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풀산딸나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풀산딸나무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로, 키는 10~20cm까지 자라며 땅속줄기를 통해 군집을 형성한다. 잎은 마주나지만 돌려나기처럼 보이며, 6~8월에 흰색의 총포에 둘러싸인 꽃이 피고, 가을에는 붉은색 핵과가 열린다. 꽃가루는 곤충에 의해 수분되며, 수술이 튕겨져 꽃가루를 방출하는 속도가 매우 빠르다. 층층나무속(Cornus) 또는 다른 속으로 분류되며, 일본, 북한, 북미 등지에 분포한다. 시원하고 습한 토양에서 자라며, 캐나다를 상징하는 식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에조고젠타치바나는 풀산딸나무와 유사한 종으로, 홋카이도 지역에 자생하며 환경부 준위협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래스카주의 식물상 - 홍월귤
    홍월귤은 습한 지역에서 자라는 10~30cm 크기의 관목으로, 타원형 잎과 흰색 또는 연분홍색 꽃을 가지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서식지 복원에도 기여한다.
  • 그린란드의 식물상 - 들쭉나무
    들쭉나무는 북반구의 서늘한 온대 지역 원산의 낙엽 관목으로, 습한 산성 토양에서 자라 흑자색 열매를 맺으며 식용으로 사용된다.
  • 그린란드의 식물상 - 나르두스
    나르두스는 포아풀아과의 나르두스족에 속하는 식물이며, 나르두스상족에 속하고 핵심 포아풀아과와 자매군이다.
  • 층층나무과 - 산수유
    산수유는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하는 낙엽 소교목으로, 봄에 노란 꽃, 가을에 붉은 열매를 맺으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열매는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된다.
  • 층층나무과 - 산딸나무
    산딸나무는 층층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흰색 꽃턱잎이 십자가 모양을 이루는 꽃이 피고 딸기 모양의 붉은 열매가 열리며, 관상수, 식용, 약재 등으로 사용된다.
풀산딸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엘핀 호에서 자라는 모습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엘핀 호에서 자라는 모습
학명코르누스 카나덴시스
학명 명명자L.
상태G5
상태 기준TNC
미즈키속
아속고젠타치바나아속
일본어 이름ゴゼンタチバナ (고젠타치바나)
한국어 이름풀산딸나무
분류
식물계
피자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아강장미아강
미즈키목
미즈키과
미즈키속
아속고젠타치바나속
상세 정보
참고 문헌RHS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2008)

2. 특징

풀산딸나무는 느리게 자라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로 키는 10 ~ 20 cm까지 자라며 양탄자 같은 깔개 모양을 이룬다. 땅속줄기는 흙 속 2.5 - 7.5cm 깊이에서 옆으로 자라며 나무뿌리 밑으로 복제된 개체들의 군집을 형성한다. 땅속줄기에서 뻗어나온 땅 위 줄기는 수직으로 자라고 가늘며 가지가 없다. 잎은 마주나기를 하지만, 마디와 마디 사이 간격이 압축되어 6개의 잎이 뭉치기 때문에 돌려나기처럼 보이기도 한다. 무성하게 난 녹색 잎은 줄기 말단부에서 자라며 큰 잎 2개와 작은 잎 4개가 모여 있다. 작은 잎은 큰 잎의 곁눈에서 생긴다. 광택이 있는 어두운 녹색 잎은 2 ~ 3 mm 길이의 잎꼭지와 도란형 잎새를 지녔다. 잎새는 테두리가 매끈하고 길이는 3.5 ~ 4.8 cm, 너비는 1.5 ~ 2.5 cm이며 잎맥은 2 ~ 3개, 잎밑은 쐐기 꼴이고 잎끝은 뾰족하다. 가을에는 잎맥이 붉은 기운을 띠며 잎새가 완전히 붉은색이 된다.

