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는 1915년 뮌헨에서 태어나 독일의 정치인으로, 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바이에른 주의회 의원을 거쳐 기독교사회연합 창당에 기여했다. 콘라트 아데나워 내각에서 요직을 두루 역임하며 유력한 후계자로 거론되었으나, 록히드 뇌물 스캔들과 슈피겔 사건으로 장관직에서 사퇴했다. 이후 재무부 장관으로 복귀하여 빌리 브란트의 동방정책을 비판했으며, 1980년 총선 패배 후 바이에른 주 총리직에 전념했다. 1988년 사망했으며, 바이에른 주를 산업 중심지로 변화시키는 데 기여하고 에어버스 창설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연방공화국의 방위연방장관 -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은 독일의 정치인으로, 2019년부터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위원장으로 재임하며, 독일 연방의회 의원과 독일 정부의 여러 장관을 역임했고, 유럽 그린 딜, 코로나19 대응 등 주요 정책을 추진했다. - 독일연방공화국의 방위연방장관 - 헬무트 슈미트
헬무트 슈미트는 1974년부터 1982년까지 서독의 연방총리를 지낸 독일 정치인으로, 동서독 화해 정책을 계승하면서 서방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유럽 통합에 기여했으며, 경제 위기와 테러에 단호하게 대처하여 서독의 안정을 유지했으나 연정 파트너와의 갈등으로 총리직에서 물러난 후에도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독일 정치사에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당원 - 에드문트 슈토이버
에드문트 슈토이버는 독일 바이에른 출신의 정치인으로, 1993년부터 2007년까지 바이에른 주 총리를 역임했으며, 2002년 독일 연방 총선에서 총리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당원 - 만프레트 베버
만프레트 베버는 독일의 정치인이자 유럽 인민당 소속으로, 뮌헨 응용 과학 대학교에서 엔지니어링 학위를 취득한 후 컨설팅 회사를 운영하고 바이에른 주의회 의원을 거쳐 2004년부터 유럽 의회 의원으로 활동하며 유럽 인민당 그룹 의장, 유럽 연합 집행위원회 위원장 후보를 역임, 2022년부터 유럽 인민당 의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바이에른주의 주총리 - 쿠르트 아이스너
쿠르트 아이스너는 독일의 저널리스트, 정치인, 혁명가로서 제1차 세계 대전 반전 운동을 주도하고 바이에른 혁명을 통해 바이에른 인민 공화국을 선포했으나 암살당했으며, 독일 민주주의와 사회 개혁, 평화 운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바이에른주의 주총리 - 에드문트 슈토이버
에드문트 슈토이버는 독일 바이에른 출신의 정치인으로, 1993년부터 2007년까지 바이에른 주 총리를 역임했으며, 2002년 독일 연방 총선에서 총리 후보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Franz Josef Strauß |
출생일 | 1915년 9월 6일 |
출생지 | 독일 제국 바이에른 왕국 뮌헨 (현재 독일 바이에른주) |
사망일 | 1988년 10월 3일 |
사망지 | 서독 바이에른주 레겐스부르크 |
국적 | 독일 |
직업 | 정치인, 교사, 공무원 |
자녀 | 3명 ( 모니카 포함) |
서명 | image_file: StraussFranzJosefSignature02 mono 25p transp.png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1946–1988) |
대학 | 뮌헨 대학교 |
바이이에른 주정부 | |
직책 | 바이에른주 총리 |
임기 시작 | 1978년 11월 6일 |
임기 종료 | 1988년 10월 3일 |
