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시스 쉐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란시스 쉐퍼는 20세기 미국의 기독교 변증가이자 문화 비평가로, 1912년에 태어나 1984년에 사망했다. 그는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 등에서 수학하고 목사 안수를 받은 후, 스위스에 라브리 공동체를 설립하여 기독교 신앙과 학문을 통합하는 교육을 제공했다. 쉐퍼는 문화와 복음의 통합을 강조하며, 기독교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예술, 철학, 사회 문제에 대한 비평을 펼쳤다. 그의 저서들은 기독교 우파의 정치 운동에 영향을 미쳤으며, 도미니언주의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쉐퍼의 사상은 프란시스 쉐퍼 재단과 라브리 공동체를 통해 이어지고 있으며, 그의 저술은 한국 개신교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신론 비판자 - 에드먼드 버크
에드먼드 버크는 1729년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정치인, 철학자, 작가로, 영국 의회 하원 의원으로서 보수주의 사상을 주창하며 프랑스 혁명을 비판하고 전통, 질서, 점진적 개혁을 강조했다. - 무신론 비판자 - 블레즈 파스칼
블레즈 파스칼은 1623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수학, 물리학, 철학, 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확률론, 유체역학 연구, 철학적 사상 등을 통해 과학 혁명에 기여했다. - 종교철학자 - 프리드리히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는 "신은 죽었다"라는 선언으로 알려진 19세기 독일 철학자이자, 도덕, 종교, 형이상학 비판, '힘에의 의지', '위버멘쉬', '영원회귀' 등의 개념 제시로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종교철학자 - 윌리엄 페일리
윌리엄 페일리는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초 영국의 저명한 자연신학자이자 도덕철학자, 신학자로, '시계공 유추'를 통해 신의 존재를 증명하려 했으며, 그의 저술들은 다양한 분야에 걸쳐 논의되고 지적 설계 이론의 기초가 되었으나, 과학적 진화론에 대한 반박으로 악용되는 등 논쟁적인 유산으로 평가받는다. -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동문 - 팀 켈러
팀 켈러는 미국의 목사이자 신학자, 기독교 변증가로서, 리디머 장로교회를 개척하여 도시 중심 사역에 헌신했으며 복음 연합 공동 설립자로서 복음 중심 신앙을 전파하고 《하나님의 이유》, 《탕자의 하나님》 등의 저서를 통해 기독교적 관점을 제시하며 영향을 미쳤다. -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동문 - 박윤선
박윤선은 한국의 장로교 목사이자 신학자로, 30여 년에 걸쳐 성경 66권 전체에 대한 주석을 완성하여 한국 교회 신학 발전에 기여하고 개혁주의 신학에 기반한 주석으로 목회자와 신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고려신학교와 총신대학교에서 후학을 양성하며 한국 교회의 보수 신학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프란시스 쉐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명 | Francis August Schaeffer |
출생일 | 1912년 1월 30일 |
출생지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필라델피아 저먼타운 |
사망일 | 1984년 5월 15일 |
사망지 | 미국 미네소타주 로체스터 |
거주지 | 스위스, 보주 |
배우자 | 에디스 쉐퍼(Edith Seville Schaeffer) |
자녀 | 4명, 그 중 프랭크 쉐퍼 |
![]() | |
직업 | |
직업 | 기독교 철학자, 복음주의 교회 지도자, 저술가 |
직함 | 목사 |
종교 및 사상 | |
종교 | 장로교 |
정치 성향 | 보수주의 |
2. 생애
프란시스 쉐퍼는 1938년 장로교 목사 안수를 받고, 1955년 스위스에서 라브리 공동체(fr)를 설립하는 등 활발한 종교 활동을 펼쳤다. 1984년 림프종으로 사망했다.[39]
쉐퍼는 1956년 성경 장로교회 콜링스우드와 콜럼버스의 분열 이후 성경 장로교회 콜럼버스 시노드 편에 섰다. 1961년 BPC 콜럼버스는 복음주의 장로교회로 재편되었고, 쉐퍼는 1965년 성경 장로교회의 콜럼버스 시노드가 개혁 장로교회, 복음주의 시노드와 합병했을 때 EPC를 따라갔다.[3] 이 교파는 1982년 미국 장로교회와 합병했다.