높이 5–15 cm이다. 은 2개의 마주나는 잎과 잎겨드랑이 단지에 2개씩 잎이 달려 총 6개의 돌려나는 잎으로 보인다. 꽃이 피는 포기는 잎이 6개까지 성장한 것이다.[26]

개화기는 6–8월이다.[26] 꽃은 4장의 흰 총에 둘러싸여 꽃아그배나무나 산딸나무와 비슷하다.

다 자란 꽃과 그렇지 않은 꽃. 흰색 부분은 꽃잎이 아니라 포엽이고, 포엽들 가운데 있는 것이 진짜 꽃송이들이다. 온타리오주 보니시어 주립공원.


핵과는 가을에 꽃아그배나무와 비슷하며, 지름 5–6 mm로 붉은색이다.[26]

2. 1. 잎

높이 5–15 cm이다. 은 2개의 마주나는 잎과 잎겨드랑이 단지에 2개씩 잎이 달려 총 6개의 돌려나는 잎으로 보인다. 꽃이 피는 포기는 잎이 6개까지 성장한 것이다.[26]

2. 2. 꽃

늦봄에서 초여름에 걸쳐 지름 2 mm 정도의 흰 꽃을 피운다. 꽃잎은 밖으로 굽어 있고 달걀 모양 내지는 창끝 모양이며 길이는 1 ~ 2 mm이다.[36] 꽃차례는 취산상이고, 마치 꽃잎처럼 생겨 눈에 띄는 흰색 포엽들을 지녔다. 포엽은 다 자라기 전에는 녹색이고, 넓은 달걀 모양에 길이 0.8 ~ 1.2 cm, 너비 0.5 ~ 1.1 cm이며 잎맥은 7개가 평행하게 놓인다. 꽃받침관은 도란형으로 길이는 1 mm이며 빼곡한 솜털과 착 달라붙은 모용으로 덮여 있다. 꽃밥은 노란빛을 띤 흰색이며 좁은 달걀 모양이다. 화주는 1 mm 길이로 털이 없고 반들반들하다. 풀산딸나무는 대체로 자가불임이고 곤충에 수분을 의존한다. 꽃가루 매개 곤충으로는 호박벌, 단생 벌, 등에, 꽃등에 따위가 있다.[37] 열매는 장과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핵과이다.

|섬네일|다 자란 꽃과 그렇지 않은 꽃. 흰색 부분은 꽃잎이 아니라 포엽이고, 포엽들 가운데 있는 것이 진짜 꽃송이들이다. 온타리오주 보니시어 주립공원.]]

꽃은 4장의 흰 총에 둘러싸여 꽃아그배나무나 산딸나무와 비슷하다.

개화기는 6–8월이다.[26]

2. 2. 1. 꽃가루 방출

풀산딸나무 꽃이 꽃가루를 뿌릴 때가 되면 탄력적인 꽃잎이 뒤로 확 젖혀지면서 그 밑에 팽팽하게 압축돼 있던 용수철 같은 수술 가닥이 풀려나 튕겨져 올라오며 수술 끝에 달린 꽃가루 주머니에서 꽃가루가 튀어나간다. 이때 수술이 겪는 가속도는 24,000 m/s2에 달한다.[38] 이 동작은 0.0005 초 내에 일어나며 꽃가루는 중력의 2 ~ 3,000배에 이르는 힘을 받는다. 수술의 최대 속도는 초속 3.1 미터, 꽃잎의 최대 속도는 초속 6.7 미터에 달한다.[39] 풀산딸나무 꽃의 움직임은 지금까지 알려진 식물의 움직임 중 가장 빠른 편에 속하고, 이를 촬영하려면 초당 1만 장을 찍는 카메라가 필요하다.[40] 각 꽃은 뒤로 젖혀지는 탄성이 높은 꽃잎을 가지고 있으며, 꽃잎 아래에 고정된 튀어 오르는 섬유를 방출한다. 이 섬유들은 위로 튕겨져 나가 섬유에 부착된 용기 밖으로 꽃가루를 흩뿌린다. 수술은 24,000 m/s2의 속도로 가속된다.[6] 꽃가루 방출은 수분 매개자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며, 0.5밀리초 이내에 일어난다. 풀산딸나무는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빠른 식물 운동 중 하나로, 이 과정을 포착하기 위해서는 초당 10,000 프레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가 필요하다.[7][8]

