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페르티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로페르티우스는 기원전 1세기 로마의 비가 시인으로, 4권의 비가집을 남겼다. 그의 생애에 대한 정보는 시를 통해 추정되며, 아시시 근처에서 태어나 부유한 집안에서 자랐지만, 몰수와 아버지의 죽음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로마에서 활동하며, 예술 후원자 마케나스의 지원을 받았고, 신티아를 주제로 한 사랑의 시를 주로 썼다. 그의 시는 갑작스러운 전환과 신화적 암시가 특징이며, 텍스트의 문제로 인해 연구가 진행되었다. 프로페르티우스는 오비디우스, 호라티우스 등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르네상스 시대에 재평가되어 현대에도 다양한 작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시 출신 - 아시시의 클라라
아시시의 클라라는 프란치스코의 영향을 받아 가난한 삶을 실천하고 여성 수도 공동체인 클라라회를 창설하여 여성 수도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 이탈리아의 수녀이자 성녀이다. - 아시시 출신 -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아시시의 프란치스코는 12세기 후반 이탈리아에서 태어난 가톨릭 성인이자 프란치스코회의 창시자로, 세속적인 삶을 버리고 가난과 봉사의 삶을 통해 청빈, 겸손, 헌신을 강조하며 복음을 전파하고 자연과 소외된 이들을 사랑했다. - 기원전 1세기 시인 - 베르길리우스
베르길리우스는 《아이네이스》, 《농경시》, 《목가》 등의 작품으로 유명한 고대 로마의 시인으로,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후원을 받았으며, 그의 작품은 후대 서구 문학과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기원전 1세기 시인 - 사마천
사마천은 중국 전한 시대의 역사가, 천문학자, 역법가로서 중국 최초의 통사로 평가받는 『사기』를 저술하여 기전체를 확립하고 역사 서술과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이릉 변호 사건으로 궁형을 받는 고난을 겪었으며 태초력 제정에도 참여하는 등 천문학과 역법에도 업적을 남겼다. - 기원전 1세기 사망 - 루크레티우스
루크레티우스는 기원전 1세기 로마 공화정 시대의 시인이자 철학자로, 대표작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를 통해 에피쿠로스 철학, 특히 원자론과 유물론적 세계관을 로마 사회에 소개하고 자연 현상에 대한 과학적 설명을 제시하여 인간을 죽음의 공포로부터 해방시키고자 했다. - 기원전 1세기 사망 - 세르빌리아 카이피오니스
세르빌리아 카이피오니스는 로마 공화정 말기에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연인이자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의 어머니로, 혼란한 정치 상황 속에서 가문의 영향력을 유지하고 자녀의 미래를 위해 활동한 귀족 여성이다.
프로페르티우스 | |
---|---|
인물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섹스투스 프로페르티우스 |
로마자 표기 | Sextus Propertius |
출생 | 기원전 50년경 |
출생지 | 아마도 움브리아 |
사망 | 기원전 15년경 |
직업 | 시인 |
활동 시기 | 로마 공화정, 로마 제국 |
장르 | 엘레기 |
2. 생애
프로페르티우스에 관해서는 그의 저작 외에는 알려진 정보가 거의 없다. 그의 프라에노멘 "섹스투스"는 아일리우스 도나투스(Aelius Donatus)에 의해 언급되었으며,[5] 몇몇 필사본에는 그를 "섹스투스 프로페르티우스"로 기록하고 있지만, 나머지 이름은 알려져 있지 않다.
두 번째 비가집은 아마도 1년 후에 출판되었으며, 마케나스에게 직접 보낸 시와 아우구스투스에 대한 찬사를 포함하고 있다. 19세기 고전학자 칼 라흐만은 이 책의 비정상적으로 많은 수의 시와 프로페르티우스가 언급한 ''트레스 리벨리''(tres libelli)를 근거로[15] 이 책이 실제로 필사본 전통에서 병합된 두 개의 별도 시집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주장을 제기했으며, 이는 "제2권"의 필사본 전통의 상태에 의해 뒷받침된다. 프로페르티우스의 편집자인 폴 페델리(Paul Fedeli)와 로브판 편집자인 G.P. 굴드(G.P. Goold)도 이 가설을 받아들이고 있다.
