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천년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천년설은 기독교 종말론의 한 유형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 이후 천 년 동안 지상에 그리스도의 왕국이 세워진다는 믿음이다. 이 용어는 19세기 중반에 생겨났으며,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존재했으나, 중세 시대에는 무천년설이 우세해지면서 쇠퇴했다. 종교 개혁 이후 일부 재세례파, 위그노, 청교도 등에서 다시 나타났으며, 19세기 미국과 영국에서 부흥했다. 전천년설은 역사적 전천년설과 세대주의적 전천년설로 나뉘며, 역사적 전천년설은 문자적 해석에 기반하면서도 상징적 표현을 인정하는 반면,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은 이스라엘과 교회를 엄격히 구분하고, 환난 전 휴거를 주장하는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년왕국 - 후천년설
    후천년설은 세상이 기독교화되어 천년왕국이 실현된 후 그리스도가 재림하여 심판한다는 기독교 종말론의 낙관적 관점이며, 다양한 해석과 유형이 존재하고 기독교 재건주의와 관련된다.
  • 천년왕국 - 무천년설
    무천년설은 예수 그리스도가 지상에서 통치할 미래의 천년 왕국을 부정하며, 예수는 현재 하늘에서 통치하고 천년 왕국은 교회 시대와 함께 존재한다는 기독교 종말론의 한 관점이다.
  • 전천년설 - 여호와의 증인
    여호와의 증인은 1870년 미국에서 시작된 성경 연구 모임에서 유래한 그리스도인 국제 종교 단체로, 여호와라는 하나님의 이름을 사용하며 중앙 장로회를 중심으로 전 세계에 걸쳐 성경 교육과 전도 활동을 하지만, 수혈 거부, 양심적 병역 거부 등 독특한 신앙과 사회적 논쟁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전천년설 - 에페소스 공의회
    에페소스 공의회는 431년 테오도시우스 2세에 의해 소집되어 예수의 인성과 신성의 관계, 성모 마리아의 위상에 대한 교리적 입장을 정립하고 니케아 신조를 재확인하며 성모 마리아를 '테오토코스'로 칭하고 네스토리우스를 이단으로 단죄한 기독교 공의회이다.
  • 천년기 - 제2천년기
    제2천년기는 1001년부터 2000년까지 중세, 근세, 근현대를 아우르는 시대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기술 등 전 분야에서 격변과 발전이 일어난 시기이다.
  • 천년기 - 기원전 제3천년기
    기원전 3천년기는 청동기 시대 전성기로,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 제국 건설, 동아시아, 유럽, 인도 문명 발전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 변화가 두드러진 시대이다.
전천년설
개요
전천년설을 상징하는 카이-로와 알파-오메가 기호
전천년설을 상징하는 카이-로와 알파-오메가 기호
다른 이름천년왕국설
킬리아즘 (Chiliasm)
분류기독교 종말론
지지 교단침례교
오순절교회
재림교회
무교파 교회
개혁교회 (소수)
반대 교단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개혁교회 (다수)
감리교
루터교회
신학적 내용
주요 내용예수 그리스도의 재림 후, 그리스도가 지상에서 천 년 동안 통치한다는 믿음
성경적 근거요한계시록 20장 1-6절
핵심 교리그리스도의 재림은 평화와 정의의 천년왕국을 가져온다.
의인들은 그리스도와 함께 천 년 동안 통치한다.
주요 논쟁점천년왕국의 문자적 해석 vs. 상징적 해석
환난 전 휴거설 vs. 환난 후 휴거설
역사
기원초기 기독교 (2세기)
발전교부 시대에 널리 받아들여짐
쇠퇴아우구스티누스의 영향으로 천년왕국에 대한 상징적 해석이 강화되면서 쇠퇴
부흥종교 개혁 이후, 특히 근본주의 운동과 복음주의 운동에서 재부흥
주요 인물
초기 옹호자이레나이오스
유스티누스
터툴리아누스
현대 옹호자존 넬슨 다비
드와이트 무디
할 린지
관련 용어
관련 용어후천년설
무천년설
세대주의
휴거
대환난
참고 문헌
참고 문헌요한계시록
이사야서
다니엘서

2. 용어

현재 종교 용어인 ''전천년설''은 19세기 중반까지 사용되지 않았다. 이 단어는 "거의 전적으로 영국미국개신교 신자들의 작품이었으며, 특히 프랑스 혁명미국 독립 혁명 (특히 프랑스 혁명)이 다니엘서와 요한 계시록에 기록된 예언을 실현했다고 믿었기 때문에 만들어졌다."[4]

