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린켑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린켑스는 로마 군단에서 다양한 직책을 나타내는 용어였으며, 로마 행정 및 로마 황제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로마 황제는 '프린켑스 시비타티스'(제1 시민)라는 칭호를 사용했으며, 이는 원수정 로마 제국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프린켑스"는 "동료 중 으뜸"을 의미하는 원로원 의장인 '프린켑스 세나투스'의 지위에서 유래되었으며, 아우구스투스는 이 칭호를 통해 공화정을 존중하는 정치적 자세를 강조했다. 이 용어는 이후 다양한 생물학적 분류 및 픽션 작품에서도 사용되었다.
백부장은 부대 또는 행정 사무소를 지휘했다.[1]
''프린켑스''(Princeps)는 오피키움(로마 고위 관리의 사무실 직원)의 우두머리인 프린켑스 오피키이(Princeps officii)의 약칭이기도 하다.
로마 황제는 '임페라토르', 아우구스투스, 카이사르' 등 다양한 공식 칭호를 사용했다. 이후에는 도미누스 (주군)와 βασιλεύς|바실레우스grc ("주권자"를 뜻하는 그리스어) 등의 칭호도 사용되었다. '황제'라는 단어는 로마 칭호 '임페라토르'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아우구스투스가 자신의 사전 이름으로 사용하기 전까지는 매우 높은 군사적 칭호였지만, 배타적인 칭호는 아니었다.
2. 로마 군사
2. 1. 직책
프린켑스는 다양한 군사 직함의 두 번째 부분으로 사용되었다.
''프린켑스''는 ''데쿠리오 프린켑스'', 기수(旗手)들 중의 시그니페르 프린켑스 등과 같은 다양한 군사 직함의 두 번째 부분으로도 사용되었다. 또한 부사관(NCO)인 ''옵티오 프린키팔리스''에서처럼 프린키팔리스를 참조할 수 있다.
3. 로마 행정
4. 로마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284-305)는 사두정치의 아버지로서, 스스로를 '프린켑스'라고 부르는 것을 완전히 중단하고 '도미누스' (주군, 지배자)라고 칭하며 황제가 진정한 군주직이 아니라는 허울을 버렸다.
4. 1. 기원과 의미
"''프린켑스 시비타티스''"("Princeps civitatis", "제1 시민")는 고대 로마 시대 지도자의 칭호로, 로마 제국 초기 로마 황제가 사용한 공식 칭호였다.[5] 이 칭호는 원수정 로마 제국 시스템을 만들었다.[23]
"''프린켑스''"라는 용어는 원로원 의장인 ''원로원 수장''(Princeps senatus)에서 유래되었으며, "동료 중 으뜸"이라는 의미를 지녔다.[4] 원로원 수장(복수형: principes senatus)은 로마 원로원에서 서열이 가장 높은 사람이었으며, 원로원 토론에서 그의 의견이 가장 먼저 제시되었다.[4]
이 칭호는 기원전 27년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에게 처음 부여되었다.[6] 그는 ''렉스'' (왕) 또는 독재관이라는 칭호를 사용하면 원로원 의원과 다른 영향력 있는 사람들에게 반감을 살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들은 이전에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을 지지함으로써 그러한 반감을 드러낸 바 있다. 아우구스투스는 정치적, 군사적 우위를 점했지만, 제국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동료 로마인들의 도움이 필요했다. 아우구스투스는 자신의 저서 ''업적록''에서 프린켑스(자신)에 대한 아우크토라타스를 주장했다.[5]
프린켑스(Prīnceps)는 고대 로마에서 "제일인자"를 의미하는 라틴어였다.[10] 그 방면에서 가장 권위 있는 자를 가리켜 사용된 단어로, "'''프린켑스 세나투스'''('''Prīnceps Senātūsla''', 원로원의 제일인자)[11]" 또는 "'''프린켑스 키비타티스'''('''Prīnceps Cīvitātisla''', 시민의 제일인자)"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었다.[10]