쉐퍼는 여러 대학에서 명예 학위를 받았다. 1954년 캘리포니아주 롱비치의 하일랜드 칼리지에서 명예 신학 박사 학위를, 1971년 매사추세츠주 웬햄의 고든 칼리지에서 명예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6][7] 1982년 존 워윅 몽고메리의 추천으로 1983년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의 사이먼 그린리프 법학대학에서 변증학적 저작과 사역을 인정받아 명예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8]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프란시스 쉐퍼는 1912년 1월 30일 펜실베이니아 주 저먼타운에서 독일계 이민자인 프란츠 A. 쉐퍼 3세와 베시 윌리엄슨 사이에서 태어났다.[2] 그는 독일계 미국인이자 영국계 미국인이었다.1935년, 쉐퍼는 햄든–시드니 칼리지를 ''우등 졸업''했다. 같은 해에 허드슨 테일러가 설립한 차이나 내륙 선교회에서 활동했던 선교사 부모의 딸인 에디스 세빌과 결혼했다. 그 후 쉐퍼는 가을에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에 입학하여 코르넬리우스 반 틸 (전제주의 변증학)과 J. 그레샴 메이컨 (성경 무오설)에게서 배웠다.
1937년, 쉐퍼는 페이스 신학대학원으로 전학하여 1938년에 졸업했다. 이 신학대학원은 미국 장로교회 (현재 정통 장로교회)와 성경 장로교회 사이의 분열 결과로 새롭게 설립되었으며, 근본주의 기독교와 전천년설과 더 밀접하게 연관된 장로교 교파였다. 쉐퍼는 이 학교의 최초 졸업생이자 성경 장로교회에서 최초로 안수를 받은 사람이었다.
2. 2. 목회 활동 및 라브리 설립
1938년 장로교 목사로 안수받았으며, 펜실베이니아주 (그로브 시티와 체스터)와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서 목회 활동을 했다.[3] 1948년 가족과 함께 스위스로 이주했다.[4][5] 1955년 신학적인 갈등으로 개신교 주인 보 주의 위에모(Huemoz)로 이주했으며, 같은 해 라브리(L'Abri) 공동체(L’Abri|피난처프랑스어)를 설립했다. 라브리는 철학 세미나이자 영적 공동체로서, 전 세계에서 온 수많은 젊은이들이 이곳에서 기독교 신앙과 학문을 통합하는 훈련을 받았다. 라브리는 이후 스웨덴, 프랑스, 네덜란드, 캐나다, 영국 및 미국으로 확장되었다.[4][5]2. 3. 말년 및 사망
쉐퍼는 1984년 5월 15일 미네소타주 로체스터에서 림프종으로 사망했다.[9] 그는 사망 전에 그곳에 라브리 공동체 지부를 열었다. 로체스터에 있는 사립 K-12 학교인 쉐퍼 아카데미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0]3. 사상
프란시스 쉐퍼는 문화를 기독교 신앙과 연결하여 이해하고, 복음 전파의 도구로 활용하고자 했다. 성인경에 따르면 쉐퍼의 문화관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40]
- 복음 안에서의 문화 통일: 쉐퍼는 모든 문화가 복음 안에서 하나가 되기를 추구했다. 그는 17세기 경건주의 시대 이후 서구 교회가 그리스도의 주재권을 잊고 문화를 이원화시킨 것을 비판했다. 아퀴나스 이후 제기된 자연과 은혜의 분리, 정신계와 물질계의 이원화, 신학과 타 학문 사이의 분열을 멈추고, 복음과 문화를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 되게 할 것을 주장했다.
- 하나님 중심의 예술 가치: 쉐퍼는 예술의 가치와 본질이 '예술가라는 인간의 위대함'이 아닌 '지금도 살아계신 하나님'에게 있다고 보았다. 즉, 하나님의 인격성과 창조성이 모든 예술의 근본이라는 것이다.