2. 1. 다른 견해

무천년설 지지자들은 천년기를 상징적인 기간으로 해석하는데, 이는 요한 계시록의 문학적, 묵시록적 장르의 매우 상징적인 특성과 일치하며, 때로는 천 년이 하나님이 그의 창조 세계 또는 교회를 다스리는 것을 나타낸다고 본다.[5] 후천년설 지지자들은 재림이 천년기 후에 일어날 것이라고 본다.[6]

3. 역사

초기 기독교 시대에 로마 제국의 박해를 받던 기독교인들에게 전천년설은 큰 격려와 위로를 주었으며, 널리 받아들여졌다.[66] 유스티노 순교자는 2세기에 영원한 상태 이전에 일시적인 메시아 왕국에 대한 "유대교"적 신념을 이어간다고 자신을 명확히 묘사한 최초의 기독교 작가 중 한 명이었다.[7] 그는 예수의 통치 전에 신자들의 부활이 한 번 있고 그 후에 일반적인 부활이 있을 것이라는 전천년설적 구분을 유지했다.[9]

이레네오 (''c.'' 130–202), 초기 기독교 전천년설주의자


2세기 후반 리옹의 주교였던 이레네오는 아브라함 언약에 따른 하나님의 약속 때문에 미래의 지상 왕국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전천년설을 옹호했다.[10] 그는 인류 역사의 종말이 6,000년 후에 일어날 것이라고 기록하면서 6,000년/7,000년 계획을 지지했다.[11] 이레니우스나 테르툴리아누스 등이 전천년설을 주장했다.

이 외에도 가짜 바나바[12], 파피아스[13], 메소디우스, 락탄티우스[14], 코모디아누스[15], 테오필루스, 테르툴리아누스[16], 멜리토[17], 히폴리투스, 페타우의 빅토리누스[18][19] 및 다양한 영지주의 그룹과 몬타누스주의가 전천년설을 지지했다.

기독교와 관련된 전천년설에 대한 최초의 명확한 반대자는 마르키온이었다. 그는 구약성경의 사용과 사도 바울이 기록하지 않은 신약성경의 대부분의 책에 반대했다.[20] 3세기에는 전천년설에 대한 반대가 증가했다. 오리겐은 상징적 해석을 통해 무천년설을 지지했다.[21] 아우구스티누스는 처음에는 전천년설을 따랐지만, 이 설을 따르는 사람들의 극단적인 모습에 반발하여 이 해석에서 벗어나 상징적, 신비적인 해석을 취했다. 요한계시록 20장의 "천 년"은 그리스도의 초림부터 재림까지의 기간이며, 천년왕국은 교회를 가리킨다고 논했다. 이것이 오늘날의 무천년설이다. 그리스도가 성도들과 함께 지상의 교회를 지배한다고 주장한다. 이 해석은 중세 전체를 통해 가톨릭교회의 공인된 견해가 되었다.

아우구스티누스(354-430)는 초기에는 초기 기독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6천 년/7천 년 설을 지지했다.[28] 그러나 그는 도나투스파의 과도한 행동에 대한 반발, 종말론적 센세이션에 대한 반발, 그리고 티코니우스의 영향을 받은 비유적 해석 선호 등의 이유로 전천년설에서 무천년설로 전향했다.[29][30][31][32] 아우구스티누스는 안식일의 안식을 "영원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았고, 요한계시록 20장의 천년 왕국은 "그리스도께서 성도들과 함께 현재 다스리시는 것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했다.[33] 리처드 랜드스는 4세기를 기독교 종말론의 주요 변화의 시기로 보았으며, 아우구스티누스가 천년주의를 거부하고 교회를 이 믿음에서 제거하는 데 많은 에너지를 쏟았다고 평가했다.[34]

아우구스티누스의 무천년설은 중세 시대의 종말론적 기초를 다졌으며,[35] 중세 시대는 사실상 전천년설을 버렸다. 율리아누스 톨레도(642-690)는 천년설에 대한 중세 교리를 "성육신 시점부터 심판의 시점까지 믿음의 왕국으로 널리 퍼져나가는 하나님의 교회"라고 요약했다.[36] 피오레의 요아킴(1135–1202년경)은 예외적으로 전천년설적 주제를 강조한 시토회 수도사였지만, 그의 주장은 중세의 일반적인 견해는 아니었다.[37]

