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레데리크 2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레데리크 2세는 1559년부터 1588년까지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통치한 국왕이다. 그는 르네상스 군주로 사냥, 와인, 여가를 즐겼으며, 신성 로마 제국 연방 군주들과 교류하고 천문학자 티코 브라헤를 후원했다. 북방 7년 전쟁에서 스웨덴 정복에 실패했지만, 해군력 증강에 힘썼다. 재위 기간 동안 개신교 세력을 지원하고 중립 외교를 펼쳤으며, 크론보르 성을 건설했다. 프레데리크 2세는 1588년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크리스티안 4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88년 사망 - 정유길
    정유길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명종 때 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윤원형 탄핵에 앞장서 훈구파, 소윤파, 사림파 모두에게 존경받아 좌의정에 이르렀다.
  • 1588년 사망 - 미마르 시난
    미마르 시난은 오스만 제국의 전성기를 이끈 건축가이자 토목 기사로, 쉴레이만 1세, 셀림 2세, 무라트 3세 세 명의 술탄을 섬기며 쉴레이마니예 모스크와 셀리미예 모스크를 포함한 300개가 넘는 건축물을 설계하여 오스만 건축 양식의 정점을 보여주었다.
  • 1534년 출생 - 오다 노부나가
    오다 노부나가는 일본 전국 시대의 무장으로, 오와리 출신에서 시작하여 일본 통일을 목표로 센고쿠 시대를 지배하며 막강한 세력을 구축했으나 혼노지의 변으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 1534년 출생 - 스즈키 마고이치
    스즈키 마고이치는 스즈키 씨 일족이 주로 계승한 사이카슈의 두령 칭호로, 여러 인물이 존재하며 그들의 행적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이 중 이시야마 합전에서 활약한 스즈키 시게히데가 가장 유명하며, 스즈키 시게자네, 스즈키 요시카네, 스즈키 시게토모 등도 관련 인물로 여겨진다.
  • 올덴부르크가 - 덴마크의 루이세 샤를로테
    덴마크의 루이세 샤를로테는 프레데리크 왕자와 조피 프리데리케 사이에서 태어나 헤센카셀 방백 빌헬름과 결혼하여 1남 5녀를 두었고, 예술과 시에 관심을 보이며 왕위 계승 문제에 관여하다가 사위에게 유리하게 왕위 계승권을 포기한 후 크리스티안스보르 궁전에서 사망했다.
  • 올덴부르크가 - 크리스티안 4세
    크리스티안 4세는 1588년부터 1648년까지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통치한 국왕으로, 국방 및 경제 개혁을 추진하고 해외 진출을 시도했으나 30년 전쟁과 토르스텐손 전쟁에서 패배하여 발트 해에서의 세력을 상실했으며, 르네상스 군주로서 예술과 문화를 장려하다가 1648년 사망했다.
프레데리크 2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스 크니퍼의 초상화, 1581년
한스 크니퍼의 초상화, 1581년
재위1559년 1월 1일 – 1588년 4월 4일
대관식1559년 8월 20일 코펜하겐 대성당
계승덴마크와 노르웨이의 왕
스타일(더 보기...)
선임자크리스티안 3세
후임자크리스티안 4세
배우자조피 (1572년 7월 20일 결혼)
자녀엘리자베트,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작 부인
앤,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여왕
크리스티안 4세,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왕
울리크, 슈베린의 공작-주교
아우구스타,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 부인
헤드비, 작센 선제후비
요한,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자
왕가올덴부르크 왕가
아버지크리스티안 3세
어머니도로테아 폰 작센-라우엔부르크
출생일1534년 7월 1일
출생지하데르슬레우후스 성, 하데르슬레우, 덴마크
사망일1588년 4월 4일 (53세)
사망지안트보르스코브 성, 셸란, 덴마크
매장일1588년 8월 5일
매장지로스킬레 대성당, 셸란, 덴마크
종교루터교
서명
통치
기타 정보
참고 문헌칼-에리크 프란센: 포울 그라인더-한센: 프레데리크 2세. 덴마크 르네상스 왕
프레데리크 2세, 1534–1588
프레데리크 2세 - 크론보르 성
카르스텐 바흐-닐센: 덴마크의 프레데리크 2세와 메클렌부르크의 조피 – 르네상스 스타 커플. 덴마크의 독일 왕실 표현 형식?
프레데리크 2세
크론보르 성 헬싱외르 햄릿의 성 엘시노어 덴마크
크론보르
댄스 홀 - 성 탐험 - 크론보르 성 - 성과 정원 - 왕실 성
프레데리크 2세 ♔ 1559-1588 - 왕들의 컬렉션

2. 생애

크리스티안 3세와 작센라우엔부르크의 도로테아의 아들로 하데르슬레우의 하데르슬레우후스 성에서 태어났다. 1559년 1월 1일 덴마크 국왕과 슐레스비히 공국 공작으로 즉위했다.[10] 1562년 리보니아 분쟁을 피하고자 모스크바 대공국이반 4세와 친선 관계를 맺었다.[42]

1563년 북방 7년 전쟁에서 스웨덴 정복을 시도했으나, 사촌 에리크 14세의 반격으로 실패했다. 전쟁은 소모전으로 번져 스웨덴이 스코네를 약탈하고 덴마크는 일시적으로 노르웨이를 상실하기도 했다. 1568년 로스킬레에서 스웨덴 요한 3세와 평화 조약을 맺었지만, 양국 평화는 오래가지 못했다. 1570년 슈테틴(현재 폴란드 슈체친)에서 평화 조약이 체결되어 전쟁 이전 상태로 돌아갔다. 전쟁 후에도 프레데리크 2세는 해군 증강을 계속했다.

