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풍연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풍연사는 오대 십국 시대 남당의 문인이자 정치가로, 903년에 태어나 960년에 사망했다. 그는 학문과 예술적 재능이 뛰어나 이변, 이경 두 황제의 신임을 받았으며, 재상을 네 차례나 역임했으나 정치적 파벌 갈등과 외세의 침략으로 인해 불안정한 삶을 살았다. 특히 시에 능하여 많은 작품을 남겼으며, 그의 사(詞)는 북송 시대의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대표작으로는 〈장명녀〉, 〈작답지〉, 〈알금문〉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풍연사
기본 정보
풍연사
풍연사
정중(正中)
시호문충(文忠)
봉호광국공(廣國公)
출생887년
사망961년
향년74세
국적남당(南唐)
민족한족(漢族)
관직
주요 관직중서사인(中書舍人)
한림학사승지(翰林學士承旨)
이부상서(吏部尚書)
중서령(中書令)
태자태사(太子太師)
가계
조부풍온(馮溫)
아버지풍수(馮 Trust)
아들풍공일(馮鞏일)
풍공기(馮鞏기)
풍공보(馮鞏보)
풍공망(馮鞏망)
기타 정보
작품양중사(陽春集)

2. 생애

풍연사는 광릉(지금의 장쑤성 양저우시) 출신으로, 그의 아버지 풍령군은 남당에서 이부상서를 지낸 인물이었다. 이 덕분에 풍연사는 20세 때 남당의 열조(烈祖) 이변을 알현하고 비서랑이 되어 훗날 원종이 된 이경과 교류했다. 이경은 풍연사보다 나이가 어렸지만, 오왕과 제왕을 거치는 동안 풍연사는 그의 막부에서 장서기로 함께 지내며 문학적으로 소통하는 친구가 되었다.[4]

이경의 즉위 후 풍연사는 보대 원년(943년)에 간의대부, 한림학사를 거쳐 호부시랑으로 임명되었다. 이듬해 한림학사승지로 승진했고, 보대 4년(946년) 중서시랑에서 동평장사(재상)가 되었다. 그 다음 해 파면되어 태자소부가 되었다. 보대 9년(951년), 관군][대장군이 되었고, 소환되어 태자태보가 되었으며, 로주절도사를 받았다. 보대 10년, 좌복야 동평장사(재상)를 받들었다.

정치적으로 풍연사는 재상을 네 차례나 지냈지만, 진각, 송제구 등과 한 당(黨)을 이루어 손성, 강문울, 한희재 등의 무리와 끊임없이 반목하고 갈등했다.

또한 남당은 강남(江南)의 경제적 부를 기반으로 사회경제적으로는 부유했지만, 당송 교체기라는 혼란기에 정치적으로 불안했다. 남당은 주변의 여러 나라들과 자주 영토 분쟁을 일으켰는데, 패배하면 그 책임을 지고 재상이 물러나야 했다. 풍연사는 영토 분쟁에서 패배한 책임을 지고 세 차례나 재상직에서 물러났지만 번번이 다시 기용되었다. 957년 주(周)나라 군대에게 강북(江北) 유역을 잃은 책임을 지고 태자소부로 물러난 후 복귀하지 못하고 960년 58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다음은 풍연사의 관직 변동을 나타내는 표이다.

시기관직
903년출생
20세 전후秘书郎|비서랑중국어 제수[4]
939년駕部郎中|가부랑중중국어, 掌书记|원수부 장서기중국어
943년 (보대 원년)諫議大夫|간의대부중국어, 翰林學士|한림학사중국어, 戶部侍郞|호부시랑중국어
944년 (보대 2년)翰林學士承旨|한림학사승지중국어
946년 (보대 4년)中書侍郞|중서시랑중국어, 同平章事|동평장사중국어 (재상)
947년 (보대 5년)파면, 太子少傅|태자소부중국어
951년 (보대 9년)冠軍大將軍|관군대장군중국어, 소환되어 太子太保|태자태보중국어, 潞州|로주중국어 節度使|절도사중국어
952년 (보대 10년)左僕射|좌복야중국어 同平章事|동평장사중국어 (재상)
957년 (보대 15년)파면, 太子少傅|태자소부중국어
960년 (건륭 원년)사망 (58세), 시호 忠肅|충숙중국어


2. 1. 초기 생애와 배경

풍연사는 당나라가 멸망하기 4년 전인 천복 3년(903년)에 광릉(廣陵, 현재의 양저우, 장쑤성)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풍령군은 남당에서 이부상서를 지낸 인물이었다. 그 덕분에 풍연사는 20세 때 남당의 열조(烈祖) 이변을 알현할 수 있었다. 이변은 풍연사의 학식과 재능, 말솜씨를 칭찬하며 비서랑으로 임명했고, 훗날 원종(元宗)이 된 이경과 교류할 수 있게 하였다.

풍연사는 이경보다 열 몇 살 많았지만, 이경이 오왕(吳王)을 거쳐 제왕(齊王)이 될 때까지 그의 막부에서 장서기로 일하며 문학적 교류를 나누었다. 이경은 신분, 나이, 정치적 관계를 넘어 풍연사와 문학적으로 소통한 친구였다.