종교 개혁 시대 동안, 무천년설은 개신교 개혁가들의 일반적인 견해로 남아 있었다. 루터교는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에서 천년설을 공식적으로 거부했다.[38] 스위스 종교 개혁가인 하인리히 불링거는 헬베티아 신앙 고백을 통해 "마지막 심판 전에 지구상에 천년 또는 황금 시기가 있다는 유대교적 꿈을 거부한다"라고 명시했다.[39] 장 칼뱅 역시 ''기독교 강요''에서 천년설을 "반박할 필요가 있거나 가치가 있을 만큼 너무 유치한" "허구"라고 비판했다.[40] 성공회는 39개 신조에서 밀레니엄주의에 반대하는 성명을 공식화했으나, 엘리자베스 1세 통치 하에 수정되었다.[38]

반면, 일부 재세례파, 위그노 및 보헤미안 형제단은 전천년설을 믿었다.[41] 미카엘 세르베투스는 천년설적 견해를 가르쳤으나, 개혁가들에 의해 이단으로 비난받고 제네바에서 처형되었다.[41] 조지프 메데(1586–1638) [42]와 휴 라티머(1555년 사망)[43]와 같이 주류에서도 전천년설을 받아들이는 사람이 소수 있었지만, 이 시기 동안 전통적인 신념은 아니었다. 마르틴 루터장 칼뱅은 천년기의 묵시적 해석에 대해 회의적이었지만, 종교 개혁자들은 성경의 문자적 해석을 주장하고, 교황적그리스도와 동일시하며 세상의 종말이 가깝다고 주장하며 성경의 예언을 강조했다.

17세기에는 토마스 브라이트만, 조셉 메데 등과 같은 청교도들 사이에서 전천년설이 부활했다.[44] 영국의 신학자 다니엘 휘트비(1688–1726), 독일의 요한 알브레히트 벵겔(1687–1752), 미국의 조나단 에드워즈(1703–58)는 전천년설 신봉자는 아니었지만, "19세기에 새로운 영향력으로 천년설 사상에 불을 지폈다."[45] 이들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쇠퇴가 이스라엘 민족의 개종과 회복의 길을 열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에드워즈는 천년설이 "로마가 보편적인 권위를 갖는 것으로 인정된 A.D. 606년 이후 1260년" 후에 일어날 것이라고 가르쳤다.[46] 그의 청교도 동시대인인 인크리스 매더코튼 매더는 문자적인 천년설을 공개적으로 믿는다고 선언했다.[47]

1790년대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전천년설은 영국 복음주의자들 사이에서, 심지어 성공회 내에서도 널리 퍼진 견해였다. 토머스 배빙턴 매콜리는 이를 관찰하고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48]

19세기 내내, 전천년설은 미국과 영국에서 더욱 널리 받아들여졌으며, 특히 어빙파,[49] 플리머스 형제단, 크리스다델피안,[50] 하나님의 교회, 기독교 이스라엘 교회에서 인기가 높았다.[51]

기독교 종말론 해석 비교


전천년설은 20세기와 21세기에도 복음주의, 근본주의 기독교, 살아있는 하나님의 교회 공동체 사이에서 인기를 유지하고 있으며,[52] 아시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의 교회로 더욱 확산되었다.

많은 전통 교단들은 문자적인 천년 왕국 개념에 계속 반대하고 있다.[52] 미주리 시노드 루터교회는 "그리스도께서 재림하실 때 '새 하늘과 새 땅'이 창조될 것이다 (베드로후서 3:10-13)"라고 명시적으로 밝히고 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는 676항에서 천년 왕국은 "역사를 초월하여" 이해해야 한다고 가르친다.

3. 1. 초기 기독교 시대

초기 기독교 시대에 로마 제국의 박해를 받던 기독교인들에게 전천년설은 큰 격려와 위로를 주었으며, 널리 받아들여졌다.[66] 유스티노 순교자는 2세기에 영원한 상태 이전에 일시적인 메시아 왕국에 대한 "유대교"적 신념을 이어간다고 자신을 명확히 묘사한 최초의 기독교 작가 중 한 명이었다.[7] 그는 예수의 통치 전에 신자들의 부활이 한 번 있고 그 후에 일반적인 부활이 있을 것이라는 전천년설적 구분을 유지했다.[9]

2세기 후반 리옹의 주교였던 이레네오는 아브라함 언약에 따른 하나님의 약속 때문에 미래의 지상 왕국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전천년설을 옹호했다.[10] 그는 인류 역사의 종말이 6,000년 후에 일어날 것이라고 기록하면서 6,000년/7,000년 계획을 지지했다.[11] 이레니우스나 테르툴리아누스 등이 전천년설을 주장했다.