세 번째 책은 기원전 23년 이후 어느 시점에 출판되었다.[16] 그 내용은 시인이 단순한 사랑의 주제에서 벗어나기 시작했음을 보여주며, 일부 시(예: III.5)는 ''아모르''를 다른 주제를 위한 시작점으로만 사용한다. 기원전 16년 이후에 출판된 제4권은 시인의 야심 찬 의제를 더 많이 보여주며, 다양한 로마 의식과 랜드마크의 기원을 설명하는 여러 원인론적 시를 포함한다.
2. 1. 출생과 가문
프로페르티우스는 기원전 55년에서 50년 사이 움브리아 지방의 아시시(Assisi) 근처에서 태어났다.[7] 그의 출생지는 일반적으로 현대 아시시로 여겨진다.[8] 그는 유복한 집안 출신이었으나,[7] 어린 시절 아버지가 사망하고 기원전 41년 옥타비아누스가 퇴역 군인들에게 토지를 할당하면서 재산의 일부를 잃었다.[9]2. 2. 로마에서의 활동
프로페르티우스의 어머니는 그를 공직에 진출시키고자 했다.[11] 그의 시에 등장하는 풍부한 난해한 신화는 그가 훌륭한 교육을 받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기원전 33년의 집정관인 루키우스 볼카티우스 툴루스의 조카인 툴루스와 같은 친구들에 대한 빈번한 언급[12], 그리고 그가 로마의 에스퀼리노 언덕에 살았다는 사실은[13] 그가 기원전 20년대 초반에 부유하고 정치적으로 연결된 사람들의 자녀들 사이에서 활동했음을 나타낸다.프로페르티우스는 기원전 30년경에 '신티아'가 주요 주제인 첫 번째 사랑의 비가집을 출판했다.[14] 이 책은 ''신티아 모노비블로스''라는 제목이 붙여졌다. ''모노비블로스''는 예술 후원자였던 마케나스의 관심을 끌었고, 그는 프로페르티우스를 자신의 궁정 시인 그룹에 포함시켰다.
2. 3. 죽음
오비디우스Ovidiusla의 비가는 기원전 2년에 쓰였는데, 이를 통해 프로페르티우스가 이때까지 사망했음을 알 수 있다.[15] 학자들은 그의 마지막 작품인 제4권이 출판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그가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한다.[15] 제4권은 제1권보다 시의 수가 절반밖에 되지 않는데, 시의 내용이 변화된 것을 고려할 때, 그의 죽음으로 인해 더 이상 탐구를 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15]3. 작품
프로페르티우스의 명성은 총 92편의 시로 구성된 4권의 비가집에 기반한다.[17] 그의 모든 시는 기원전 1세기 말 로마 사교계에서 유행했던 비가 대구(elegiac couplet) 형식으로 쓰였다.
프로페르티우스의 작품은 대부분의 비가 시인들과 마찬가지로, '킨티아'라는 이름으로 시 전반에 걸쳐 등장하는 한 여성 인물에 의해 지배된다. 킨티아는 첫 번째 책의 비가집 절반 이상에서 이름이 언급되고, 다른 여러 시에서도 간접적으로 등장하는데, 이는 《모노비블로스(Monobiblos)》의 첫 번째 시 첫 단어에서부터 시작된다.
Cynthia prima suis miserum me cepit ocellis,|킨티아가 먼저 불쌍한 나를 그녀의 눈으로 사로잡았고,la
contactum nullis ante cupidinibus.|나는 이전에는 어떤 욕망에도 사로잡힌 적이 없었다.la
네 번째 책은 프로페르티우스가 새로운 시적 방향을 계획하고 있었음을 강력하게 시사한다. 이 책에는 로마와 그 랜드마크의 신화적 기원을 검토하는 여러 원인 설명 시가 포함되어 있으며, 아우구스투스와 새로운 로마를 위한 그의 의제에 대한 비판적이고 심지어 모호하게 전복적인 해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입장은 현재 현대 고전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다.[24] 마지막 시[25]는 최근 세상을 떠난 코르넬리아가 남편 루키우스 아에밀리우스 레피두스 파울루스와 세 자녀를 위로하는 감동적인 연설이다. 이 시는 코르넬리아가 아우구스투스 가문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황제의 위임을 받았을 가능성이 크지만, 그 품격, 고귀함, 비애로 인해 비평가들은 "비가집의 여왕"이라 부르며, 일반적으로 이 시를 최고로 간주한다.