남당은 열조 이변의 문예 정책으로 한희재, 손성, 강문울 등 여러 인재들이 모여들어 오대십국 가운데 문화 중심지로 성장했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이경 역시 독서를 좋아하고 시에 능했다. 황제와 재상이 사(詞)를 즐기는 분위기는 사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창작을 활발하게 하여 사의 유행을 이끌었다.

정치적으로 풍연사는 재상을 네 차례나 지냈지만, 그의 관직 생활은 순탄치 않았다. 진각, 송제구 등과 한 당(黨)을 이루어 손성, 강문울, 한희재 등과 반목하고 갈등했다. 재상으로 재임한 시기에도 이들의 견제를 받아야 했다.

또한 남당은 강남(江南)의 경제적 부를 기반으로 사회경제적으로는 부유했지만, 당송 교체기라는 혼란기에 처해 정치적으로는 불안했다. 남당은 주변 국가들과 영토 분쟁을 자주 일으켰는데, 패배하면 재상이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했다. 풍연사는 영토 분쟁 패배의 책임을 지고 세 차례나 재상직에서 물러났지만, 다시 기용되는 강인함을 보였다. 그러나 957년 주(周)나라 군대에게 강북(江北) 유역을 잃은 책임을 지고 태자소부(太子小傅)로 물러난 후 복귀하지 못하고 960년 58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몇몇 역사서에서는 풍연사를 남당을 멸망으로 이끈 오귀(五鬼) 중 한 명으로 폄하하기도 하지만, 이는 반대파나 송나라의 입장에서 서술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풍연사의 사(詞)에는 임금에 대한 충성심과 시대에 대한 고민이 진지하게 반영되어 있다.

2. 1. 1. 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풍령군(馮令頵)오나라에서 흡주 염철원(鹽鐵院) 판관을 지냈으며, 남당에서 이부상서까지 역임했다.[4]
친어머니미상
본인풍연사
의붓어머니미상풍령군이 풍연사의 친어머니 사후 재혼했을 가능성이 있다.[4]
동생풍연로(馮延魯)이복동생. 남당 관료. 는 숙문(叔文). 후에 풍밀(馮謐)로 개명. 풍연사와 사이가 좋지 않았다.[4]


2. 2. 이변(李昪) 연간

풍연사는 광릉(지금의 장쑤성 양저우시) 출신으로, 남당에서 이부상서를 지낸 아버지 풍령군 덕분에 20세 전후에 열조 이변을 알현했다. 이변은 풍연사의 학식, 예술적 재능, 말솜씨를 칭찬하며 秘书郎|비서랑중국어으로 임명했고, 풍연사는 훗날 원종이 되는 이경과 교류하게 되었다. 이경은 풍연사보다 어렸지만, 오왕과 제왕을 거치는 동안 풍연사를 장서기로 곁에 두며 문학적 교감을 나누었다.

이변의 문예 정책으로 남당은 한희재, 손성, 강문울 등 여러 인재가 모여 오대십국 시대 문화 중심지로 성장했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이경 역시 독서와 시에 능했고, 황제와 재상이 시를 즐기는 분위기는 사(詞) 창작을 활발하게 했다.

939년, 이경이 대원수 칭호를 받자, 풍연사는 駕部郎中|가부랑중중국어 겸 그의 비서가 되었다.[4] 풍연사는 이경의 조언자인 진각과 가까워졌고, 진각이 재상 송기구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송기구의 일원이 되었다. 한번은 지위가 높은 관리인 손승에게 "중서시랑 자리에 오르다니, 당신에게 어떤 능력이 있습니까?"라고 농담을 던졌고, 손승은 "당신의 능력은 국가를 위험에 빠뜨릴 정도로 충분합니다."라고 답했다.[1]

이경의 본부에서 일하는 동안 풍연사와 풍연로는 종종 사람들이 아들딸을 노예로 파는 것을 금지하는 금지령을 철회할 것을 주장했지만, 이변은 관리 소엄(蕭儼)의 조언에 동의하여 이를 승인하지 않았다. 이변은 943년 병으로 사망하기 전까지 풍연사, 진각, 위잠(魏岑)을 이경의 참모진에서 해임하는 것을 고려했지만 실행하지 못했다. 이경은 왕위를 차지할 준비를 했고, 풍연사는 이변의 죽음과 이경의 즉위에 기뻐하며, 하루에 세네 번이나 궁궐에 들어가 그에게 보고했다. 이경은 그의 잦은 보고에 대해 "비서는 자신의 책무가 있다. 왜 그렇게 지루하게 구는가?"라고 답했다. 풍연사와 풍연로는 이변을 대신하여 최종 칙령을 작성하면서, 풍연사가 옹호했지만 이변이 승인하지 않았던 아들딸 매매를 허용하는 조항을 삽입했다. 소엄은 이경에게 이변의 이전 불승인을 보고했지만, 이미 발표되었기 때문에 칙령을 수정하지 않기로 결정했다.[1]

정치적으로 풍연사는 재상을 네 차례나 지냈지만, 진각, 송기구 등과 한 당을 이루어 손성, 강문울, 한희재 등과 반목하고 갈등했다. 재임 기간은 짧았고, 끊임없이 견제를 받았다.