이 외에도 가짜 바나바[12], 파피아스[13], 메소디우스, 락탄티우스[14], 코모디아누스[15], 테오필루스, 테르툴리아누스[16], 멜리토[17], 히폴리투스, 페타우의 빅토리누스[18][19] 및 다양한 영지주의 그룹과 몬타누스주의가 전천년설을 지지했다.

기독교와 관련된 전천년설에 대한 최초의 명확한 반대자는 마르키온이었다. 그는 구약성경의 사용과 사도 바울이 기록하지 않은 신약성경의 대부분의 책에 반대했다.[20] 3세기에는 전천년설에 대한 반대가 증가했다. 오리겐은 상징적 해석을 통해 무천년설을 지지했다.[21] 아우구스티누스는 처음에는 전천년설을 따랐지만, 이 설을 따르는 사람들의 극단적인 모습에 반발하여 이 해석에서 벗어나 상징적, 신비적인 해석을 취했다. 요한계시록 20장의 "천 년"은 그리스도의 초림부터 재림까지의 기간이며, 천년왕국은 교회를 가리킨다고 논했다. 이것이 오늘날의 무천년설이다. 그리스도가 성도들과 함께 지상의 교회를 지배한다고 주장한다. 이 해석은 중세 전체를 통해 가톨릭교회의 공인된 견해가 되었다.

3. 2. 중세 시대와 종교 개혁

아우구스티누스(354-430)는 초기에는 초기 기독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6천 년/7천 년 설을 지지했다.[28] 그러나 그는 도나투스파의 과도한 행동에 대한 반발, 종말론적 센세이션에 대한 반발, 그리고 티코니우스의 영향을 받은 비유적 해석 선호 등의 이유로 전천년설에서 무천년설로 전향했다.[29][30][31][32] 아우구스티누스는 안식일의 안식을 "영원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았고, 요한계시록 20장의 천년 왕국은 "그리스도께서 성도들과 함께 현재 다스리시는 것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했다.[33] 리처드 랜드스는 4세기를 기독교 종말론의 주요 변화의 시기로 보았으며, 아우구스티누스가 천년주의를 거부하고 교회를 이 믿음에서 제거하는 데 많은 에너지를 쏟았다고 평가했다.[34]

아우구스티누스의 무천년설은 중세 시대의 종말론적 기초를 다졌으며,[35] 중세 시대는 사실상 전천년설을 버렸다. 율리아누스 톨레도(642-690)는 천년설에 대한 중세 교리를 "성육신 시점부터 심판의 시점까지 믿음의 왕국으로 널리 퍼져나가는 하나님의 교회"라고 요약했다.[36] 피오레의 요아킴(1135–1202년경)은 예외적으로 전천년설적 주제를 강조한 시토회 수도사였지만, 그의 주장은 중세의 일반적인 견해는 아니었다.[37]

종교 개혁 시대 동안, 무천년설은 개신교 개혁가들의 일반적인 견해로 남아 있었다. 루터교는 아우크스부르크 신앙 고백에서 천년설을 공식적으로 거부했다.[38] 스위스 종교 개혁가인 하인리히 불링거는 헬베티아 신앙 고백을 통해 "마지막 심판 전에 지구상에 천년 또는 황금 시기가 있다는 유대교적 꿈을 거부한다"라고 명시했다.[39] 장 칼뱅 역시 ''기독교 강요''에서 천년설을 "반박할 필요가 있거나 가치가 있을 만큼 너무 유치한" "허구"라고 비판했다.[40] 성공회는 39개 신조에서 밀레니엄주의에 반대하는 성명을 공식화했으나, 엘리자베스 1세 통치 하에 수정되었다.[38]

반면, 일부 재세례파, 위그노 및 보헤미안 형제단은 전천년설을 믿었다.[41] 미카엘 세르베투스는 천년설적 견해를 가르쳤으나, 개혁가들에 의해 이단으로 비난받고 제네바에서 처형되었다.[41] 조지프 메데(1586–1638) [42]와 휴 라티머(1555년 사망)[43]와 같이 주류에서도 전천년설을 받아들이는 사람이 소수 있었지만, 이 시기 동안 전통적인 신념은 아니었다. 마르틴 루터장 칼뱅은 천년기의 묵시적 해석에 대해 회의적이었지만, 종교 개혁자들은 성경의 문자적 해석을 주장하고, 교황적그리스도와 동일시하며 세상의 종말이 가깝다고 주장하며 성경의 예언을 강조했다.