2. 3. 열매

열매는 녹색의 구형 핵과이고 늦여름에 새빨갛게 익는다.[41] 지름은 5 mm 정도이고, 타원체형의 씨가 한두 개 들어 있다.[41] 열매는 늦여름이 제철이며 씨는 비교적 단단하고 바삭하다.[41][9]

열매


핵과는 가을에 꽃아그배나무와 비슷하며, 지름 5–6 mm로 붉은색이다.[26]

3. 분류

풀산딸나무가 독립된 종이라는 점은 분명하지만, 어느 에 속하느냐는 학자마다 의견이 다르다. 층층나무속(''Cornus'')을 넓은 의미로 받아들이면 풀산딸나무는 그 아속인 ''Arctocrania''에 속하며 ''Cornus canadensis''라 부른다.[42][10] 그러나 풀산딸나무를 층층나무속에 포함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Chamaepericlymenum canadense'' 또는 ''Cornella canadensis'' 따위로 분류하기도 한다.[43][44][11][12]

알래스카, 래브라도, 그린란드에서는 숲에서 자라는 종인 풀산딸나무와 습지에서 자라는 종인 난장이산딸풀(Cornus suecica)의 서식지가 인접한 경우가 있는데, 수분에 의해 두 종의 잡종이 만들어지기도 한다.[45][46][13][14]

"고젠타치바나(御前橘)"라는 일본 이름은 백산의 최고봉인 "고젠봉(御前峰)"에서 유래되었다[26] . 학명은 스웨덴의 식물학자인 칼 폰 린네가 명명했다[24] .

4. 분포 및 서식지

풀산딸나무는 차고 습한 흙에서 자라는 중생(中生) 식물이다. 산간 또는 아한대 지방의 침엽수림에 분포하며 습한 숲의 가장자리나 늙은 나무 둥치, 이끼로 뒤덮인 곳, 또는 습하고 탁 트인 곳에서 발견된다.

원산지는 일본, 북한, 중국 북동부( 지린성), 러시아 극동, 미국 북부, 콜로라도, 뉴멕시코, 캐나다, 그린란드를 포함한다.[2]

''풀산딸나무''는 시원하고 습한 토양을 필요로 하는 중생 식물 종이다. 캐나다의 산지 및 보레알 침엽수림에 서식하며, 습한 숲 가장자리, 오래된 나무 그루터기, 이끼 낀 지역, 기타 개방적이고 습한 서식지에서 자란다.[15][16]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에 분포하며, 아고산대-고산대의 침엽수림 아래나 숲 가장자리에서 생육한다.[27] 에히메현에서는, 이시즈치 산계와 아카이시 산계에 분포하며 남한계가 된다.[27] 국외에서는, 북동아시아, 북미에 분포한다.[28] 기준 표본은 캐나다의 것이다.[28]

4. 1. 한국 내 분포

풀산딸나무는 일본, 북한, 중국 북동부(지린성)과 러시아 극동, 미국 북부, 콜로라도, 뉴멕시코, 캐나다, 그린란드가 원산지이다.[2]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에 분포하며, 아고산대-고산대의 침엽수림 아래나 숲 가장자리에서 생육한다.[27] 에히메현에서는 이시즈치 산계와 아카이시 산계에 분포하며 남한계가 된다.[27] 국외에서는 북동아시아, 북미에 분포한다.[28]

풀산딸나무는 시원하고 습한 토양을 필요로 하는 중생 식물 종이다. 캐나다의 산지 및 보레알 침엽수림에 서식하며, 습한 숲 가장자리, 오래된 나무 그루터기, 이끼 낀 지역, 기타 개방적이고 습한 서식지에서 자란다.[15][16] 기준 표본은 캐나다의 것이다.[28]