프로페르티우스의 시는 갑작스러운 전환과 상상력이 풍부한 암시가 특징이다. 그의 독특한 언어 사용은 텍스트의 훼손된 상태와 맞물려 시 편집을 어렵게 만들었다.
3. 1. 킨티아와의 사랑
킨티아는 프로페르티우스 시의 중심인물로, 첫 번째 책의 첫 단어부터 등장한다. 아풀레이우스는 그녀의 본명을 "호스티아"라고 언급했다.[17] 프로페르티우스는 그녀가 로마 시인 호스티우스의 후손이라고 암시했지만,[18] 현대 학문은 '킨티아'의 창조가 로마 사랑 비가에서 문학적 관습의 일부, 즉 'scripta puella'(허구의 '쓰여진 소녀')임을 나타낸다.[19]프로페르티우스는 그녀를 'docta puella'(학식 있는 소녀)[20]라고 칭송하며, 술피키아와 같은 여류 시인으로 묘사한다.[21] [38] 이러한 문학적 관계는 감정의 극단을 오가며, 적어도 세 번째 책이 출판될 때까지 그녀는 시인의 연인으로서 삶을 지배했다.
cuncta tuus sepelivit amor, nec femina post te
ulla dedit collo dulcia vincla meo.|attr1=(III.15.11-2)|너의 사랑은 다른 모든 것을 묻어버렸고, 너 이후 어떤 여자도 내 목에 달콤한 족쇄를 걸어주지 않았다.la
프로페르티우스의 많은 시는 정확한 연대를 파악하기 어렵지만, 라틴 비가 시인들 사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선언, 열정, 질투, 다툼, 애도의 종류를 기록하고 있다. 세 번째 책의 마지막 두 시는 킨티아와의 최종적인 결별을 암시하는 것으로 보인다(''versibus insignem te pudet esse meis'' - "나의 시가 당신을 유명하게 만든 것이 부끄럽다"[22]). 이 마지막 책에서 킨티아는 단 두 편의 시의 주제이며, 추신으로 간주하는 것이 가장 좋다. 관계의 양극적 복잡성은 마지막 책의 감동적이고 재미있는 시에서 충분히 드러난다. 킨티아의 유령은 무덤 너머에서 프로페르티우스에게 비판(그 외에도)을 하며, 그녀의 장례식이 충분히 화려하지 않았다고 지적하지만, 시인의 갈망은 마지막 구절에 남아 있다. ''inter complexus excidit umbra meos.'' - "그녀의 그림자는 나의 포옹에서 벗어났다."[23]
3. 2. 시의 특징
프로페르티우스의 시 스타일은 갑작스러운 장면 전환(라틴 신시파 시의 방식)과 그리스·로마 신화와 전설의 잘 알려지지 않은 구절에 대한 상상력이 풍부한 암시를 많이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25] 그의 독특한 언어 사용은 텍스트의 훼손된 상태와 맞물려 그의 비가집을 편집하기 어렵게 만들었다.[25]현존하는 프로페르티우스의 사본 중 가장 오래된 것은 12세기의 것이다.[40] 그러나 이 사본에 실린 시의 일부는 지리멸렬하다. 예를 들어 제1권 8은 킨티아가 항해 계획을 취소한 것을 변명하는 부분으로 시작하지만, 마지막에는 항해를 중단한 기쁨으로 끝난다.[40]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은 이 시의 전반부를 8a(26행까지), 후반부를 8b(27행부터 46행까지)로 분할하고 있다.[40]
텍스트에는 많은 통사적, 구조적, 논리적 문제가 포함되어 있다.[40] 일부는 프로페르티우스의 대담하고 때로는 파격적인 라틴어 사용이 문제를 악화시키고 있다.[40]
3. 3. 텍스트 문제