3. 3. 근현대

17세기에는 토마스 브라이트만, 조셉 메데 등과 같은 청교도들 사이에서 전천년설이 부활했다.[44] 영국의 신학자 다니엘 휘트비(1688–1726), 독일의 요한 알브레히트 벵겔(1687–1752), 미국의 조나단 에드워즈(1703–58)는 전천년설 신봉자는 아니었지만, "19세기에 새로운 영향력으로 천년설 사상에 불을 지폈다."[45] 이들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쇠퇴가 이스라엘 민족의 개종과 회복의 길을 열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에드워즈는 천년설이 "로마가 보편적인 권위를 갖는 것으로 인정된 A.D. 606년 이후 1260년" 후에 일어날 것이라고 가르쳤다.[46] 그의 청교도 동시대인인 인크리스 매더코튼 매더는 문자적인 천년설을 공개적으로 믿는다고 선언했다.[47]

1790년대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전천년설은 영국 복음주의자들 사이에서, 심지어 성공회 내에서도 널리 퍼진 견해였다. 토머스 배빙턴 매콜리는 이를 관찰하고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48]

19세기 내내, 전천년설은 미국과 영국에서 더욱 널리 받아들여졌으며, 특히 어빙파,[49] 플리머스 형제단, 크리스다델피안,[50] 하나님의 교회, 기독교 이스라엘 교회에서 인기가 높았다.[51]

전천년설은 20세기와 21세기에도 복음주의, 근본주의 기독교, 살아있는 하나님의 교회 공동체 사이에서 인기를 유지하고 있으며,[52] 아시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의 교회로 더욱 확산되었다.

많은 전통 교단들은 문자적인 천년 왕국 개념에 계속 반대하고 있다.[52] 미주리 시노드 루터교회는 "그리스도께서 재림하실 때 '새 하늘과 새 땅'이 창조될 것이다 (베드로후서 3:10-13)"라고 명시적으로 밝히고 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는 676항에서 천년 왕국은 "역사를 초월하여" 이해해야 한다고 가르친다.

4. 한국의 전천년설

5. 역사적 전천년설

역사적 전천년설에 따르면 그리스도의 파루시아 전에는 온 세계의 복음화, 7년 대환란, 대반역과 배도, 적그리스도의 출현 등 몇 가지 특징적인 사건들이 발생한다.[68] 교회는 이 최후의 환난을 통과해야만 한다. 그리스도가 재림할 때, 죽은 신자들은 부활하고 살아남은 신자들은 하늘에 들림을 받아 공중에서 그리스도를 영접하는 공중 휴거가 환난 후에 일어난다.[68] 이후 지상으로 내려온 신자들은 적그리스도의 최후를 보며, 대다수의 유대인들은 회개하고 그리스도를 믿어 구원을 얻게 된다. 연이어 그리스도의 천년왕국이 지상에서 이루어지고 신자들은 왕 노릇을 하게 된다.[68] 천년왕국 시기에도 죄와 죽음은 존재하지만 악은 미미하며 의가 온 세계를 지배한다. 천년기가 끝날 무렵, 결박되었던 사탄이 풀려나 다시 한번 나라들을 미혹하고, 곡과 마곡의 전쟁을 위해 반역하는 나라들을 모아 성도들을 공격한다. 그러나 사탄은 하늘로부터 내려오는 불로 심판받고 소멸되어 지옥에 던져진다.[68] 그 후에는 죽었던 신자들의 부활최후의 심판이 있고, 생명책에 기록된 자들은 천국에, 그렇지 못한 자들은 영원한 지옥에 들어간다.[68]

역사적 전천년설은 유대 민족을 하나님의 구원 계획의 목적으로 보기보다는 수단으로 간주한다. 구원 계획은 전 인류를 대상으로 하며, 유대 민족은 그 과정에서 특정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선택되었다고 본다. 천년 왕국은 그리스도가 통치하는 그리스도의 왕국이지, 다윗 왕국의 회복은 아니다.

이 견해는 문자 그대로의 해석에 기반하지만, 시대 구분주의만큼 문자적 의미나 용법에 얽매이지 않는다. 비유적, 상징적으로 여겨져야 할 부분은 문장 표현 기법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인자가 "구름을 타고 오는 것을 본다"는 표현에서 "구름을 타고"는 비유적 표현이지만, "오다"와 "보다"는 문자 그대로 일어난다고 본다.

이 세상은 사탄이 지배하는 왕국이며, 새 하늘과 새 땅은 하늘 아버지의 나라이고, 그 중간의 과도기적 단계에서 지상에 그리스도의 천년 왕국이 확립된다. 그 천년 왕국에서 신자들이 소망해 온 정의와 평화의 완전한 실현이 이루어진다.

