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야구 매니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로야구 매니저는 엔트리브에서 개발한 TCG(Trading Card Game) 기반의 온라인 야구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이 게임은 TCG 방식을 차용하여 선수 카드를 수집하고, 작전 카드와 감독 카드를 활용하여 경기를 진행한다. 리그는 비기너부터 레전드까지 12개 등급으로 구성되며, 페넌트레이스 성적에 따라 승강이 결정된다. 게임 내 자금인 PT는 선수 영입, 재계약 등에 사용되지만, 유료 아이템 없이는 원활한 게임 진행이 어렵다는 비판이 있다. 선수 카드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선수 능력치는 스킬 블록, 유학, 팀 컬러 등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다. 선수 성명권 도용 논란과 게임의 현실성 부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구 게임 - 마구마구
마구마구는 프로 야구 선수 카드를 활용해 팀을 구성하고 다른 이용자와 대전하는 온라인 야구 게임으로, 직관적인 조작과 액션, 실황 중계, 다양한 선수 카드와 게임 모드를 특징으로 한다. - 야구 게임 - 프로야구 스피리츠
프로야구 스피리츠는 코나미에서 제작 및 배급하는 야구 시뮬레이션 비디오 게임 시리즈이며, 2004년부터 2019년까지 다양한 플랫폼으로 출시되어 일본 프로 야구 팀과 올스타팀을 포함한 게임을 제공한다. - 트레이딩 카드 게임 - 초속변형 자이로제타
초속변형 자이로제타는 자동차가 로봇으로 변형하는 자이로제터들을 중심으로 한 미디어 믹스 작품으로, 2012년 아케이드 게임을 시작으로 TV 애니메이션, 만화, 완구, 닌텐도 3DS 게임 등으로 전개되었다. - 트레이딩 카드 게임 - 퓨처 카드 버디파이트
퓨처 카드 버디파이트는 부시로드의 트레이딩 카드 게임이자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2030년경 지구를 배경으로 버디파이터가 버디 몬스터와 팀을 이루어 카드 게임 '버디파이트'를 통해 이세계와 연결된 세계에서 대결하는 이야기를 다룬다. - 2010년 비디오 게임 -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
스타크래프트 II: 자유의 날개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개발하여 2010년 출시된 실시간 전략 게임이자 스타크래프트 II 3부작의 첫 번째 작품으로, 테란 종족 중심의 싱글 플레이 미션과 멀티플레이어 모드를 제공하며, 3D 그래픽, 향상된 인터페이스, 유닛 상성 체계 등으로 차별화를 이루었으나, 출시 당시 논란도 있었고, 이후 무료화와 e스포츠 대회를 통해 인기를 유지하고 있다. - 2010년 비디오 게임 - 더 서드 버스데이
더 서드 버스데이는 다양한 게임 매체로부터 평가를 받았으며, 메타크리틱에서 71점을 기록했고, 일본에서는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다른 국가에서는 평가가 엇갈렸다.
프로야구 매니저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제목 | 프로야구 매니저 |
원작 | (프로야구팀을 만들자! ONLINE 2) |
개발사 | 세가 엔트리브 |
배급사 | 엔트리브 |
출시일 | 2010년 4월 15일 (정식 서비스) |
장르 | TCG 카드야구게임 / 온라인 게임 |
언어 | 한국어 |
이용가 등급 | 전체이용가 |
플랫폼 | 윈도우 XP·윈도우 비스타·윈도우 7·윈도우 8 (PC) 구글 안드로이드(모바일) |
입력 장치 | 마우스, 키보드 |
후속작 | 프로야구 H2 |
시스템 요구 사항 | |
CPU | Pentium4 1.4GHz 이상 |
RAM | 512Mb 이상 |
2. 게임의 방식
프로야구 매니저는 TCG와 스포츠 시뮬레이션 게임의 요소를 결합한 독특한 방식을 가지고 있다.
