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산불 정보 읽는 ‘자동기상망’ 있지만 대피 때 활용되지 못 했다
영남 산불 당시 자동기상망 등 기상정보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대피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피해가 커졌으며, 기상 정보 활용 및 재난 대응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풍향은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의미하며, 다양한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풍향계, 바람주머니, 풍속계, 초음파 풍향 풍속계 등이 있으며, 손가락에 물을 묻히거나 풀을 떨어뜨리는 원시적인 방법으로도 측정 가능하다. 기상학적으로 풍향은 10분 또는 2분 평균으로 나타내며, 급격한 변화를 풍향 급변이라고 한다. 계절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 부는 바람을 계절풍이라 하며, 한국의 북서풍이 대표적이다. 생활 속에서 풍향은 진행 방향과의 관계에 따라 맞바람, 뒷바람, 옆바람으로 구분되며, 육상 경기 기록이나 항해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순풍과 역풍, 북풍과 같이 상황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풍향 | |
---|---|
풍향 정보 | |
정의 |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 |
측정 단위 | 각도 (°) |
측정 기준 | 진북 또는 자북 |
풍향 표시 방법 | |
16방위 | 북(N) 북북동(NNE) 북동(NE) 동북동(ENE) 동(E) 동남동(ESE) 남동(SE) 남남동(SSE) 남(S) 남남서(SSW) 남서(SW) 서남서(WSW) 서(W) 서북서(WNW) 북서(NW) 북북서(NNW) |
36방위 | 더 세분화된 방위 표시 |
각도 | 0° ~ 360° (진북 기준) |
풍향 측정 | |
측정 장비 | 풍향계 |
측정 위치 | 지상 10m 상공 |
중요도 | |
중요성 | 항해, 항공, 기상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 날씨 변화 예측에 중요 대기 오염 확산 예측에 중요 |
기타 | |
관련 용어 | 풍속 |
풍향은 풍향계, 바람주머니 등 다양한 기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2] 이 기기들은 모두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여 움직인다. 풍향계가 가리키는 방향은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이며,[3] 바람주머니의 큰 입구는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을 향하고, 작은 입구가 있는 꼬리는 바람이 불어가는 방향을 가리킨다.[4]
현대에는 풍향계, 풍속계, 초음파 풍향 풍속계를 사용한다. 이 기기들은 풍력 자원 평가 및 터빈 제어에 사용된다. 높은 측정 빈도가 필요한 연구 분야에서는 초음파 신호의 전파 속도나 가열된 와이어의 저항에 대한 통풍 효과를 통해 풍속을 측정하기도 한다.[5] 피토관은 바람에 노출된 내부 튜브와 외부 튜브 사이의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동적 압력을 결정한 다음 풍속을 계산하는 기기이다.[6]
기기를 사용할 수 없을 때는 손가락에 물을 묻혀 위로 올리면 시원하게 느껴지는 면이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이며(대략),[7] 풀 한 줌을 떨어뜨려 풀이 떨어지는 방향으로 바람이 부는 방향을 알 수 있다. 이 방법은 골퍼들이 자주 사용한다.[8]
풍향은 시간에 따라 시시각각 변한다. 따라서 단순히 "풍향"이라고 할 때는 10분간의 평균 풍향을 나타낸다. 하지만 풍향은 항공기에 필수적인 정보이므로 항공에서는 보다 정밀한 2분간의 평균 풍향을 사용한다. 한랭 전선이 통과할 때 풍향이 급변하여 기상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계절과 시간에 따라 바람의 성질과 풍향이 달라진다.[1] 하루 중 낮에는 바다에서 육지로, 밤에는 육지에서 바다로 바람이 분다.[1]
이러한 풍향 변화는 계절과 시간의 경과를 비유적으로 나타낼 때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메리 포핀스는 "바람이 바뀔 때까지" 아이들 집에 머물렀다.[1]
풍향은 개인의 활동 및 스포츠 경기에도 영향을 미친다. 특히 육상 경기에서 달리기와 같이 진행 방향이 일정한 경우, 풍향에 따라 기록이 크게 달라진다. 뒷바람이 강할 경우 기록이 너무 좋아져 공식 기록으로 인정하지 않고 뒷바람 참고 기록이라고 한다. 과거에는 배가 대량 수송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고 바람에 의존했기 때문에 풍향과 관련된 말이 있었다. 순풍만범은 모든 조건이 좋아서 드디어 진행을 시작한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바람은 그 당시의 상황을 일반적으로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풍향이 이것에 사용되는 예도 많다.[1] 순풍과 역풍은 자신에게 좋은 상황과 나쁜 상황을 가리키며, 북풍은 북반구에서 겨울의 계절풍으로 혹독한 추위를 가져오기 때문에 힘든 상황, 가혹한 처사를 의미하는 말로도 사용된다.[1] (북풍과 태양)[1]
[1]
웹사이트
Origin of Wind
https://www.weather.[...]
National Weather Service
[2]
서적
Handbook of Measurement in Science and Engineering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5-12-01
[3]
서적
The Atmosphere: An Introduction to Meteorology
https://books.google[...]
Prentice Hall
[4]
웹사이트
Wind vane
http://amsglossary.a[...]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3-17
[5]
웹사이트
Anemometer
http://amsglossary.a[...]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3-17
[6]
웹사이트
Pitot tube
http://amsglossary.a[...]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09-03-17
[7]
서적
Physics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18-01-01
[8]
서적
Everybody's Golf Book
https://books.google[...]
Viking Press
1975-05-08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영남 산불 당시 자동기상망 등 기상정보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대피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피해가 커졌으며, 기상 정보 활용 및 재난 대응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