개신교 지원 외교 정책을 펴면서도 중립을 지켰다. 1567년 노르웨이에 프레드릭스타를 건설했고, 1574년부터 1585년까지 헬싱외르에 크론보르 성을 건립했다.

성급하고 허영심 많지만 용감하고 야심찬 인물로, 사냥, 와인, 여자, 축제를 즐긴 르네상스 군주였다. 군사에 관심이 많아 신성 로마 제국 군주들과 교류했고, 튀코 브라헤를 후원했다.

1572년 메클렌부르크의 조피와 결혼하여 7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름초상화출생사망비고
덴마크의 엘리자베스
156x156px
1573년 8월 25일1625년 6월 19일1590년 4월 19일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작 헨리 율리우스와 결혼하여 10명의 자녀를 두었다.
덴마크의 앤
157x157px
1574년 12월 12일1619년 3월 2일1589년 11월 23일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6세 (훗날 잉글랜드의 제임스 1세)와 결혼하여 7명의 자녀를 두었다.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크리스티안 4세
146x146px
1577년 4월 12일1648년 2월 28일1597년 11월 27일 브란덴부르크의 안네 카트린과 첫 번째 결혼하여 7명의 자녀를 두었다.
덴마크의 울리크
147x147px
1578년 12월 30일1624년 3월 27일마지막 구 슐레스비히 교구의 주교가 되었다(1602–1624).
덴마크의 아우구스타
138x138px
1580년 4월 8일1639년 2월 5일1596년 8월 30일 홀슈타인-고토르프의 요한 아돌프 공작과 결혼하여 8명의 자녀를 두었다.
덴마크의 헤드비그
120x120px
1581년 8월 5일1641년 11월 26일1602년 9월 12일 작센 선제후 크리스티안 2세와 결혼했다. 이 결혼은 자녀가 없었다.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덴마크 요한 공자
120x120px
1583년 7월 9일1602년 10월 28일러시아 차르 보리스 고두노프의 딸 크세니아와 약혼했으나 결혼 전에 사망했다.



1588년 4월 4일 셸란섬의 안토르스코프 성에서 사망해 로스킬레 대성당에 안치되었다.[87] 왕위는 크리스티안 4세가 계승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프레데리크는 1534년 7월 1일 슐레스비히 공국하데르슬레우에 위치한 하데르슬레우후스 성(Haderslevhus)에서 크리스티안 3세와 그의 아내인 작센라우엔부르크의 도로테아 사이에서 태어났다.[23] 그의 어머니는 스웨덴 국왕 구스타브 1세의 첫 번째 부인이자 그의 미래의 경쟁자인 에리크 14세의 어머니인 카타리나의 여동생이었다.[9]

프레데리크가 태어날 당시 덴마크는 백작의 내전이 끝나가고 있었고, 3일 뒤 그의 아버지 크리스티안 3세가 덴마크의 국왕이 되었다. 덴마크의 왕위는 선출 군주제였기 때문에 왕국 평의회에서 다른 왕족을 국왕으로 선택할 수도 있었다.

프레데리크 1세와 크리스티안 3세는 개신교 신자였지만, 왕국 평의회는 가톨릭 교회를 지지하는 다수가 있었다. 백작의 내전에서 크리스티안 3세가 승리하면서 왕권이 회복되었고, 그는 귀족의 권력을 축소하고 왕의 장남이 항상 왕위 계승자가 되도록 했다.[26]

1536년 10월 30일, 크리스티안 3세는 프레데리크를 공식적으로 왕위 계승자로 선포하고 "'''덴마크 공'''"이라는 칭호를 부여했다.[26] 1542년, 프레데리크는 덴마크 전역을 여행하며 국민들의 환영을 받았고, 1548년에는 오슬로에서 노르웨이 왕국 왕위 계승자로 환영받았다.[27]

크리스티안 3세는 덴마크와 노르웨이에 대한 지배력을 확보하는 동안, 그의 자녀들은 가족의 품 안에서 성장했다. 프레데리크 외에도, 작센 선제후비 안나, 홀슈타인 공작 마그누스,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 공작 요한 2세,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작 부인 도로테아 등의 형제자매가 있었다.[25]

당시 일반적인 교육적 견해는 자녀 양육을 다른 가족 구성원에게 위임하는 것이었지만, 도로테아 여왕은 아이들을 멀리 보내고 싶어하지 않았다. 또한, 정치적 상황과 종교적 이유로 인해 왕실 부부는 아이들을 가까이 두는 것을 선호했다.[29]

프레데리크의 교육은 주로 교회 및 루터교 교리에 집중되었으며, 신학 교육을 받았다.[30] 덴마크 재상이 관리, 외교 및 전쟁 기술을 포함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했지만, 완전히 실행되지는 못했다.[31]

1541년, 7세가 된 프레데리크는 코펜하겐 대학교의 한스 스벤닝을 교사로 임명받아 학교에 다니기 시작했다.[31] 그러나 프레데리크는 난독증으로 인해 읽기와 철자에 어려움을 겪었고, 동시대인들에게 문맹으로 여겨지기도 했다.[32]

프레데리크는 20세가 되어서야 스카니아의 말뫼성에서 자신의 궁정을 열 수 있었지만, 에일러 하르덴베르크의 감시를 받았다. 정치 훈련은 에일러 뢰노우와 에리크 로젠크란츠에게 맡겨졌다.[34] 스카니아에서의 시절은 프레데리크에게 해방감을 주었을 것이다.[33] 그는 "'''스카니아의 왕자'''"(Fyrste af Skåneda)로 알려지게 되었다.[35]