이전 | 알폰스 고펠 |
이후 | 막스 슈트라이블 |
부총리 | Karl Hillermeier 막스 슈트라이블 |
바이에른 기독교사회연합 | |
직책 | 기독교사회연합 대표 |
임기 시작 | 1961년 3월 18일 |
임기 종료 | 1988년 10월 3일 |
이전 | 한스 자이델 |
이후 | 테오 바이겔 |
사무총장 | 프리드리히 치머만 Anton Jaumann 막스 슈트라이블 Gerold Tandler 에드문트 슈토이버 오토 비셰우 |
연방 정부 | |
직책 | 재무장관 |
총리 | 쿠르트 게오르크 키징거 |
임기 시작 | 1966년 12월 2일 |
임기 종료 | 1969년 10월 22일 |
이전 | 쿠르트 슈뮈커 |
이후 | 알렉스 묄러 |
직책 | 국방장관 |
총리 | 콘라트 아데나워 |
임기 시작 | 1956년 10월 16일 |
임기 종료 | 1962년 12월 16일 |
이전 | 테오도어 블랑크 |
이후 | 카이-우베 폰 하셀 |
직책 | 원자력 담당 장관 |
총리 | 콘라트 아데나워 |
임기 시작 | 1955년 10월 20일 |
임기 종료 | 1956년 10월 16일 |
이전 | 신설 |
이후 | 지크프리트 발케 |
직책 | 특별업무 장관 |
총리 | 콘라트 아데나워 |
임기 시작 | 1953년 10월 6일 |
임기 종료 | 1955년 10월 12일 |
이전 | 신설 |
이후 | 하인리히 크로네 (1961) |
함께 | 하인리히 크로네 로베르트 틸만스 Hermann Schäfer |
의회 | |
직책 | 바이에른 주의회 의원 (상부 바이에른) |
임기 시작 | 1978년 10월 30일 |
임기 종료 | 1988년 10월 3일 |
이전 | 다수 의원 선거구 |
이후 | Hans Koller |
직책 | 연방의회 의원 (바일하임) |
임기 시작 | 1949년 9월 7일 |
임기 종료 | 1978년 11월 29일 |
이전 | 선거구 신설 |
이후 | Heinrich Reichold |
직책 | 유럽 의회 의원 (서독) |
임기 시작 | 1952년 |
임기 종료 | 1956년 |
이전 | 다수 의원 선거구 |
이후 | 다수 의원 선거구 |
2. 생애
1915년 9월 6일 바이에른 왕국 뮌헨에서 도축업자의 아들로 태어나 교원 자격을 땄지만, 곧바로 닥친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징집되었다. 독소전쟁 초기 심한 동상을 입은 뒤로는 주로 방공포 부대에서 근무했으며, 1945년 종전 당시 최종 계급은 중위였다. 종전 이후 바이에른을 점령한 미군 측의 통역으로 활동하면서 미군 측에 의해 바이에른 주의회 의원으로 지정되어 기독교사회연합의 창당에 기여하면서 본격적으로 정치인으로서의 행보를 시작했다.
1949년 첫 총선에서 의원으로 선출된 이후 콘라트 아데나워 내각에서 특임장관, 원자력에너지부 장관, 국방장관과 같은 요직을 거치면서 아데나워의 유력한 후계자로 거론되기 시작한다. 그러나 국방장관 재임 시절 록히드 뇌물 스캔들과 슈피겔 사건 등 여러 스캔들로 정치 경력에 큰 타격을 입었다. 1962년 시사 잡지 슈피겔이 나토의 작전에 대해 보도하자 슈피겔 편집진들을 반역죄 혐의로 기소하여 물의를 일으켰고, 조사 과정에서 슈트라우스가 독일 의회에 거짓 증언을 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장관직에서 사퇴해야 했다.
1966년 쿠르트 게오르크 키징거 수상에 의해 재무부 장관으로 재발탁되면서 중앙정계에 복귀한 슈트라우스는 독일 사회민주당 빌리 브란트 정권을 비판하는 대표적인 저격수로 동방 정책에 대해 신랄한 비판을 퍼부었다.
1976년 총선에서 헬무트 콜이 헬무트 슈미트에게 패배하자, 슈트라우스는 콜의 정치력을 비판하면서 기독교사회연합과 기독교민주연합의 자매 관계를 끊고 독자적으로 행동하고자 했다. 이에 기민련은 바이에른 지역에도 기민당의 독자 후보를 출마시키겠다고 엄포를 놓았고, 결국 슈트라우스는 자매 관계를 유지했다.
1980년 총선에서 우니온의 총리 후보로 나섰지만 1976년 총선보다 무려 20석을 더 잃는 참패를 당했다. 이 총선은 콜과 슈트라우스 간 싸움의 종결 선언과도 같았고, 슈트라우스는 사실상 중앙 정계에서 은퇴해 바이에른 주 총리 직을 수행하는데 전념했다.