대표적인 현대 신학자로는 조지 엘던 래드가 있다.[68] 역사적 전천년설, 또는 고전적 전천년설은 이스라엘과 교회 사이에 급진적인 신학적 구분이 없다고 보며, 환난 기간 후에 교회의 휴거가 일어난다는 환난 후 휴거를 주장한다. 존 길, 마이크 플라코, 찰스 스펄전,[54] 제임스 몽고메리 보이스,[55] 조지 엘던 래드,[55] 존 파이퍼,[56] 앨버트 몰러,[57] 프랜시스 쉐퍼, 칼 F. H. 헨리,[58] 해럴드 린드셀, D. A. 카슨,[59][60] 브라이언 채플,[61] 고든 클라크[62]등이 이 견해를 지지한다.

6. 세대주의적 전천년설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은 역사적 전천년설처럼 그리스도가 재림 한 후에 천년 동안 땅 위에서 왕노릇할 것을 믿는 것은 동일하다.[63] 세대주의 교리의 기본 원리는 성서의 예언에 대한 철저한 문자적 해석과 이스라엘과 교회, 지상적 백성과 천상의 백성, 유대주의와 기독교에 대한 철저한 이원론적 구별이다.[63] 세대주의자들은 하나님의 섭리에 대해 여러 단계의 시대로 나누어 설명하는데, 순결, 양심 혹은 도덕적 책임, 인간 정부, 약속, 율법, 교회, 왕국 시대가 그것이다. 세대라는 개념은 '인간이 신에 의해 순종을 시험받는 일정한 시기'를 가리킨다. 각각의 시대는 그리스도를 통한 신의 은혜만으로 구원을 얻는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그리스도의 재림은 두 단계에 걸쳐 발생하는데, 첫 단계는 휴거이다. 역사적 전천년설과 달리 사전에 이뤄지는 시대적 징조가 없이 급작스럽게 재림이 이뤄진다. 이때 구약 성도들을 제외한 모든 참 신자의 부활과 더불어 생존한 신자들의 변화와 휴거가 이뤄진다. 이들은 하늘에서 7년 동안 그리스도의 심판석에서 신부 단장에 참여하며 다니엘서 예언에 나타난 70주의 마지막 70번째 주에 대한 예언의 성취를 이루게 된다.

교회가 하늘에 머무는 7년 동안 지상에는 대환난이 찾아온다. 적그리스도가 잔인한 통치를 시작하고 무서운 재앙이 땅에 임한다. 하지만 동시에 복음이 전파되며 이스라엘의 남은 자들이(천년왕국에 들어갈 유대인 14만 4천명)과 뒤늦게 회개하고 돌이킨 이방인들이 예수 그리스도에게 돌아온다. 그리고 땅의 왕들과 짐승들의 군대와 거짓 선지자들이 함께 모여 하나님의 백성들을 대적하며 아마겟돈 전쟁을 벌인다.

7년 기간이 끝날 때, 그리스도는 교회와 더불어 영광 중에 재림하며 이것이 두 번째 재림인 귀환이다. 이때 그리스도는 땅에 내려와 원수들을 멸하고 아마겟돈 전쟁을 종식시킨다. 그리고 이스라엘은 믿음으로 그리스도께 돌아오게 되고 재규합되어 팔레스틴으로 모인다. 마귀는 결박되어 무저갱 속에 천년 동안 갇히게 된다. 또한 방금 끝난 7년 환난기 동안 죽은 성도들은 일으킴을 받는다. 이와 함께 구약의 성도들도 드디어 부활한다. 이들은 모두 천상의 교회에 합류한다. 그 뒤에는 살아있는 이방들과 이스라엘에 대한 심판이 이뤄지며 심판을 통과한 자들은 천년 통치에 들어가 복을 누리게 된다. 천년 통치 기간에는 지상의 왕국과 천상의 예루살렘에서의 통치가 이뤄진다. 천년기가 끝날 무렵 사탄의 반란이 있지만 역사적 전천년설과 마찬가지로 진압되어 사탄은 지옥에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천년기가 끝날 때, 천년기 동안 죽은 모든 신자들은 부활하게 되고 모든 믿지 않고 죽었던 자들도 부활하여 백보좌 앞에서 심판을 받게 된다. 이것이 두번째 사망이다. 이후로는 최종적으로 어떤 죽음이나 불완전함도 없는 완전한 나라가 이뤄지게 되는 것이다.

대표적인 세대주의자인 할 린제이(Hal Lindsey)는 그리스도의 재림휴거만이 기독교인을 위한 참된 희망이라 밝힌 적이 있다. 현대의 전천년설은 두 가지 학파로 나뉜다.