시합은 실제 시간으로 오전 7시부터 자정까지 하루 총 18경기가 매 정각마다 자동으로 진행되며, 경쟁 상대는 동일 리그의 다른 플레이어이다. 리그는 자신을 포함한 10명의 플레이어 혹은 그와 비슷한 인공지능(10명이 되지 않는 리그를 위한 제도)으로 구성되어 1주일간 진행되고, 1주일 후 재구성된다. 오전 7시부터 자정까지 계속 접속해 있지 않는 한 전술을 바꿀 수 없어, 다른 팀 정보를 보고 전술을 설정하기보다는 자신의 팀 전술만 사용해야 하므로, 다른 온/오프라인 시뮬레이션 게임에 비해 전술의 중요성은 낮다.
처음 시작하는 유저는 비기너 랭크에서 그 주의 토요일까지 머물며, 이후 루키 랭크로 올라가 경쟁한다. 루키 랭크부터는 리그 강등제가 있어, 페넌트레이스 성적에 따라 상위 4팀은 상위 리그로, 5~7위 팀은 동일 리그에 잔류, 하위 3팀은 하위 리그로 강등된다(올스타 기준. 루키~월드는 9~10위, 클래식부터는 7~10위 강등). 리그 페넌트레이스는 일요일 오전 7시부터 금요일까지 진행되며, 상위 4팀은 매주 토요일 플레이오프를 통해 시리즈 우승 팀을 가린다. 랭크 단계는 루키 - 마이너 - 메이저 - 월드 - 올스타 - 클래식 - 위너스 - 챔피언(챌린지) - 마스터 - 갤럭시 - 레전드 순이다(2015년 기준).[4]
2. 1. TCG 게임 장르
마구마구나 슬러거와 같은 야구 관련 온라인 게임들은 매 경기마다 캐릭터를 직접 조작하는 반면, 프로야구 매니저는 매시간 자동으로 진행되는 시합 자체에는 일절 개입할 수 없고, 매시간 진행되는 경기가 끝난 후 결과를 지켜볼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일반적인 온라인 스포츠 시뮬레이션 게임의 특징이며, 이 기능만을 프로야구 매니저가 차용하였다. 프로야구 매니저는 게임 카드를 뽑는 형식으로 선수단을 구성한다는 점과 작전 카드, 감독 카드 등을 통해 경기가 진행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시뮬레이션 게임과 차이를 보이며, 이런 면에서 TCG 게임이기 때문에 다른 온/오프라인 스포츠 시뮬레이션 게임들과는 차이를 보인다. 이 게임은 일본의 프로야구팀을 만들자 온라인 2(プロ野球チームをつくろう!ONLINE 2일본어)를 기반으로 한다.2. 2. 운용 자금
프로야구 매니저에서 PT는 선수 영입, 재계약, 유학, 보조 아이템 구입 등 게임 전반에 사용되는 게임 내 재화이다. PT는 매시간 벌어지는 경기의 결과에 따라 조금씩 지급되지만, 이것만으로는 구단 운용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유료 아이템을 사용하지 않고서는 게임을 정상적으로 플레이하기 어렵다. 유료 아이템을 통해 팀 전력을 강화한 유저만이 계속 발전하는 형태의 게임 플레이를 지원하여, 현실적인 야구단 운영과는 거리가 멀다는 비판을 받는다.2. 3. 선수단의 구성
1982년 KBO영어 원년 선수들 및 현재까지 현역, 은퇴 선수들의 카드가 등장한다.[4] 선수 카드는 연도, 팀, 성적에 따라 능력치가 다르다. 예를 들어, '04년 이범호는 '00년 이범호보다 능력치가 뛰어나며, '09년 김상현은 이적 전 LG 트윈스 소속일 때보다 이적 후 KIA 타이거즈 소속일 때 능력치가 더 높게 설정되어 있다. 이처럼 선수 카드는 연도와 소속팀에 따라 다르게 구분되지만, 다른 연도라도 같은 선수라면 한 라인업에 포함할 수 없다.모든 선수는 1부터 10까지의 코스트(별)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코스트가 높을수록 능력치가 좋다. 그러나 하위 리그에서는 1군에 등록할 수 있는 선수들의 총 코스트 합계가 상위 리그보다 낮게 제한된다. 따라서 리그에 따라 기용할 수 있는 고 코스트 선수의 수가 제한되므로, 코스트 총합에 맞춰 최적의 선수단을 구성해야 한다. 이는 구단의 명성이 낮으면 수입이 적어 선수단 연봉 총액(페이롤)에 제한을 받는 현실과는 달리, 단순히 코스트만으로 선수 기용을 제한하는 비현실적인 방식이며, 유료 아이템 판매를 위한 상술로 볼 수 있다.