남당은 강남의 경제적 부를 기반으로 사회경제적으로 부유했지만, 당송 교체기라는 혼란기에 정치적으로 불안했다. 남당은 주변국과 영토 분쟁을 자주 일으켰고, 패배하면 재상이 책임을 져야 했다. 풍연사는 영토 분쟁 패배 책임을 지고 세 차례 재상직에서 물러났지만, 다시 기용되었다. 957년 주나라 군대에게 강북 유역을 잃은 책임을 지고 태자소부로 물러난 후 복귀하지 못하고 960년 58세로 생을 마감했다.

풍연사는 이경과 후주 이욱의 지속적인 애정과 신뢰에도 불구하고, 국내외 복잡하고 어려운 상황으로 인해 관직 생활 내내 불안감과 위기의식 속에 지냈다. 몇몇 역사서는 풍연사를 남당 멸망의 원흉인 오귀(五鬼) 중 하나로 폄하하지만, 이는 반대파나 송나라 입장에서 서술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풍연사의 사(詞)에는 임금에 대한 충성심과 시대에 대한 고민, 갈등이 진지하게 반영되어 있다.

다음은 풍연사의 관직 변동을 나타내는 표이다.

시기관직
903년출생
20세 전후秘书郎|비서랑중국어 제수[4]
939년駕部郎中|가부랑중중국어, 掌书记|원수부 장서기중국어
943년 (보대 원년)諫議大夫|간의대부중국어, 翰林學士|한림학사중국어, 戶部侍郞|호부시랑중국어
944년 (보대 2년)翰林學士承旨|한림학사승지중국어
946년 (보대 4년)中書侍郞|중서시랑중국어, 同平章事|동평장사중국어 (재상)
947년 (보대 5년)파면, 太子少傅|태자소부중국어
951년 (보대 9년)冠軍大將軍|관군대장군중국어, 소환되어 太子太保|태자태보중국어, 潞州|로주중국어 節度使|절도사중국어
952년 (보대 10년)左僕射|좌복야중국어 同平章事|동평장사중국어 (재상)
957년 (보대 15년)파면, 太子少傅|태자소부중국어
960년 (건륭 원년)사망 (58세), 시호 忠肅|충숙중국어


2. 3. 이경(李璟) 연간

풍연사는 광릉(지금의 장쑤성 양저우시) 출신으로, 그의 아버지 풍령군은 남당에서 이부상서를 지냈다. 풍연사는 이 덕분에 20세 때 열조 이변을 알현하고 비서랑이 되어 훗날 원종이 된 이경과 교류했다. 이경은 풍연사보다 나이가 어렸지만, 오왕과 제왕을 거치는 동안 풍연사는 그의 막부에서 장서기로 함께 지내며 문학적으로 소통하는 친구가 되었다.[4]

이경이 즉위한 후, 풍연사는 감의대부와 한림학사 직책을 받았다. 곧 호부시랑과 한림학사승지로 승진했고, 중서시랑 칭호를 받았다.[4]

946년, 이경은 풍연사를 이건순과 함께 재상(동중서문하평장사)으로 임명했다. 이건순은 행정에 능숙했지만 우유부단했고, 풍연사는 문학적이었으나, 간혹 웅변으로 자신의 부적절함을 덮었다고 한다.[8]

952년, 이경은 풍연사를 다시 재상으로 임명했는데, 서경운과 손승이 함께였다. 풍연사는 좌복사 직함도 받았다. 그러나 풍연사는 실제로 모든 것을 결정할 능력이 없어 민간 문제는 행정관, 군사 문제는 장군에게 의존했다.[10]

953년 봄, 풍연사는 다시 재상으로 임명되었다.[12]

958년, 남당이 후주에 항복하고 양쯔강 북쪽 영토를 할양한 후, 풍연사는 태자태부(이홍기의 수석 고문)가 되었다.[11]

풍연사는 그의 시로 유명했고, 노년에도 계속 시를 썼으며, 음악에 맞출 수 있는 시를 선호했다.[4] 그는 천복 3년(903년)에 태어나 건륭 원년(960년)에 58세로 사망했다.[4]

3. 정치 활동

풍연사는 장쑤 성 양저우의 광릉(廣陵) 출신으로, 아버지 풍령군(馮令頵)이 남당에서 이부상서를 지낸 덕분에 20세 때 열조 이변을 알현할 수 있었다.[1] 열조는 풍연사의 학식, 예술적 재능, 말솜씨를 칭찬하며 비서랑으로 임명했고, 훗날 원종이 된 이경과 교류하게 되었다. 풍연사는 이경보다 나이가 많았지만, 이경이 오왕(吳王)과 제왕(齊王)이 될 때까지 그의 막부에서 장서기로 지내며 문학적으로 교류했다.