이후 슈트라우스는 1988년 10월 1일 레겐스부르크 근교에서 사냥을 하다가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져 이틀 후인 3일에 숨을 거두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15년 9월 6일 바이에른 왕국 뮌헨에서 정육점 주인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17],[20] 1935년부터 1939년까지 뮌헨 대학교에서 독일어학, 역사, 경제학을 공부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국방군(Wehrmacht)으로 복무했다. 전쟁 중 휴가를 얻어 교원 자격 시험에 합격했다. 1943년 초 동부 전선에서 심한 동상에 걸려 전선을 이탈한 후, 쇼나우 근처 알텐슈타트 공군 기지의 대공포 부대에서 정치 장교(소위)로 복무했다. 종전 당시 그의 계급은 상급 중위였다.2. 2. 전후 정치 활동
종전 이후 바이에른을 점령한 미군 측의 통역으로 활동하면서, 미군정에 의해 바이에른 주의회 의원으로 지명되었다.[3] 그는 기독교사회연합(CSU) 창당에 기여하며 본격적으로 정치인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전쟁 직후 그는 자신을 "프란츠 슈트라우스"라고 불렀으나, 이후 자신의 중간 이름인 "요제프"를 사용하기 시작했다.1949년 첫 총선에서 독일 연방의회 의원으로 당선되었고,[3] 이후 CSU의 간사장이 되었으며, 자매 정당인 독일 기독교 민주 연합(CDU)과 CSU의 공동 의원단에서 단장 대리에 취임했다. 1952년 2월, 콘라트 아데나워 총리가 연방 의회에서 답변 중 쓰러졌을 때, 슈트라우스는 연단으로 달려가 아데나워를 껴안고 뺨을 때려 의식을 되찾게 했다. 이 의연한 태도와 행동력은 아데나워를 비롯한 모든 의원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2. 3. 아데나워 내각
1949년 첫 총선에서 의원으로 선출된 이후, 콘라트 아데나워 독일 수상의 눈에 들어 내각에 입각하여 특임장관, 원자력에너지부 장관, 국방장관과 같은 요직을 거치면서 아데나워의 유력한 후계자로 거론되기 시작한다. 그러나 장관 시절 발생한 사건사고가 그의 대권 야심에 발목을 잡았다. 국방부 장관 재임 시절 F-104 전투기를 구매하는 조건으로 록히드 사로부터 1000만달러를 받았다는 뇌물 스캔들이 터지면서 곤욕을 치렀다. 1962년 시사 잡지 슈피겔이 나토의 작전에 대해 보도하자 슈피겔 편집진들을 반역죄 혐의로 기소하여 물의를 일으켰다. 언론의 자유를 침해한 행위에 대한 공격이 잇따랐고, 조사 과정에서 슈트라우스가 독일 의회에 거짓 증언을 한 것까지 밝혀지면서 엄청난 비난을 받았고 결국 장관직에서 사퇴해야만 했다.2. 4. 장관 시절의 스캔들
콘라트 아데나워 내각에서 특임장관, 원자력에너지부 장관, 국방장관과 같은 요직을 거친 슈트라우스는 유력한 후계자로 거론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장관 시절 록히드 뇌물 스캔들과 슈피겔 사건 등 여러 스캔들로 정치 경력에 큰 타격을 입었다.[1]록히드사로부터 1000만달러의 뇌물을 받았다는 의혹과, 시사 잡지 슈피겔 편집진을 반역죄로 기소하여 언론의 자유를 침해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조사 과정에서 독일 의회에 거짓 증언을 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장관직에서 사퇴해야 했다.[1]
2. 4. 1. 록히드 뇌물 스캔들
전 록히드 로비스트 Ernest F. Hauser|어니스트 하우저de는 미국 상원 청문회에서 조사관들에게 슈트라우스 국방 장관과 그의 정당이 1961년 서독이 900대의 F-104G 스타파이터를 구매하도록 주선한 대가로 최소 1000만달러의 보수를 받았다고 인정했는데, 이는 이후 록히드 뇌물 스캔들의 일부가 되었다.[5] 슈트라우스와 그의 정당은 이 의혹을 부인했으며, 슈트라우스는 하우저를 상대로 명예 훼손 소송을 제기했다.[5]
슈트라우스와 하우저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하우저가 주둔했던 바이에른주 쉔가우에서 만났다. 하우저는 미국 정보국에서 일했고 슈트라우스는 하우저의 통역관이었다. 슈트라우스는 나중에 이 사실을 부인했지만, 하우저의 결혼식에 참석했다는 사실이 이를 반박한다.[5]
당시 미국 상원 청문회에서 록히드 관계자들은 자금이 슈트라우스에게 지급되었다는 것을 인정했다. 이는 보잉이 록히드를 상대로 독일 사업을 잃은 것에 대해 소송을 제기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슈트라우스는 그의 영향력으로 인해 독일에서 기소되지 않았다.[5]