프레데리크는 매형이자 친구인 작센 선제후 아우구스투스와의 친분을 통해 정치 교육을 받았다. 아우구스투스는 1557~58년 프레데리크를 데리고 신성 로마 제국 전역을 여행하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1세,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막시밀리안 2세, 오렌지공 빌헬름 등과 같은 주요 인사들을 만나게 했다. 이를 통해 프레데리크는 독일 정치와 군사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30]

크리스티안 3세는 프레데리크가 제국에서 야망을 품고 덴마크-노르웨이를 독일 제후들의 정치에 끌어들일 것을 우려했다.[35]

2. 2. 즉위와 통치

하데르슬레우에 위치한 하데르슬레우후스 성(Haderslevhus)에서 크리스티안 3세 국왕과 그의 아내인 작센라우엔부르크(Saxe-Lauenburg)의 도로테아(Dorothea)의 아들로 태어났다. 1559년 1월 1일 덴마크 국왕, 슐레스비히 공국 공작으로 즉위했다.[10] 1559년 8월 12일 자신의 하운드페스팅(군주의 권력 삭감, 마그나 카르타와 유사한 덴마크 제도)에 서명했고, 1559년 8월 20일 코펜하겐 성모 교회에서 덴마크 감독에 의해 대관식을 거행했다.[37]

1562년 리보니아 분쟁을 피하기 위해 모스크바 대공국이반 4세와 친선 관계를 수립했다.[42]

1563년 북방 7년 전쟁에서 스웨덴 정복을 시도했지만, 사촌인 에리크 14세의 반격으로 실패했다. 전쟁은 소모전 양상으로 전개되어 스웨덴이 스코네를 약탈하고 덴마크는 일시적으로 노르웨이를 상실하기도 했다.

1568년 로스킬레에서 스웨덴 요한 3세와 평화 조약을 체결했으나, 양국 간 평화는 오래 지속되지 못했다. 1570년 슈테틴(Stettin, 현재 폴란드 슈체친)에서 평화 조약이 체결되어 양국은 전쟁 이전 상태로 돌아갔다. 전쟁 후에도 프레데리크 2세는 해군 증강 정책을 지속했다.

프레데리크 2세는 재위 기간 개신교 세력을 지원하는 외교 정책을 펼치면서도 엄격한 중립 정책을 유지했다. 1567년 노르웨이에 프레드릭스타를 건설했고, 1574년부터 1585년까지 헬싱외르에 크론보르 성을 건립했다.

프레데리크 2세는 성급하고 허영심 많지만 용감하고 야심찬 인물이었다. 사냥, 와인, 여자, 축제를 즐겼으며 전형적인 르네상스 군주로 평가받는다. 군사 분야에 관심이 많아 젊은 시절부터 신성 로마 제국 연방 군주들과 교류했다. 또한 천문학자 튀코 브라헤를 후원했다.

2. 3. 북방 7년 전쟁

덴마크-노르웨이의 프레데리크 2세가 1563년 엘스보리 요새를 공격하는 모습.


북방 7년 전쟁은 덴마크 국왕 프레데리크 2세와 스웨덴의 발트해 지배권을 둘러싼 경쟁이 1563년 공개적인 전쟁으로 번지면서 시작되었으며, 이는 프레데리크 2세 통치 기간 동안 가장 큰 갈등이었다.[43]

수년 동안 주요 고문들은 스웨덴의 공격을 두려워했으며, 야심차고 불안정한 에릭 14세(1560~1568년 재위)가 바사 왕좌를 계승한 후 대결은 불가피해 보였다. 국가 평의회는 처음에는 전쟁에 반대했지만, 국왕과 함께했다. 프레데리크 2세는 전쟁 지휘에서 평의회를 배제하려 하지 않았고, 주요 작전 통제권을 유지하면서도 홀게르 오토센 로젠크란츠, 원수 오테 크룸펜, 제독 헤를루프 트롤레를 포함한 많은 책임을 고문들에게 맡겼다.[44]

1569년 말, 6년간의 전쟁 후 평의회는 국왕에게 더 이상의 세금 지원을 제공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평의회는 이미 프레데리크에게 평화를 요청했고, 그는 1568년에 마지못해 시도했지만, 프레데리크 2세와 그의 스웨덴 적 모두 패배를 인정하려 하지 않았다.[45]

이 전쟁은 소모전으로 발전했고, 스카니아 지역은 스웨덴에 의해 황폐화되었고, 노르웨이는 거의 잃을 뻔했다. 이 전쟁 동안 프레데리크 2세는 직접 전장에서 군대를 이끌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평의회는 재정 지원을 끊음으로써 국왕이 전쟁을 끝내도록 강요하려 했다. 프레데리크 2세는 배신감을 느꼈고, 숙고 끝에 유일한 명예로운 해결책은 퇴위라고 생각했다.[45] 그는 사임서를 고문들의 손에 넣고 수도를 떠나 시골에서 사냥을 갔다. 결혼하지 않은 국왕에게는 상속자가 없었고, 그 결과 국가 평의회는 또 다른 지도자 없는 공백기와 심지어 또 다른 내전을 두려워할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었다. 이는 국왕의 의도대로 흘러갔다. 평의회는 왕좌로 돌아오도록 간청했고, 그에게 추가적인 세금 징수를 고려하기 위한 국회를 소집하도록 허용했다.[45]