고대 로마인들은 이 "제일인자"들의 권위를 매우 중시했다.[14] 고대 로마인들에게 권위는 추상적인 것이 아니라 그 자질과 실적에 의해 특정 인물과 결부되는 구체적인 것이어야 했다.[14] 권위의 근거가 개인의 자질과 실적에 의한 것이었기 때문에 "제일인자"들 또한 다양했다.[14]
옥타비아누스는 의붓아버지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처럼 독재자로서 제거되는 것을 경계하여, 자신을 권력자가 아닌 권위자(프린켑스)라고 칭하고, 『업적록』에서 "나는 권위에서는 만인보다 뛰어나지만, 직권에서는 다른 누구에게도 조금도 뛰어나지 않았다"라고 기록하여 공화정 존중의 정치적 자세를 강조했다.[8]
4. 2. 아우구스투스와의 연관성
"''프린켑스''"라는 용어는 원로원 의장인 ''원로원 수장''(Princeps senatus)의 지위에서 유래되었으며, "동료 중 으뜸"이라는 의미를 지녔다.[4] 원로원 수장은 로마 원로원에서 서열이 가장 높은 사람이었으며, 원로원 토론에서 그의 의견이 가장 먼저 제시되었다.[4]
이 칭호는 기원전 27년에 카이사르 아우구스투스에게 처음 부여되었다.[6] 그는 ''렉스'' (왕) 또는 독재관이라는 칭호를 사용하면 원로원 의원과 다른 영향력 있는 사람들에게 반감을 살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들은 이전에 율리우스 카이사르 암살을 지지함으로써 그들의 반감을 드러낸 바 있다. 아우구스투스는 정치적, 군사적 우위를 점했지만, 제국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동료 로마인들의 도움이 필요했다. 아우구스투스는 그의 저서 ''업적록''에서 프린켑스(자신)에 대한 아우크토라타스를 주장했다.[5]
최초의 로마 황제로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옥타비아누스는, 자신의 저서 ''업적록''에서 자신을 프린켑스라고 칭하였다.[17] 옥타비아누스는 의붓아버지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처럼 독재자로서 제거되는 것을 경계하여, 자신을 권력자가 아닌 권위자(프린켑스)라고 위치시킴으로써, ''업적록''에서 "나는 권위에서는 만인보다 뛰어나지만, 직권에서는 다른 누구에게도 조금도 뛰어나지 않았다"라고 기록한 것과 같이 공화정 존중의 정치적 자세를 강조했다.[8]
4. 3. 다른 황제 칭호
로마 황제와 관련된 다양한 공식 칭호에는 ''임페라토르'', 아우구스투스, 카이사르 등이 있었다. 이후에는 도미누스(주군)와 바실레우스("βασιλεύς|바실레우스grc"는 "주권자"를 뜻하는 그리스어) 등의 칭호도 사용되었다. '황제'라는 단어는 로마 칭호 '임페라토르'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아우구스투스가 자신의 사전 이름으로 사용하기 전까지는 매우 높은 군사적 칭호였지만, 배타적인 칭호는 아니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284-305)는 사두정치의 아버지로서, 스스로를 '프린켑스'라고 부르는 것을 완전히 중단하고 '도미누스'(주군, 지배자)라고 칭하며 황제가 진정한 군주직이 아니라는 허울을 버렸다. 아우구스투스부터 디오클레티아누스까지 스스로를 프린켑스라고 칭한 황제들이 통치했던 시기를 '원수정'이라고 부른다.[4]
고대 로마에는 '젊은이 중 으뜸'인 '프린켑스 유벤투티스'(princeps iuventutis)와 같은 다른 종류의 '왕자' 프린키페스도 있었다. 이는 제국 초기에 황제의 적격 후계자, 특히 그의 가족에게 자주 수여되었다. 이 칭호는 처음에는 아우구스투스의 외손자인 가이우스 카이사르와 루키우스 카이사르에게 주어졌다.[7]
4. 4. 디오클레티아누스와의 변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284-305)는 사두정치의 아버지로서, 스스로를 "프린켑스"라고 부르는 것을 완전히 중단하고 "도미누스"(주군, 지배자)라고 칭하며 황제가 진정한 군주직이 아니라는 허울을 버렸다.[4] 아우구스투스부터 디오클레티아누스까지 스스로를 프린켑스라고 칭한 황제들이 통치했던 시기를 원수정이라고 부른다.