현존하는 프로페르티우스의 필사본은 146개이며, 가장 오래된 것은 12세기의 것이다.[40] 그러나 이 필사본들에는 통사적, 구조적, 논리적 문제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학자들은 텍스트를 수정하고 재배열하는 작업을 진행해 왔다.[40] 예를 들어, 1권의 8번 시는 신티아에게 계획된 해상 여행을 포기해 달라고 간청하는 내용으로 시작하여, 여행이 취소된 것에 대한 갑작스러운 기쁨으로 끝을 맺는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학자들은 이 시를 8a (처음 26행)와 8b (27~46행)로 나누어 분석한다.[40]2권 26번 시는 더 복잡한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다. 이 시는 (1) 신티아가 난파되는 꿈을 꾸고, (2) 신티아의 정절을 찬양하며, (3) 그녀가 항해할 계획이고 자신도 함께 갈 것이라고 선언한다. (4) 두 사람이 해변에 함께 있는 장면으로 전환된 후, (5) 갑자기 다시 배에 태워 바다의 위험에 직면할 준비를 하는 등 혼란스러운 구성을 보인다. 이러한 이미지들은 논리적으로나 시간적으로 충돌하는 것처럼 보여, 여러 학자들이 텍스트의 줄을 재배열하거나, 텍스트에 일부 공백이 있다고 가정하게 만들었다.[40]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문제가 프로페르티우스의 의도적인 문체적 선택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40] 이들은 프로페르티우스가 삼일치와 같은 고전적 문학 원칙을 의도적으로 위반하여 단절된 이미지를 제시했다고 본다. 이러한 해석은 프로페르티우스의 스타일이 고전 문학 이론에 대한 가벼운 반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을 시사한다.[40]
4. 영향
프로페르티우스는 생전에 인기가 많았으며, 스스로 스캔들을 일으켰다고 말한다.[27] 그의 인기는 폼페이의 낙서에서 그의 시가 발견된 것으로도 증명된다.[31]
중세 시대에 프로페르티우스는 잊혔지만, 르네상스 시대에 다른 비가 시인들과 함께 다시 주목받았다. 페트라르카의 사랑 소네트는 그의 글의 영향을 뚜렷하게 보여주며, 아이네아스 실비우스(훗날 교황 비오 2세)는 젊은 시절의 비가 모음집을 "Cinthia(킨티아)"라고 이름 붙였다. 벤 존슨의 작품으로 여겨지는(논란의 여지는 있음) "Propertian Elegies(프로페르티우스풍 엘레지)"라는 시집도 있다. 괴테의 1759년 시집 "로마 비가" 또한 프로페르티우스의 시와 어느 정도 유사성을 보인다.
20세기에는 에즈라 파운드의 시 "섹스투스 프로페르티우스에게 바치는 경의"가 있다. 이 시는 프로페르티우스를 풍자 작가이자 정치적 반체제 인사로 묘사했으며,[41] 파운드의 비가 번역/해석은 파운드 자신의 이미지즘 예술 이론의 고대 예시로 제시했다. 이미지스트적 해석, 시인의 내적 독백을 유지하려는 경향, 그리고 그의 시의 깊이 있는 개인적 성격은 프로페르티우스를 현대 시대에 즐겨 읽히는 시인으로 만들었다. 최근에는 프로페르티우스의 영어 번역본 두 권이 출판되었고,[42] 극작가 톰 스토파드는 그의 희곡 "사랑의 발명"(1997년)[43]에서 프로페르티우스가 오늘날 서구 세계에서 "낭만적 사랑"으로 여기는 것의 많은 부분에 기여했다고 시사한다.
요제프 브로드스키가 러시아어로 쓴 시 "Anno Domini"(1968년)의 서정적 주인공은 프로페르티우스이다.
5. 평가
에즈라 파운드는 프로페르티우스를 풍자 작가이자 정치적 반체제 인사로 묘사하며, 그의 비가를 이미지스트 예술 이론의 고대 예시로 제시했다.[35] 파운드는 프로페르티우스에게서 '로고포에이아', 즉 "단어 사이의 지성의 춤"을 발견했다. 길버트 하이게트는 프로페르티우스의 신화적 암시와 우회적인 표현 사용을 그 원인으로 꼽았다. 이러한 이미지스트적 해석과 시인의 내적 독백, 시의 깊이 있는 개인적 성격은 프로페르티우스를 현대 시대에 즐겨 읽히는 시인으로 만들었다. 톰 스토파드는 그의 작품 ''사랑의 발명''에서 프로페르티우스가 오늘날 서방 세계가 "낭만적 사랑"으로 여기는 것의 많은 부분을 책임졌다고 시사한다.