이 갈등은 그의 귀족 고문들과의 관계를 손상시켰지만, 1567년 5월 24일 스웨덴의 에릭 14세가 일으킨 스투레 살인 사건은 결국 덴마크-노르웨이의 상황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다. 에릭 14세의 후계자인 스웨덴의 요한 3세가 로스킬레 조약(1568년)에서 덴마크-노르웨이에 유리한 평화를 받아들이기를 거부한 후, 계속된 전쟁은 슈테틴 조약(1570년)에서 현상 유지가 되면서 끝났고, 덴마크-노르웨이는 체면을 유지했지만 덴마크와 노르웨이 군사력의 한계를 보여주었다.[46]

프레데리크 2세는 스웨덴과의 전쟁에서 국왕으로서 많은 것을 배웠다. 그는 국가 평의회를 대부분의 정책 문제에 포함시키는 것을 배웠지만, 평의회를 굴욕시키거나 권위를 훼손하지 않고도 평의회를 조작하고 심지어 자신의 의지대로 굽힐 수 있다는 것도 배웠다.[44]

2. 4. 전쟁 이후의 통치

북방 7년 전쟁 이후 프레데리크 2세는 해군 증강 정책을 계속 추진했다. 그는 재위 기간 동안 개신교 세력을 지원하는 외교 정책을 펼치면서도 엄격한 중립을 지켰다. 1567년에는 노르웨이에 프레드릭스타를 건설했고, 1574년부터 1585년까지 덴마크 헬싱외르에 크론보르 성을 건립했다.[57]

프레데리크 2세는 성격이 급하고 허영심이 강했지만, 용감하고 야심찬 인물이었다. 사냥, 와인, 여자, 축제를 즐겼으며, 전형적인 르네상스 군주로 평가받기도 한다. 군사 분야에 관심이 많아 젊은 시절부터 신성 로마 제국의 연방 군주들과 친분을 쌓았다. 또한 천문학자 튀코 브라헤를 후원하기도 했다.

북방 7년 전쟁의 막대한 비용은 주로 덴마크와 노르웨이 농지 재산에 대한 세금 인상으로 충당되었다.[49] 전쟁 이후 국가 재정이 어려워지자, 프레데리크 2세는 페데르 옥세를 불러 왕국의 경제 문제를 해결하도록 했다. 유능한 옥세가 덴마크 행정과 재정을 맡으면서 국고가 개선되었다. 닐스 코스, 아릴드 휘트펠트, 크리스토퍼 발켄도르프 등 경험 많은 고문관들이 국내 행정을 담당했다. 그 결과 정부 재정이 정비되고 덴마크-노르웨이의 경제가 좋아졌다. 이러한 상황 개선의 주요 수단 중 하나는 사운드 통행세 인상이었다. 옥세는 재무 장관으로서 국가 부채를 상당히 줄이고 왕실 영지의 일부를 되찾았다.[50][51][52]

국왕 프레데리크 2세가 크론보르 성을 엘시노어에 건설하다.


북방 7년 전쟁 이후 덴마크-노르웨이는 번영과 성장의 시기를 맞았다. 국왕은 재정적으로 여유가 생겼고, 자금 조달에 있어 의회에 대한 의존도가 줄었다.[49] 막대한 자금이 덴마크 해군 확장과 지원 시설에 투입되었으며, 이는 안보뿐만 아니라 발트 해에서 해적을 몰아내기 위한 프레데리크의 노력에도 도움이 되었다.[53] 늘어난 수입은 또한 덴마크 최초의 국립 도로망인 "kongevej" ('왕의 길') 건설을 가능하게 하여 주요 도시와 왕실 거주지를 연결했다.[54]

가장 눈에 띄는 지출은 왕실 성과 궁정 자체였다. 프레데리크는 여러 왕실 거주지와 다른 도시의 재건에 많은 돈을 썼다.[55]

  • 안토르스코프 (셸란 슬라겔세 근처)는 프레데리크가 가장 좋아하던 사냥 성 중 하나였다. 그는 안토르스코프에서 사망했다.
  • 1567년, 프레데리크 2세는 노르웨이에 프레드릭스타드를 설립했다. 노르웨이에서 가장 큰 학교 중 하나인 프레데리크 2세 고등학교는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56]
  • 그는 또한 1574년에서 1585년 사이에 엘시노어에 있는 크론보르 성을 중세 요새에서 웅장한 르네상스 건축 양식의 성으로 재건했다.[57]
  • 1560년 프레데리크는 북셸란 농장인 힐레뢰드스홀름을 거대한 르네상스 건축 양식의 프레데릭스보르 성으로 개조했다.[58]
  • 1561년, 프레데리크 2세는 Øm 수도원의 자재를 사용하여 스칸데르보르 성을 개발하고 요새화했다.


프레데리크는 궁정에서 평등주의적인 행동을 보였지만, 자신의 지위 상승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그는 예술가와 음악가를 후원하고, 왕실 결혼식 및 기타 대중 축제를 위해 정교한 의식을 거행함으로써 국제적인 명성을 높이려 했다.

크론보르 성 엘시노어.