4. 5. 프린켑스 유벤투티스
princeps iuventutisla는 고대 로마에서 "젊은이 중 으뜸"을 의미하는 칭호였다. 이 칭호는 제국 초기에 황제의 후계자, 특히 황제 가족에게 자주 수여되었다. 처음에는 아우구스투스의 외손자인 가이우스 카이사르와 루키우스 카이사르에게 주어졌다.[7]
5. 원로원 수장 (프린켑스 세나투스)
감찰관이 켄수스(국세 조사)를 실시할 때 원로원 수장을 지명하는 것이 기본이다. 기원전 3세기 말 감찰관 마르쿠스 케테구스는 현존하는 자 중에서 가장 먼저 감찰관을 경험한 자를 원로원 수장으로 지명하는 것이 전통이라고 언급했다[19]。
역대 원로원 수장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하위 섹션을 참조하라.
5. 1. 역대 프린켑스 세나투스 목록
기본적으로 감찰관이 켄수스(국세 조사)를 실시할 때 프린켑스 세나투스를 지명한다. 기원전 3세기 말의 감찰관 마르쿠스 케테구스는 프린켑스 세나투스는 현존하는 자 중에서 가장 먼저 감찰관을 경험한 자를 지명하는 것이 전통이라고 언급했다[19]。역대 프린켑스 세나투스 목록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재임 기간 |
---|---|
마니우스 발레리우스 막시무스 | 기원전 493년 |
루키우스 루크레티우스 트리키피티누스 플라우스 | 기원전 393년 |
마르쿠스 파비우스 암부스투스 (기원전 360년 집정관) | 불명 |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루리아누스 | 불명 |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구르게스 (기원전 292년 집정관) | 불명 |
마르쿠스 파비우스 부테오 | 기원전 220년, 216년, 210년 |
퀸투스 파비우스 막시무스 | 기원전 209년, 204년 |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 | 기원전 199년, 194년, 189년 |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플라쿠스 (기원전 195년 집정관) | 기원전 184년 |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기원전 187년 집정관) | 기원전 179년, 174년, 169년, 164년, 159년, 154년 |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나시카 코르쿨룸 | 기원전 147년, 142년 |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풀케르 (기원전 143년 집정관) | 기원전 136년 |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루푸스 | 기원전 130년-125년 |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렌툴루스 | 기원전 125년-120년 |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스카우루스 | 기원전 115년, 108년, 102년, 97년, 92년, 89년? |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플라쿠스 (기원전 100년 집정관) | 기원전 86년 |
마멜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 리비아누스 | 기원전 70년? |
6. 귀족적 유산
'''프린켑스'''는 현대 영어 단어인 "프린스"(다른 언어의 다양한 등가물도 해당 기사를 참조)의 어근이 되는 라틴어 표현이며, 로마법의 비잔틴 버전은 봉건 시대 및 이후 절대주의 유럽에서 발전한 법률 용어의 기초가 되었다.[4]
7. 로마가 아닌 의미로 사용된 예시
프린켑스는 단순히 "제일인자"라는 의미였기 때문에, 고대 로마 외의 다른 분야에서 제일인자를 가리킬 때도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1세기 역사가 타키투스는 저서 『게르마니아』에서 게르만족 종사단의 우두머리를 프린켑스라고 불렀다.[12] 또한 전설에 따르면 로마 왕정 시대에 툴루스 호스틸리우스가 알바 롱가를 멸망시키고 알바 롱가의 프린키페스를 파트리키 반열에 넣었다고 한다.[13]
7. 1. 생물학
"프린켑스(Princeps)"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학명에 사용되었다.- 노랑반점바위너구리(Heterohyrax brucei princeps)
- ''프린켑스(Princeps)'', 호랑나비의 이전 속(屬)으로, 현재는 ''Papilio''의 아속으로 취급된다.