남당은 열조 이변의 문예 정책으로 한희재, 손성, 강문울 등 여러 인사가 모여들어 오대십국 가운데 문화 중심지로 성장했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성장한 이경 역시 독서를 좋아하고 시에 능했다. 황제와 재상이 시를 짓고 즐기는 분위기는 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창작을 활발하게 하여 시의 유행으로 이어졌다. 남당이 문학, 특히 시의 중심지로 부상한 것은 이들의 문학적 교류 덕분이었다.

풍연사는 재상을 네 차례나 지냈지만, 그의 관직 생활은 순탄하지 않았다. 진각, 송제구 등과 당을 이루어 손성, 강문울, 한희재 등과 반목하며 갈등했고, 잦은 영토 분쟁과 패배로 정치적 불안감이 컸다.[1] 재임 기간은 짧았고, 재상으로 있을 때도 견제를 받았다. 957년 후주 군대에 강북 유역을 잃은 책임을 지고 태자소부로 물러난 후 복귀하지 못하고 960년 58세로 사망했다.[4]

몇몇 역사서에서는 풍연사를 남당을 멸망으로 이끈 '오귀(五鬼)' 중 한 명으로 폄하하기도 하지만, 이는 정치적 반대파나 권력투쟁의 승자인 송나라의 입장에서 서술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풍연사의 시에는 임금에 대한 충성심과 시대에 대한 고민, 갈등이 진지하게 반영되어 있다.

3. 1. 파벌 갈등과 정치적 부침

풍연사는 진각, 송제구 등과 한 파벌을 이루었는데, 이들은 손성, 강문울, 한희재 등의 무리와 끊임없이 반목하고 갈등했다.[1] 풍연사는 재상을 여러 번 역임했지만, 재임 기간은 길지 않았고, 재상으로 있을 때도 끊임없이 견제를 받아야 했다.

또한 남당은 경제적으로는 부유했지만, 당송 교체기라는 혼란스러운 시기였기 때문에 정치적으로는 불안했다. 남당은 주변 나라들과 자주 영토 분쟁을 일으켰는데, 패배하면 재상이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했다. 풍연사는 영토 분쟁에서 패배하여 세 차례나 재상직에서 물러났지만, 번번이 다시 기용되는 강인함을 보였다.

945년, 차문휘가 의 수도 건주(建州, 지금의 난핑)를 공격할 때, 풍연사, 풍연로, 위(Wei)는 차문휘를 지지하며 군대에 물자를 충분히 공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로 인해 황실 금고가 고갈되었고, 홍주(洪州, 지금의 난창), 요주(饒州, 지금의 상라오), 무주(撫州, 지금의 푸저우), 신주(信州, 지금의 상라오) 등 인근 지역 백성들이 고통을 겪었다.[7]

946년, 이경은 풍연사를 이건순과 함께 재상(동중서문하평장사, )으로 임명했다. 이건순은 행정에 능숙했지만 우유부단했고, 풍연사는 문학적 재능은 뛰어났지만, 사악하고 편파적인 결정을 내렸으며, 자신의 잘못을 말솜씨로 덮고 사람들을 설득하는 데 능했다는 평가를 받았다.[8]

952년, 이경은 풍연사를 다시 재상으로 임명했고, 서경운(徐景運중국어)과 손승이 함께 재상이 되었다. 풍연사는 좌복사(左僕射, 정부 행정국(尚書省)의 수장 중 하나) 직함도 받았다.[10]

957년, 주(周)나라 군대에 강북(江北) 유역을 잃은 책임을 지고 태자소부(太子少傅)로 물러났고, 960년 58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3. 2. 남당의 쇠퇴와 외교적 노력

풍연사는 진각, 송제구 등과 당을 이루어 손성, 강문울, 한희재 등과 반목하며 갈등했다. 재상을 여러 번 역임했으나 재임 기간은 길지 않았고, 재임 중에도 견제를 받았다.[1] 남당은 강남의 경제적 부를 기반으로 부유했지만, 당송 교체기의 혼란 속에 정치적으로 불안정했다. 주변국과 영토 분쟁을 자주 일으켰고, 패배 시 재상이 책임을 지고 물러나야 했다. 풍연사는 영토 분쟁 패배 책임을 지고 세 차례 재상직에서 물러났지만, 다시 기용되었다. 957년 후주 군대에 강북 유역을 잃은 책임을 지고 태자소부로 물러난 후 복귀하지 못하고 960년 58세로 사망했다.[4]

이징이 즉위 후 통치의 많은 부분을 진극에게 위임하면서, 풍연사, 풍연로, 위잠, 사문휘는 진극과 연계하여 "오귀"로 불렸다.[1] 944년, 이징이 이경수 기왕과 이경달 연왕에게 왕위를 넘기려 하자, 풍연사와 지지자들은 관리들의 황제 접근을 통제하려 했다. 이징에게 칙령을 내려 이경수가 정책 문제를 감독하고, 진극과 사문휘만 황제에게 보고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국가에 큰 충격을 주었고, 가숭이 이징을 설득하여 번복하게 했다.[1]