프레데리크 2세는 자신이 해협이라고 부른 '왕의 해협'에서 해상 지배권을 주장했고, 노르웨이와 아이슬란드 소유지 사이의 모든 해역에서도 마찬가지였다. 1583년, 그는 영국이 그곳을 항해할 수 있는 허가를 받는 대가로 연간 지불을 하는 협정을 체결했고, 프랑스도 나중에 이를 따랐다.[59]

그는 또한 아이슬란드 무역과 어업을 영국인과 독일인이 아닌 자신의 신민의 손에 넘기려 했으며, 마그누스 하이네손과 같은 모험가들을 장려했다. 그는 그에게 페로 제도와의 무역 독점권을 부여했고, 백해로 불법 항해 중 나포된 선박의 절반 지분을 주었으며, 동쪽 그린란드에 도달하려는 대담하지만 실패한 시도를 지원했다.[60]

힐레뢰드홀름 성(후에 프레데릭스보르 성)은 프레데릭이 가장 좋아했던 사냥 성 중 하나였다. 그립스홀름 성의 그림.


프레데릭의 관심사는 신학과학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프레데릭은 사냥, 음주, 그리고 연회를 매우 좋아하기로 유명했다.[14] 그의 젊은 시절과 통치 초기에, 이는 프레데릭이 덴마크 궁정과 그 형식에서 벗어나는 방법이었다.[47] 그러나 프레데릭은 통치 후반기에 사냥과 연회를 정치적 도구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의 통치 기간 중 평화로운 시기에 프레데릭은 덴마크 시골 전역을 다니며 거처를 옮겨 다니는 순회 궁정을 유지하며 상당한 시간을 사냥에 보냈다. 이는 그가 각자의 고향 지역에서 의회 의원들을 개별적으로, 그리고 비공식적으로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따라서 국왕 자문회의와의 대부분의 업무는 일대일로 이루어졌다.[47] 이는 의회의 각 구성원과 매우 긴밀한 개인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동시에 의회가 그에게 집단적으로 반대할 기회를 최소화했다. 프레데릭의 쾌활한 성격이 분명히 도움이 되었다.[68]

2. 5. 후원 활동

프레데리크 2세는 전형적인 르네상스형 군주로 여겨지며, 예술과 과학에 대한 후원으로 유명하다. 그는 덴마크의 르네상스 시대를 대표하는 지배자였다.[14]

프레데리크 2세는 코펜하겐 대학교의 훌륭한 후원자였으며, 1570년대와 1580년대에 교육 개혁을 도입했다. 대학 예산을 늘리고, 교직원 규모 확대 및 급여를 인상했다.[68] 가난한 학생들을 위해 5년 동안 숙식비를 무료로 지원했고, 유망한 학생 4명에게는 유학 비용을 지원했다.[68]

파라켈수스 의학에 관심을 보였으며, 1571년 요하네스 프라텐시스를 코펜하겐 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로 임명하고, 페트루스 세베리누스를 주치의로 삼았다.[69]

연금술점성술에도 매료되었는데, 이는 천문학자 튀코 브라헤가 국제적인 명성을 얻는 데 기여했다. 튀코 브라헤는 덴마크 지배 엘리트 최상위 계급 출신으로, 광범위한 해외 교육을 받은 후 헤레바드의 수도원에서 은퇴하여 외삼촌 스텐 빌레와 함께 실험하고 개인 천문대를 운영했다.[72][73] 1572년 카시오페이아에 나타난 초신성에 대한 브라헤의 논문은 그의 활동을 프레데리크 2세와 궁정에 알렸다.[74]

프레데리크 2세는 브라헤에게 베르 섬을 봉토로 주고,[75] 그의 거주지인 우라니보르 천문대는 유럽 전역에서 학생들을 끌어들였다. 1576년부터 브라헤는 유럽 역사상 최초의 공공 자금 지원 과학 연구소를 감독했다.[74][75] 프레데리크 2세는 브라헤가 방해받지 않고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장소로 베네 섬을 직접 골랐으며, 덴마크의 명성을 높이려는 열망과 지적 재능에 대한 안목을 보여주었다.[70]

프레데리크 2세는 모든 국정에 있어 재정적으로 신중했지만, 정신적 활동에 대해서는 아낌없는 지원을 제공했다. 헴밍센을 해임한 후에도 충분한 급여와 연구 기회를 보장했고, 티코 브라헤에게는 베네를 '자유 봉토'로 주고, 여러 봉토, 교회 재산, 농장을 받아 연구를 지원받았다.[68]

프레데리크 2세는 브라헤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전해진다.[68]

> 나는 때때로 [흐벤] 섬으로 건너가 천문학과 화학 연구를 지켜보고, 기꺼이 당신의 연구를 지원할 것이오. 내가 천문학에 대해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 아니라... 내가 당신의 왕이고 당신은 나의 신하이기에... 나는 이런 일을 지원하고 증진하는 것을 나의 의무로 생각하오

프레데리크 2세의 관심사는 신학과 과학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그는 사냥, 음주, 연회를 매우 좋아했으며, 통치 후반기에는 이를 정치적 도구로 사용했다.[14][47] 순회 궁정을 유지하며 덴마크 시골을 다니며 사냥을 통해 의회 의원들을 개별적으로, 비공식적으로 만났다. 이는 의회의 각 구성원과 긴밀한 개인적 유대감을 형성하고, 의회가 집단적으로 반대할 기회를 최소화했다.[47]

프레데리크 2세는 사냥과 연회, 술을 즐겼고, 의원, 고문, 유럽에서 방문한 고관들과 함께 술을 마시며 동료, 친구로 대했다.[47] 덴마크 궁정은 외부 관찰자들에게는 세련되지 않게 보였을 수도 있지만, 궁정 생활의 개방성과 저속함은 그의 정치적 목적에 기여했다.[47]