- ''Accipiter princeps'', 뉴브리튼 매
- ''Actenoides princeps'', 비늘가슴물총새
- ''Cattleya walkeriana'' var. ''princeps'', 난초의 일종인 ''Cattleya walkeriana''의 동의어
- ''Emberiza flaviventris princeps'', 앙골라와 나미비아에서 발견되는 금가슴멧새의 아종
- ''Grallaria guatimalensis princeps'', 코스타리카와 파나마에서 발견되는 비늘개미새의 아종
- ''Heterohyrax brucei princeps'', 노랑점바위너구리의 아종
- ''Melionyx princeps'', 긴수염꿀빨기새
- ''Morphnarchus princeps'', 얼룩매
- ''Triplofusus princeps'', 열대 바다 달팽이.
- ''Passerculus sandwichensis princeps'', 입스위치 참새(사바나 참새의 아종)
- ''Ploceus princeps'', 프린시페 직박구리
- ''Psittacus timneh princeps'', 팀네 앵무새의 프린시페 아종
7. 2. 기타
- 노랑반점바위너구리
- 소설 삼체에서 프린켑스는 트리솔라란(Trisolaran) 문명의 지도자 칭호이다.
- 책 마의 산에서 "Princeps Scholasticorum"는 나프타를 소개하기 위해 Settembrini가 사용하는 호칭이다.
"프린켑스(Princeps)"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학명에 사용되었다.
- ''프린켑스(Princeps)'', 호랑나비의 이전 속(屬)으로, 현재는 ''Papilio''의 아속으로 취급된다.
- ''Accipiter princeps'', 뉴브리튼 매
- ''Actenoides princeps'', 비늘가슴물총새
- ''Cattleya walkeriana'' var. ''princeps'', 난초의 일종인 ''Cattleya walkeriana''의 동의어
- ''Emberiza flaviventris princeps'', 앙골라와 나미비아에서 발견되는 금가슴멧새의 아종
- ''Grallaria guatimalensis princeps'', 코스타리카와 파나마에서 발견되는 비늘개미새의 아종
- ''Heterohyrax brucei princeps'', 노랑점바위너구리의 아종
- ''Melionyx princeps'', 긴수염꿀빨기새
- ''Morphnarchus princeps'', 얼룩매
- ''Triplofusus princeps'', 열대 바다 달팽이.
- ''Passerculus sandwichensis princeps'', 입스위치 참새(사바나 참새의 아종)
- ''Ploceus princeps'', 프린시페 직박구리
- ''Psittacus timneh princeps'', 팀네 앵무새의 프린시페 아종
참조
[1]
서적
"Cassell's Latin Dictionary, Latin-English, English-Latin"
https://books.google[...]
"Cassell Publishers Limited"
[2]
웹사이트
princeps, cĭpis, adj.
https://www.perseus.[...]
2009-04-21
[3]
서적
"A History of Rome to A.D. 565"
PanMacMillan
[4]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 Princeps
https://www.britanni[...]
[5]
문서
Grant, p. 62
[6]
서적
The Immense Majesty: A History of Rome and the Roman Empire
Harlan Davidson, Inc.
[7]
문서
Suetonius
[8]
문서
弓削2010、p.153
[9]
문서
吉村2003、p.126
[10]
문서
弓削2010、pp.152-153
[11]
인용구
[12]
서적
西欧中世史事典 国制と社会組織
ミネルヴァ書房
[13]
문서
吉村2003、p.133
[14]
문서
木村・鶴間1998、pp.19-20
[15]
문서
吉村2003、p.294
[16]
문서
吉村2003、pp.126-127
[17]
문서
弓削2010、p.152
[18]
문서
弓削2010、pp.153-154
[19]
문서
리ウィ우스『ローマ建国史』27.11
[20]
서적
"Cassell's Latin Dictionary, Latin-English, English-Latin"
https://books.google[...]
"Cassell Publishers Limited"
[21]
웹인용
princeps, cĭpis, adj.
https://www.perseus.[...]
2009-04-21
[22]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 Princeps
https://www.britanni[...]
[23]
문서
Grant, p. 6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