945년, 사문휘가 의 건주를 공격할 때, 풍연사, 풍연로, 위잠은 그의 군대에 물자를 공급하여 황실 금고가 고갈되고 인근 주 사람들이 고통받았다.[7] 사문휘는 건주를 점령하고 왕연정을 항복시켰으나, 복주는 이홍일의 손에 있었다. 진극이 이홍일을 설득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풍연로가 이홍일 상대 원정을 이끌었으나 947년 오월의 구원군에 패퇴하여 남당은 영토 전체를 차지하려는 희망을 잃었다.[9]

946년, 이징은 풍연사를 이건순과 함께 재상(동중서문하평장사)으로 임명했다. 이건순은 행정에 능숙하지만 우유부단했고, 풍연사는 문학적이나 사악하고 편파적이었다.[8] 947년, 이징이 이경수와 이경달을 책봉하여 계승 계획을 공식화한 후, 풍연사는 이경수의 태자궁 연회에서 이경달에게 "저를 용서해서는 안 됩니다!"라고 말해 모욕감을 주었다. 이경달은 이징에게 풍연사의 처형을 요구했고, 이징은 설득에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했다.[9]

진극과 풍연로가 패배한 후, 이징은 그들을 처형하려 했으나 강문위의 탄핵 상소에 분노하여 강문위를 강등시켰다. 풍연사는 이경수의 고문인 태자소보로 강등되었다.[9] 952년, 이징은 풍연사를 다시 재상으로 임명했고, 서경운, 손승이 함께였다. 풍연사는 좌복사 직함도 받았다. 세 재상 임명 칙령이 낭독되자 창맹시는 "강문위의 탄원서만큼 훌륭하지 않습니다!"라고 조롱했다. 손승은 "금 술잔과 옥 그릇에 개똥이 담겨 있는 것은 어찌 된 일인가?"라고 말했다.[10]

풍연사는 이징에게 재상이 국가 결정을 위한 완전한 권한을 부여받아야 한다고 주장했고, 이징은 동의했지만 풍연사는 능력이 없었다. 민간 문제는 행정관, 군사 문제는 장군에게 의존하며 스스로 결정하지 않았다. 이징은 다시 스스로 결정하기 시작했다. 소연이 여성에게 잘못 사형을 선고했을 때, 종모와 이덕명소연을 사형에 처하려 하자, 풍연사는 소연을 변호하여 목숨을 건졌다.[10] 풍연사가 이징의 호감을 얻은 이유는 중원 점령 전략을 옹호했기 때문이다. 풍연사는 이변의 평화 주장을 경멸하고 무력 사용 의지가 있는 이징을 칭찬했다.[11]

951년, 남당이 를 멸망시켰으나 무안만 실질 통제했다. 무평은 유언, 정강은 남한에 점령되었다. 952년, 이징은 정강 작전을 포기하고 유언을 절도사로 임명하려 했다. 손승은 동의했지만, 풍연사는 반대하며 약해 보일 것이라 주장했다. 이징은 풍연사에게 동의하고 작전을 계속했지만, 장란이 남한 군대에 패배했다.[10] 유언은 탄저우를 기습하여 변호를 쫓아내 남당은 무안을 잃었다. 풍연사와 손승은 재상직에서 사임했지만 복사 직함은 유지했다. 953년 봄, 풍연사는 다시 재상으로 임명되었다.[12]

956년, 후주의 침략에 이징은 손승을 대표로 파견했다. 손승은 풍연사에게 직함이 더 명예로우므로 가야 한다고 했지만 위험을 무릅쓰고 가겠다고 했다. 손승의 노력은 실패했고 곽영은 그를 죽였다.[13] 958년, 남당은 항복하고 양쯔강 북쪽 영토를 할양하고 후주의 신하가 되었다. 이징은 풍연사를 곽영에게 보내 조공했다. 남당이 신하가 되면서 고위 관리 직함이 축소되었다. 풍연사는 재상이 아니고 이홍기의 수석 고문인 태자태부가 되었다.[11]

4. 문학적 업적

풍연사는 박학하고 글을 잘 썼으며, 말솜씨와 글씨에도 능했다. 시에도 능숙했고, 특히 사(詞)를 짓는 것을 좋아했다.[1] 그의 사는 사후에 흩어졌으나, 송나라 인종 가우 3년(1058년)에 외손자 진세수가 편집한 『양춘집』 1권에 120수가 수록되어 전해진다. 다만, 이 중에는 다른 사람의 작품으로 의심되는 것도 섞여 있다고 한다.[1][4]『全唐五代詞』|전당오대사중국어 (2008), 647-648쪽.