사이러스 잉거슨 스코필드(C.I. Scofield)는 스코필드 관주 성경을 통해 시대주의 전천년설을 대중화했다.


시대주의 전천년설[63]은 일반적으로 이스라엘과 교회가 별개의 존재라고 주장한다.[64] 또한, 예수께서 7년 동안의 전 세계적인 환난 직전에 성도들을 휴거시키기 위해 재림하실 것이라는 전-환난설을 널리 지지한다. 이는 그리스도께서 성도들과 함께 다시 오시는 것으로 이어진다. 시대주의는 1830년대와 존 넬슨 다비(1800–1882)에게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는데, 그는 성공회 성직자이자 플리머스 형제단의 초기 지도자였다. 미국에서는 시대주의적 형태의 전천년설이 스코필드 관주 성경을 통해 대중적으로 전파되었다.

세대주의에서는 존 넬슨 다비 등의 해석에 따라 성경 전체를 일곱 시대(디스펜세이션)로 나누고, 천년기를 마지막 일곱 번째 시대인 왕국 디스펜세이션과 연결시켰다. 이 견해는 극단적인 문자적 성경 해석과 이스라엘과 교회를 명확히 구분하여 생각하는 해석에 기반하고 있다. 예수 그리스도는 초림 때 구약 성경의 다윗에게 약속된 이스라엘을 위한 왕국을 제공했지만, 유대인들은 메시아인 예수 그리스도와 그 왕국을 거부했다. 그 대신, 이방인의 때인 교회 시대가 삽입되었다. 그러나 재림 때 다시 한번 다윗의 왕국을 이스라엘을 위해 회복해 주실 것이다. 천년 왕국은 이스라엘을 위한 나라이므로, 교회는 거기에 초대된 손님이다. 또한, 환난 시대는 이스라엘에게 임하는 진노의 때이므로, 교회는 환난을 겪지 않고 그 전에 공중으로 휴거될 것이라는 환난 전 휴거설을 지지한다.