- 예술 주제의 확장: 쉐퍼는 예술을 기독교적인 주제에만 제한하지 않았다. 그는 비기독교적 주제의 예술 작품도 가치가 있다고 보았으며, 상상력을 통해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 모두를 예술의 영역으로 확장했다. 예를 들어,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는 메시아와 같은 성가곡뿐만 아니라 궁중 파티를 위한 '세속적인' 곡도 작곡했으며, 렘브란트는 당시에는 엄두도 못 낼 아내의 엉덩이나 의사의 수술 장면을 그리기도 했다.
- 예술 작품 비평: 쉐퍼는 예술 작품을 통해 작가와 시대, 예술성을 비평했다. 그는 예술 작품의 예술성, 기술성, 사상성을 중요하게 평가했다. 특히 20세기 예술은 작가와 관객 사이의 의사소통이 단절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하며, 왜곡된 사상을 전하는 작품은 예술성과 기술성이 탁월하더라도 재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문화를 통한 복음 전파: 쉐퍼는 문화를 전도의 접촉점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문화 변증학'을 통해 복음의 내용을 변질시키지 않으면서도 문화를 통해 복음을 전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특히 문화 속에 숨어있는 세계관에 주목했고 기독교 세계관으로 대결했다.
3. 1. 변증학
프란시스 쉐퍼의 기독교 변증론은 헤르만 도이베르트, 에드워드 존 카넬, 코르넬리우스 반 틸의 영향을 받았다.[15] 그러나 쉐퍼는 반 틸의 엄격한 예정론자는 아니었다. 그는 한스 룩마커와의 교류를 통해 문화에 대한 접근 방식을 발전시켰다.쉐퍼는 1948년 ''The Bible Today'' 기사에서 자신의 변증론을 설명하며, 증거주의와 전제주의 사이의 중도적 입장을 취한다고 밝혔다. 그는 "구원받지 못한 사람이 일관성을 유지한다면, 그는 종교적으로는 무신론자, 철학적으로는 비합리주의자('자연 법칙'에 대한 완전한 불확실성을 포함), 그리고 가장 넓은 의미에서 완전히 비도덕적인 사람이 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15]
J. Budziszewski는 쉐퍼의 중도적 접근에 대해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그는 예정론자들이 기독교적 사고 체계와 반기독교적 사고 체계의 궁극적인 전제들이 그 기원에서 완전히 상반된다는 점을 주장하는 것이 옳다고 보았다. 반면에 증거주의자들은 기독교적 사고 체계와 반기독교적 사고 체계 사이에 현실 자체의 형태에서 항상 접점이 있다는 점을 주장하는 것이 옳다고 보았다. 그는 이러한 접점이 존재하는 이유는, 비신자들이 자신들의 전제에 완전히 일치하려고 하지 않기 때문이며, 이러한 불일치는 많은 사람들이 공통 은총이라고 부르는 것의 결과이고, 사실은 하나님께서 정의되고 피할 수 없는 창조물을 만드시고 말씀하셨다는 현실이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비논리적으로", 그는 썼다. "사람들은 자신들이 받아들인 세계관에 우리에게 속한 다양한 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비논리적일지라도, 그것은 존재하며 우리는 그것에 호소할 수 있습니다."[16]
쉐퍼는 이러한 입장을 바탕으로 '지붕을 걷어내기'라는 전도 방법을 제시했다.[17] 이는 상대방의 세계관의 모순을 드러내고 기독교 신앙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방식이다. 쉐퍼의 저서 ''도시에 죽음''에서 '지붕을 걷어내기'의 예시를 찾을 수 있다.[18] 낸시 피어시는 쉐퍼의 책 ''이성으로부터의 탈출''과 ''거기 계신 하나님''에서 쉐퍼가 지식의 두 층 구조 분할(사실/가치 분할)의 역사를 설명하고, 증거주의와 예정론의 요소를 결합한 자신의 변증 방법을 설명한다고 언급했다.[19]
3. 2. 문화관