당시 록히드는 붕괴 직전에 있었고, 독일 계약은 회사의 생존에 핵심적이었다. F-104G의 개발에는 많은 비용이 들었고, 미국 공군은 불필요한 기능으로 인해 이 비행기 구매를 거부했다. 독일 계약은 록히드에게 예상 밖의 큰 이익을 가져다주었다. 독일이 록히드로부터 전투기를 주문한 후, 더 많은 유럽 정부들이 스타파이터에 대한 신뢰를 갖기 시작하여 더 많은 비행기를 주문했고, 이는 록히드를 재정적 파산으로부터 구했다.[5] 이 의혹은 결국 입증되지 않아 종결되었다.[5]
2. 4. 2. 슈피겔 사건
1962년 시사 잡지 슈피겔이 나토의 작전에 대해 보도하자, 슈트라우스는 슈피겔의 편집진들을 반역죄 혐의로 기소하였다.[1] 이는 언론의 자유를 침해한 행위로 큰 비판을 받았다. 조사 과정에서 슈트라우스가 독일 의회에 거짓 증언을 한 사실까지 밝혀지면서[1] 그는 거센 비난을 받고 장관직에서 사퇴해야 했다.[1]슈피겔의 소유주이자 편집장인 루돌프 아우구슈타인은 슈트라우스의 요청으로 체포되어 103일 동안 구금되었다.[2] 1962년 11월 19일, 내각의 자유민주당 소속 장관 5명이 슈트라우스의 해임을 요구하며 사임했고, 이로 인해 콘라트 아데나워 총리까지 위험에 처했다.[2] 아데나워는 비판적인 언론을 탄압하는 것을 지지한다는 비난을 받았다.[2] 결국 슈트라우스는 의회에 거짓말을 한 것을 인정하고 사임해야 했다.[2]
2. 5. 중앙정계 복귀와 빌리 브란트 비판
1966년 쿠르트 게오르크 키징거 수상에 의해 재무부 장관으로 재발탁되면서 화려하게 중앙정계에 복귀한 슈트라우스는 독일 사회민주당 빌리 브란트 정권을 비판하는 대표적인 저격수로 브란트의 동방 정책에 대해 신랄한 비판을 퍼부었다.[7]1969년 SPD가 보수 세력 없이 정부를 구성할 수 있게 되자, 슈트라우스는 빌리 브란트의 ''동방 정책''에 대해 가장 비판적인 인물 중 한 명이 되었다.
2. 6. 헬무트 콜과의 경쟁
1976년 총선에서 헬무트 콜이 헬무트 슈미트에게 패배하자, 슈트라우스는 콜의 정치력을 비판하면서 기사련과 기민련의 자매 관계를 끊고 독자적으로 행동하고자 했다.[7] 이에 기민련은 바이에른 지역에도 기민당의 독자 후보를 출마시키겠다고 엄포를 놓았고, 결국 슈트라우스는 자매 관계를 유지할 수 밖에 없었다.1980년 총선에서 우니온의 총리 후보로 나섰지만, 1976년 총선보다 무려 20석을 더 잃는 처참한 참패를 당했다.[7] 이 총선은 콜과 슈트라우스 간 싸움의 종결 선언과도 같았고, 슈트라우스는 사실상 중앙 정계에서 은퇴해 바이에른 주 총리 직을 수행하는데 전념했다.
2. 7. 바이에른 주총리 재임
1978년부터 1988년 사망할 때까지 바이에른 주 총리를 역임했으며, 1983년~1984년에는 독일 연방 상원 의장을 지냈다. 1980년 연방 선거에서 패배한 후 그는 바이에른에서 연방 정치에 대한 논평을 하며 물러났다. 이후 몇 년 동안 그는 헬무트 콜 총리가 총리직에 오른 후에도 자신의 정치 진영 내에서 콜의 정치에 대한 가장 눈에 띄는 비판가였다. 1983년,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는 동독에 의 차관을 제공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오랫동안 동독 경제의 자연적인 붕괴를 허용하려던 기독교사회연합/기독교민주연합의 정책을 위반한 이 조치는 슈트라우스 생전에도 널리 비판을 받았다. 공화당은 이 조치로 인해 기독교사회연합/기독교민주연합에서 분리되었다.[11]2. 8. 알바니아 방문
1984년 8월 21일,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1985년 사망할 때까지 알바니아를 통치한 엔베르 호자 집권 시기에 공산주의 알바니아를 방문했다. 슈트라우스는 수십 년 동안 쇄국 정책을 펼치던 알바니아를 방문한 몇 안 되는 서방 지도자 중 한 명이었으며, 어쩌면 유일한 지도자였을 수도 있다.[15] 이 방문은 슈트라우스가 알바니아와 서독 간의 외교 관계 수립을 준비하고 있다는 추측을 불러일으켰고, 실제로 1987년에 양국 간 관계가 수립되었다.[15]3. 사망
1988년 10월 1일 레겐스부르크 근교에서 사냥을 하던 중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졌으며, 이틀 후인 10월 3일에 향년 73세로 숨을 거두었다.[17] 요하네스 폰 투른 운트 탁시스 제11대 공작과 함께 레겐스부르크 동쪽의 투른 운트 탁시스 숲에서 사냥을 하던 중 쓰러졌으며,[17] 의식을 회복하지 못한 채 레겐스부르크 병원에서 사망했다.[17] 투른 운트 탁시스(Thurn und Taxis영어) 공작가의 사냥터에 초대받아 자가용 비행기를 타고 가던 중 기내에서 심장 발작을 일으켰는데, 며칠 전 유고슬라비아에 자가용 비행기를 타고 갔던 귀로에 심장이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20]
4. 유산
슈트라우스는 전후 바이에른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대중을 양극화시킨 인물이었다. 그는 보수주의자들의 지도자이자 뛰어난 연설가였다. 그의 우익적 정치 성향은 온건 정치인들과 좌파 진영 모두에게 반감을 샀다. 여러 스캔들에 연루되면서 많은 정치인들이 그와 거리를 두었지만, 그의 정책은 바이에른을 농업 중심지에서 독일 주요 산업 중심지이자 가장 부유한 지역 중 하나로 변화시키는 데 기여했다.[1][18]