그의 사는 몰락하는 남당 왕조에 대한 감상과 우수를 비유한, 절실한 내면의 슬픔을 담고 있다고 평가받는다.[2]

장명녀[16]
원문표기번역문
춘일지연봄날의 연회
녹주[17] 일배 가 일편향기로운 술 한 잔에 노래는 한 곡조
재배하고 세 가지 소원을 말하다재배[18]를 드리고 세 가지 소원을 말하다
첫 번째 소원은 낭군[19]의 천세첫 번째 소원은 낭군의 장수
두 번째 소원은 첩[20]의 몸이 항상 건강한 것두 번째 소원은 저의 몸이 항상 건강한 것
세 번째 소원은 마치 들보 위의 제비와 같기를세 번째 소원은 들보 위에 함께 있는 제비처럼
세세 장상견해마다 오랫동안 만날 수 있기를



작답지[21]
원문표기번역문
누가 한가로운 마음을 버린 지 오래되었다고 말하는가누가 한가로운 마음을 오래전에 버렸다고 말했는가[22]
매년 봄이 오면봄이 올 때마다
수심에 잠겨 여전히 그대로수심에 잠기는 것은 여전히 그대로이다
날마다 꽃 앞에서 항상 술에 취해 있으니매일매일 꽃 앞에서 술만 마시고 있다
거울 속 붉은 얼굴이 여위어 가는 것을 사양하지 않네거울 속의 붉은 얼굴이 수척해져도 개의치 않는다
강가 푸른 풀밭, 둑 위의 버들강가에 푸르게 우거진 젊은 봄 풀, 둑 위에서 싹튼 버들
묻노니 새로운 시름에 대하여묻노니, 그토록 새로운 시름은
무슨 일로 해마다 있는가무슨 일로 해마다 있는가
작은 다리에 홀로 서니 바람이 소매에 가득홀로 작은 다리에 서니 바람이 소매에 가득 찬다[24]
평림, 초승달, 사람들 돌아간 뒤평야에 이어진 숲에 초승달이 뜨고, 사람들이 돌아간 후에[25]



알금문[26]
원문표기번역문
바람이 갑자기 일어나갑자기 바람이 불어[27]
한 연못의 봄물을 주름지게 하다한 연못의 봄 물결을 주름지게 한다
한가로이 원앙을 향기로운 길로 이끌다한가롭게 원앙을 향기로운 길 안으로 이끈다[28]
손으로 붉은 살구 꽃술을 주무르다손으로 붉은 살구 꽃술을 만지작거린다[29]
싸움닭의 난간에 홀로 기대다홀로 싸움닭[30]의 난간에 기대다
벽옥비녀가 비스듬히 떨어지다벽옥 비녀가 비스듬히 떨어진다
종일 임금만 바라보나 임금은 오지 않네종일 당신을 기다렸지만 당신은 오지 않았다
머리를 들어 까치가 기뻐하는 소리를 듣다고개를 들어 기뻐하는 까치의 소리를 듣는다



''''''(불어 주름지게 하다, 한 연못의 봄 물결)


  • 마령 『남당서』권21「풍연사전」:「원종(중주·이경)의 악부사에서 말하길, '작은 누각에서 다 불어낸다, 옥생(옥으로 만든 생황)의 차가움에'라고 했다. 연사에게 '바람이 갑자기 일어나, 불어 주름지게 하다, 한 연못의 봄 물결'이라는 구절이 있었다. 모두 경계하는 책으로 삼았다. 원종은 일찍이 연사에게 농담조로 말하길, '불어 주름지게 하다, 한 연못의 봄 물결'은 경의 무슨 일에 관계하는가?'라고 했다. 연사가 대답하길, '아직 폐하의 '작은 누각에서 다 불어낸다, 옥생의 차가움에'만 못합니다'라고 했다. 원종이 기뻐했다.」[31]

4. 1. 사(詞)의 특징과 영향

풍연사는 생전에 박학하고 글을 잘 썼으며, 말솜씨와 글씨에도 능하여 다재다능했다. 특히 詞(사) 짓는 것을 좋아했다.[1]中田|나카타중국어 (1965), 412쪽.[2] 撰稿, 『全唐五代詞釋注』 (1998), 688쪽. 그의 詞(사)는 사후에 흩어졌고, 송나라 인종 가우 3년(1058년)에 그의 외손자 진세수가 『양춘집』 1권을 편집하여 120수를 수록해 전했지만, 다른 사람의 작품으로 의심되는 것도 섞여 있다고 한다.[3]『全唐五代詞』|전당오대사중국어 (2008), 647-648쪽.[1][4]村上|무라카미일본어 (1959), 153쪽.

그의 詞(사)는 송대에 들어 더욱 유행하여 북송의 詞(사)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4] 특히 왕국유는 그를 "북송 일대의 기풍을 열었다"(『인간사화』)고 평가했다.[2] 풍연사는 화간파의 영향을 받아 남녀의 이별과 그리움을 묘사하면서도, 온(溫)위(韋)으로 대표되는 "화간파"의 詞(사)와는 달리 맑고 한가로우며, 정갈하고 다채로우며, 완연한 정서의 깊이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詞(사)풍은 당오대 詞(사) 중에서 북송의 소령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1][2] 그의 詞(사)에는 절실한 내면의 슬픔이 담겨 있는데, 이는 몰락하는 남당 왕조에 대한 감상과 우수를 비유한 것이라고 한다.[2]