또한 한 유저가 보유할 수 있는 카드 수는 기본적으로 100장으로 제한되지만, 유료 아이템을 통해 최대 300장까지 늘릴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유료 아이템 사용 유저에게 유리하게 작용하여, 일반적인 야구 시뮬레이션 게임과는 다르게 리그 성적에 유료 아이템이 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3. 리그의 구성
리그는 비기너 랭크부터 시작하여 루키, 마이너, 메이저, 월드, 올스타, 클래식, 위너스, 챔피언(챌린지), 마스터, 갤럭시, 레전드 순으로 구성된다. (2015년 기준)[1] 시합은 실제 시간으로 오전 7시부터 자정까지 매 정각마다 자동으로 진행되며, 하루에 총 18경기가 열린다. 각 리그는 10명의 플레이어 또는 비슷한 수준의 인공지능으로 구성되어 일주일간 진행된다.[1]
루키 랭크부터는 리그 강등제가 적용된다. 페넌트레이스 성적에 따라 상위 4개 팀은 상위 리그로 승격, 5~7위 팀은 동일 리그에 잔류, 하위 3개 팀은 하위 리그로 강등된다. (올스타 기준, 루키 이상부터 월드까지는 9~10위, 클래식부터는 7~10위가 강등)[1] 리그 페넌트레이스는 일요일 오전 7시부터 금요일까지 진행되며, 상위 4개 팀은 매주 토요일 플레이오프를 통해 시리즈 우승 팀을 가린다.[1]
3. 1. 코스트표
프로야구 매니저는 비기너부터 레전드까지 12등급으로 나뉘어 있으며, 각 등급은 전기, 중기, 후기 패넌트레이스로 구성된다. 각 리그에는 최대 코스트가 정해져 있으며, 리그 내에서도 전기, 중기, 후기에 따라 코스트가 다르다. (단, 비기너, 루키, 마이너 리그는 제외) 또한, 첫날(1일차)과 마지막 날(6일차)의 코스트는 하루에 1씩 증가하여 선수 구성을 다르게 할 수 있다. 게임 초기에는 월드가 가장 높은 리그였으나, 2015년 6월 현재는 레전드가 가장 상위 리그이다.코스트표는 아래와 같다.
- 포스트시즌의 코스트는 패넌트레이스 6일차와 같다.
- 승격했음에도 불구하고 후기 패넌트레이스를 진행하다 전기 패넌트레이스로 승격하게 된다면 코스트가 다운될 수도 있다.
- *: 예를 들면 후기 메이저에서 전기 월드로 승격하는 경우 143에서 129로 다운된다.