5. 생태

풀산딸나무의 씨앗은 주로 가을에 이동하는 철새들에 의해 퍼진다.[47] 새는 씨앗을 퍼뜨리는 주요 매개체이며, 가을 이동 시기에 열매를 먹는다.[17] 알래스카에서는 풀산딸나무 열매가 노새사슴(뮬 사슴)과 검은꼬리 사슴, 말코손바닥사슴의 주요한 먹이 중 하나이며, 이들은 성장기 내내 풀산딸나무를 먹는다.[17]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에 분포하며, 아고산대-고산대의 침엽수림 아래나 숲 가장자리에서 생육한다.[27] 에히메현에서는 이시즈치 산계와 아카이시 산계에 분포하며 남한계가 된다.[27] 국외에서는 북동아시아, 북미에 분포한다.[28] 기준 표본은 캐나다의 것이다.[28]

6. 상징성

클레어 웨이트 켈러는 영국 왕세손비 메건 마클의 결혼 면사포를 만들면서 영국 연방에 속한 나라들을 상징하는 독특한 식물들을 디자인에 넣었는데, 캐나다를 나타내는 식물로는 풀산딸나무를 선택했다.[48][22]

7. 보존

일본 3개 현에서 레드 리스트 지정을 받고 있다.[29] 환경성에서는 레드 리스트 지정을 받지 않았다.[30] 나라현에서는 절멸, 돗토리현에서는 절멸 위기 또는 위기종(CR 또는 EN)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돗토리현의 경우 자생지가 한 곳뿐이라 2002년에 특정 희소 야생 동식물 종으로 지정되어 보호 관리 사업 계획이 있다.[31] 에히메현에서는 취약종(VU)으로 지정되어 있다.[27]

주부 산악 국립공원, 미나미알프스 국립공원, 하쿠산 국립공원 등에서 자연 공원 지정 식물로 지정되어 있다.[32]

8. 에조고젠타치바나

'''에조고젠타치바나'''(蝦夷御前橘; 학명: ''Cornus suecica'' L. )는 홋카이도네무로구시로・기타미 지방의 산지에 자생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북반구의 한대 지역에도 분포한다. 잎은 돌려나지 않고 마주난다. 환경성의 레드 리스트 준위협종으로 지정되어 있다[33]。 총 개체수는 약 1,000개, 평균 감소율은 약 50%이며, 감소의 주요 원인은 습지의 개발과 토지 조성으로 추정된다[30]。 고젠타치바나와 동일 문헌의 동일 페이지에 기재된 종이다[25]