4. 2. 대표 작품 분석

생전에 풍연사는 박학하고 글을 잘 썼으며, 말솜씨도 뛰어났고 글씨에도 능하여 다재다능했다. 시에도 능숙했고, 특히 사(詞)를 짓는 것을 좋아했다.[16] 그의 사는 사후에 흩어졌고, 송나라 인종 가우 3년(1058년)에 그의 외손자인 진세수에 의해 편집된[16] 『양춘집』 1권은 120수를 수록하여 후세에 전해졌지만, 그 중에는 다른 사람의 작품으로 의심되는 것이 많이 섞여 있다고 한다.[16][17]

그의 사는 송나라 때 더욱 유행하여 북송의 사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17] 특히 왕국유는 그를 "북송 일대의 기풍을 열었다"(『인간사화』)고 평가했다.[16] 풍연사는 화간파의 영향을 받아, 많은 남녀의 이별과 그리움을 묘사하면서도, 그의 사는 온정균위장으로 대표되는 "화간파"의 사 작가들처럼 화려하고 기교적인 것과는 달리, 맑고 한가로우며 정갈하고 다채로우며, 완연한 정서의 깊이를 특징으로 하는 사풍을 보여주었다. 그는 당오대 사 중에서 북송의 소순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16] 그의 사에는 종종 절실한 내면의 얽히고설킨 슬픔이 담겨 있으며, 이는 몰락하는 남당 왕조에 대한 감상과 우수를 비유한 것이라고 한다.[16]

장명녀[16]
원문표기번역문
춘일지연봄날의 연회
녹주[17] 일배 가 일편향기로운 술 한 잔에 노래는 한 곡조
재배하고 세 가지 소원을 말하다재배[18]를 드리고 세 가지 소원을 말하다
첫 번째 소원은 낭군[19]의 천세첫 번째 소원은 낭군의 장수
두 번째 소원은 첩[20]의 몸이 항상 건강한 것두 번째 소원은 저의 몸이 항상 건강한 것
세 번째 소원은 마치 들보 위의 제비와 같기를세 번째 소원은 들보 위에 함께 있는 제비처럼
세세 장상견해마다 오랫동안 만날 수 있기를



작답지[21]
원문표기번역문
누가 한가로운 마음을 버린 지 오래되었다고 말하는가누가 한가로운 마음을 오래 전에 버렸다고 말했는가[22]
매년 봄이 오면봄이 올 때마다
수심에 잠겨 여전히 그대로수심에 잠기는 것은 여전히 그대로이다
날마다 꽃 앞에서 항상 술에 취해 있으니매일매일 꽃 앞에서 술만 마시고 있다
거울 속 붉은 얼굴이 여위어 가는 것을 사양하지 않네거울 속의 붉은 얼굴이 수척해져도 개의치 않는다
강가 푸른 풀밭, 둑 위의 버들강가에 푸르게 우거진 젊은 봄 풀, 둑 위에서 싹튼 버들
묻노니 새로운 시름에 대하여묻노니, 그토록 새로운 시름은
무슨 일로 해마다 있는가무슨 일로 해마다 있는가
작은 다리에 홀로 서니 바람이 소매에 가득홀로 작은 다리에 서니 바람이 소매에 가득 찬다[24]
평림, 초승달, 사람들 돌아간 뒤평야에 이어진 숲에 초승달이 뜨고, 사람들이 돌아간 후에[25]



알금문[26]
원문표기번역문
바람이 갑자기 일어나갑자기 바람이 불어[27]
한 연못의 봄물을 주름지게 하다한 연못의 봄 물결을 주름지게 한다
한가로이 원앙을 향기로운 길로 이끌다한가롭게 원앙을 향기로운 길 안으로 이끈다[28]
손으로 붉은 살구 꽃술을 주무르다손으로 붉은 살구 꽃술을 만지작거린다[29]
싸움닭의 난간에 홀로 기대다홀로 싸움닭[30]의 난간에 기대다
벽옥비녀가 비스듬히 떨어지다벽옥 비녀가 비스듬히 떨어진다
종일 임금만 바라보나 임금은 오지 않네종일 당신을 기다렸지만 당신은 오지 않았다
머리를 들어 까치가 기뻐하는 소리를 듣다고개를 들어 기뻐하는 까치의 소리를 듣는다



''''''(불어 주름지게 하다, 한 연못의 봄 물결)


  • 마령 『남당서』권21「풍연사전」:「원종(중주·이경)의 악부사에서 말하길, '작은 누각에서 다 불어낸다, 옥생(옥으로 만든 생황)의 차가움에'라고 했다. 연사에게 '바람이 갑자기 일어나, 불어 주름지게 하다, 한 연못의 봄 물결'이라는 구절이 있었다. 모두 경계하는 책으로 삼았다. 원종은 일찍이 연사에게 농담조로 말하길, '불어 주름지게 하다, 한 연못의 봄 물결'은 경의 무슨 일에 관계하는가?'라고 했다. 연사가 대답하길, '아직 폐하의 '작은 누각에서 다 불어낸다, 옥생의 차가움에'만 못합니다'라고 했다. 원종이 기뻐했다.」[31]

5. 평가와 유산

풍연사는 재상을 네 차례나 지냈지만, 그의 관직 생활은 순탄치 않았다. 진각, 송제구 등과 당을 이루었으나, 손성, 강문울, 한희재 등과는 끊임없이 반목했다. 재상 재임 시기에도 이들의 견제를 받았다.