쉐퍼는 모든 문화가 복음 안에서 통일되기를 추구했다.[40] 그는 17세기 경건주의 시대 이후 서구 교회가 그리스도의 주재권을 잊고 문화를 이원화시킨 것을 비판했다. 아퀴나스 이후 제기된 자연과 은혜의 분리, 정신계와 물질계의 이원화, 신학과 타 학문 사이의 분열을 멈추고, 복음과 문화를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 되게 할 것을 주장했다.[40]쉐퍼는 예술의 가치와 본질이 '예술가라는 인간의 위대함'이 아닌 '지금도 살아계신 하나님'에게 있다고 보았다.[40] 그는 예술을 기독교적인 주제에만 제한시키지 않았다. 비기독교적 주제의 예술 작품도 가치가 있다고 보았으며, 상상력을 통해 보이는 세계와 보이지 않는 세계 모두를 예술의 영역으로 확장했다. 예술 작품을 통해 작가와 시대, 예술성을 비평했으며, 예술 작품의 예술성, 기술성, 사상성을 중요하게 평가했다.[40]
쉐퍼는 문화를 전도의 접촉점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보았다. '문화 변증학'을 통해 복음의 내용을 변질시키지 않으면서도 문화를 통해 복음을 전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문화 속에 숨어있는 세계관에 주목했고 기독교 세계관으로 대결했다.[40]
3. 3. 기독교 재건주의와의 관계
1960년대에 쉐퍼는 기독교 재건주의 신학자 루서스 존 러시두니의 저서를 높이 평가했다. 그러나 쉐퍼는 러시두니의 후천년설과 교회와 국가의 통합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다. 쉐퍼는 전천년설을 지지했으며, 구약 시대의 시민법 원칙만이 새 언약 하에 적용될 수 있다고 보았다.[28]기독교 재건주의자 게리 노스와 데이비드 칠턴은 『A Christian Manifesto』와 쉐퍼를 매우 비판했다.[28] 그들은 쉐퍼가 수정헌법 제1조를 모든 사람의 종교의 자유로 보기 때문에 다원주의를 지지한다고 제안했으며, 그들 스스로는 다원주의를 거부한다.[28] 쉐퍼가 신정 정치에 대해 했던 부정적인 발언들을 지적하면서, 노스와 칠턴은 그들이 왜 그것을 옹호하는지 설명한다.[28]
그들은 쉐퍼에 대한 비판을 다음과 같이 확대한다.
와 같은 인용 템플릿들을 제거했다.
4. 저술 및 작품 활동
쉐퍼는 철학, 문화, 성경, 영성, 교회, 서구 사회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22권의 책을 저술했다.[37] 주요 저서로는 '거기 계신 하나님', '이성으로부터의 탈출', '참된 영성', '기독교 선언',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살 것인가?' 등이 있다.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살 것인가?'와 '인류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는 영화 시리즈로도 제작되었다.[37] '우리는 어떻게 살 것인가? 서구 사상과 문화의 부흥과 쇠퇴'(1976)는 프랭크 쉐퍼가 제작했으며, 동명의 책과 함께 출시되었다. '인류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1979)는 낙태, 안락사, 영아 살해에 대한 기독교적 답변을 제시하며, C. 에버렛 쿱이 내레이션을 맡았다.
쉐퍼의 저작들은 생명의 말씀사를 통해 한국어로 번역 출간되었다. 주요 번역서로는 『하나님 없는 시대의 그리스도인』, 『성경의 기본 교리 배우기』, 『창세기: 인류 역사의 시작』, 『그렇다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 서양 문화와 사상의 흥망』, 『참으로 영적인 것』, 『신의 침묵?』, 『이성으로부터의 도주』, 『거기에 존재하는 신: 20세기에 묻는 기독교 선교』 등이 있다.
5. 정치적 활동 및 영향
프란시스 쉐퍼는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개신교 복음주의 세력이 정치 운동에 참여하도록 이끄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8] 그는 세속적 인본주의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에 맞서 기독교적 가치관을 옹호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특히 인공 임신 중절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대했다.[38]
쉐퍼는 저서와 강연을 통해 기독교인들이 사회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의 사상은 기독교 우파 운동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낙태 반대 운동 등 다양한 사회 운동의 동력이 되었다.
