]
기타
Homilies xix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