리그 | 시즌 | 비기너 | 루키 | 마이너 | 메이저 | 월드 | 올스타 | 클래식 | 위너스 | 챔피언 | 마스터 | 갤럭시 | 레전드 |
---|---|---|---|---|---|---|---|---|---|---|---|---|---|
전기 | 패넌트레이스 1일차 | 120 | 126 | 132 | 126 | 129 | 136 | 148 | 155 | 161 | 167 | 173 | 200 |
패넌트레이스 2일차 | 91 | 98 | 105 | 105 | 112 | 119 | 126 | 133 | 140 | ||||
패넌트레이스 3일차 | 92 | 99 | 106 | 106 | 113 | 120 | 127 | 134 | 141 | ||||
패넌트레이스 4일차 | 93 | 100 | 107 | 107 | 114 | 121 | 128 | 135 | 142 | ||||
패넌트레이스 5일차 | 94 | 101 | 108 | 108 | 115 | 122 | 129 | 136 | 143 | ||||
패넌트레이스 6일차 | 95 | 102 | 109 | 109 | 116 | 123 | 130 | 137 | 144 | ||||
포스트시즌 | 95 | 102 | 109 | 109 | 116 | 123 | 130 | 137 | 144 | ||||
중기 | 패넌트레이스 1일차 | 90 | 97 | 104 | 110 | 117 | 124 | 131 | 138 | 145 | |||
패넌트레이스 2일차 | 91 | 98 | 105 | 111 | 118 | 125 | 132 | 139 | 146 | ||||
패넌트레이스 3일차 | 92 | 99 | 106 | 112 | 119 | 126 | 133 | 140 | 147 | ||||
패넌트레이스 4일차 | 93 | 100 | 107 | 113 | 120 | 127 | 134 | 141 | 148 | ||||
패넌트레이스 5일차 | 94 | 101 | 108 | 114 | 121 | 128 | 135 | 142 | 149 | ||||
패넌트레이스 6일차 | 95 | 102 | 109 | 115 | 122 | 129 | 136 | 143 | 150 | ||||
포스트시즌 | 95 | 102 | 109 | 115 | 122 | 129 | 136 | 143 | 150 | ||||
후기 | 패넌트레이스 1일차 | 90 | 97 | 104 | 116 | 123 | 130 | 137 | 144 | 151 | |||
패넌트레이스 2일차 | 91 | 98 | 105 | 117 | 124 | 131 | 138 | 145 | 152 | ||||
패넌트레이스 3일차 | 92 | 99 | 106 | 118 | 125 | 132 | 139 | 146 | 153 | ||||
패넌트레이스 4일차 | 93 | 100 | 107 | 119 | 126 | 133 | 140 | 147 | 154 | ||||
패넌트레이스 5일차 | 94 | 101 | 108 | 120 | 127 | 134 | 141 | 148 | 155 | ||||
패넌트레이스 6일차 | 95 | 102 | 109 | 121 | 128 | 135 | 142 | 149 | 156 | ||||
포스트시즌 | 95 | 95 | 102 | 121 | 128 | 135 | 142 | 149 | 156 |
4. 카드의 종류
프로야구 매니저는 일본의 프로야구팀을 만들자 온라인 2(プロ野球チームをつくろう!ONLINE 2일본어)를 기반으로 하는 게임이다. 선수 카드를 뽑아 선수단을 구성하고, 작전 카드, 감독 카드 등을 통해 경기가 진행된다는 점에서 TCG의 특징을 보인다. 이는 다른 온/오프라인 스포츠 시뮬레이션 게임들과는 차별화되는 지점이다.[4]
선수 카드는 1982년부터 현역에서 활동한 선수들을 바탕으로 만들어지며, 연도나 팀에 따라 능력치가 다르다. 모든 선수는 1~10까지의 코스트(별)가 매겨져 있으며, 코스트가 높을수록 능력치가 뛰어난 경향이 있다. 선수 카드의 종류로는 일반 선수 카드, 올스타 카드, 국가대표 카드, 골든 글러브 카드, 레어 카드, EX 카드, 라이브 카드 등이 있다. 작전 카드는 경기 시작 전 설정하며 선수 능력치에 영향을 준다. 공통 작전 카드, 야수 작전 카드, 투수 작전 카드로 나뉜다. 서포트 카드는 팀 전체나 선수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카드이며, 팀 서포트 카드와 선수 서포트 카드가 있다. 수석 코치 카드는 특정 포지션, 나이대, 코스트를 가진 선수의 컨디션을 올려준다.