남당은 강남의 경제력을 바탕으로 번영했지만, 당송 교체기라는 혼란 속에 정치적으로는 불안정했다. 주변 국가들과 잦은 영토 분쟁을 벌였고, 패배 시 재상이 책임을 져야 했다. 풍연사도 영토 분쟁에서 패배해 세 차례나 재상직에서 물러났지만, 번번이 다시 기용되었다. 그러나 957년 주나라 군대에 강북 유역을 잃고 태자소부로 물러난 후에는 복귀하지 못하고 960년 58세로 사망했다.

5. 1. 상반된 평가와 균형 잡힌 시각의 필요성

몇몇 역사서에서는 풍연사를 남당을 멸망으로 이끈 오귀(五鬼) 중 한 명으로 폄하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역사 기록자들이 정치적으로 반대편에 섰거나, 권력 투쟁에서 승리한 송나라의 관점에서 서술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풍연사의 사(詞)에는 임금에 대한 충성심과 시대에 대한 고민, 갈등이 진지하고 깊이 있게 반영되어 있다. 역사적으로 풍연사가 충신이었는지 간신이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풍연사의 사(詞)를 통해 역사서에서 다루지 않는, 한 인간으로서의 진정한 면모를 살펴보고 그에 대해 균형 잡힌 시각을 가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풍연사는 동생 풍연로 및 위잠, 진각, 사문휘 등과 결탁하여 현신을 몰아내고 정권을 전횡하여, 당시 사람들로부터 "오귀"라고 불렸다. 그러나 남당, 특히 중주 이경의 치세 하의 파벌 싸움은 매우 복잡했다. 게다가 송대에 들어 남당의 기록을 남긴 사허백("조기립담"의 저자), 용곤("강남야사"의 저자), 마령("남당서"의 저자) 등은 어느 정도 이러한 흐름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풍연사에 대한 정당한 평가는 어렵다.[1]

5. 2. 현대적 의의

풍연사는 박학하고 글을 잘 썼으며, 말솜씨와 글씨에도 능했다. 다재다능했으며 시에 능숙했고, 특히 사(詞)를 짓는 것을 좋아했다.[1] 그의 사는 사후에 흩어졌으나, 송나라 인종 가우 3년(1058년) 그의 외손자 진세수가 편집한[3] 『양춘집』 1권에 120수가 수록되어 후세에 전해졌다. 다만, 그 중에는 다른 사람의 작품으로 의심되는 것이 많이 섞여 있다고 한다.[1][2]

그의 사는 송대에 들어서면서 더욱 유행하여 북송의 사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2] 특히 왕국유는 그를 "북송 일대의 기풍을 열었다"고 평가했다.[4] 풍연사는 화간파의 영향을 받아, 남녀의 이별과 그리움을 많이 묘사했다. 그러나 온정균과 위장에서 시작되는 "화간파"의 사 작가들처럼 농염하고 기교적인 표현과는 달리, 맑고 한가로우며 정갈하고 다채로우면서도 완연한 정서의 깊이를 특징으로 하는 사풍을 보였다. 이는 당오대 사 중에서는 북송의 소령에게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친 것이다.[1][4] 그의 사에는 절실한 내면의 얽히고설킨 슬픔이 담겨 있으며, 이는 몰락하는 남당 왕조에 대한 감상과 우수를 비유한 것이라고 전해진다.[4]

참조

[1] 서적 Zizhi Tongjian
[2] 서적 History of Song (Yuan dynasty)
[3] 서적 New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4] 서적 Spring and Autumn Annals of the Ten Kingdoms
[5] 웹사이트 Chinese-Western Calendar Converter http://sinocal.sinic[...]
[6] 서적 Zizhi Tongjian
[7] 서적 Zizhi Tongjian
[8] 서적 Zizhi Tongjian
[9] 서적 Zizhi Tongjian
[10] 서적 Zizhi Tongjian
[11] 서적 Zizhi Tongjian
[12] 서적 Zizhi Tongjian
[13] 서적 Zizhi Tongjian
[14] 문서 全唐文
[15] 웹사이트 師父 https://kotobank.jp/[...]
[16] 문서 長命女
[17] 문서 美しく緑色に澄んだ酒
[18] 문서 拝
[19] 문서 下句「妾」と対になる語
[20] 문서 中国の古典詩文で、謙った女性の一人称として使用される言葉
[21] 문서 鵲踏枝(じゃくとうし)
[22] 문서 誰でもなく自分自身であろう
[23] 문서 蕪
[24] 문서 自分の孤独にもかかわらず
[25] 문서 上句と照応して
[26] 문서 謁金門(えつきんもん)
[27] 문서 強い春風に吹かれて
[28] 문서 春の香り繁く新緑に隠された小径に鴛鴦が引き寄せられていく
[29] 문서 為す事も無い無聊な気分を紛らせる何気ない仕草
[30] 문서 鵲は縁起の良い鳥だとされる
[31]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