5. 1. 정치 활동
프란시스 쉐퍼는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에 걸쳐 개신교 복음주의와 기독교 근본주의가 정치 운동에 참여하도록 이끄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8] 그는 세속적 인본주의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에 맞서 기독교적 가치관을 옹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인공 임신 중절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38]쉐퍼의 저서 『크리스천 매니페스토』(1981년)는 1848년의 『공산당 선언』과 1933년, 1973년의 『인본주의 선언』에 대한 기독교적 답변으로 쓰였다. 그는 서구 문명의 쇠퇴가 기독교적 세계관에서 벗어난 결과라고 주장하며, 세속적 인본주의와의 철학적 싸움을 강조했다. 쉐퍼는 세속적 인본주의를 "인간을 모든 일의 기준으로 삼는" 세계관으로 정의하고, 기독교 우파가 인본주의의 종교와 인본주의적 인간애를 혼동하는 오류를 범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교회가 "세상의 소금"으로서의 의무를 다하지 못했기 때문에 사회가 쇠퇴했다고 주장했다.
쉐퍼는 아돌프 히틀러 치하의 독일에서 진정한 그리스도인이라면 나치 친위대로부터 유대인 이웃을 숨겼어야 했다고 말하며, 인공 임신 중절을 막기 위해 비슷한 전술을 사용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그는 신정 정치를 주장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하며, 미국 건국의 아버지들인 존 위더스푼, 토머스 제퍼슨 등이 신정 정치를 생각하지 않았음을 미국 헌법 수정 제1조를 통해 명확히 했다.
기독교 재건주의자들인 게리 노스와 데이비드 칠턴은 쉐퍼가 종교 다원주의를 조장한다고 비판하며, 그의 신정 정치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에 반대했다. 반면, 기독교 우파 지도자인 팀 라헤이와 낙태 반대 단체 오퍼레이션 레스큐의 창시자 랜들 테리는 쉐퍼의 영향을 인정했다.[38]
1990년대부터 비평가들은 쉐퍼의 저술과 기독교 우파의 관련성을 도미니오니즘(Dominionism)이라는 용어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사라 다이아몬드와 프레데릭 클라슨은 쉐퍼를 기독교 우파의 핵심 인물로 지목하며, 그의 저서 『크리스천 매니페스토』가 큰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다이아몬드는 이 책이 첫 해에 29만 부가 팔렸으며, 기독교 우파 운동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문서라고 설명했다. 클라슨은 오퍼레이션 레스큐와 같은 단체가 쉐퍼의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했다.[38]
5. 2. 기독교 우파에 대한 영향
Francis Schaeffer영어의 저서 『기독교 선언(A Christian Manifesto)』[25]은 1981년에 출판되어 기독교 우파 운동의 주요 텍스트 중 하나로 꼽힌다.[31] 이 책은 1848년의 『공산당 선언』과 1933년 및 1973년의 『인본주의 선언』에 대한 기독교적 답변으로 쓰였다. 쉐퍼는 미국이 성경적 원칙 위에 세워졌으나 세속적 인본주의의 영향으로 쇠퇴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세속적 인본주의를 "인간이 만물의 척도"인 세계관으로 정의하며,[26] 기독교 우파 비평가들이 "인본주의 종교"를 인도주의, 인문학 또는 인간에 대한 사랑과 혼동하여 요점을 놓치고 있다고 비판한다. 그는 세속 인본주의와의 갈등을 "기독교와 인본주의라는 이 두 종교가 전체로서 서로 대립하는" 전투로 묘사하며, 사회의 다양한 기관에서 객관적 진리에 대한 헌신이 쇠퇴한 것은 "교회가 문화의 소금 역할을 하는 의무를 저버렸기 때문"[26]이라고 주장한다.쉐퍼는 아돌프 히틀러 치하의 독일에서 진정한 기독교인이라면 나치 친위대로부터 유대인 이웃을 숨겼어야 했다고 예를 들며, 인공 임신 중절을 막기 위해 유사한 전술, 즉 시민 불복종을 통해 사회 변혁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27] 그러나 그는 자신이 신정 정치를 주장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27]
팀 라헤이[29], 오퍼레이션 레스큐의 설립자 랜들 테리[31] 등 기독교 우파 지도자들은 쉐퍼의 사상에 큰 영향을 받았다고 인정했다.