4. 1. 선수 카드
프로야구 매니저에는 다양한 종류의 선수 카드가 존재한다. 선수 카드는 1982년부터 2013년까지 현역에서 활동한 450여 명의 선수[4] 들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같은 선수라도 연도나 팀에 따라 능력치가 다르며, 2012년 2월 20일 기준으로 총 10,642장의 카드가 존재한다. 모든 선수는 1~10까지의 코스트(별)가 매겨져 있으며, 코스트가 높을수록 능력치가 뛰어난 경향이 있다.선수 카드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일반 선수 카드: 해당 시즌의 페넌트레이스 성적을 기준으로 능력치가 분배된 평범한 카드이다.
- 올스타 카드: 해당 연도 올스타전에 참여했던 선수들의 카드이다. 일반 선수 카드보다 야수는 교타력과 주력, 투수는 구속과 제구력이 높다.(9-10코스트 기준 2, 7-8코스트는 3, 5-6코스트는 4, 4코스트 이하는 5) 스킬블록 개방 시간이 빠르다.
- 국가대표 카드: 국제대회에 국가대표로 출전한 선수들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카드이다. 국제대회 성적만으로 능력치가 분배되었다. 2010년 10월 28일 업데이트 때부터 두 달간 판매되었다.
- 골든 글러브 카드: 해당 연도에 골든 글러브를 수상한 선수들의 카드이다. 일반 선수 카드보다 야수는 장타력과 수비력, 투수는 구위와 변화구가 높다. 스킬블록 개방 시간이 빠르다. 2011년 1월 27일 업데이트 이후 판매되고 있다.
- 레어 카드: 스킬 블록 칸이 모두 열려 있고, 스킬 블록 효과를 두 배로 받는다.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을 낸 선수나 유망주에게 주어지는 카드이다.
- EX 카드: 해당 연도에 가장 뛰어난 활약을 보인 선수에게 주어지는 카드이다. 코스트는 9 또는 10이다. 스킬 블록 칸이 모두 열려 있고, 스킬 블록 효과를 1.5배로 받는다.
- 라이브 카드: 한 달간의 성적만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카드이다. 라이브 카드팩에서 얻을 수 있다.
4. 2. 작전 카드
작전 카드는 선수 능력치에 영향을 주는 카드로, 경기 시작 전에 설정해야 한다. 작전 카드는 다음 세 종류로 나뉜다.- 공통 작전 카드: 팀 전체 선수에게 영향을 준다.
- 야수 작전 카드: 야수에게 영향을 준다.
- 투수 작전 카드: 투수에게 영향을 준다.
4. 3. 서포트 카드
팀 전체나 선수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카드이다. 컨디션을 올려주거나 능력치를 올려주기도 한다. 2일 동안 효과가 지속되며, 중간에 사용을 취소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카드가 사라진다.[1]- 팀 서포트 카드: 팀 전체, 혹은 그 중 특정 공통점을 가진 선수들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카드이다.[1]
- 선수 서포트 카드: 선수 개인의 컨디션이나 능력치를 올려주는 카드이다.[1]
4. 4. 수석 코치 카드
1군에 등록된 선수들 중에서 특정 포지션, 나이대, 코스트의 선수의 컨디션을 올려준다.[1]5. 게임 시스템
의 게임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선수들은 매일 컨디션과 팀 분석 수치가 바뀌는데, 컨디션은 카드에 화살표 모양의 아이콘으로 표시되고, 팀 분석 수치는 작전 메뉴에서 보이는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컨디션과 팀 분석 수치는 타선의 위치나 앞뒤 타석 선수와의 관계 등에 따라 수시로 변화한다. 컨디션이 나쁜 경우 좋은 능력치를 가지고 있더라도 그 능력치가 잘 발휘되지 못하며, 능력치가 낮더라도 컨디션이 좋은 경우 뜻밖의 활약을 하기도 한다.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선수들을 모으면 팀 컬러가 발동되며, 선수 능력치를 향상시킨다.[4] 팀 컬러는 두 개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종류는 다음과 같다.