참조

[1] 웹사이트 Cornus Canadensis http://www.natureser[...] NatureServe 2018-04-01
[2] 서적 RHS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Dorling Kindersley
[3] 간행물 Cornus canadensis https://npgsweb.ar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4] 간행물 Cornus canadensis
[5] 논문 The reproductive biology of boreal forest herbs. I. Breeding systems and pollination 1987
[6] 서적 Wild plants of Eastern Canada : identifying, harvesting and using : includes recipes & medicinal uses Nimbus Pub 2008
[7] 학술지 Botany: a record-breaking pollen catapult
[8] 학술지 Long-term time-lapse video provides near complete records of floral visitation https://biology.will[...] 2021-12-20
[9] 서적 Trees, Shrubs and Flowers to Know in Washington J. M. Dent & Sons 1956
[10] 간행물 Cornus subg. Arctocrania
[11] 논문 The case for keeping Cornus in the broad Linnaean sense. 1987
[12] 논문 Comprehending Cornus: puzzles and progress in the systematics of the dogwoods 1988
[13] 논문 The forest-bog complex of southeast Alaska 1971
[14] 논문 Dwarf dogwoods: Intermediacy and the morphological landscape. 1994
[15] 웹사이트 Cornus canadensis - Plant Finder https://www.missouri[...]
[16] 웹사이트 Lady Bird Johnson Wildflower Center -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https://www.wildflow[...]
[17] 간행물 Forest stand-age related differences in apparent nutritional quality of forage for deer in southeastern Alaska 1987
[18] 웹사이트 Cornus canadensis https://www.rhs.org.[...] RHS 2021-09-07
[19] 서적 Jewels of the plains : wild flowers of the Great Plains grasslands and hill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3
[20] 서적 A Field Guide to Edible Wild Plants of Eastern and Central North America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21] 서적 Edible Wild Plants: A North American Field Guide to Over 200 Natural Foods https://www.worldcat[...] Sterling
[22] 웹사이트 The Wedding Dress, Bridesmaids' Dresses and Page Boys' Uniforms https://www.royal.uk[...] 2018-05-19
[23] 웹사이트 Cornus canadensis L. (ゴゼンタチバナ) http://www.itis.gov/[...] ITIS 2011-09-16
[24] 웹사이트 Chamaepericlymenum canadense (L.) Aschers. & Graebn.(ゴゼンタチバナ) http://www.itis.gov/[...] ITIS 2011-09-16
[25] 서적 Species Plantarum https://www.biodiver[...] Laurentius Salvius
[26] 서적 日本の野草 山と溪谷社
[27] 웹사이트 愛媛県レッドデータブック(高等植物)ゴゼンタチバナ http://www.pref.ehim[...] 愛媛県 2011-09-16
[28] 서적 日本の高山植物 山と渓谷社
[29] 웹사이트 日本のレッドデータ検索システム(ゴゼンタチバナ) http://jpnrdb.com/se[...] エンビジョン環境保全事務局 2011-09-16
[30] 웹사이트 植物絶滅危惧種情報検索(ゴゼンタチバナ) https://web.archive.[...] 生物多様性情報システム 2011-09-16
[31] 웹사이트 鳥取県ゴゼンタチバナ保護管理事業計画 http://www.pref.tott[...] 鳥取県 2011-09-16
[32] 웹사이트 国立・国定公園特別地域内指定植物(ゴゼンタチバナ) https://www.env.go.j[...] 環境省自然環境局 2011-09-16
[33] 웹사이트 RL/RDB:環境省 https://ikilog.biodi[...] 2021-09-24
[34] 웹인용 Cornus Canadensis http://www.natureser[...] NatureServe 2018-04-01
[35] 서적 RHS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https://archive.org/[...] Dorling Kindersley
[36] 간행물 Cornus canadensis http://www.efloras.o[...] Missouri Botanical Garden, St. Louis, MO & Harvard University Herbaria, Cambridge, MA 2016
[37] 논문 'The reproductive biology of boreal forest herbs. I. Breeding systems and pollination' 1987
[38] 서적 Wild plants of Eastern Canada : identifying, harvesting and using : includes recipes & medicinal uses Nimbus Pub 2008
[39] 기타 A record-breaking pollen catapult https://pomona.acade[...]
[40] 저널 Botany: a record-breaking pollen catapult
[41] 서적 Trees, Shrubs and Flowers to Know in Washington J. M. Dent & Sons 1956
[42] 간행물 Cornus subg. Arctocrania http://www.efloras.o[...] Missouri Botanical Garden, St. Louis, MO & Harvard University Herbaria, Cambridge, MA 2016
[43] 논문 'The case for keeping Cornus in the broad Linnaean sense.' 1987
[44] 논문 'Comprehending Cornus: puzzles and progress in the systematics of the dogwoods' 1988
[45] 논문 'The forest-bog complex of southeast Alaska' 1971
[46] 논문 'Dwarf dogwoods: Intermediacy and the morphological landscape.' 1994
[47] 간행물 Forest stand-age related differences in apparent nutritional quality of forage for deer in southeastern Alaska 1987
[48] 웹인용 The Wedding Dress, Bridesmaids' Dresses and Page Boys' Uniforms https://www.royal.uk[...] 2018-05-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