2. 6. 결혼과 자녀

1572년 사촌여동생 메클렌부르크의 조피와 결혼해 일곱 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름초상화출생사망비고
덴마크의 엘리자베스1573년 8월 25일1625년 6월 19일1590년 4월 19일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작 헨리 율리우스와 결혼하여 10명의 자녀를 두었다.
덴마크의 앤1574년 12월 12일1619년 3월 2일1589년 11월 23일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6세 (훗날 잉글랜드의 제임스 1세)와 결혼하여 7명의 자녀를 두었다.
덴마크와 노르웨이의 크리스티안 4세1577년 4월 12일1648년 2월 28일1597년 11월 27일 브란덴부르크의 안네 카트린과 첫 번째 결혼하여 7명의 자녀를 두었다.
덴마크의 울리크1578년 12월 30일1624년 3월 27일마지막 구 슐레스비히 교구의 주교가 되었다(1602–1624).
덴마크의 아우구스타1580년 4월 8일1639년 2월 5일1596년 8월 30일 홀슈타인-고토르프의 요한 아돌프 공작과 결혼하여 8명의 자녀를 두었다.
덴마크의 헤드비그1581년 8월 5일1641년 11월 26일1602년 9월 12일 작센 선제후 크리스티안 2세와 결혼했다. 이 결혼은 자녀가 없었다.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덴마크 요한 공자1583년 7월 9일1602년 10월 28일러시아 차르 보리스 고두노프의 딸 크세니아와 약혼했으나 결혼 전에 사망했다.


2. 7. 사망

1588년 4월 4일 셸란섬에 위치한 안토르스코프 성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왕위는 장남인 크리스티안 4세가 물려받았다. 그의 시신은 로스킬레 대성당에 안치되었다.[87]

안토르스코프는 덴마크의 프레데리크 2세 국왕이 사망한 곳이었다.


프레데리크 2세의 묘비, 게르트 판 에겐 제작, 크리스티안 1세 예배당(동방 박사 예배당).


프레데리크 2세 국왕은 1588년 4월 4일, 53세의 나이로 안토르스코프에서 사망했다. 사망 원인은 술 때문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프레데리크는 1588년 8월 5일 로스킬레 대성당의 크리스티안 1세 예배당에 묻혔으며, 그의 아들 크리스티안 4세 국왕은 나중에 돌아가신 아버지의 명예를 기리기 위해 큰 기념비를 세웠다.

3. 유산과 평가

최근의 많은 역사가들은 프레데리크 2세의 통치, 특히 후반기 통치를 뚜렷한 성공으로 평가한다.[10][15] 프레데리크 2세의 성격은 오랫동안 덴마크 역사가들에 의해 문맹이고 어리석은 인물로 잘못 해석되어 왔지만, 실제로는 매우 지적이었다.[13] 그는 지식인들로 구성된 측근들과 함께 학문을 탐구했으며, 의학, 연금술, 점성술, 신학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졌다.[88] 폴 더글러스 로크하트는 "프레데리크 2세는 거의 문맹이었을지도 모르지만 (...)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시대의 군주 중 드물게 계몽된 인물이었다"라고 평가했다.[70]

프레데리크 2세에 대한 부정적인 묘사는 1906년 페데르 옥세의 전기에서 문화사 학자 트로엘스 프레데리크 룬에 의해 시작되었고, 에리크 아루프에 의해 이어졌다. 아루프는 프레데리크 2세가 강하고 잔혹하며 성급하고 거칠어서 동시대인들에게도 충격적이었다고 썼다.

고집 세고 참을성이 없는 것으로 묘사되는 그는 쉽게 분노했고, 20대 초반부터 술과 사냥에 대한 중독을 보였다. 덴마크 역사가들은 이러한 특징에 집중하여 프레데리크 2세를 문맹, 술에 취한, 야만적인 주정뱅이로 묘사했다.[10]

그러나 이러한 묘사는 불공정하고 부정확하며, 프레데 P. 옌센의 연구 덕분에 수정되었다. 프레데 P. 옌센(1940–2008)은 철저한 기록 보관소 연구를 통해 프레데리크 2세에 대한 시각을 근본적으로 바꾼 덴마크 최초의 역사가 중 한 명이다.[89]

프레데리크 2세는 난독증으로 인해 훌륭한 학자는 아니었지만, 매우 지적이었고 학자들과의 교류를 갈망했다. 그는 솔직하고 충성스러웠으며, 동료 군주들과 친밀한 유대감을 형성하는 재능이 있었다. 이러한 자질은 그를 이상적인 정치가로 만들었다.[10]

코펜하겐 대학교의 부활과 중앙 행정부의 전문화, 국왕 측근의 학식 있는 인물들의 두각은 프레데리크 2세의 궁정에 독특하고 세련된 학문적 특성을 부여했다. 이는 왕국 전체에서 지적 활동의 증가를 낳았고, 문학은 주로 신학 분야에서 번성했다.[89]

프레데리크 2세는 덴마크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지배자였다. 그는 군사에 매료되었고, 1559년 디트마르셴 정복을 통해 첫 승리를 거두었다.

프레데리크 2세 통치 시기의 최대 대외적 충돌은 1563년부터 1570년까지 이어진 북방 7년 전쟁이었다. 이 전쟁에서 그는 스웨덴 정복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전쟁은 덴마크에 큰 피해를 입혔고, 군사적 한계를 드러냈다.

북방 7년 전쟁 이후 프레데리크 2세는 외교적으로 프로테스탄트 세력을 지원하면서도 중립을 유지했다. 그는 칼마르 동맹에 의해 영유하고 있던 그린란드에 원정했지만, 덴마크 영토라고 선언만 하고 철수했다.