5. 3. 도미니언주의 논란
프란시스 쉐퍼의 사상은 기독교 우파의 도미니언주의(기독교인이 사회의 주요 영역을 지배해야 한다는 주장)와 연관되어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4] 그러나 쉐퍼는 신정 정치를 반대했으며,[4] 그의 철학적 뿌리는 헤르만 도이베르트와 한스 룩마커에게 있다는 반론도 있다.쉐퍼의 저서 『크리스천 마니페스토』는 1981년에 출판되었는데,[4] 1848년의 『공산당 선언』과 1933년, 1973년의 『인본주의 선언』에 대한 기독교적 답변으로 쓰였다. 쉐퍼는 서구 문명의 쇠퇴가 "최소한 막연하게 기독교적이었던 세계관에서 벗어난 것" 때문이라고 보았다. 그는 세속적 인본주의와의 대립이 "두 개의 다른 종교, 기독교와 인본주의의 전면적인" 싸움이라고 묘사했다.[4]
쉐퍼는 아돌프 히틀러 치하의 독일에서 진정한 크리스천은 나치 친위대로부터 유대인 이웃을 숨겼어야 했다고 주장하며, 비슷한 전술이 인공 임신 중절을 막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그는 신정 정치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미국 헌법 수정 제1조가 이를 명백히 보여준다고 강조했다.[4]
기독교 재건주의자 게리 노스와 데이비드 칠턴은 쉐퍼가 종교 다원주의를 조장한다고 비판했다.[4] 반면, 기독교 우파 지도자 팀 라헤이와 낙태 반대 단체 오퍼레이션 레스큐의 창시자 랜들 테리는 쉐퍼의 영향을 인정했다.[4]
1990년대부터 사라 다이아몬드와 프레데릭 클라슨 같은 비평가들은 쉐퍼의 저술과 기독교 우파의 관련성을 도미니오니즘이라는 용어로 연구하기 시작했다.[4] 다이아몬드는 쉐퍼의 『크리스천 매니페스토』가 첫 해에 29만 부가 팔렸으며, 기독교 우파 운동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문서라고 평가했다. 그녀는 이 책에서 쉐퍼가 시민 저항을 통해 성경의 도덕을 부활시켜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이것이 오퍼레이션 레스큐와 같은 단체에 영향을 주었다고 설명했다.[4] 클라슨은 쉐퍼가 인공 임신 중절에 반대하는 프로테스탄트 복음주의의 정치 활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보았다.[4]
6. 유산
쉐퍼의 사상은 그의 사후에도 프란시스 쉐퍼 재단과 라브리 공동체를 통해 이어지고 있다.[20] 코버넌트 신학교에는 프란시스 쉐퍼 연구소가 설립되어 기독교인들이 삶의 모든 영역에서 그리스도의 주장을 옹호하도록 훈련하고 있다.[20] 그는 C. S. 루이스와 함께 복음주의자들의 사고에 큰 영향을 미친 지식인으로 평가받는다.[21]
7. 한국 개신교에 미친 영향
프란시스 쉐퍼의 사상은 1970년대부터 한국 개신교에 소개되어 지성, 영성, 문화 변혁을 강조하는 복음주의 운동 발전에 기여했다. 그의 저서들은 한국어로 번역되어 널리 읽혔으며, 특히 '지성소'(현 IVF) 등 대학생 선교 단체를 중심으로 쉐퍼의 사상을 연구하고 토론하는 모임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쉐퍼의 문화 변증학은 한국 교회가 사회 문제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을 제시하고 참여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works by Edith Schaeffer
https://www.amazon.c[...]
Amazon
[2]
서적
Francis Schaeffer and the Shaping of Evangelical America
Eerdmans
[3]
간행물
A Step Forward
http://www.pcahistor[...]
The Presbyterian Journal
1974-03-06
[4]
웹사이트
Biographical Sketch
https://web.archive.[...]