- 공통 팀 컬러: 투수, 야수에 관계없이 공통점을 가진 선수들이 일정 수 이상 모이면 발동된다.
- 야수 팀 컬러: 야수 중에서 공통점을 가진 선수들이 일정 수 이상 모이면 발동된다.
- 투수 팀 컬러: 투수 중에서 공통점을 가진 선수들이 일정 수 이상 모이면 발동된다.
- 연도 팀 컬러: 투수, 야수가 공통적인 팀과 연도를 가진 선수들이 일정 수 모이면 발동되는 팀 컬러로, 야수 전 능력치 +17, 투수 전 능력치 +12라는 효과를 발휘하며, 팀에 따라 능력치가 많이 달라진다. 2012년 현재 최고의 연도 팀 컬러는 08 SK이다.
5. 1. 능력치
모든 선수는 1~10까지의 코스트(별)가 매겨져 있는데, 대부분의 경우 코스트가 높을수록 능력치도 뛰어나다. 그러나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선수 카드 뒷면의 빈 공간에 테트리스 블록 모양의 스킬 블록을 장착하거나, 해외로 선수를 유학 보내 능력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4] 하지만 유학은 25세 이하 35세 이상만 가능하다. '눈물의 섬'이라는 유학지는 전 연령이 가능하나 정신 능력치만 오른다. 외국인 선수는 유학이 불가능하다. 선수단 배열에 특정한 조건을 만족시킬 경우 나타나는 팀 컬러를 장착해 주면 기본적인 능력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선수와 재계약을 하는 경우에도 특정 능력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시뮬레이션 게임인데도 나이에 따른 능력치 하락 요소가 없으며, 시간은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의 개념으로만 쓰이는 비현실성을 보인다.5. 2. 컨디션과 팀 분석수치
선수들은 매일 컨디션과 팀 분석 수치가 바뀌는데, 컨디션은 카드에 화살표 모양의 아이콘으로 표시되고, 팀 분석 수치는 작전 메뉴에서 보이는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컨디션과 팀 분석 수치는 타선의 위치나 앞뒤 타석 선수와의 관계 등에 따라 수시로 변화한다. 컨디션이 나쁜 경우 좋은 능력치를 가지고 있더라도 그 능력치가 잘 발휘되지 못하며, 능력치가 낮더라도 컨디션이 좋은 경우 뜻밖의 활약을 하기도 한다.5. 3. 팀 컬러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선수들을 모으면 팀 컬러가 발동되며, 선수 능력치를 향상시킨다.[4] 팀 컬러는 두 개까지 사용할 수 있다.- 공통 팀 컬러: 투수, 야수에 관계없이 공통점을 가진 선수들이 일정 수 이상 모이면 발동된다.
- 야수 팀 컬러: 야수 중에서 공통점을 가진 선수들이 일정 수 이상 모이면 발동된다.
- 투수 팀 컬러: 투수 중에서 공통점을 가진 선수들이 일정 수 이상 모이면 발동된다.
- 연도 팀 컬러: 투수, 야수가 공통적인 팀과 연도를 가진 선수들이 일정 수 모이면 발동되는 팀 컬러로, 야수 전 능력치 +17, 투수 전 능력치 +12라는 효과를 발휘하며, 팀에 따라 능력치가 많이 달라진다. 2012년 현재 최고의 연도 팀 컬러는 08 SK이다.