영국 외교관 리처드 히스콕스는 슈트라우스를 "전후 독일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인물이자, 민주주의적 관점에서 가장 위험한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슈트라우스가 큰 야망, 뛰어난 지적 능력, 기억력, 회복력, 업무 능력, 빠른 결단력을 가졌지만, "정치적 방법의 무자비함"과 "자제력과 사람에 대한 지식 부족"이 단점이라고 지적했다. 마르틴 발저는 그에 대해 "그는 우리를 모든 것으로부터 방어할 수 있지만, 자기 자신으로부터는 방어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19]
뮌헨 국제공항은 그의 이름을 따서 '뮌헨 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 공항'으로 명명되었다.
5. 가족
1957년 마리안네 츠비크나글과 결혼하여 막스 요제프, 프란츠 게오르크, 모니카 세 자녀를 두었다.[17] 아내 마리안네는 1984년 교통사고로 사망했다.[17] 딸 모니카 홀마이어는 바이에른 주 의회 의원과 바이에른 주 장관을 역임했으며, 2009년에는 유럽 의회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참조
[1]
서적
Political Leaders of Contemporary Western Europe: A Biographical Dictionary
Greenwood
1995
[2]
웹사이트
Fragen zur Person
http://www.fjs.de/fa[...]
2010-04-12
[3]
웹사이트
Strauss, Franz Josef – Federal Republic of Germany – Minister of Defense
http://www.foia.cia.[...]
Central Intelligence Agency (CIA)
2016-08-29
[4]
뉴스
Waffen-SS
http://www.spiegel.d[...]
1964-03-25
[5]
간행물
Scandals: The Lockheed Mystery (Contd.)
http://www.time.com/[...]
2011-12-06
[6]
서적
Censorship: A World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7]
뉴스
Plisch und Plum
http://www.spiegel.d[...]
1967-01-30
[8]
논문
The European Dream of Franz Josef Strauss
https://www.zgei.nom[...]
1998-03
[9]
서적
THE GRAND DESIGN: A EUROPEAN SOLUTION TO GERMAN REUNIFICATION
http://archive.org/d[...]
Weidenfeld and Nicolson
1965-01-01
[10]
웹사이트
Airbus Corporate Information – The Airbus story
http://www.airbus.co[...]
[11]
논문
Bavaria, the CSU and the West German party system
[12]
뉴스
»Los, jetzt sogts amoi was!« - Spiegel-Reporter Hans-Joachim Noack über das Wackersdorf-Hearing in Neunburg vorm Wald
https://www.spiegel.[...]
Der Spiegel
1988-08-14
[13]
Youtube
Film: 30 Jahre WAA Baustopp
https://www.youtube.[...]
Bayerischer Rundfunk
2019-04-03
[14]
뉴스
Ihr schaut’s ja aus wie die Raubritter.
http://www.spiegel.d[...]
Der Spiegel
1988-07-11
[15]
문서
Marrëdhënie shqiptaro-gjermane 1987–2007
2008
[16]
웹사이트
Note
http://president.al/[...]
2017-11-27
[17]
뉴스
Franz Josef Strauss Is Dead at 73; Conservative Led Bavarian State
https://www.nytimes.[...]
1988-10-04
[18]
논문
Franz Josef Strauß-lasting legacy or transitory phenomenon?
[19]
서적
The Adenauer era
1966
[20]
뉴스
Franz Josef Strauss Is Dead at 73; Conservative Led Bavarian State
https://www.nytimes.[...]
1988-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