인간으로서의 프레데리크 2세는 무모하고 자만심이 강하며, 용감하고 야심적이었다고 한다. 그는 사냥과 술, 연회를 좋아했고, 사망했을 때는 술이 원인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1574년부터 1585년까지 헬싱괴르의 크론보르 성을 재건했고, 1567년에는 노르웨이에 프레드리크스타를 건설했다. 그는 또한 유명한 천문학자 티코 브라헤의 주요 후원자이기도 했다.

1588년 4월 4일에 서거했으며, 유해는 로스킬레 대성당에 안장되었다. 왕위는 장남 크리스티안 4세가 계승했다.

4. 가계도

가계
크리스티안 3세와 작센라우엔부르크의 도로테아의 차남style="width:25%;" |1572년 조피 폰 메클렌부르크와 결혼, 7명의 자녀
자녀
엘리자베트1590년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 하인리히 율리우스와 결혼1573년 8월 25일 - 1626년 6월 19일
안나1589년 11월 23일, 스코틀랜드 왕 제임스 6세 (후일 잉글랜드 왕 제임스 1세)와 결혼1574년 10월 14일 - 1619년 3월 4일
크리스티안 4세덴마크와 노르웨이의 왕1577년 4월 12일 - 1648년 2월 28일
울리크 1578년 12월 30일 - 1624년 3월 27일
아우구스타1596년 8월 30일, 홀슈타인-고토르프 공 요한 아돌프와 결혼1580년 4월 8일 - 1639년 2월 5일
헤제비1602년 9월 12일, 작센 선제후 크리스티안 2세와 결혼1581년 8월 5일 - 1641년 11월 26일
한스 1583년 7월 9일 - 1602년 10월 28일

[92]