6. 논란
《프로야구 매니저》는 선수 카드를 뽑아 선수단을 구성하고, 작전 카드와 감독 카드로 경기를 진행하는 등 일반적인 시뮬레이션 게임과 다른 특징을 가져 TCG 게임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4]
게임 내 운용 자금(PT)은 경기 결과에 따라 지급되지만, 이것만으로는 구단 운용이 어려워 유료 아이템 사용이 요구된다. PT 획득 방식이 승리에만 의존하고 팀 전력 강화에만 치중하여, 현실적인 야구단 운영과는 거리가 있다.[4]
게임 내 선수 카드는 1982년부터 2013년까지 활동한 선수들을 기반으로 하지만,[4] 연도와 팀에 따라 능력치가 다르게 설정된다. 그러나 한 경기에서 같은 선수가 양 팀에서 동시에 뛰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선수 카드의 종류가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선수 코스트(별) 시스템은 높을수록 능력치가 뛰어나지만, 리그에 따라 사용 가능한 선수 코스트 총합이 제한되어, 구단의 명성이 아닌 선수 코스트로 선수 기용을 제한하는 비현실적인 요소가 있다.
엔트리브는 《프로야구 매니저》의 선수 성명권에 대해 현역 선수는 문제가 없지만, 은퇴 선수는 성명권 도용 논란이 있다고 밝혔다.[5] 또한, 게임 내 작전 시스템이 감독의 재량이 아닌 작전 카드에 의존하고, 그 내용도 현실과 동떨어진 경우가 많아 실제 야구단 운영과는 거리가 있다.[5]
6. 1. 선수 성명권 도용 논란
엔트리브는 《프로야구 매니저》에서 실명 선수들의 성명권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현역 선수들은 KBOP(KBO의 마케팅 자회사)와 계약하여 법적 문제가 없지만, 은퇴 선수들과는 계약을 맺지 않아 성명권 도용 논란이 있었다. CJ인터넷의 마구마구와 네오위즈게임즈의 슬러거는 은퇴 선수 라이선스 문제로 소송을 당하며, 은퇴 선수 성명권 사용에 대한 보상 없이 이윤을 추구했다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5]6. 2. 게임의 현실성 부족
프로야구 매니저는 선수단을 구성할 때 게임 카드를 뽑는 형식으로 진행하며, 작전 카드와 감독 카드를 통해 경기가 진행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시뮬레이션 게임과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TCG 게임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4]게임 내 운용 자금인 PT는 경기 결과에 따라 지급되지만, 이것만으로는 구단 운용이 어려워 유료 아이템 사용이 요구된다. PT 획득 방식이 단순히 승리에만 의존하고, 팀 전력 강화에만 치중하는 형태로, 현실적인 야구단 운영과는 거리가 멀다.[4]
게임 내 선수 카드는 1982년부터 2013년까지 활동한 선수들을 기반으로 하지만,[4] 연도나 팀에 따라 능력치가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한 경기에서 같은 선수가 양 팀에서 동시에 뛰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는 선수 카드의 종류가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선수 코스트(별) 시스템은 높을수록 능력치가 뛰어나지만, 리그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선수 코스트 총합이 제한된다. 이는 구단의 명성이 아닌 선수 코스트로 선수 기용을 제한하는 비현실적인 요소이다.
엔트리브 측은 프로야구 매니저의 선수 성명권에 대해 현역 선수는 문제가 없지만, 은퇴 선수의 경우 성명권 도용 논란이 있다.[5] 또한, 게임 내 작전 시스템이 감독의 재량이 아닌 작전 카드에 의존하고, 그 내용도 현실과 동떨어진 경우가 많아, 실제 야구단 운영과는 거리가 있다.[5]
참조
[1]
문서
[2]
기사
게임동아 기사
http://www.gamedonga[...]
[3]
기사
디스이즈게임 기사
http://www.thisisgam[...]
[4]
기사
프로야구 매니저, 4월 15일 정식 오픈
http://www.thisisgam[...]
[5]
웹인용
엔트리브,‘프야매’ 시한폭탄 운영… 은퇴선수 도용 ‘모르쇠’
https://web.archive.[...]
2010-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