참조

[1] 웹사이트 Question & Answer: The Orthodox Presbyterian Church https://opc.org/qa.h[...] 2022-11-22
[2] 서적 The Greatest Commandment: Matthew 22:37 WestBow Press
[3] 웹사이트 Survey -Premillennialism Reigns in EvangelicalTheology http://nae.net/premi[...]
[4] 간행물 Premillennialism Routledge
[5] 서적 A Case for Amillennialism: Understanding the End Times Baker Books
[6] 서적 The Greatest Commandment: Matthew 22:37 https://books.google[...] WestBowPress 2010-12-20
[7] 간행물 Millénarisme et orthodoxie dans les écrits de Justin Martyr https://www.academia[...] Paris
[8] 서적 Patrology Christian Classics, Inc.
[9] 웹사이트 Dialogue with Trypho (Chapters 31-47) http://www.newadvent[...] Newadvent.org 2014-01-24
[10] 웹사이트 Against Heresies http://www.ccel.org/[...]
[11] 웹사이트 Against Heresies http://www.ccel.org/[...]
[12] 서적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Hendrickson n.d.
[13] 웹사이트 Introductory Note to the Fragments of Papias http://www.ccel.org/[...] Ccel.org 2014-01-24
[14] 문서 Insruct. adv. Gentium Deos
[15] 간행물 Millenarism
[16] 문서 Against Marcion, book 3 chp 25
[17] 간행물 Millenarism
[18] 문서 Note this is Victorinus of Pettau not Marcus Piav(v)onius [[Victorinus]] the Gaelic Emperor
[19] 문서 In his ''Commentary on Revelation'' and from the fragment ''De Fabrica Mundi'' (Part of a commentary on Genesis). Jerome identifies him as a premillennialist.
[20] 서적 Heresies: Heresy and Orthodoxy in the History of the Church Hendrickson Publishers
[21] 간행물 Millenarism Oxford University Press
[22] 웹사이트 Origen's Commentary on the Gospel of Matthew http://www.ccel.org/[...] Ccel.org 2014-01-24
[23] 간행물 Origen Kregel
[24] 웹사이트 NPNF2-01. Eusebius Pamphilius: Church History, Life of Constantine, Oration in Praise of Constantine http://www.ccel.org/[...] Ccel.org 2014-01-24
[25] 문서 Historia Ecclesiastica
[26] 서적 Iustitua Dei: A History of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간행물 Augustine of Hippo Oxford University Press
[28] 간행물 La typologie du ''sabbat'' chez Saint Augustin. Son interpretation millénariste entre 386 et 400
[29] 문서 And this opinion would not be objectionable, if it were believed that the joys of the saints in that Sabbath shall be spiritual, and consequent on the presence of God. . . But, as they [the millenarians] assert that those who then rise again shall enjoy the leisure of immoderate carnal banquets, furnished with an amount of meat and drink such as not only shock the feeling of the temperate, but even to surpass the measure of credulity itself, such assertions can be believed only by the carnal.
[30] 문서 Anderson, “Soteriological Impact,” 27-28. Interestingly, by the time that Augustine wrote his monumental work ''[[City of God (book)|The City of God]]'' he wrote that “It was impossible to calculate the date of the End. ‘To all those who make... calculations on this subject comes the command, “Relax your fingers and give them a rest.”’ The Reign of the saints had already begun...” [[Elizabeth Isichei]], “Millenarianism,” in ''The Oxford Companion to Christian Thought'', Ed. Adrian Hasting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435.
[31] 간행물 La typologie millenariste de la samaine dans le christianisme prmitif
[32] 간행물 Apocalypse and Redemption in Early Christianity
[33] 간행물 Augustine Kregel
[34] 간행물 Lest the Millennium be Fulfilled: Apocalyptic Expectations and the Pattern of Western Chronography 100-800 CE Leuven University Press
[35] 서적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Hendrickson n.d.
[36] 서적 Antithese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37] 서적 Horae Apocalypticae Burnside and Seeley 1846
[38] 서적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Hendrickson
[39] 서적 History of Creeds
[40] 서적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41] 서적 The Restitution of Christianity
[42] 서적 Clavis Apocalyptica 1627
[43] 서적 The Basis of the Premillennial Faith Loizeaux Brothers 1953
[44] 서적 Dispensationalism Before Darby: 17th and 18th century English Apocalypticism Lampion Press 2015
[45] 서적 Eschatology
[46] 서적 Dictionary of Premillennial Theology Kregel 1996
[47] 서적 The Mystery of Israel’s Salvation Explained and Applied Loizeaux Brothers 1953
[48] 서적 The Encyclopedia of Millennialism and Millennial Movements Routledge 2000
[49] 간행물 Creeds of Christendom, with a History and Critical notes. Volume I: History of Creeds http://www.ccel.org/[...]
[50] 웹사이트 Bible Basics Study 5.5 - The Millennium http://www.biblebasi[...] Biblebasicsonline.com 2014-01-24
[51]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52] 서적 The Encyclopedia of Millennialism and Millennial Movements Routledge 2000
[53] 서적 The Encyclopedia of Millennialism and Millennial Movements Routledge 2000
[54] 웹사이트 Charles H. Spurgeon and Eschatology http://www.spurgeon.[...] Spurgeon.org 2012-09-09
[55] 뉴스 The Millennial Maze by Keith Mathison https://www.ligonier[...] 2018-12-03
[56] 뉴스 Definitions and Observations Concerning the Second Coming of Christ https://www.desiring[...] 1987-08-30
[57] Youtube Eschatology - Al Mohler https://www.youtube.[...] 2009-04-07
[58] 웹사이트 ETS JETS http://www.etsjets.o[...]
[59] 웹사이트 Episode 132: D.A. Carson on Revelation 20 • EFCA Theology Podcast https://www.efca.org[...] 2018-12-03
[60] 웹사이트 D.A. Carson https://www.monergis[...] 2018-12-03
[61] Youtube What Is Historic Premillennialism? - Bryan Chapell https://www.youtube.[...] 2017-07-30
[62] 서적 The Presbyterian Philosopher: The Authorized Biography of Gordon H. Clark Wipf and Stock 2017-01-24
[63] 웹사이트 What is Premillennial Dispensationalism? http://www.nyu.edu/f[...] New York University 2004-05-09
[64] 서적 Three Central Issues in Contemporary Dispensationalism: A Comparison of Traditional and Progressive Views Kregel
[65] 서적 Progressive Dispensationalism Baker Books 1993
[66] 문서 主の再来が2回あるまた、最初の回は目に見えない統治のさまであると言ったのは、アイザック・ニュートン(1642年 - 1727年)で、キリストが戻って統治を行う様子は「死すべき人間の目には見えない」と書いている。1856年にはペンシルベニア州フィラデルフィアのルーテル教会牧師ジョセフ・サイスが2段階の再臨-目に見えないパルーシア(臨在)とその後の目に見える(エピファニア)顕現-について書いている。
[67] 웹사이트 Survey -Premillennialism Reigns in EvangelicalTheology http://nae.net/premi[...]
[68] 서적 기독교 신학 개론 대한기독교서회 2015-0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