프로페르티우스의 명성은 4권의 『엘레게이아』 시집에 기반한다. 그의 엘레게이아 시는 모두 기원전 1세기 로마 사교계에서 유행했던 "엘레게이온"이라는 시형(엘레지#고전 시 참조)으로 쓰여졌다. 대부분의 엘레게이아 시인과 마찬가지로 프로페르티우스의 시는 한 여성, 즉 "킨티아(Cynthia)"에 대한 이야기로 채워져 있다. 아풀레이우스는 킨티아의 본명이 "호스티아(Hostia)"라고 했다.[37] 프로페르티우스는 킨티아를 "교양 있는 숙녀"로 칭찬하며, 술피키아처럼 자신도 시를 썼다고 한다.[38]
두 사람의 관계는 감정의 양극단을 크게 오갔으며, 적어도 제3권 발표 시점까지 킨티아는 연인으로서 프로페르티우스의 인생을 지배했다. 제3권의 마지막 두 시는 킨티아와의 최종적 파국을 보여주는 듯하며, 킨티아는 마지막 제4권이 발표되기 전에 죽은 듯하다. 제4권에서 킨티아를 주제로 한 것은 후기 인사말인 단 두 편의 시뿐이다. 킨티아의 유령이 자신의 장례식이 호화롭지 않았다고 프로페르티우스를 비판하는 시에서 그 복잡성이 드러난다.
제4권은 프로페르티우스가 새로운 시의 방향을 꾀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로마와 그 역사적인 건물의 신화적 기원을 다룬 몇 가지 원인학(:en:Etiology#Mythology)적 시는 아우구스투스와 그의 정책에 대한 비판으로 읽힐 수 있지만, 현대 고전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논란이 되고 있다.[39] 마지막 시(제4권 11)는 기원전 16년에 사망한 코르넬리아 스키피오(:en:Cornelia Scipio)의 장례식을 위해 쓰여진 것으로, "엘레게이아의 여왕"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프로페르티우스의 스타일은 갑작스러운 장면 전환과 그리스·로마 신화·전설의 잘 알려지지 않은 구절에 대한 은유로 특징지어진다. 이러한 표현 방식은 텍스트의 훼손된 상태와 맞물려 교정 문제를 야기한다. 존 퍼시벌 포스트게이트와 알프레드 에드워드 하우스먼이 텍스트의 원전 연구 및 교정을 했다.
참조
[1]
서적
Classical Dictionary
[2]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Latin Love Eleg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3]
서적
Texts, Editors, and Readers: Methods and Problems in Latin Textual Criticis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4]
서적
Ancient Greek Epigrams: Major Poets in Verse Transla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0
[5]
문서
Vita Vergiliana
[6]
문서
Propertius' collections
[7]
백과사전
Propertius, Sextus
[8]
웹사이트
Key to Umbria: Assisi
http://www.keytoumbr[...]
[9]
문서
IV.1.127
[10]
문서
Tristia IV.10.41-54
[11]
문서
IV.1.131
[12]
문서
I.1.9, 6.2, 14.20, and 22.1
[13]
문서
III.23.24
[14]
서적
Elegies
https://www.loebclas[...]
Harvard University Press
2023-05-01
[15]
문서
II.13.25
[16]
문서
III.18
[17]
문서
Apologia, ch. X
[18]
문서
III.20.8
[19]
논문
The Politics of Elegy: Propertius and Tibulllus
https://doi.org/10.1[...]
Brill
[20]
문서
I.7.11; II.131.6; II.13.11
[21]
문서
I.2.27-8
[22]
문서
III.24.4
[23]
문서
IV.7.96
[24]
서적
The Politics of Desire: Propertius IV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1
[25]
문서
IV.11
[26]
서적
Propertius: Modernist Poet of Antiquity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89
[27]
문서
II.24a.1-8
[28]
문서
Epistles II.2.87-104
[29]
문서
III.1.1-2
[30]
서적
A Handbook of Latin Literature
London
1966
[31]
서적
A Handbook of Latin Literature
London
1966
[32]
서적
Ovid: The Love Poems
OUP
2008
[33]
서적
The Wandering Scholars
London
1927
[34]
서적
Paradise Selected Poems
Bloodaxe
1993
[35]
서적
[36]
문서
[37]
문서
[38]
문서
[39]
서적
The Politics of Desire: Propertius IV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0]
서적
Propertius: Modernist Poet of Antiquity
S. Illinois Univ. Press
[41]
문서
[42]
문서
[43]
문서
[44]
웹사이트
“프로페르티우스”
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언어II·[...]
2017-1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