PCA Historical Center
2006-08-26
[5]
뉴스
The Dissatisfaction of Francis Schaeffer
http://www.markheard[...]
A Tribute to Mark Heard
2006-08-25
[6]
웹사이트
Francis August Schaeffer Papers [Early Ministry] Manuscript Collection # 29, Box 134
https://web.archive.[...]
PCA Historical Center
2006-07-24
[7]
서적
Who's who in Christian History
https://books.google[...]
Tyndale House
[8]
서적
Francis Schaeffer: The Man and His Message
Tyndale House
[9]
뉴스
Rev. Francis A. Schaeffer, 72; Founder of Spiritual Centers
New York Times
1984-05-17
[10]
웹사이트
Founding
https://www.schaeffe[...]
[11]
학술지
Fathers and Sons: On Francis Schaeffer, Frank Schaeffer, and ''Crazy for God''
http://www.christian[...]
2008-03
[12]
웹사이트
Ethics daily
https://web.archive.[...]
2012-04-12
[13]
뉴스
Frank Schaeffer, Former Evangelical Leader, Is A Self-Declared Atheist Who Believes in God
http://www.huffingto[...]
2014-06-13
[14]
뉴스
Son of Evangelical Royalty Turns His Back, and Tells the Tale
https://www.nytimes.[...]
2011-08-19
[15]
간행물
A Review of a Review
http://www.pcahistor[...]
The Bible Today
1948-10
[16]
학술지
Evidentialists and Presuppositionalists
https://www.firstthi[...]
2000-05
[17]
학술지
Two Christian Warriors: Cornelius Van Til and Francis A. Schaeffer Compared
1995-04
[18]
문서
Chapter 9: The Universe and Two Chairs
http://sentinelleneh[...]
Death in the City
[19]
서적
Total Truth: Liberating Christianity From Its Cultural Captivity
Crossway Books
[20]
웹사이트
FSI
https://web.archive.[...]
Covenant seminary
2006-08-26
[21]
잡지
The Dissatisfaction of Francis Schaeffer
http://www.christian[...]
1997-03-03
[22]
웹사이트
Died: Loren Cunningham, Who Launched Millions on Short-Term Missions
https://www.christia[...]
2023-10-09
[23]
웹사이트
The 'modern apostles' who want to reshape America ahead of the end times
https://theoutline.c[...]
2020-03-19
[24]
웹사이트
Things fell apart. Episode 1: 1000 dolls
https://www.bbc.co.u[...]
BBC
[25]
서적
A Christian Manifesto
Crossway
[26]
웹사이트
A Christian Manifesto
http://www.peoplefor[...]
People for life
[27]
문서
A Christian Manifesto
The Collected Works…
[28]
서적
Tactics of Christian Resistance: A Symposium
Geneva Divinity School
[29]
서적
The Battle for the Mind
Fleming H. Revell
[30]
잡지
"Theocratic Dominionism Gains Influence"
http://www.publiceye[...]
[31]
잡지
"Dominion Theology: The Truth About the Christian Right's Bid for Power"
http://www.publiceye[...]
[32]
서적
"Christian Reconstructionism: Theocratic Dominionism Gains Influence."
http://www.publiceye[...]
South End Press
[33]
서적
Roads to Dominion: Right–Wing Movements and Political Power in the United States
Guilford
[34]
서적
Right–Wing Populism in America: Too Close for Comfort
Guilford Press
[35]
문서
"The Evangelical Response to the New Ag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36]
간행물
Leap of Faith: The making of a Republican front-runner
http://www.newyorker[...]
New Yorker Magazine
2011-08-15
[37]
웹사이트
The Late Dr. Francis Schaeffer
https://www.christia[...]
Christian leadership institute
2016-09-15
[38]
웹사이트
The Real Origins of the Religious Right
https://politi.co/2J[...]
2022-05-04
[39]
블로그
복있는 사람 저자소개
http://blog.naver.co[...]
[40]
뉴스
프란시스 쉐퍼의 문화관
https://www.christia[...]
크리스천투데이
2002-0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