참조

[1] 서적 Christian 4. Politikens Forlag 1988
[2] 웹사이트 Frederik 2 (Dansk Konge) http://www.gravsted.[...]
[3] 문서 Derry, T. K. (Thomas Kingston), page 89
[4] 문서 Danmarks Historien, Christoffersen Peder, Gyldendals Forlag, side 298
[5] 웹사이트 Kongerækken http://kongehuset.dk[...] 2011-10-01
[6] 문서 Derry, T. K. (Thomas Kingston), page 99
[7] 문서 Derry, T. K. (Thomas Kingston), page 98
[8] 웹사이트 Frederiksborg Slot https://dnm.dk/frede[...] 2020-07-23
[9] 기타
[10] 문서 Lockhart, Paul D., page 36
[11] 웹사이트 Frederik II http://www.roskildeh[...] 2020-07-23
[12] 문서 Thanks in large part to the research of historian [[Frede P. Jensen]], who, after thorough archival studies, were able to provide a real and contemporary historical description of the King's character.
[13] 뉴스 Poul Grinder-Hansen: Frederik 2. Danmarks renæssancekonge https://tidsskrift.d[...] 2013
[14] 웹사이트 Frederik 2., 1534–1588 https://danmarkshist[...] 2020-07-21
[15] 문서 Grinder-Hansen, Poul, section 3-page 1
[16] 웹사이트 Frederik 2. - Kronborg Slot https://kongeligeslo[...] 2021-07-23
[17] 간행물 Frederik II of Denmark and Sophie of Mecklenburg – a Renaissance Star Couple. A German Royal Representational Form in Denmark? https://ojs.abo.fi/o[...] 2015-06-29
[18] 웹사이트 Frederik 2. http://www.historie-[...] 2021-07-23
[19] 웹사이트 Kronborg Helsingør Hamlets Castle Elsinore Denmark http://www.helsingor[...] 2021-07-23
[20] 웹사이트 Kronborg {{!}} lex.dk https://denstoredans[...] 2021-07-23
[21] 웹사이트 Dansesalen - Udforsk slottet - Kronborg Slot - Slotte og haver - Kongelige Slotte https://kongeligeslo[...] 2021-07-23
[22] 웹사이트 Frederik 2. ♔ 1559-1588 - Kongernes Samling https://www.kongerne[...] 2021-07-23
[23] 서적 The book of kings: a royal genealogy Garnstone Press 1973
[24] 문서 Grinder-Hansen, Poul, section 3-page 2
[25] 문서 Lockhart, Paul D., page 28
[26] 문서 Grinder-Hansen, Poul, section 3-page 9
[27] 웹사이트 Frederick II {{!}} king of Denmark and Norway https://www.britanni[...] 2020-07-22
[28] 서적 Reforming the north: the kingdoms and churches of Scandinavia, 1520–1545 2014-01-02
[29] 문서 Grinder-Hansen, Poul, section 4-page 1
[30] 문서 Lockhart, Paul D., page 35
[31] 문서 Grinder-Hansen, Poul, section 4-page 2
[32] 문서 Grinder-Hansen, Poul, section 4-page 3
[33] 문서 Grinder-Hansen, Poul, section 4-page 4
[34] 문서 Grinder-Hansen, Poul, section 4-page 5
[35] 웹사이트 289 (Dansk biografisk Lexikon / V. Bind. Faaborg – Gersdorff) https://runeberg.org[...] 2020-07-22
[36] 서적 Enevældens kroninger. Syv salvinger – ceremoniellet, teksterne og musikken Forlaget Falcon
[37] 서적 Norges historie: fremstillet for det norske folk. Aschehoug 1916
[38] 서적 Danmarks Konger: fra Christian I til Christian X Nationaltidene
[39] 문서 Lockhart, Paul D.
[40] 문서 DFH, i. 78–80; Colding, Studier, 68–77; Peder Enevoldsen, 'Lensreformerne i Danmark 1557–96', HTD, 81 (1981–82), 343–98
[41] 문서 Lockhart, Paul D.
[42] 웹사이트 Magnus, Konge af Lifland, 1540–83 https://runeberg.org[...] Dansk biografisk Lexikon 2016-08-15
[43] 웹사이트 Frederik 2 – Udforsk slottet – Kronborg Slot – Slotte og haver – Kongelige Slotte https://kongeligeslo[...] 2020-07-23
[44] 문서 Lockhart, Paul D.
[45] 서적 Danmarks konflikt med Sverige 1563–1570 Den danske historiske forening 1982
[46] 웹사이트 Frederik 2 https://snl.no/Frede[...] Store norske leksikon 2016-08-15
[47] 문서 Lockhart, Paul D.
[48] 웹사이트 Norsk biografisk leksikon – Frederik II http://nbl.snl.no/Fr[...]
[49] 문서 Lockhart, Paul D.
[50] 웹사이트 Christian III, Peder Oxe and the 1557 Meeting of the Great Council: Royal Purges and Succession http://www.historisk[...] historisktidsskrift.dk 2016-08-15
[51] 웹사이트 Oxe, Peder, 1520–75, Rigshofmester https://runeberg.org[...] Dansk biografisk Lexikon 2016-08-15
[52] 웹사이트 'Frederik 2 (Danish Kings and their History)' http://www.danskekon[...] 2010-05-10
[53] 서적 Frederik den Andens Statshusholdning C. A. Reitzel
[54] 서적 Alvej og kongevej studier i samfaerdselsforhold og vejenes topografi i det 16. og 17. århundrede ; [mit engl. Zsfassung.] Akad. Forl 1973
[55] 서적 Kronborgs bastioner. En fortifikationshistorisk studie. [With plans.]. 1954
[56] 웹사이트 Fredrikstad museum http://www.fredrikst[...]
[57] 웹사이트 ''Frederik II (1559–1588)'' (Familien Sørensens Hjemmeside – og Rejseholdet) http://www.aerenlund[...] 2010-05-10
[58] 웹사이트 Frederik 2. https://dnm.dk/opsla[...] 2020-07-23
[59] 문서 Derry, T. K. (Thomas Kingston)
[60] 문서 Derry, T. K. (Thomas Kingston)
[61] 문서 Lockhart, Paul D.
[62] 문서 Lockhart, Paul D.
[63] 문서 Derry, T. K. (Thomas Kingston)
[64] 서적 Frederik II and the Protestant cause: Denmark's role in the Wars of Religion, 1559–1596 Brill 2004
[65] 문서 Lockhart, Paul D.
[66] 서적 Frederik II and the Protestant cause: Denmark's role in the Wars of Religion, 1559–1596 Brill 2004
[67] 문서 Lockhart, Paul D.
[68] 문서 Lockhart, Paul D.
[69] 서적 A philosophical path for Paracelsian medicine: the ideas, intellectual context, and influence of Petrus Severinus (1540/2-1602) Museum Tusculanum Press, University of Cophenhagen 2004
[70] 문서 Lockhart, Paul D.
[71] 웹사이트 Life and Times of Tycho Brahe http://reformation.o[...] reformation.org 2016-08-15
[72] 백과사전 Jørgen (Thygesen) Brahe http://denstoredansk[...] 2016-08-15
[73] 서적 On Tycho's island: Tycho Brahe, science, and culture in the sixteen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74] 간행물 On Tycho's Island: Tycho Brahe and His Assistants, 1570–1601 On Tycho's Island: Tycho Brahe and His Assistants, 1570–1601 2001–2008
[75] 서적 The Lord of Uraniborg: a Biography of Tycho Bra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76] 웹사이트 Anne Corfitzdatter Hardenberg of Helsingborg http://www.guide2wom[...]
[77] 서적 Frederik 2 – Danmarks Renæssancekonge Gyldendal 2013-05-29
[78] 문서 Lockhart, Paul D.
[79] 문서 Lockhart, Paul D.
[80] 간행물 Frederik 2. og truslen fra de katolske magter https://tidsskrift.d[...] 1993
[81] 서적 Frederik 2.: Danmarks renæssancekonge https://books.google[...] Gyldendal A/S 2013-05-29
[82] 웹사이트 Günther {{!}} lex.dk https://biografiskle[...] 2021-07-24
[83] 서적 Illustreret Danmarkshistorie for Folket. 1914
[84] 간행물 Nogle Breve fra Frederik IIs Dronning Sofie til hendes Fader, hertug Ulrich af Meklenborg https://tidsskrift.d[...] 1892
[85] 서적 Frederik II – Danmarks Renæssancekonge Gyldendal
[86] 웹사이트 Dansk Kvindebiografisk Leksikon http://www.kvinfo.dk[...]
[87] 웹사이트 293 (Dansk biografisk Lexikon / V. Bind. Faaborg – Gersdorff) https://runeberg.org[...] 2020-07-23
[88] 서적 Studier i Danmarks politiske historie i slutningen af Christian III.s og begyndelsen af Frederik III.s tid. Nyt nordisk forlag—Arnord Busck 1939
[89] 문서 Lockhart, Paul D.
[90] 서적 Samlinger over en beskrivende Catalog over Portraiter af Danske, Norske og Holstenere http://www.kb.dk/e-m[...] J.H. Schultz
[91] 서적 Breve til og fra Herluf Trolle og Birgitte Gjøe (1. bind) https://books.google[...] Gustab Ludvig Wad
[92] 문서 The Ancestry of Charles II, King of England American Society of Genealogists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